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ging and Motor Variability across Timescales

        Jacob J. Sosnoff,Jean M. Samson,Sung-Hoon Shin 한국체육학회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movement science Vol.3 No.2

        Older adults are more variable in their movement than their younger counterparts. Variability occurs across multiple timescales. It has been speculated that different processes contribute to motor variability at unique timescales. It is possible that variability at different timescales may provide unique information about the influence of aging on the sensorimotor system. The purpose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ging on motor variability across multiple timescales. In order to examine this question,seventy-eight individuals (37 young and 41 old) produced sub-maximal isometric force output five times a day for five consecutive days. Within trial variability was quantified with coefficient of variation. Across trial variability was indexed as the standard deviation of individual trial CV. Across day variability was indexed a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across trial variability. Overall, older adults were found to have greater within trial, across trial and across day variability compared to young adults. Variability was found to be associated across all the timescales of investigation. Older adults were found to have stronger associations between within trial variability across sessions. The findings are supportive of the notion that older adults are less adaptable in their motor outp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mechanisms driving age-related differences in motor variability across timescales.

      • KCI등재

        24-36개월 아동의 조음 변이성 연구

        김희윤(Hee Yun Kim),하승희(Seung 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2

        배경 및 목적: 24-36개월 아동의 단어 변이성과 음소 변이성을 자발화 상황에서 측정하여, 아동의 월령 집단 간 차이 비교를 통해 초기 음운 발달과정 중에 나타나는 조음 변이성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4-30개월과 31-36개월 일반아동 각 11명씩 총 22명의 자발화를 수집하여 단어 변이성, 음소 변이성, 자음정확도, 자음목록수를 구하였다. 자발화 수준에서 단어 변이성은 어절 단위로 분석하였고, 정조음과 조음오류를 모두 포함하여 단어 및 음소 변이성을 측정하였다. 두 월령 집단 간에 단어 변이성, 음소 변이성에서 차이가 유의한지 분석하였고, 단어 변이성 및 음소 변이성과 자음정확도 및 자음목록수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30분간 아동이 산출한 발화를 기준으로 단어 변이성을 살펴보면 2세 전반에는 2회 이상 산출한 어절 중 51.55%가 다양한 형태로 산출되다가 2세 후반에는 36.45%로 단어 변이성이 감소하였다. 음소 변이성을 살펴보면 2세 전반에는 아동의 자음목록 중 69%의 음소가 다양한 형태로 산출되다가 2세 후반에는 52.45%로 음소 변이성이 감소하였다. 단어 변이성과 음소 변이성은 모두 자음정확도와 자음목록수 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2세에 음운습득이 비약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이고 일관된 조음 패턴을 나타낸다는 조음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말소리 발달지연 아동이나 비일관적인 음운 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조음 변이성 정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비교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rticulatory variability of word and phoneme production on spontaneous utterance samples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 24 to 36 months. Method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1 children age 24 to 30 months and 11 children age 31 to 36 months. Word variability, phoneme variability,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and consonant inventory were measured. Eojeol was a basic unit for analysis of word variability. Both correct articulations and error productions were in-cluded for the variability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word and phoneme variability measure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age groups and if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articulatory variability measures and PCC and conso-nant inventory. Results: For the children age 24 to 30 months, 51.55% of Eojeols which were produced more than twice showed variable productions and 69% of consonants in the consonant inventory showed variability. For children age 31 to 36 months, word vari-ability and phoneme variability were 36.45% and 52.45%, respectively. Both variability measure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PCC and consonant inventor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2-year-old children show progressively stable and consistent articulation patterns along with phonological acqui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articulatory variability in children who have in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s or childhood apraxia of speech.

      • S-201 : Obesity Increase the Blood Pressure Variability during Nocturnal Period

        ( Dong In Nam ),( Il Hyung Jung ),( Chung Kang ),( Sang Cheol Cho ),( Won Yu Kang ),( Sun Ho Hwang ),( Wan Kim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3 No.1

        Background and Aim: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obesity increase the heart rate variability and a report showed that 24 hours (h) blood pressure variability was affected by body mass index (BMI). However, there was no study that evaluated the diurnal variation of impact of BMI on blood pressure variabil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urnal variation of effect of BMI on blood pressure variability. Method: We have enrolled 2044 patients consecutively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underwent 24h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for appropriate clinical purpose. The blood pressure variability is expressed as standard deviation of blood pressure. This data comes from Korean Ambulatory Blood Pressure (KorABP) investigation group. We divided total patients into two groups by BMI (non-obese group: n=1,145; BMI <25, obese group=899; BMI ≥25). We compared the blood pressure variability during daytime and nighttime respectively between non-obese and obese group. Moreover, we also evaluated the impact of BMI on BPV by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By 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PV during daytime (SBP variability: 20.7 vs 21.7 ; p=0.511, DBP variability: 16.8 vs 17.5 ; p=0.539). However, both SBP variability (13.8 vs 17.6; p=0.009) and DBP variability (11.7 vs 14.3; p=0.042) during nighttime were affected significantly by BMI. After adjusting other compounding variables (age >60 years, current smoking,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and use of calcium channel blocker and renin-angiotensine-aldosterone system blocker), the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BMI was independent factor to increase the blood pressure variability during nocturnal period (SBP variability; p=0.039, DBP variability ; p=0.034). Conclusion: Obesity (BMI >25) increased blood pressure variability during only nighttime. This result may be due to the impact of obesity on autonomic dysfunction.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for this result is not definte.

      • KCI등재

        개체 변이가 큰 약물 (highly variable drug)의 생물학적동등성 시험을 위한 실험설계 및 평가방법

        백인환,성수현,권광일 한국임상약학회 2009 한국임상약학회지 Vol.19 No.1

        Highly variable drugs (within-subject variability greater than 30%) have been difficult to meet current regulatory acceptance criteria using a reasonable number of study subjects. In this study,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presenting alternative approaches for bioequivalence evaluation of highly variable drugs, and focused on an approach for widening the bioequivalence acceptance limits using within-subject variability. We discussed the suggested five solutions for highly variable drug including the deletion of Cmax of the bioequivalence criteria, direct expansion of bioequivalence limit, multiple dose studies in steady state, bioequivalence assessment on the metabolite, add-on study, and widening the bioequivalence acceptance limits based on reference variability. The methods for widening of bioequivalence limits based on reference variability are scaled average bioequivalence containing within-subject variability on reference drug (σWR), population bioequivalence derived from total variability on reference drug (σTR) and test drug (σTT), and individual bioequivalence derived from subject by formulation interaction variability (σD) and within subject variability on reference drug (σWR) and test drug (σTR). To apply these methods, the switching variability (σ0) will have to be set by the regulatory authorities. The proposals of bioequivalence evaluation approach for the highly variable in Korea are presented for both of new drug and reevaluation drug.

      • KCI등재

        범용성 향상을 위한 메시지 흐름 가변성 설계 및 특화 기법

        조은숙 ( Cho Eun Sook ),김철진 ( Kim Chul Ji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9 No.1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 주기 위한 컴포넌트는 내부에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컴포넌트 개발 시에 다양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설계하더라도 컴포넌트가이용될 때 또 다른 다양한 요구 사항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 사항들을 완전하게 만족시켜 주기 위한 컴포넌트의 설계는 매우 어려우며 또한 도메인의 특정화된 업무 로직을 완전하게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컴포넌트가 블랙박스가 아닌 화이트 박스로 제공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에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도메인을 분석하여 컴포넌트를 설계하기 위한 기법보다는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컴포넌트의 가변성 설계 기법과 이런 설계 기법을 이용하여 컴포넌트를 특화(커스터마이제이션)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컴포넌트의 가변성은 컴포넌트 개발(CD : Component Development) 과정에서 초기 가변성이 설계되며 가변성 적용을 위해 특화기법을 이용한다. 가변성이 적용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가변성이 재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컴포넌트의 가변성이 진화되고 컴포넌트의 일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포넌트의 가변성 범위는 컴포넌트 내부의 기능 변경과 컴포넌트 외부의 요구사항에 따라 컴포넌트 내부 구조가 변경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가변성 범위에 따라 컴포넌트 내의 메시지 호출 변경을 위한 메시지 흐름(Message Flow)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The component for satisfying several domain requirements must be developed to support variety. But, when the application is developed using the component, it happens other requirements. So, it is difficult to design component to satisfy severaldomain requirements. Also, it is impossible to support the special business logic. As this problem, the component must provide to the white-box component, it is not the black-box component. So,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variability design technique and the customization technique using the design technique that can support the various requirements. This technique is not focus on designing the component to analyze various domains. The variability of the component is designed to the initial variability in the component development phase and we use the customization technique for applying the variability to developing application. The variability can be re-designed during developing the application to use the component applying the variability. The variability of the component is evolved and the generation of the component is increased via the iteration Generally, the range of the component variability is classified the function modification within the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nternal structure modification as requirements in the component outside. As the range of the variability, we propose the variability design technique of the behavior and the message flow. This paper proposes a message flow design technique for modifying function call.

      • 제품군의 변산성과 긍정-부정서술문이 신제품의 속성추론에 미치는 영향

        이국희(Guk-Hee Lee),이형철(Hyung-Chul O. Li),김신우(ShinWoo Kim)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사람들은 유사성과 호환성이 높은 제품들 간에는 공유하는 속성이 있을 것이라고 쉽게 추론하는 반면, 그렇지 않은 제품들에 대해서는 공유하는 속성이 있을 것이라고 추론하기 어렵다. 이는 유사성이 높은 제품들에 대해서는 주관적인 변산성이 낮아지고, 유사성이 낮은 제품들에 대해서는 주관적인 변산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제품군의 변산성이 신제품의 속성추론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섯 가지 다양한 제품범주(가구, 교통수단, 의류, 무기, 전자제품, 화학제품)를 수집하였고, 각 범주마다 낮은 변산 제품예시와 높은 변산제품예시 (참가자 내 낮은 변산 조건 vs. 높은 변산 조건)를 표집하였다. 또한 제품속성의 서술방식을 긍정서술문과 부정서술문 (긍정서술문 vs. 부정서술문)으로 구분하여 제품군의 변산성과 함께 추론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제품군의 변산이 낮을 때는 긍정-부정 서술문 모두에 대한 일반화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나, 변산이 높을 때는 긍정-부정 서술문 모두에 대한 일반화가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마케팅, 소비자심리, 신제품의 사용성 평가 분야에 시사점을 가진다. People are more likely to infer that there are some sharing features among highly similar and compatible products but if they are highly different and uncompatible, people are less likely to believe that there are some sharing properties. This is because similar products decrease subjective variability of those but dissimilar products increase subjective variability of those. Present research is to confirm whether product exemplar variability affect the inference of new product’s feature. To this research, we collected various six product categories(furniture, vehicles, clothes, weapons, electronics, chemicals) and then sampled low variability and high variability product examples per each categories (low variability example condition vs. high variability example condition). Furthermore, we use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ates to present products’ feature in order to explore whether different predicates influence feature inference and there are some interaction between product exemplar variability and predicates. As a result, we confirmed people are more likely to generalize the feature to a new product when product exemplars had low variability, whereas people are less likely to apply the feature to a new product when those has high variability. These results have diverse implications on marketing, consumer psychology, and new product usability.

      • KCI등재

        변이성과 변이 추론의 지도를 위한 지식

        고은성,이경화 대한수학교육학회 2010 수학교육학연구 Vol.20 No.4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educators have to focus their attention on variability and reasoning about variation as means of developing students' statistical thinking in school mathe- matics. This paper investigated knowledge for the teaching of variability and reasoning about variation; what are sources of variability, how to cope with variability, what are types of variability, how to recognize variabi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istical problem solving and variability. The results involve: discussion on the sources of variability and how to cope with variability promotes students' awareness of different types of variability and students' motivation in the following steps in the statistical activity; emphasis on reasoning about variation in teaching representation of data accords with objectives of statistics education; reexamination of curriculum for statistics education is needed, which has a content-oriented arrangement. 학교수학에서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를 개발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많은 선행 연구들은 변이성에 주목하고 변이 추론을 지도할 것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는 변이성과 변이 추론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변이성의 근원은 무엇인지, 변이성에 대한 대처 방식은 무엇인지, 변이성의 유형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변이성을 어떻게 인지하게 되는지, 변이성과 문제해결과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통계적 활동에서 변이성의 근원과 변이성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한 토론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유형의 변이성을 인지하도록 하고 이후 통계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료의 표현 지도에서 변이 추론을 강조하는 것이 통계교육에 좀더 부합하는 방향임을 확인하였다. 학교수학에서 다루어지는 변이성의 유형, 그리고 문제해결과 변이성에 대한 검토는 내용요소 중심의 통계교육과정 배열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구의 소득변동성이 주택점유형태 및 주택수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구주 및 배우자 소득변동성을 중심으로 -

        이용래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15 부동산 도시연구 Vol.7 No.2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income uncertainty on decisions for housing tenure choice and housing demand focused on labor income variability of married households.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from 2008 to 2012, two different types of measures for income variability were estimated for the household head and the spous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standard deviation of residuals from labor income regressions. Empirical results from a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pouse’s labor income variabil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probability of homeownership, while the head’s labor income variabilit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both the head’s and the spouse’s labor income variability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mand for housing when standard deviation of residuals from labor income regressions is used for a measure of income variability. Only the head’s labor income variability is influential to the demand for housing when coefficient of variation is used for a measure of income vari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ome variabilit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household’s housing decisions in addition to traditional key variable such as permanent income, net asset and cost of housing.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에서 심각하게 언급되고 있는 가구의 소득불안정성, 특히 가구주와 배우자 근로소득의 변동성이 주택점유형태와 주택수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구의 소득불확실성이 주택점유형태와 주택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 분명하지 않다. 미래소득에 대한 한계효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현재의 소비를 줄이고 투자를 늘리는 소득효과와 미래소득의 불확실성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위험회피를 위해 현재의 투자를 줄이고 소비를 늘이는 대체효과가 함께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외에서 이루어진 실증분석은 소득변동성의 증가는 주택점유형태에서 소유가능성을 낮추고 주택수요와는 음(-)의 관계에 있다는 비교적 일관된 실증분석 결과를 내놓고 있다. 한국노동패널 2008~2012년 자료를 이용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이러한 해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 가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가구주와 배우자 각각의 항상소득, 임시소득, 소득변동성과 인구사회학적 변수, 경제적 변수를 고려한 주택점유형태 추정결과 가구주 항상소득, 배우자 임시소득은 주택소유가능성을 높이지만 배우자 소득변동성은 그 반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가구의 주택수요에 대해서도 가구주와 배우자의 소득변동성은 각각 음(-)의 영향을 준다는 것이 실증되었다. 특히 가구주 보다는 배우자의 소득변동성이 더 큰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가구에 있어서도 소득의 불확실성 즉 소득변동성의 증가는 소득효과 보다는 대체효과로 나타나게 되고, 가구는 주택구입보다는 주택소비 조정이 용이한 임차를 선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결과이다. 조기퇴직, 베이비부머 은퇴, 청년실업, 구직실패, 희망퇴직 등으로 대변되는 가구의 어려운 경제적 상황은 지속적인 사회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사회 환경 속에서 가구의 소득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발생할 경제적 문제는 주택시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가구는 소득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고가의 주택을 구입하여 장기간 발생하는 비용을 감당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베이비부머로 대표되는 우리사회의 인구구조 변화에서 발생할 가구 소득변동성이 주택시장에 끼칠 부정적 영향에 대한 대비는 더욱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에 진행된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및 주택수요 분석에 새롭게 가구의 주요구성원인 가구주와 배우자의 근로소득변동성을 추가하여 그 관계를 실증분석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가구 또는 구성원의 위험회피성향에 따라 가구의 주택관련 의사결정에 미치는 소득변동성의 영향은 달라질 수 있다는 면에서 이런 부분이 반영된 새로운 분석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