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이우주,조규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소재한 4년제 D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2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 외모만족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대인관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세 단계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 가 제안한 세 단계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한 후 Bootstrapping 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영향의 이론적인 모형을 설정하여 이들 변인 간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생들의 높은 주관적 안녕감을 실현하는데 긍정적이고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론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외모자신감과 신체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뿐만 아니라 개인 내면에 작용하는 자아존중감과 나아가 긍정적 대인관계까지 형성할 수 있는 개입 방안이 마련되어야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이 생활 전반에서 심리적인 안녕감 및 행복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 및 개입 방안을 연구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Methods Conducted a survey of 228 male and female students in D university located in Busan city and used data of 228 people for final analysis. The selected measures are Appearance satisfaction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self-esteem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cale. The data was analysed with SPSS Ver.28.0 in this study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Baron and Kenney(1886)’s three step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ird, Baron and Kenney (1886)’s three step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Fourth, Bootstrapping was performed after Sobel Test to verity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is significant. Second, Self-esteem acts a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Thir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ts a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model of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influence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is is for providing basic research data which actually and positively affects on fulfill subjective wellbeing by observation of mediating effects between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 plan for self-esteem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prepared along with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confidence in appearance to strengthen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conclusion shows that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sis for research of intervention and overcoming methods to help college students to fee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ppiness consistently in their everyday life.

      • KCI등재

        Viability of Traditional Weaving for Psychological Wellbeing - Implications for School Intervention Practice -

        디나 제이컵 야디키,유순화,권영숙 한복문화학회 2018 韓服文化 Vol.21 No.2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weaving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ggested that weaving activity can be used as one of the school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is a concept presented in positive psychology, which is a recent field of psychology, and is expressed as happiness or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study, we propose a weaving activity program as one of the positive educational method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raditional weaving activities conducted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a school can enhance positive emotions of students and help to build positive social relations. First, we briefly introduced the asp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presented in positive psychology, which is a recent field of psychology. Second, the framework of positive education, a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is suggested which can be utilized in school. Third, we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aving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we presented intervention program for weaving activity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we discussed the role of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in helping these programs to be successful in school and improv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weaving activity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by promoting positive emotion and optimal functioning of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직조 활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직조활동이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학교개입 방안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은 심리학의 최근 경향인 긍정심리학에서 제시된 개념으로서, 행복감 혹은 심리적 행복감으로도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긍정교육 방안의 하나로 직조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문헌에 의하면, 학교와 같은 교육환경에서 실시되는 전통적인 직조활동은 학생들의 타고난 긍정적 자질을 키워줌으로써 긍정정서를 고양시키고 생산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최근 심리학의 경향인 긍정심리학에서 제시하는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였다. 둘째, 학교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긍정심리 개입인 긍정교육의 틀을 제시하였고, 셋째, 직조활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설명하였으며, 넷째,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직조활동 개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이 학교에서 성공적으로 실천되어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교사와 학교관리자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직조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긍정 정서와 최적의 기능을 촉진함으로써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셀프모니터링이 스마트폰 사용 습관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재하 ( Lee Jae-ha ),윤재영 ( Yun Jae-yo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현재 스마트폰 앱 서비스는 인간을 중독시키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인간을 중독시키는 기술의 문제는 크게 잘못된 정보에 노출, 인지 부조화 발생, 육체 및 정신 건강의 훼손, 사회관계 약화로 요약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면서 스마트폰 과다 사용 문제에 대한 해결책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기술 중 대표 기술로 사용자가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량을 인지하고 앱사용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웰빙이 있다. 하지만 디지털 웰빙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웰빙의 핵심 기술인 대시보드를 지속해서 셀프모니터링 하였을 때 사용자의 인지 및 행동 단계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연구한다. 연구 모형은 행동의 단계를 세분화해서 체계적으로 보는 측면이 있고, 다양한 선행 연구를 통해 이론·실용적 타당성을 입증받은 범이론적 모형(TTM)을 활용한다. 연구 대상은 디지털 웰빙에 대한 지식이 없거나 디지털 웰빙의 존재를 알더라도 관심이 없는 인원으로 한정한다. 연구는 참가 의사를 보인 89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리하여 시행하였다. 비교집단은 3주 전·후로 설문지 작성만 하고, 실험집단은 3주 전·후 설문지 작성 및 1일 1회 이상 디지털 웰빙 셀프모니터링을 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웰빙 셀프모니터링은 행동 변화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고 변화에 필요한 조치를 하는데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는 실험집단 PC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의미한 행동 단계 변화를 보인 실험집단 PC는 행동 단계 변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SE), 의사결정균형(DB), 행동변화요소(POC)의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연구를 통해 디지털 웰빙 셀프모니터링은 스마트폰 사용 습관에 대한 확실한 인지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특성이나 스마트폰 중독 인지 정도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 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행동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만, 발견된 효과는 디지털 웰빙 셀프모니터링 기능을 사용하는 동안에만 유효하고 디지털 웰빙을 더 사용하지 않으면 스마트폰 사용 습관은 실험 전으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웰빙의 핵심 기능인 셀프모니터링이 가장 효과를 보이는 집단을 구분하고, 디지털 웰빙 셀프모니터링이 해당 집단에 미치는 인지적 영향을 심층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향후 디지털 웰빙 서비스 발전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Currently smartphone app services are focused on making people become addicted. The problem with addictive technology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exposure to inaccurate information, cognitive dissonance, damage to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weakened social relationships.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on finding solutions for smartphone overuse, which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Digital wellbeing, which allows users to recognize their smartphone usage and control their app use tim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that help users break away from smartphone addiction.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effects of digital wellbeing. For this reason, the author will study the changes that occur in users’ cognitive and behavioral stages when they continue to self-monitor themselves with dashboard, the core technology of digital wellbeing. The research model takes a systematic approach by subdividing the stages of behavior as well as utiliz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which has proven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validity through various previous studies. Research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those who had no knowledge of digital wellbeing or were disinterested even if they were aware of it. The 89 participants who expressed the intent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were separat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e comparison group only filled out surveys prior to and after the three weeks of experiment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committed to the digital wellbeing self-monitoring once a day for three weeks in addition to the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tinued digital wellbeing self-monitoring will bring significant changes in the stages of change (SOC) showe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perimental group PC -- a group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no interest in behavioral change and was apathetic to taking necessary measures for change. and the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self-efficacy (SE), decisional balance (DB), and process of change (POC) in the stages of behavioral change. Digital wellbeing self-monitoring has a clear cognitive effect on smartphone use habits. Also, users will take action to improve their smartphone use habits depending on their personalities and the level of their awar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However, the found result is only effective while using the digital wellbeing self-monitoring feature and when the users no longer utilize digital wellbeing, then their smartphone use habits return to the pre-experimental lev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group in which self-monitoring, a key feature of digital wellbeing, is most effective and conducted in-depth analysis of the cognitive effects that digital wellbeing self-monitoring has on the group. The author anticipates this study to serve as valuabl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wellbeing services.

      • 발달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의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상용(Sang Yong Kim)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

        발달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의 행복이 곧 발달장애 아동의 행복을 가져다준다는 관점에서 만 12세 이하의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리적 웰빙 수준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웰빙의 수준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어머니들 간 편차 자체는 매우 적게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원이 많을수록, 가족응집력이 강할수록, 종교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있는 경우가, 그리고,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심리적 웰빙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심리적 웰빙에 있어서 발달장애 자녀의 장애로 인한 환경과의 관련성은 적다고 해석할 수 있다. 심리적 웰빙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사회적 지원과 가족응집력은 어머니의 웰빙 증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어머니의 건강을 증진시킬 프로그램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기존의 스트레스 변인을 중심으로 한 접근법과 비교하여 볼 때 어머니의 웰빙 변인을 중심으로 한 긍정적인 접근을 시도했다는 것이다. 발달장애 어머니의 웰빙 수준을 높이는 주요 변인인 사회적 지원과 가족응집력 증진을 위한 각 가족의 욕구와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가족지원 정책이 필요하며, 나아가 이를 제도적으로 지원해 주는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을 위한 중추적인 전문화된 특화기관 설립이 요구된다. Based on the aspect that the wellbeing of the mothers who have children under the age of 12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directly affect their children's wellbeing, this study identifies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measures the level of i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level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others surveyed is in average level with a rather small variation among the surveye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t is found tha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s better, as social support increases, family cohesion is strong, they are religious, and physical health is good. These results may show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is less related to the environment itself formed by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Factors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cohesion, such as development of wellbeing-enhancing programs, giv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efforts that can enhanc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existing studies with the positive approach oriented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approach oriented to the stress of mothers. Based on this new approach and findings,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a new individual family-support policy considering each family'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eds for enhancing the social support and family cohesion, which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order to institutionalize the above findings, it is also recommended to establish a new specialized institute that can suppor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ir family.

      • KCI등재후보

        노년층의 여가만족이 웰빙 지각에 미치는 영향

        박금란(Park Geum-Ran),김선응(Kim Seon-Eung) 한국체육과학회 200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that elderly people's leisure satisfaction have on their perception of wellbeing. To this end, elderly people aged 55 or more in Daegu and Gyeong-sang Bukdo Province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Cronbach α coefficient was measured and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lso, LISREL 8.70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im of the research.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lderly people's leisure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wellbeing. Specific results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for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fact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be at t=2.89,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fact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t t= 3.48, and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al fact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t t=4.74. Second, for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lation between social factor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found to be at t=2.07,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factor and subjective wellbeing at t=9.18,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factor and subjective wellbeing at t=2.73, and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al factor and subjective wellbeing at t=2.09, indicating a statistical significance at p<.05. Given that elderly people increasingly participated in leisurely activities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s and living standards levels, they will continue to participate in leisurely activities. Currently, only the group of elderly people with a high educational level and a high living standards level was found to participate in leisurely activities at high rates. However, in the future, with an expected reinforcing of welfare policies, the appearance of an aging society, and other diverse reasons, elderly people with low living standards levels including low-income elderly people are expected to be provided with many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leisurely activities.

      • 좋은 삶: 징조, 웰빙의 자원과 성취감; 또는 SWB의 주관성

        John Eric Carr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3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11 No.1

        Whereas a number of research studies have examined the structure of subjective wellbeing, typically framed as a coherent phenomenon with subsidiary components and situational stimulants, yet few studies have enquired concerning the possible diversity of patterns of personal preferences, and accordingly this paper reports upon a Q-methodology study which seeks to elaborate the subjectivities underlying subjective wellbeing. Following upon focus-group identification of aspects of wellbeing, a Q-sort of 77 items was completed by 57 participants ranking the issues according to how essential each was deemed to be for their wellbeing and feeling of fulfillment. Q-methodological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exemplars identified four central patterns of preferences and conceptualisations of ``The Good Life``, with three groups portraying the primary sources and manner of being which they felt were required to achieve wellbeing, and one group portraying the main signs or characteristics which they felt functioned as indicators that they had achieved wellbeing. The four subjectivities may be characterized as: (1) La Dolce Vita:- Signs of the feel-Good Life; (2) The be-Good Life: Value-Guided Private Living; (3) The do-Good Life: Mahatmas and Ensouled Living; (4) The make a-Good Life: Self-Establishment/Enhancement. While advancing the study of wellbeing by elaborating the patterns of meaning comprising the deep structures of subjectivity, and extending previous findings concerning subjective patterns of valuing, the findings also challenge a number of prevailing conceptions of wellbeing and especially of the happiness literature. 주관적 웰빙의 체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대개 부수적인 구성요소와 상황적 자극요소라는 일관적인 현상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 개인적인 선호 형태에 대한 가능한 다양성과 관련해 조사한 연구는 거의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웰빙의 근원이 되는 주관성에 대해 Q 방법론을 이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웰빙이라는 측면과 연관짓는 표적 집단을 따라, 57명의 참여자들은 그들의 웰빙과 성취감의 느낌에 대한 77개 Q 표본에 대해 어떻게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순위를 매김으로써 Q 소트를 완성했다. Q 방법론적 분석과 면담을 통해 ``좋은 삶``에 대한 선호와 개념화의 네 가지 중심 형태로 나뉘어졌는데, 이 중 세 그룹은 웰빙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자원들과 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한 그룹은 그들이 이룬 웰빙의 지표처럼 기능하는 주요 징후나 특성들을 나타내고 있다. 네 가지 주관성은 (1) 근심걱정 없는 삶: 기분 좋은 삶의 징표, (2) 좋은 삶: 가치가 이끄는 개인적인 삶, (3) 도움이 되는 삶: 마하트마와 혼을 불어넣는 삶, (4) 좋은 삶을 만드는 것: 자아정립/자아고양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성의 근간을 이루는 형태를 서술함으로써 웰빙에 대한 연구에 진보를 이룬 동시에 가치에 대한 주관적 형태에 대한 이전의 연구를 확장시켰으며, 또한 특히 행복과 웰빙에 대해 만연해있는 많은 개념들에 대해 의문을 던졌다.

      • KCI등재

        고령자를 위한 AI 기반의 Wellbeing 지원 시스템의 연구

        조면균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2

        본 논문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급속히 늘어나는 고령자를 위하여, IoT와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활용하 여 고령자로 하여금 행복한 노년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mart aging 서비스를 소개한다. 특히 고령화문제를 해결하려는 기존의 복지개념에서 탈피하여 긴급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감성을 만족시키어 활기찬 고령사회 구축으 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어내는, 미래지향의 고령 친화적 wellbeing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IoT(사물인터넷)와 AI(인공지능)를 도입하여 고령자의 생활정보로부터 생활상황 및 감성상태를 판단하여 긴급 상황 대응, 기분전환과 감성 위로 제공 및 모임을 추천한다. 제안 시스템은 맥박, 위험한 단어사용 및 외부소통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인공지능 기법 을 이용하여 우울증의 정도를 판단해줌으로써, 기존 헬스케어 중심의 복지개념에서 탈피하여 고령자에게 감정적인 행 복감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wellbeing 지원 시스템의 실현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introduces a smart aging service that helps the elderly lead a happy old age by actively utilizing IoT and AI technologies for the elderly who are increasing rapidly as they enter the aging society. In particular, we propose a future-oriented, age-friendly well-being support system that breaks away from the existing welfare concept to solve the aging problem but leads to a paradigm shift toward building a vibrant aging society by protecting from emergency and satisfying emotions. By introducing IoT and AI, it judges the life situation and emotional state from the living information of the elderly can respond to emergencies and suggest meetings as a change of mood and give an emotional comfort. Since the proposed system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to determine the degree of depression when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pulse-rate, dangerous word usage, and external communication, I think it showed the feasibility of the new concept of wellbeing support system that is totally different from conventional wellbeing concept of health-care.

      • KCI등재후보

        정서적 안녕감 척도개발 및 요인구조 확인

        조경서,최지혜 국립특수교육원 2019 특수교육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motional wellbeing scale as an evaluation instrument assessing inclusive preschool teacher’s emotional wellbeing. So, researchers investigated validity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emotional wellbeing scale. Participants were preschool teachers who teach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and disabilities(N =258). In the first phase, we tested validation and internal consistency. Factor analysis identified two factors. Psychometric analyses revealed that the emotional wellbeing scale has 2 correlated factors: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The emotional wellbeing scale demonstrated high levels of reli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s approached adequate reliability ranging from .76 to .87. In the second phase, this study teste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motional wellbeing scale. Results revealed that emotional wellbeing consists of multidimensional structure. This scale is a valid and reliable index which to assess emotional wellbeing. 이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들의 정서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장애유아 통합보육 혹은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258명이다. 정서적 안녕감 척도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문항을 구성하고, 예비검사와 본 검사를 거쳐 도구를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적 안녕감 척도는 2요인 1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위 요인은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정서적 안녕감 척도의 내적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실시하였다. 이 분석에서는 단일요인과 2요인모델을 서로 비교하였다. 모델의 적합도 분석 결과, 정서적 안녕감 척도의 하위 요인구조는 단일요인보다 2요인구조에서 자료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웰빙시대의 댄스스포츠 가치 재조명

        변인숙 한국체육철학회 2011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9 No.1

        The important trend of this 21st century is wellbeing for ‘To live happily’. The leisure activity and wellbeing generalized the various leisure sports in the aspect of health and physical beauty as a value of the life. The discussion on dance sports among them was started in the aspect of leading the leisure culture by mediating the wellbeing as a value of personality and beauty inside of the activity for the purpose of serving of the adequate information of the era. That is, dance sports have the possibi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by the open expressive activity and completing physical beauty by art experience. Especially, the dance practice by imagination, insight, and recognition of beauty could lead to the growth of humanity. Also, dance sports migh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serving the stability and leisure time of human as well as inner aesthetic potentials by satisfying the spiritual lifestyle as wellbeing sports. And the dance sports, which aims self esteem and rehabilitation as an art and play of life by the increased consciousness on leisure could establish the real posture of wellbeing. To summarize, the leisure boom of struggle without characteristics could not be the wellbeing. And wellbeing with good use of leisure time should be creative self establishment and reveal the characteristics. In another word, based on the innovated consciousness on leisure time and behavior pattern should establish the equation of wellbeing life that means living well. Now, the self development through this dance might teach us some right way to be independent from the bond of society, institution, time, and confusion positively when we apply the dance sports to our daily living practically. ‘잘 사는 것’이 중요한 21세기의 트렌드는 Well-being이다. 이에 여가활동과 웰빙은 신체미와 건강의 가치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레저스포츠를 보편화시켰다. 그 중 댄스스포츠를 주제로 한 웰빙의 논의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적절한 정보의 제공이라는 목적과 함께 이 춤에 내재되어 있는 미적체험, 인성적 가치 등이 웰빙의 매개체로서 바른 여가문화를 선도한다는 입장에서 시작되었다. 즉 댄스스포츠가 웰빙 시대의 활동으로 가치가 있는 것은 예술적 체험을 통해 신체미를 완성해 준다는 것과 개방적인 표현활동에 의해 인성교육으로서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상, 통찰, 미적인식을 통해 얻어지는 도야는 인간의 성장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아울러 댄스스포츠는 웰빙 스포츠로서 정신적 라이프스타일을 만족시켜 내면세계의 심미적 잠재력을 끌어주고, 여유와 안정을 주어 삶의 질을 향상 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하여 여가의식의 진보에 의한 예술적 유희생활로서 자기회복과 자기발견을 꾀하게 되면, 웰빙의 진면목은 서게 된다는 의미이다. 정리하자면, 개성이 없고 투쟁적인 여가 붐은 웰빙이라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바른 여가선용에 의한 웰빙은 창의적인 자기실현이어야 하므로 개성이 발현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진보된 여가의식과 행동양식이 밑바탕이 되었을 때 곧 여가를 잘 보내는 것, 잘 사는 것이라는 웰빙의 등식은 성립한다고 본다. 그래서 자기개발을 위한 발전을 이 춤을 통해 긍정적으로 펼칠 수 있다고 보며, 일상에서 댄스스포츠를 구체적으로 생활화한다면 우리가 얻고자 하는 웰빙은 사회, 제도, 시간, 구속, 혼란에서 어느 정도 독립하는 법을 가르쳐 줄 지도 모른다.

      • KCI등재

        대학운동선수들의 휴대폰 중동성향이 부정정서 및 인지적 유연성을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과의 인과관계 검증

        강현욱(Kang, Hyun-Wook) 한국체육과학회 2015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recognition flexibility of college athletes with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298 college athletes and SPSS 20.0 and AMOS 20.0 was used in data processing and through verifying the cause and effect model,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showed positive influence to inconstant emo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did not statistically show any effect on recognition flexibility. Second, inconstant emotion showed negative influence to recognition flexibility, but did not statistically show any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recognition flexibility showed positive influence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verifying inconstant emotion and recognition flexibility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showed direct influence to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simultaneously showing statistical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mediation effect. Therefore,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ndicates that the increase in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also means the increase in inconstant emotion and the increase in inconstant emotion decreases recognition flexibility, this decreasing psychologic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