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윤치호의 사상과 현실인식에 나타난 유교의 영향— 『尹致昊日記』에 인용된 유교경전 분석을 통해 —

        채수은 수선사학회 2023 史林 Vol.- No.84

        This paper analyzes the texts of Confucian classics cited in Yun Ch'iho's Diaries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onfucianism on Yun Ch'iho's (1865-1945) thought and his worldview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ough Yun relied on Western models of civilization to propose a renewal of Korea's social systems and populace, it is unlikely that he completely renounced traditional Confucian thought. In fact, Yun’s attitudes toward Confucianism were diversified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he praised Confucian sages, even placing Confucius's teachings on par with those of Jesus. Making frequent references to the Analects and the Mencius, Yun also criticized Japanese colonial policies. Moreover, Yun expressed his discontents with the violence of the time and his longings for world peace, citing Confucian classics in his diaries. Thus, I argue Confucian teachings were never disconnected from Yun's thought but remained as a framework to understand the world around him. .

      • KCI등재

        <특집> 근대 기독교 유입의 여러 갈래 : 윤치호의 계몽사상과 기독교적 자유 -후쿠자와 유키치의 자유관과 종교관의 비교를 통해서-

        류충희 ( Chunghee Ryu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동방학지 Vol.171 No.-

        본고에서는 계몽지식인 윤치호(1865~1945) 의 계몽사상을 일본 메이지기 계몽지식인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의 정치사상과 비교하여 논하였다. 본고에서 윤치호의 자유관은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것이라고 가정했다. 특히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의 종교관과 자유관을 분석하여 그 관점의 동일성과 차이, 그리고 그들의 관점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적인 정치적 상상력을 문제 삼았다.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는 서양문명을 표본으로 삼아 인민계몽을 주장.실천하여 근대화를 추구한 인물들이다. 그 사상적 기반은 자유로운 개인과 사회.국가의 관계성을 전제로 한자유주의적 정치사상이다.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가 논하는 문명론에는 자연 상태로부터 자유로운 인간이라는 인식이 공통으로 전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인간의 자유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대한이해가 달랐다. “종교 밖에 소요(逍遙)”하는 태도를 일관하여 종교적 신앙에 거리를 두었던 후쿠자와는 인간의 “지력(智力)”에 의한 “정신의 자유”에 중점을 두었다. 윤치호도 후쿠자와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지성을 중시했지만, 신앙에 근거한 기독교적 자유와 구제를 염두에 두고 문명론을 이야기했다. 이처럼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에게는 종교의 신앙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적 차이가 존재했다. 하지만 이 두 동아시아 지식인들에게는 종교를 계몽의 도구로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종교에 대한 공리주의적인 인식의 기층에는 문명론, 내셔널리즘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리고 이 공리주의적 종교관의 기층에는 신(문명, 국가) 등과 개인의 관계에 근거한 개인의 내면화.인격화된 근대적 신앙이라는 정치적 상상력이 작동하고 있다. 윤치호는 조선인이 적자(適者)가 되기 위해서는 기독교가 절대적 조건이라고 여겼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종교의 신앙적 문제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고수했지만,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위한 종교의 효용성이라는 공리주의적 태도를 평생 견지했다. 윤치호는 서구문명과 기독교의 암면을 인식하면서도 기독교와 문명에 대한 그의‘신앙’이 존재했기 때문에 문명론을 상대화할 수없었다. 후쿠자와 역시 서구문명을 절대적 명제로 인식하는 ‘신앙’적 태도로 문명론을 주장했다.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의 정치사상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본고에서는 근대 동아시아의‘자유’라는 정치적 상상력과 ‘신앙’이라는 종교적 상상력이 상호 연관되어 작동하는 사상적 계보의 한 예를 제시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Enlightenment thought of Korean Enlightenment intellectual Yun Ch’iho (1865-1945) in comparison with the political thought of famous Meiji Enlightenment intellectual Fukuzawa Yukichi (1835-1901).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Yun’s view of liberty was based on the Christian faith. In particular, it discusses the two men’s views on liberty and religi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views, and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ir fundamental political imaginations. We can see that Fukuzawa and Yun shared an understanding of Man’s freedom from, and control over, nature in civilized conditions. However, they differed in the ways they considered the driving force behind this freedom and control. While Fukuzawa believed it was intelligence, Yun Ch``iho agreed that intelligence was crucial but believed that the Christian faith was a more important and fundamental force than intelligence. Yun Ch``iho’s and Fukuzawa Yukichi’s views on liberty and religion involved various factors, including civilization, nationalism, and Christianity. We can assume that what was at work in all of these factors was the religious imagination of modern faith. This faith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or civilization, or the nation) and the individual, and the way this relationship is internalized and personified in the individual’s mind.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people who believe that civilization and the nation have a divine origin that began with God to stop imagining this divinity as an absolute proposition.

      • KCI등재

        윤치호의 『우순소리』 소개

        이효정(Lee Hyo-Jeong) 국어국문학회 2009 국어국문학 Vol.- No.153

        This study introduces Yun Ch'iho's Usun sori, a 1908 text which many scholars have discussed but none have seen. In 2009 I discovered and examined a printed copy preserved in the main library of Toyama University, in Toyama, Japan. It is in the library's Collection of Korean Popular Novels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Chosen Kaika-ki Taishu Shosetsu Genbon Korekushon) Yun abridged some of the fables in Usun sori from the foreign texts, in particular, Aesop's Fables, and changed other stories into metaphors for the political situation in Chos?n at that time. In translation the fables were used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metaphor provided a means to criticize the colonial policy of Japan and to tell Korean people of the necessity of self-independence and enlightenment. As Koreans did not have freedom of speech at this time. for Yun, a politician active in the enlightenment movement, writing literature was the best way to express his thoughts. This paper introduces Usun sori, and does not attempt to provide a complete study of the book. I hope that research Usun sori will continue and that our understanding of this book will deepen.

      • KCI등재

        <기획> "근대 한국" 구상의 사상적/제도적 성찰 : 개화기 조선의 民會 활동과 「議會通用規則」 -「의회통용규칙」의 유통과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류충희 ( Chung Hee Ryu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7 No.-

        윤치호는 1897년 7월부터 독립협회에 참여하여 토론회와 연설회의 도입을 통해 협회를 정치단체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는 토론회를 조직하는 실무적 차원에서 협회 조직을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미국 해군장교 로버트의 통칭 Robert`s Rules of Order (1876)를 초역한 『議會通用規則』(1898)을 통해 서양의 토론문화를 소개한다. 1898년 4월 12일자 『독립신문』에 「의회통용규칙」에 관한 광고가 최초로 등장하지만 이듬해 그 광고는 지면에서 사라진다. 그 후 「의회통용규칙」의 판매광고가 러일전쟁을 거쳐 대한제국이 일본의 보호국이 된 이듬해인 1906년 5월 31일자 『황성신문』에 다시금 등장하고, 『대한자강회월보』에의 전재, 해를 거듭하여 국한문판 『대한매일신보』와 『황성신문』에 광고가 재등장한다. 이처럼 이 시기에 「의회통용규칙」의 판매 및 유통의 흔적이 여러 지면에서 확인되는 것은 1905년 을사보호조약 체결로 인해 정치적 문제를 다루는 토론회와 연설회와 같은 民會에 대한 대한제국정부의 통제력의 약화와 이 시기 전후 보호국 상황의 타개 혹은 이용을 위한 지식인들의 민회 조직의 활성화라는 역사적 배경이 있었기 때문이다. Robert`s Rules of Order는 나가미네 히데키에 의해 번역된 『官民議長必携』(1880)의 형태로 메이지 일본에 소개된다. 『관민의장필휴』에는 호소카와 준지로의 「序」가 붙어 있는데, 이것에는 “公共之事”를 “成俗”하지 못한 일본인이라는 시선이 확인되며, 윤치호의 시선 역시 그것과 유사하다. 『관민의장필휴』의 번역에는 역자의 판단을 최대한 배제하고 원문의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려는 의도가 보인다. 그러나 「의회통용규칙」은 『관민의장필휴』와는 달리 역자 윤치호의 판단에 의해 필요한 부분만이 취사선택되어 번역이 되어 있다. 「의회통용규칙」의 번역의 주안점은 민회의 설립에 대한 방법, 그 會를 통한 의안제출과 표결 등의 議事 결정과 임원·회원·위원의 선출·역할·권한·처벌 등의 민회운영에 놓여 있다. 「의회통용규칙」이라는 텍스트의 번역은, 민회라는 소사회에 참여하는 회원들에게 그 조직·운영과 합리적 의사 결정의 과정을 이해·학습시키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삼는다. 그런데 이 「의회통용규칙」을 통한 계몽의 프로젝트의 최종적 목표는 조선인들에게 그 대사회/국가로서의 조선의 운영 원리와 그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윤리를 이해·실천하도록 만드는 것에 있다. 번역된 텍스트인 「의회통용규칙」은 공공적 의사결정 문화의 번역이자 소개서였던 것이다. Upon joining the Independent Club in July of 1897, Yun Ch`iho (1865-1945) organized a debating society, and introduced a western debate culture through a manual titled Uihoe t`ong yong gyuch`ik (1898), his translation of Robert`s Rules of Order (1876) by Henry. M. Robert (1837-1923). The first advertisement for Uihoe t`ongyong gyuch`ik appeared in The Independent and ran for approximately one year, beginning on 12 April 1898. It then disappeared from the newspapers until it reappeared in the Hwangsong sinmun on 31 May 1906, and was listed continually in Taehan maeil shinbo. The reason for the increased demand for this text during this period was that organizing political civic associations (民會) was popular among Korean intellectuals who wanted to overcome or use Korea`s status as a protectorate of Japan. In Japan, Robert`s Rules of Order was translated as Kanmin gijo hikkei (1880) by Nagamine Hideki (1848-1927). The aim of Kanmin gijo hikkei was a precise transmittance of the information in the original. In contrast, Uihoe t`ongyong gyuch`ik was a selective translation that focused o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civic associations. Therefore, the first objective of this translated text was to help members understand and learn reasonable processes of deliberation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a civic association as a small society. But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text, as an Enlightenment project, was to give Koreans an understanding of modern society and the modern state, and what it might mean to be a member of such a society or state.

      • KCI등재

        개화기 조선의 民會 활동과 「議會通用規則」 * ― 「의회통용규칙」의 유통과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류충희(Ryu, Chung-Hee)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7 No.-

        윤치호는 1897년 7월부터 독립협회에 참여하여 토론회와 연설회의 도입을 통해 협회를 정치 단체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는 토론회를 조직하는 실무적 차원에서 협회 조직을 변화시 켰을 뿐만 아니라, 미국 해군장교 로버트의 통칭 Robert s Rules of Order (1876)를 초역한 ≷議會 通用規則≸(1898)을 통해 서양의 토론문화를 소개한다. 1898년 4월 12일자 ≷독립신문≸에 「의회통용 규칙」에 관한 광고가 최초로 등장하지만 이듬해그 광고는 지면에서 사라진다. 그 후 「의회통용 규칙」의 판매광고가 러일전쟁을 거쳐 대한제국이 일본의 보호국이 된 이듬해인 1906년 5월 31 일자 ≷황성신문≸에 다시금 등장하고, ≷대한자강 회월보≸에의 전재, 해를 거듭하여 국한문판 ≷대 한매일신보≸와 ≷황성신문≸에 광고가 재등장한 다. 이처럼 이 시기에 「의회통용규칙」의 판매 및유통의 흔적이 여러 지면에서 확인되는 것은 1905년 을사보호조약 체결로 인해 정치적 문제를 다루는 토론회와 연설회와 같은 民會에 대한 대한제국정부의 통제력의 약화와 이 시기 전후 보호국 상황의 타개 혹은 이용을 위한 지식인들의 민회 조직의 활성화라는 역사적 배경이 있었기 때문이다. Robert s Rules of Order는 나가미네 히데키에 의해 번역된 ≷官民議塲必携≸(1880)의 형태로 메이지 일본에 소개된다. ≷관민의장필휴≸에는 호소카와 준지로의 「序」가 붙어 있는데, 이것 에는 “公共之事”를 “成俗”하지 못한 일본인이 라는 시선이 확인되며, 윤치호의 시선 역시 그것과 유사하다. ≷관민의장필휴≸의 번역에는 역자의 판단을 최대한 배제하고 원문의 정보를 정확 하게 전달하려는 의도가 보인다. 그러나 「의회 통용규칙」은 ≷관민의장필휴≸와는 달리 역자 윤 치호의 판단에 의해 필요한 부분만이 취사선택 되어 번역이 되어 있다. 「의회통용규칙」의 번역의 주안점은 민회의 설립에 대한 방법, 그 會를 통한 의안제출과 표결 등의 議事 결정과 임원·회원·위원의 선출·역 할·권한·처벌 등의 민회운영에 놓여 있다. 「의회 통용규칙」이라는 텍스트의 번역은, 민회라는 소사회에 참여하는 회원들에게 그 조직·운영과 합리적 의사 결정의 과정을 이해·학습시키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삼는다. 그런데 이 「의회통용규 칙」을 통한 계몽의 프로젝트의 최종적 목표는 조선인들에게 그 대사회/국가로서의 조선의 운영 원리와 그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윤리를 이해·실천하도록 만드는 것에 있다. 번역된 텍스 트인 「의회통용규칙」은 공공적 의사결정 문화의 번역이자 소개서였던 것이다. Upon joining the Independent Club in July of 1897, Yun Ch iho (1865-1945) organized a debating society, and introduced a western debate culture through a manual titled Ŭihoe t ong yong gyuch ik (1898), his translation of Robert`s Rules of Order (1876) by Henry. M. Robert (1837-1923). The first advertisement for Ŭihoe t ongyong gyuch ik appeared in The Independent and ran for approximately one year, beginning on 12 April 1898. It then disappeared from the newspapers until it reappeared in the Hwangsŏng sinmun on 31 May 1906, and was listed continually in Taehan maeil shinbo. The reason for the increased demand for this text during this period was that organizing political civic associations (民會) was popular among Korean intellectuals who wanted to overcome or use Korea s status as a protectorate of Japan. In Japan, Robert s Rules of Order was translated as Kanmin gijō hikkei (1880) by Nagamine Hideki (1848-1927). The aim of Kanmin gijō hikkei was a precise transmittance of the information in the original. In contrast, Ŭihoe t ongyong gyuch ik was a selective translation that focused o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civic associations. Therefore, the first objective of this translated text was to help members understand and learn reasonable processes of deliberation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a civic association as a small society. But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text, as an Enlightenment project, was to give Koreans an understanding of modern society and the modern state, and what it might mean to be a member of such a society or state.

      • 갑신정변과 궁중 내부 세력의 내응과 반발 - 특히 내시 유재현을 중심으로 -

        장희흥 한국동학학회 2009 동학연구 Vol.0 No.26

        갑신정변 당시 김옥균 등 개화파는 정변의 성공을 위하여 궁궐 내 왕의 측근 세력인 궁녀와 내시들을 포섭하였다. 즉 궁녀 고대수 등과, 이름 모를 환관 등은 정변에 동참, 왕의 동태를 살피거나 궁중 내 불을 지르는 등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내시 유재현은 처음에는 개화파에 가입하였으나, 이후 왕의 최측근으로 개화파의 정변에 반대하고 사대파의 입정을 대변하면서 개화파들이 노력으로 서울로 입성한 윤웅렬의 북청군대를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였다. 결국 내시 유재현은 정변 2일 아침에 서재필에 의해 처형되었다. 내시 유재현은 왕의 측근으로 왕에게 충심을 다한 인물로 보인다.

      • 갑신정변과 궁중 내부 세력의 내응과 반발 : 특히 내시 유재현을 중심으로

        장희흥 한국동학학회 2009 동학연구 Vol.26 No.-

        갑신정변 당시 김옥균 등 개화파는 정변의 성공을 위하여 궁궐 내 왕의 측근 세력인 궁녀와 내시들을 포섭하였다. 즉 궁녀 고대수 등과, 이름 모를 환관 등은 정변에 동참, 왕의 동태를 살피거나 궁중 내 불을 지르는 등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내시 유재현은 처음에는 개화파에 가입하였으나, 이후 왕의 최측근으로 개화파의 정변에 반대하고 사대파의 입정을 대변하면서 개화파들이 노력으로 서울로 입성한 윤웅렬의 북청군대를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였다. 결국 내시 유재현은 정변 2일 아침에 서재필에 의해 처형되었다. 내시 유재현은 왕의 측근으로 왕에게 충심을 다한 인물로 보인다. During the Kapsin Coup of 1884 leaders of the Enlightenment Party such as Kim Okkyun tried to ensure the success of their coup by rallying close associates of the king within the palace, such as court ladies and eunuchs, to their side. These moves proved to be partially successful as court ladies such as Ko Taesu and many unknown eunuchs participated in the Kapsin Coup, playing specific roles such as keeping tabs on the king's moves or lighting fires within the palace. In this regard, while the eunuch Yu Chaehy?n had initially joined the ranks of the enlightenment forces, he eventually came to oppose the coup launched by the Enlightenment Party and became the king's closest confidante. Representing the political position of the pro-Qingfaction, Yun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spatch from Pukch??ng of the military unit led by Yun Ungry?l to Seoul as part of efforts to counter the march of the enlightenment forces. The eunuch Yu Chaehy?n was consequently executed by S? Chaep?l on the morning of the second day of the coup. A close associate of the monarch, Yu Chaehy?n proved to be loyal to his king to the en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