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4차 교육과정기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조선시대 서술 체제와 내용 분석

        장희흥 역사와교육학회 2020 역사와 교육 Vol.30 No.-

        In the 4th curriculum, the narrative system and content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textbook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volumes from the fourth, and the overall volume increased. The Joseon Dynasty increased slightly, while the Japanese occupation and modern history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number of supplementary materials for understanding contents increases, efforts are made to help students understand. In particular, it tri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ing by collecting various pictures and letters in culture, but it has limitations such as being too professional. In the table of contents, the viewpoint of applying the term each Dynasty for middle school and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or “foundation of modern society” for high school was applied to the view of modern times after the 18th century. Looking at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narrative and content, first of all, in the table of contents narrative, it is called junior high school centered on political history and high school centered on social and cultural history, but the title and content composition of subunits often overlap. It also shows terms that still advocate colonial history and negative views on party and controversy. Although emphasize the connection with world history,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force the flow of history from the West and China into Joseon. In other words, the renaissance of the West and the absolute monarchy, the revival of the traditional activities of the national and Korean cultural activities of Ming and Qing Dynasty in China, and the feelings of the 15th-century national culture and jungheung politics, as well as the practical movement.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described the Joseon Dynasty as the foundation of national culture. Evaluating the achievement of 'the prosperity of national culture', the emphasis on modernity was emphasized by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Yeong and Jeongjo-dae as 'the national revival', and emphasis on practical science. However, there is a tendency to disagree between narrative and terminology in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In some cases, the historical terminology used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cannot be unified. The descriptions (definitions) of historical terms such as the Kwonmun power, Hungu and Sarim also do not match, or there are cases where the terms of the old governor and Kwonmun power are different while explaining the same political forces. In particular, the terms “modern and revolutionary” in the late of Koryo are used. In this case, the term “revolutionary” can also be seen as an expression of the legitimacy of the power of the regime (revolutionary, reconstruction, Lee, Seong-gye). As mentioned above, the composition and narrative system and content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4th curriculum middle and high school national history textbooks tried to make changes such as dividing them into upper and lower regions or adding a lot of supplementary materials while following the previous contents. The narratives related to the state's history and political power are seen, and the identity and series of historical narrative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show limitations that have not yet been achieved. 제4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의 조선시대 서술체제와 내용은 외형상 제4차부터 단권이 상하 양권으로 분리되면서 전체적인 분량이 증가하였다. 조선시대는 약간 증가한 반면 일제강점기와 현대사는 상당히 증가하였다. 내용 이해를 위한 보조자료가 증가하면서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노력이 보인다. 특히 문화에서 다양한 그림과 글씨를 수록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나 너무 전문적이라든지 등의 한계를 보인다. 목차상 중학교의 경우 왕조별을, 고등학교의 경우 ‘근세 사회의 발전’이나 ‘근대 사회의 태동’이라는 용어를 사용 18세기 이후를 근대로 보려는 관점을 적용하였다는 것이다. 서술과 내용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면, 먼저 목차 서술상 정치사 중심의 중학교와 사회문화사 중심의 고등학교이라는 하지만 소단원의 제목이나 내용 구성은 살펴보면,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아직 식민주의 역사학을 옹호하는 있는 용어, 당쟁과 성리학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등도 보인다. 세계사와의 연관성을 강조하지만, 서양과 중국의 역사흐름을 조선에 강제 대입하려는 경향성이 강하다. 즉 서양의 르네상스와 절대 왕정, 중국의 명·청대의 국가 활동과 한문화 활동의 전통 부활, 조선의 15세기 민족문화와 중흥정치, 실학운동으로 대입시킨 느낌이 강하다. 중·고등학교 모두 조선시대를 민족문화의 근간이라고 서술하였다. ‘민족 문화의 전성’을 이루었다고 평가하면서 훈민정음의 창제, 영·정조대를 ‘민족의 중흥’으로, 그리고 실학을 강조하면 근대성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중·고등학교 국사 서술과 용어 사용의 불일치 경향이 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역사 용어는 통일되지 못한 경우가 있다. 권문세족, 훈구와 사림 등 역사 용어에 대한 설명(정의) 역시 일치하지 않거나, 같은 정치 세력을 설명하면서도 구귀족과 권문세족으로 용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특히 고려말의 온건파와 혁명파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때 혁명파라는 용어는 당시 정권 권력의 정당성 표현(혁명파, 재건, 이성계)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상으로 제4차 교육과정기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조선시대 구성과 서술체제와 내용은 이전의 내용을 답습하면서도 구성상 상하권으로 구분한다거나 보조 자료를 많이 추가하는 등의 변화를 주고자 노력하였지만 식민주의 역사학, 정치 권력과 관련된 서술이 보이고, 중·고등학교 내의 역사 서술의 동일성과 계열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를 보인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상)⌋의 고려시대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

        장희흥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1 동국사학 Vol.51 No.-

        본 논문은 중학교 고려시대 서술을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상)⌋과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국사⌋의 서술체제와 내용을 분석한 것 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장 큰 변화는 국정제에서 검인정제로 전 환되었다. ⌈국사⌋라는 한국사 중심에서 국사와 세계사를 포함하는 ⌈역사⌋로 전환되어 세계사와의 관련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단원의 체계 역시 고 려시대의 경우 1단원에서 2단원으로 증가하면서 성취기준, 분량 등이 증가 하였다. 둘째, 필자 역시 교사들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셋째, 제7차 교육과 정보다 다양한 학습 자료를 수록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대단원의 마무리 역시 교육과정을 체계화하였다. 교사의 증가와 다양한 학습 자료의 수록은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졌다. 반대로 교수가 많은 부분은 다양한 시각을 제시해 주고 있다. 내용면에서 첫째, 검인정 교과서가 국정보다는 설명이 간결하고 전후 과정을 매끄럽게 정리하고, 역사용어에 대한 정의를 구체화하였다. 즉 귀 족, 문벌귀족 등 역사 용어가 국정에서는 모호한 부분이 많았다면, 검인정 제에서는 일부 모호한 것도 있지만, ⌈미래⌋와 ⌈천재⌋의 경우처럼 구체화하 였다. 둘째, 정치사 이외에 사회, 경제, 문화 등이 설명되어 전체 역사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너무 많은 분량을 서술하여 수업 시수와 관련한다면 학생들의 부담은 오히려 늘어났다. 이는 2011 부분 개정 교육 과정에서는 정치사(문화사) 중심으로 개편될 예정이다. 넷째, 서술 내용은 필자에 따라 빠지거나 강조한 부분이 달라 교사의 충분한 이해가 전제된 다. 특히 문화 등 교과서마다 내용상 차이가 심하다. 다섯째, 정치세력보다 는 농민들의 생활, 신분상승운동 등을 긍정적으로 서술하였다. 또한 민족 을 강조하는 서술이 여전히 많이 있으나, ⌈천재⌋의 경우 삼별초를 민족의 자주성과 최씨 사병 집단이라는 논쟁을 수록하였다. 가장 큰 문제는 계열 화라는 이름으로 교육과정을 제멋대로 바꾸는 것이다. 교육현장의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교과서가 집필되어야 한다.

      • 갑신정변과 궁중 내부 세력의 내응과 반발 - 특히 내시 유재현을 중심으로 -

        장희흥 한국동학학회 2009 동학연구 Vol.0 No.26

        갑신정변 당시 김옥균 등 개화파는 정변의 성공을 위하여 궁궐 내 왕의 측근 세력인 궁녀와 내시들을 포섭하였다. 즉 궁녀 고대수 등과, 이름 모를 환관 등은 정변에 동참, 왕의 동태를 살피거나 궁중 내 불을 지르는 등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내시 유재현은 처음에는 개화파에 가입하였으나, 이후 왕의 최측근으로 개화파의 정변에 반대하고 사대파의 입정을 대변하면서 개화파들이 노력으로 서울로 입성한 윤웅렬의 북청군대를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였다. 결국 내시 유재현은 정변 2일 아침에 서재필에 의해 처형되었다. 내시 유재현은 왕의 측근으로 왕에게 충심을 다한 인물로 보인다.

      • KCI등재

        朝鮮 宣祖代 扈聖功臣 內侍 月城君 崔彦恂 家門의 家系 繼承

        장희흥 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역사민속학 Vol.0 No.57

        The family of Choi Eon-soon in Wolseong-gun, the Hosung-Gongsin is related to the legend of the grandmother, widely known among the eunuchs of the Joseon Dynasty. In late of Goryeo the old grandmother was raised in the court by raising seven brothers. Since then, they have been divided into Kwandong and Zaha. Perhaps the eunuchs of Joseon Dynasty, regardless of the fact, have passed on the story of the old grandmother to the birth of the family. The story of the old grandmother’s legend, delivered by the late Jung Wan-ha, met with the late historian Lee Ew Hwa in Samsang-ri, Yangju in the 1970s, proves the fact that “Step Brothers Seven” are included i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Proving this is a grave. Although the reality of the ancestors is unknown, the five generations of Jeongryeson who existed in the genealogy can be identified as the tombs are located in Mt. Imalsan and Naup are in Samsang-ri. This family flourished from Choi Un-soon, Wolseong-gun, the great success of the Joseon ancestors. Crest was the victorious leader of Sungrok. Choi Un-soon’s bilateral business was responsible for domestic charging due to Cheong-related activities and the construction of Jangneung Shireunggwan. The family flourishes. Proof of this is the “description statement of the four brothers of Han, Naupchei”. Since then, it is likely that the group’s residence centered on Yangsang Samheung-ri. The genealogy was first organized by Oh Yun-ju in 1683(Sukjong 9). Unlike the Yangsegaebo, most of the genealogy is mostly recorded only grade, position, tombs and quantum numbers. Since the record was recorded in the 16th to 19th generations after the 11th Yun-joo,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ecord was added later. Probably by the early 1800s. As it began to be writte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when two or more adopters were adopted, it was called “子”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stead, he wrote “無後” in the absence of descendants. However, the consciousness of the same eunsi family continues the consciousness of the same people by using sunsan together and using the yeolyeol[wheeler]. The prosperity of the family was the most prominent by the Lim Woo-moon family. Crest is also considerable, such as Sung Lok, and only three people have nothing. 32 of 55 people went out of the crest. Of course, the number of descendants is also 55, but as they go forward, they can’t go to the crest and can’t enter either, or only one. As mentioned above, the family of Choi An-soon, Wolseong-gun, the ancestor of the deceased grandmother’s legend, began to flourish before and after the Imjin War. It can be seen that the family was settled in Samsang-ri, Yangheung-Jang, starting from Choi Un-soon. 내시 호성공신 월성군 최언순 가문은 조선시대 내시들 사이에 널리 알려진 쇠귀 할머니 전설과 관련된 가문이다. 고려말 쇠귀할머니는 내시 7형제를 길러 궁중에 벼슬하게 되었다. 이후 이들은 관동파와 자하동파로 나뉘어졌다. 효촌리에는 관동파들이, 삼상리에는 자하동파들이 정착하였다. 1970년대 양주 삼상리에서 이이화가 만난 정완하 노인이 전해준 쇠귀할머니 전설의 내용이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족보에 “양자칠형제” 되어 있어 이를 증명해 준다. 이를 증명하는 것이 무덤이다. 시조의 실체는 알 수 없지만 족보에 존재하는 5대 정려손은 무덤은 이말산에, 내시 나업은 삼상리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가문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가문은 번성한 것은 조선 선조대 호성공신 월성군 최언순부터이다. 벼슬은 숭록대부 승전색을 지냈다. 최언순의 양자 나업은 청과 관련된 활동과 장릉 시릉관의 공 등으로 내수사차지를 담당하였다. 이에 가문은 번성하게 된다. 이를 증명하는 것이 “나업처정경부인한씨사형제등처분급문”이다. 이후 양주 장흥 삼상리를 중심으로 집단 거주지 형태를 구성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족보는 1683년(숙종 9) 오윤주가 처음에 정리하였으며, 『양세계보』와 달리 대부분 품계와 벼슬, 묘의 위치, 양자 수만 기록되었다. 11대 오윤주 이후 16~19대까지 기록된 것으로 보아 이후에 추가하여 기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17세기 중반에 기록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아 2명 이상 입양하였을 때 장자와 차자의 구분없이 “子”라고 하였다. 대신 후손이 없을 경우 “無後”라고 기록하였다. 그러나 같은 내시 가문이라는 의식은 선산을 같이 사용하고, 항렬[돌림자]를 사용하면서 동족의식을 이어간다. 가문의 번성은 최언순 1자-최흘 3자인 임우문 가문이 가장 번성하였다. 벼슬 역시 숭록대부 등 상당하며, ‘無後’도 3명뿐이다. 벼슬에 나간 사람은 55명 중 32명으로 가장 많다. 물론 나업 후손 역시 55명으로 많지만 후대로 갈수록 벼슬에 나아가지 못하여 양자를 들이지 못하거나 1명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상으로 쇠귀할머니 전설과 관련된 선조대 호성공신 월성군 최언순 가문은 임진왜란 전후에 번성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나업, 임우문 등의 활약으로 가문은 점차 증가하였다. 최언순을 기점으로 양주 장흥 삼상리에 정착한 가문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朝鮮 中宗~宣祖代 輪對制의 변동과 운영

        장희흥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2 탐라문화 Vol.- No.71

        The Yundaeje was implemen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continu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yundaeje is to deal with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expansion or reduction of the system, and how the contents discussed in it were reflected in the overall politics of the time. Jungjongdae is a period in which the Yoon Daeje system is fixed three times a month. This practice has continued ever since. In the context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Hungu(勳舊) and Sarim(士林), the character of Yun Dae-je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changed as political statements began to appear. The 4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was the time when ‘Gunyak-Singang’('君弱臣强') was spoken in Yundae, and Sarim including Jo Gwang-jo entered the center in earnest and began to receive the favor of King Jungjong. Until Gimyosahwa took place, the Yun Daeje system expanded in earnest. Discussions on expansion of the participating government offices, the participation of educated servants in reincarnation, the suggestion of the reform of Sogyeokseo, the participation of the recommended general subordinates in the reunification,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reincarnation of the second class special officers were discussed. However, the number of rotations and the nature of the rotation decreased after the Gimyosahwa. Participants also tended to be forced to participate. Myeongjongdae itself began to take on a political character. At the time of Eulsasahwa, there were political debates such as Taekhyeonseol(擇賢說) being discussed in Yundae. Due to this problem, the Yundaeje system was intermittently implemented in Myeongjongdae, but was abolished in 1586(the 19th year of King Seonjo), and was only implemented again in the 34th year of King Seonjo. In other words, it seems to have been the reason why the Yoon Dae system was not properly implemented due to political problems. In the end, the belt changed into a form that exists in form. Yundae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basic principle of listening to and reflecting the opinions of administrative officials in Joseon's administrative system is applied. However, depending on the will of the king, the speaking route system will change. 윤대는 조선의 행정제도에서 행정 실무자들의 의견을 청취하여 국정에 반영한다는 기본적인 원칙이 적용된다는 것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왕의운영 의지에 따라서 언로 정책이 달라진다. 윤대제는 조선 세종대 실시되어 조선후기까지 운영되었다. 윤대제를 살펴보는 것은 조선시대 言路제도가 운영적인 면에서 제도의 실시, 확대 혹은 축소를 통한 정책적인 면과 그 속에서 논의된 내용이 당시 정치 전반에 어떻게반영되었는가를 다루는 것이 목적이다. 중종대는 윤대제가 한 달에 3번으로 고정되는 시기이다. 이 관행은 이후지속되었다. 중종대 윤대제는 勳舊와 士林의 대립이라는 상황에서 정치적인 발언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성격도 변하였다. 중종 4년은 ‘君弱臣强’이 윤대에서 발언된 시기로 조광조 등 사림이 본격적으로 중앙에 진출, 중종의 총애를 받기 시작하였다. 기묘사화가 일어날 때까지 윤대제는 본격적으로 확대되었다. 참여 관청의 확대 논의, 학식 있는 종친에 대한 윤대 참여, 소격서 혁파 건의, 천거된 일반 신하의 윤대 참여, 2품인 특진관의 윤대 참여 등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기묘사화 이후 윤대 횟수와 성격은 축소되었다. 참여자도억지로 참여하는 경향이 늘어났다. 명종대는 윤대 자체가 정치적 성격을 띄기 시작하였다. 을사사화 당시 윤대에서 택현설(擇賢說)이 논의되는 등 정치적 논쟁이 있었다. 이러한 알력 문제로 윤대제는 명종대는 간헐적으로 실시되다가 1586년(선조 19)에 폐지되었다가 선조 34년에야 다시 시행되었다. 즉, 정치적인 문제로 윤대제가 제대로실시되지 못한 이유가 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윤대는 형식상 존재하는 형태로 변하였다. 윤대는 조선의 행정제도에서 행정 실무자들의 의견을 청취하여국정에 반영한다는 기본적인 원칙이 적용된다는 것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왕의 운영 의지에 따라서 언로 정책이 달라진다.

      • 갑신정변과 궁중 내부 세력의 내응과 반발 : 특히 내시 유재현을 중심으로

        장희흥 한국동학학회 2009 동학연구 Vol.26 No.-

        갑신정변 당시 김옥균 등 개화파는 정변의 성공을 위하여 궁궐 내 왕의 측근 세력인 궁녀와 내시들을 포섭하였다. 즉 궁녀 고대수 등과, 이름 모를 환관 등은 정변에 동참, 왕의 동태를 살피거나 궁중 내 불을 지르는 등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내시 유재현은 처음에는 개화파에 가입하였으나, 이후 왕의 최측근으로 개화파의 정변에 반대하고 사대파의 입정을 대변하면서 개화파들이 노력으로 서울로 입성한 윤웅렬의 북청군대를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였다. 결국 내시 유재현은 정변 2일 아침에 서재필에 의해 처형되었다. 내시 유재현은 왕의 측근으로 왕에게 충심을 다한 인물로 보인다. During the Kapsin Coup of 1884 leaders of the Enlightenment Party such as Kim Okkyun tried to ensure the success of their coup by rallying close associates of the king within the palace, such as court ladies and eunuchs, to their side. These moves proved to be partially successful as court ladies such as Ko Taesu and many unknown eunuchs participated in the Kapsin Coup, playing specific roles such as keeping tabs on the king's moves or lighting fires within the palace. In this regard, while the eunuch Yu Chaehy?n had initially joined the ranks of the enlightenment forces, he eventually came to oppose the coup launched by the Enlightenment Party and became the king's closest confidante. Representing the political position of the pro-Qingfaction, Yun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spatch from Pukch??ng of the military unit led by Yun Ungry?l to Seoul as part of efforts to counter the march of the enlightenment forces. The eunuch Yu Chaehy?n was consequently executed by S? Chaep?l on the morning of the second day of the coup. A close associate of the monarch, Yu Chaehy?n proved to be loyal to his king to the end.

      • KCI등재

        朝鮮時代 宦官 金處善의 活動

        장희흥 대구사학회 2013 대구사학 Vol.113 No.-

        Kim Chu-seon was the eunuch from Kin Sejong to Eunsangun in Chosun Dynasty. We can find it difficult to examine a eunuch’s personal activities rather than those of official. In case of the eunuch’s life, there is no any trace in pedigree and no collection of works and anthology. Kim was seemed to be engaged in the royal court as the eunuch during King Sejong. It has been learned that Kim had been released from the banishment before and after the Suyangdaegun’s Kyeyujungran, and soon was exiled. But their connection was not confirmed. Kim came into play as the close to the King Sejo, and was punished by a few mistake in works. But Kim was promoted to the high official in the Department of Eunuch during the King Seongjong. After death of King Seongjong Kim organized the eunuchs to keep the King’s tomb and got the official rank as Jahyundaebu, the senior grade of the second. But after the Gapjasahwa, Yunsangun tyrannized the politics, and the eunuchs like other officials had the loyal remonstrance. Eunuch Kim Sun-son was killed by the remonstrance, and Kim’s family was adopted in the guilty-by-association system. Eunuch Kim Kyu-gyung was killed in cruelat that time. Kim Chu-seon recognised all of these eunuches’ poor situations but Kim also pleaded with the Eunsangun from his motive. Kim was also punished and kim’s family was adopted in the involvement system. In recent, there is debate that Kim was restored during King Jungjong but granting Kim a official position was during King Yungjo. As the result, Kim was adopted into the eunuch Kim and could be succeeded to Kim’s family as Eunu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