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중학생의 설거지 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배새하 ( Sae Ha Bae ),김은경 ( Eun Ky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1

        이 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중학생의 설거지 기술 수행율 증가에 미치는 효과와 중재 종료 후에도 중재 효과가 유지되고 일반화 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중학생 3명이며, 실험 설계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교실에서의 비디오 자기모델링 자료 시청과 카페테리아 싱크대에서의 과제 수행 연습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통해 3명의 연구대상 모두 설거지 기술 수행율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비디오 자기모델링의 중재 효과는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고, 가정에서 일반화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시각적 학습 특성을 가진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들에게 설거지 기술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데 효과적인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dishwashing skill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ubjects were three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he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consisted of watching video self-modeling on the computer and practicing dishwashing skills in the sinks of cafe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erformance percentage of dishwashing skills. Second, the effects of the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was maintained and generalized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영아의 자리이탈행동과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진혁,최문경,한윤선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언어 발달에 지연을 보이는 1명의 2세 남아를 대상으로 비디오자기 모델링 중재가 어린이집 적응행동 학습에 있어서 효과를 분석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연구대상자가 보이는 활동참여행동과 자리이탈행동이었으며, 세 가지 실험상황(자유놀이시간, 전이활동, 점심시간)에서 10분 동안 나타나는 행동을 부분간격기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리이탈행동을 감소시키고 활동참여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디오 자기 모델링 (video self-modeling)을 독립변인으로 적용하였다. 중재 적용에 필요한 영상을 각 상황에따라 연구대상자 자신의 적절한 활동참여행동을 녹화하여 준비해두었다. 그리고 중재기 동안영아는 각 상황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그 영상을 시청하였으며, 참여 영아가 자리이탈행동을 보일 때마다 준비한 적절한 활동참여행동 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중재회기는 일주일에3번 약 7주에 걸쳐서 시행되었다. 종속변인과 독립변인간의 기능적 관계를 변별하기 위하여상황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는 자유놀이시간, 전이활동, 점심시간의 모든 상황에서의 활동참여행동을 증가하고 자리이탈 행동을 감소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ㆍ중등 학령기 학생에게 비디오 자기 모델링의 효과를 보여준 선행연구들과 더불어 영아에게도 비디오 자기 모델링이 긍정적 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We tested the effects of the video self-modeling strategy on increase in class participation and decrease in out-of-seat behavior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articipant’s out-of-seat behaviors and class participation emitted by the participant across three experimental settings: free-play, transition, and lunch tim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video self-modeling strategy to increase participant’s class participation and decrease his out-of-seat behaviors. For the video self-modeling, participant’s appropriate participation behaviors were videotaped in the three target settings. During th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 was required to watch the recorded appropriate behavior for 1.5 min before each intervention session started. Additionally, he was also required to watch the self-modeling video everytime when he emitted out-of-seat behaviors. The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was run three times a week for approximately seven weeks.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was employed to identify a potential functional relation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would be effective to increase the preschooler’s out-of-seat behaviors and class participation.

      • KCI등재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정신지체 학생의 생산성과 독립적 작업수행 기술에 미치는 영향

        윤소영,김삼섭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on production and independent job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major course who participated in field pract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thre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doing major course. As for study design, time-series design was employed.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of video-self modeling used in this study was the sheltered-workshop of industry and academy collaborating companies in community. The duration of a video-self modeling program was eight minutes. The program was practiced by a major course teacher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a total of 12 times). The produc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as measured using 「production quantity record」and 「production factor record」. In addition, in order to measure independent job performance, 「independent job performance record」and 「independent job performance factor record」were employed. According to time-series, the production and independent job performanc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four times each.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ideo-self modeling interven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ndependent job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First,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setting video self modeling and various task related skill teaching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Second, future studies on job relate skill factor shoul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independent job performance factor. 이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현장실습에 참여한 전공과 정신지체 학생의 생산성과 독립적 작업수행 기술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공과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시계열 설계 방법을 적용하여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환경은 지역 산학협력 업체의 보호작업장이었고, 비디오 자기모델링 프로그램은 약 8분 분량으로 제작되었으며, 주 3회씩 총 12회가 실시되었다. 생산성은「생산량 기록지」와「생산성 요인 평가지」, 독립적 작업수행 기술은「독립적 작업수행 기록지」와「독립적 작업수행 요인 평가지」를 이용하였으며, 시계열에 따라 중재 실시 전․후에 각 4회씩, 총 8회에 걸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는 첫째, 정신지체 학생의 생산성이 증가되고 생산성관련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정신지체 학생의 독립적 작업수행 기술이 향상되고 독립적 작업수행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다양한 직업관련 기술 교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와 정신지체인의 생산성과 독립적 작업수행 기술에 대한 상관연구도 요구된다.

      • KCI등재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승희(Han, Seung-hee),이소현(Lee, SoHyu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시간제 특수학급에 배치되어 통합학급 수업에 참여하는 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 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사전에 자기점검표 기록방법을 학습한 장애아동이 통합학급수업 중 진동알람 손목시계가 울리면 자신의 수업참여 행동을 점검하고 기록하도록 하며,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비디오 자기 모델링 영상을 시청하여 적절한 수업참여행동을 변별함으로써 장애 아동이 통합학급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중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과 중재기간 동안 통합학급 수업참여 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유지는 중재 종료 3주 후에 기초선과 동일한 환경에서 통합학급 수업참여 행동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를 제공한 결과 초등학교 장애아동 3명의 통합학급 수업참여행동이 증가되었으며,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를 실시하여 통합 학급 수업참여행동이 증가하였고 중재효과가 유지되었다.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 독립성을 향상시켰으며, 보조원에 의존하는 기존의 통합학급 수업참여지원방식을 개선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또한 태블릿 PC를 활용한 테크놀로지 기반의 중재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수업참여를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elf-monitoring and video self-modeling using a tablet PC on class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elementary inclusive class. Method: An 8-year-old child, a 9-year-old child, and an 11-year-old child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a multiple design across subjects to determine if self-monitoring and video self-modeling using tablet PC would increase class participation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Results: The rate of class participation increased in all thre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self-monitoring and video self modeling using a tablet PC, and the rate of class participation was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Conclusion: Self-monitoring and video self-modeling using a tablet PC are effective in enhancing class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classroom. This study provides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s for applying and extending a strategy of self-monitoring and video self-modeling using a tablet PC in an elementary inclusive class.

      • KCI등재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통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소라,문현미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통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9세의 자폐성장애 아동 1명을 대상으로 행동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재는 대상 아동의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통합한 상황이야기 파워포인트 자율 시청, 간식시간에 연구자와 대상 아동 간에 이루어진 실제 대화상황 경험하기,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통합한 상황이야기 파워포인트를 연구자와 함께 시청하기 순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특수학급에서 간식시간 동안 연구자와 대상 아동이 대화하는 상황에서 눈맞춤 발생률, 평균 어절 길이, 대화 시도 빈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통합한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해 눈맞춤, 발화 길이, 대화 시도를 포함한 아동의 의사소통기술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향상된 세 가지 의사소통기술의 사용은 다른 성인과의 대화상황에서도 일반화되었음은 물론 중재 종료 7주 후에도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o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tories combined with video self-modeling on communication skills of a student with autism.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 9-year-old student with autism, and a multiple-prob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ado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tories combined with video self-modeling. The changes of three communication skills including eye contact, the length of utterance, and conversation initiation were observed and measured dur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In addition, their generalized skills were observed.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a) independent observation of social stories and video self-modeling on the computer, (b) five-minute conversa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student during break time, and (c) guided review of social stories and video self-modeling on the computer. Data including the rates of eye contacts, the average length of utterance, and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initiation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tories combined with video self-modeling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re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student with autism. Second, his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were generalized to conversations with another communicative partner. Finally, his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were maintained in seven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 KCI등재후보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자리이탈 행동과 소리 지르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향 분석

        박예리,노진아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18 특수교육논집 Vol.22 No.2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는 장애학생의 사회적-의사소통 기술, 기능적 기술, 문제행동 등을 지도하는 데 효과적인 중재 전략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자리이탈 행동과 소리 지르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발달지체 유아 1명이고, 중재는 특수학교 내 유치원 교실에서 실시되었다.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ABAB(반전설계)를 활용하였다. 반전설계는 기초선A1-중재B1-기초선(반전)A2-중재B2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비디오 자기모델링은 발달지체 유아의 자리이탈 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비디오 자기모델링은 발달지체 유아의 소리 지르기 행동 감소에도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와 발달지체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video self-modeling is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ddressing social-communication skills, functional skills,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the out-of-seat behavior and yelling behavior of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was one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the kindergarten classroom of special school. The ABAB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A and B phases were repeated again to complete the four pha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video self-modeling decreased the out-of-seat behavior and yelling behavior of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video self-modeling and behavioral problem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KCI등재

        비디오 자기모델링과 자기점검 연합 중재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지역사회이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김웅희,이혜림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1

        Purpos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and self-monitoring interventions on community mobility skills for a youth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n adolescent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living in City A, and the video self-modeling and self-monitoring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together for 14 weeks from September 2021 to December 2021. The type of research methodology is single subject design with the use of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and i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period: baseline, intervention, follow-up, and generalization. The baseline was measured for three to five sessions, and the intervention was for four to six insert period sessions, after a week for a rest period, the follow-up was measured for three sessions. After another rest period for one to three weeks, the generalization was measured for two sessions. A video about the subject managing to perform his community mobility skills was successfully recorded and a self-monitoring checklist intervention was insert period conducted In the case of the analysis on the subway, bus, and taxi use patterns, in the community mobility skills consisting of 17, 14, and 13, respectively, accurate responses and inaccurate responses at each stage were calculated to obtain the percentages. Results: The percentages of usage skills regarding the subway, bus, and taxi were all 100%. A significant effect was shown at the stage of the follow-up and the generalization conducted after the intervention as well.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tervention of video self-modeling and self-monitoring conducted together has an effect on acquiring community mobility skill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 자기모델링과 자기점검 연합 중재를 통해 지적장애 청소년의 지역사회 이동 기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A 시에 거주하는 지적장 애 청소년 1명을 대상자로 모집한 후에 2021년 9월 부터 2021년 12월까지 총 14주간 비디오 자기 모델링과 자기점검 연합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설계(single subject design) 중 행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및 일반화로 진행 하였다. 3∼5회기의 기초선, 4∼6회기의 중재, 1주간의 휴지기를 거쳐 3회기의 유지, 1∼3주간의 휴지기를 가진 후 2회기의 일반화 측정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본인 스스로 지역사회이동을 성공적으로 하는 모습이 담긴 동영상과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중재를 실시했다. 지하철, 버스, 택시의 활동분석은 각각 17, 14, 13단계로 구성된 지역사회 이동 기술에서 각 세부단계의 정반응과 오반응을 산출해 수행률을 나타냈다. 연구결과: 지하철, 버스, 택시 이용기술 모두 100% 수행률로 나타났다. 중재 종료 후 실시한 유지 및 일반화 단계에서도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비디오 자기모델링과 자기점검 연합 중재가 지적장애 청소년 지역사회이동 기술 습득에 효과가 있음을 제시한다.

      • KCI등재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바리스타 직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혜리(Hyeri Kim),김은경(Eun-Ky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이 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바리스타 직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 대상은 특수학교 전공과 1학년인 20세의 지적장애 학생 1명이며, 실험설계로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는 예비실험을 거쳐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중재는 교실에서의 비디오 자기모델링 자료 시청과 바리스타 직무기술 연습으로 시행되었다. 중재 대상인 바리스타 직무기술은 아이스 아메리카노 만들기, 아이스 카페라떼 만들기, 핫 카푸치노 만들기였다. 자료수집은 카페진로 체험실에서 이루어졌다. 결과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를 통해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바리스타 직무기술의 독립적 과제 수행율이 향상되었다. 세 가지 바리스타 직무기술에 대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의 효과크기는 PND로는 매우 큰 효과로, Tau-U로는 중간효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제 수행의 소요시간이 감소되어 직무기술 숙련도의 향상이 나타났다. 중재 효과는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바리스타 직무기술의 수행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the barista job skill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post-secondary program of the special school. Methods The subject The particiant was a 20-year-old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for the research desig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by watching self-modeling video and practicing the job skills with a coffee machine in the classroom. The target skills of barista job included making iced Americano, iced caffe latte and hot cappuccino. The data was collected at the cafe career experience room.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performance rate of independent task skill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ffect size of the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for the target skills of barista indicated large effect by PND and average effect by Tau-U. And the time required to perform the skills was reduced, indicating an improvement in job skill proficiency.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was maintained on the barista job skills in the follow-up phase.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video self-modeling can improve the barista job skill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post-secondary program of the special school.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지적장애학생의 전기 포트와 세탁기 작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성용(Yi Seong yong)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6 특수·영재교육저널 Vol.3 No.1

        비디오 자기모델링 기법은 장애학생들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기능적 기술, 그리고 행동 기능을 중재하기 위해 활용되는 매우 효과적인 중재 기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초등학생에게 전기 포트와 세탁기 작동에 필요한 기술을 교수하는 데 있어 비디오 자기모델링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초등학생 2명이고, 중재는 특수학급의 중간놀이 및 점심시간, 방과후학교 수업을 활용하여 2개월간 이루어졌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비디오 자기모델링 기법은 지적장애 초등학생들의 전기 포트와 세탁기 작동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과 지적장애학생의 가정생활 및 일상생활 기술 교수 관점에서 제언하였다. The video modeling(video modeling or video self-modeling) is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ddressing social-communication skills, functional skills,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using an electric kettle and a washing machin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wo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video self-modeling improved the using an electric kettle and a washing machin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video self-modeling and domestic skills(daily living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an be used to plan and implement successful domestic skills(daily living skills) program.

      • KCI등재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맥락에서 높임법 사용에 미치는 영향

        Heo, Yu-Sung,Lee, Na-Yu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2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 역시 일상적인 사회생활을 위해서는 국어의 높임법을 우리사회에서 수용 가능한 수준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의 높임법 사용 수준을 높이고, 사용 시 보다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기 위한 전략으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전략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는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 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기초선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연구참여 학생들의 높임법 사용률이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중재 이후에 약 2~5배 증가하였다. 이 효과는 중재 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각 학생의 높임법 유형별 사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상대높임법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상대높임법의 경우 ‘-요’를 ‘–했습니다.’로 바꾸는 규칙을 이해하는 순간부터 중재효과가 크게 상승하여 회기 마지막과 유지단계까지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대상 학생 모두 상대높임법과 주체높임법에서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를 통해 증가한 높임법 사용률이 유지되었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과 본 연구가 갖는 의미를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eed to be able to use acceptable level of honorific system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honorific system usage of three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ple-baseline designs were employed to assess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honorific system was increased following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Increased honorific system use was maintained after interven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e value of video self-modeling in honorific system usag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