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关于中国员工组织声望感知对组织公民行为影响的实证分析

        Kang, Dong wei,Yang, Mi lin,Wang, Zhi cheng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18 Journal of China Studies Vol.21 No.2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domain, there is little previous studies concerns about the perceived external prestige and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 In this research, we focus on whether the perceived external prestige has the positive effect to the affective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r not. And whether the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external prestige and affective commitment or no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based survey of six companies located in the Beijing, Tianjin city from August to September 2017. The questionnaire-based survey consisted mainly of structured questions; we received 182 effective responds and used SPSS, AMOS to analysis the correlation of this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veals that: Firstly, perceived external prestige has a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to affective commitment. Secondly, affective commitment also positively relates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ly, affective commit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external prestig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ly,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external prestige and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some suggestion to improve the level of perceived external prestige and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 for employee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we may know that the high level of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 the employees’ affective commitment will become strong. Since today’s most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focused on the inside organization not the outside, for example: the leadership style, the organization justice and so on.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the perceived of the outside factors als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and the motivation of employees. This research also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xternal prestige and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 can be a contribution to the supplement for the literature. And some practical measures should be taken by the organization to protect the external prestige image and improve the ability of public relationship to deal with the unexpected emergency.

      • KCI등재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종업원-조직 간 사회적 교환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노윤,설현도 한국기업경영학회 2011 기업경영연구 Vol.18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employee perceptions of favorable job conditions affect affective commitment. The survey data are collected from 454employees in twelve organization, representing bank, distribution, gam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favorableness of job condition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ffective commitment. And intrinsic job condition exerted a significantly stronger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 than the other job conditions. Second, intrinsic, extrinsic and social job conditions were related to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nd social job conditions had a weaker influence o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an the other job conditions. Third,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was found to influence affective commitment. Forth,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favorable job conditions and affective commitment. The effects of both intrinsic and social job conditions on affective commitment were partially mediated, and the effect of social job condition on affective commitment was fully mediated by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e results suggest that favorable job conditions can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strengthening the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nd organization, and be important antecedents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is study makes two important contribution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 to explain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e mechanisms through that the favorableness of job conditions influences affective commitment. Second, this study helps managers to understand the role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nd formulat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affective commitment. Managers should foster favorable job conditions in terms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o develop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ause the quality of employee-organization relationship determine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해 조사하는것이다. 454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직무환경의 호의성은 사회적 교환관계와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교환관계도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교환관계는 직무환경의 호의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교환관계는 내재적 직무환경과 사회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부분 매개하고, 외재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세 가지직무환경의 호의성 모두가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내재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교환관계에 대해서도 세가지 직무환경의 호의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종업원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과정에서 사회적 교환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종업원-조직 간 사회적 교환관계형성에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가 이론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제공하는 함의를 논의한다.

      • KCI등재

        프로젝트 조직 환경에서 프로젝트 참여자의 조직몰입이 프로젝트 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혜영,이태원,김승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2

        기업에 있어 프로젝트의 성공여부는 기업의 발전과 성과를 위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기업은 프로젝트 조직을 구성하고 관리를 하고 있다. 조직의 관점에서 학문적으로도 조직의 성과를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조직몰입은 이런 조직의 성과를 위한 이론으로 1960년대부터 연구되어온 이론이다. 그러나 조직몰입이 다양한 산업과 다양한 조직에서 연구 되어왔으나 프로젝트 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상황이다. 프로젝트 조직은 프로젝트의 목적을 위해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구성된 임시적 조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배경을 가지고 조직몰입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 프로젝트 조직 환경에서도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검증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 되었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조직 환경에 속해있는 프로젝트 참여자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내용은 독립변수인 프로젝트 관리 역량으로 범위관리, 일정관리, 원가관리와 종속변수인 프로젝트 관리 성과, 마지막으로 조절변수인 조직몰입으로 정서적몰입, 지속적몰입, 규범적몰입을 조사 하였다. 조사된 내용은 타당성 분석을 거쳐 다중회귀분석과 조절효과를 보는 위계적 회귀분석 통해 연구되었다. 연구결과로 정서적 몰입은 범위관리와 일정관리가 프로젝트 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원가관리에서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지속적 몰입은 범위관리가 프로젝트 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오히려 부정적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정관리와 원가관리에서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규범적 몰입은 범위관리, 일정관리, 원가관리가 프로젝트 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상승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자면 조직에 애착과 일체감을 가지는 정서적 몰입은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하는 프로젝트의 특징에서 원가관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부분이 기존연구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조직에 계속 남아 있으려 하는 지속적 몰입은 범위관리가 프로젝트 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정관리, 원가관리의 영향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프로젝트는 임시적 조직으로 지속적 몰입과는 상반된 특징을 가지고 있기에 기존의 연구와 다른 결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 기존 조직의 성과를 위해 연구되어온 조직몰입이 프로젝트 조직에서는 다른 결과를 가져 온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The success or failure of a project holds huge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and achievement of a corporation, which is why corporations form and manage a project organization. There are many academic researches on organizational achievements from the organizational perspective. Of them,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 theory about organizational achievements, and its research began in the 1960s. Various industries and organizations have done research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re is a considerable lack of research on it with a project organization, which is a temporary organization formed with limited resources for a project goal. Recognizing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set out to test whet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would bring achievements even in a project organizational environment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study targeted project participants in a project organization environment and examined project management capabilities including scope, schedule, and cost management as independent variables, project management achiev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luding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as moderating variables. They were put to the valid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figure out moderating effects. The findings show that affective commitment increased the effects of scope and schedule management on project management achievement. Cost management, however, had no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m. Continuance commitment had nega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of scope management on project management achievement and had no moder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of schedule and cost management on it. Normative commitment enhanced the effects of scope, schedule, and cost management on project management achievement. The finding that affective commitment, which represents attachment to and sense of unity with an organization, had no effects on cost management as a characteristic of a project with limited resources was different from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Representing one's willingness to remain in an organization, continuance commitment had negative effects on the influence of scope management on project management achievement and no effects on the influence of schedule and cost management on it. These finding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studies since a project as a temporary organization had opposite characteristics to continuance commitmen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has been investigated for organizational achievement, brings about different outcomes in a project organization.

      • KCI등재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조직지원인식이 학습조직 구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정준재 ( Jeong Jun Jae ),이진구 ( Lee Jin Gu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7 HRD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조직지원인식이 학습조직 구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사업에 참여한 담당자 중 학습조장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5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델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1.0과 AMOS 21.0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지원인식은 정서적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개인수준의 학습조직구축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정서적 조직몰입은 개인수준의 학습조직 구축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조직지원인식과 개인수준의 학습조직 구축수준 관계에서 정서적 조직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지원인식은 개인수준의 학습조직 구축수준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을 통해 형성된 정서적 조직몰입이 개인수준의 학습조직 구축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점과 함께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level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7 employees from the small organizations. However, 205 out of 207 survey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 Used SPSS 21.0 and AMOS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to analyze the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Firstl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itively affect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itively affects level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Thirdly, it has been identified that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level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Fourthly, it has been identified that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forms as a medi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vel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Through the research, it has been proven that the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need to increase in order to develop a level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roportion.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variou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직업무용수의 긍정심리자본이 심리적 탈진 및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은혜량,차수정 한국무용과학회 202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and importa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professional dancers on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affective organization commitment. It was selected for members of the Korean Dance Professional Dance Company (National, Gugak Center, Provincial, and Municipal) belonging to public institu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Ver. 23.0. The results derived from these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professional dancers negatively influenced on psychological exhaustion significantly. Seco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professional dancers influenced on affective organization commitment significantly. Third,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professional dancers negatively influenced on affective organization commitment significantly.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Korean dance professional dance members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increas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lowering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increasing affective organization commitment.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들의 긍정적심리자본이 심리적 탈진 및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 및 중요성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공공기관 소속인 한국무용전문 직업무용단(국립, 국악원, 도립, 시립) 단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WIN Ver. 23.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무용수의 긍정심리자본이 심리적 탈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무용수의 긍정심리자본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무용수의 심리적 탈진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무용전문 직업무용단원의 긍정심리자본은 심리적 탈진을 낮추고 정서적 조직몰입을 높여 개인 및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부산권 치과위생사의 정서적 조직몰입 영향 요인 분석

        권수진(Su-Jin Kwon),배성권(Sung-Kwon Bae)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5

        이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생활의 질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근로생활의 질 향상과 더불어 조직에의 애착과 몰입을 추구하고 근로생활의 보람과 궁극적인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찾고 치과경영에서의 인적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경남지역에 위치한 치과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197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근로생활의 질과 정서적 몰입의 구성요소 간 요인별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생활의 질 요인 분석 결과 근무환경, 인간관계, 사회적 유익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치과 의료기관은 인적 경영관리 차원에서 근무환경 및 복리후생 개선과, 직원 간 원활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정기적 사회봉사나 지역주민을 위한 서비스 제공으로 자긍심과 애사심을 고취시키고, 치과위생사들은 보다 긍정적인 생각으로 근무기관과 자기발전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으로 업무능력 향상과 직업적 가치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research is for dental hygienists to pursue affection and commitment in organization together with improvement of quality of working life by analyzing factors of working life affecting affective commitment in organization of dental hygienists, to find out plans to increase sense of accomplishments of working life and ultimate satisfaction of life, and to suggest direction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management of dental clinics. Objects of investigation were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medical institutions in Busan area with questionnaire survey and 197 sheet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udy. As the result of the study, high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composition elements of quality of working life and affective commitment per factor and as the result of quality factors of working life affecting affective commitment in organization, work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meaningfulness provided meaningful impacts on affective commitment in organization. It is believed to be important that dental medical institutions need to promote pride and love of companies in the future by providing regular social services or services for local residents so that employees can form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with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in personnel management dimension. And for dental hygienists, they shall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s and enhance vocational values for development of their institutions and them with positive thinking through ceaseless efforts.

      • KCI등재

        대학 스포츠 학생 운동선수의 조직기반자존감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 몰입과 운동선수 만족을 심으로

        이성진,고은정,김상수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4 No.2

        그동안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의 경기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신체적, 기술적 요인 외에도 심리적인 요인의 중 요성이 부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운동선수 관점에서 선수들의 조직기반자존감이 개인의 성과, 즉 인 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그 과정의 중심에, 조직기반자존감이 영향을 미치는 주 요 결과변수로 연구되어 온 몰입과 만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한 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한 대학교 내에 존재하는 각 종목별 스포츠팀과 그에 소속된 학생 운동선수들을 대상으 로 327개의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회수하였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스포츠 팀에 속한 운동선수의 관점에서 조직기반자존감의 역할을 재조명하였다는 것, 그리고 그 과정의 중심에 몰입 과 만족을 살펴봄으로써 조직기반자존감이 성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와 더불어, 스포츠팀에 소속된 운동선수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뿐만 아니라 조직 차원의 선수관리 측 면에서도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Purpose: In addition to physical and technical factors,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factors has been emphasized as a factor determining the athletic performance of the athletes in the sports contex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of student athletes on perceived performance.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commitment and satisfaction which have been studied as the main outcome variables affecting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Method: To validate this, 327 usable data were collected from sports teams and their athletic athletes in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Results: All hypotheses were adopted as a result of structural model analysi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ole of organizational self-esteem was re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athletes belonging to sports team, and 2)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mechanism that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leads to performance by looking at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t the center of the process.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it can provid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not onl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thletes belonging to the sports team, but also to the aspect of the athlete management at the organization level.

      • KCI등재

        여가서비스 자원봉사자의 조직존중감 인식과 감정적 충실도가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세혁(Se Hyuk Park)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0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4 No.3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respect from the respectiv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volunteers` intention to continue volunteerism in leisure service program The sample consisted of 257 volunteers enrolled in community service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from volunteers from selected 6 churches by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technique in Seoul, Korea. Findings indicate that volunteers` perceived respect from the respective organization and volunteers`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explain volunteers` intention to continue volunteerism at the respective organization. It implies that volunteers` perceived respect from th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antecedents of intention to continue volunteerism at the respective organization. Thus, it is important to make volunteers feel respected from the respective organization. It can be expected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provide theoretical framework in managing volunteers in leisure service organizations.

      • KCI등재

        직장의 가족 친화 조직분위기가 조리사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균형(Work-Life Balance)을 중심으로

        송지훈,최동주 한국외식경영학회 2017 외식경영연구 Vol.20 No.6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ffects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s atmosphere on chef’s affective commitment, targeting the chefs working in food and beverage fields. Particularly, this study set work-life balance, vulnerable part due to their job’s nature, as a medi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Hence, 206 hotel chefs in Seoul were surveyed for a mont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friendly atmosphe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ffective commitment, an important factor for the service workers. It proves it is for the chef’s competitiveness. Second, the family-friendly atmosphe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ork-life balance. Third, the work-life bal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ffective commitmen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work-life balance was validated. Therefore, for a meaningful organization, this study presents needs to increase the work-life balance’ level and satisfaction, and secure company’s policies to support them institutionally. 본 연구는 식음료 분야에 근무하는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근무하는 직장의 가족 친화적 조직 분위기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가족 친화적 조직 분위기와 정서적 몰입 사이에서, 외식분야의 조리사들에게 업무특성상 취약한 부분 중의 하나인 일-가정 균형(WLB)을 매개효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사내 호텔 조리사 206명을 대상으로 한 달 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기가 근무자들에게 중요한 요건인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사들의 진정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제도임이 증명된 것이다. 둘째,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기는 일-가정 균형에 유의한 결과나 나타났다. 셋째, 일-가정 균형이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기와 정서적 몰입 사이에서 일-가정 균형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로써 조리사들이 근무하는 직장의 가족 친화적 조직분위가가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있는 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일-가정의 균형의 수준과 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를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회사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 KCI등재

        회원제 조직의 관계마케팅 활동이 관계몰입과 고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상현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08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0 No.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set of relational marketing activities(prestige, member interdependence enhancement, dissemination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ore service benefits and support service benefits) that is appropriate in managing membership relationship. The empirical results supported that prestige, member interdependence enhancement, dissemination of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core service benefits significantly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and member interdependence enhancement and support service benefits significantly effect on continuance commitment. Also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significantly effect on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 This results ha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membership commitment. Through this study, marketing managers can use the notion of commitment in implementing marketing strategies. 연구의 목적은 회원제 조직을 대상으로 기업의 관계마케팅 활동이 회원들의 관계몰입과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5가지의 관계마케팅 활동 즉, 조직명성, 상호작용의 향상, 조직지식의 전파, 핵심서비스 효익 및 부가서비스 효익이 관계몰입의 두 측면인 감정적 몰입과 연속적 몰입 및 고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감정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는 조직명성, 상호작용의 향상, 조직지식의 전파 및 핵심서비스 효익으로 나타났으며, 연속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는 상호작용의 향상 및 부가서비스 효익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몰입의 두 측면인 감정적 몰입과 연속적 몰입은 고객의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관계마케팅의 다양한 요인들은 몰입의 두 가지 차원인 감정적 몰입과 연속적 몰입에 서로 다른 선행변수를 가지며 이들 요인들은 고객의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분석 결과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