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중국 학계의 고구려사 연구사업의 등장 배경

        박장배 한국역사연구회 2005 역사와 현실 Vol.- No.55

        This essay is prepared to study the Backgrounds of Koguryo's history research in Chinese Learned World. Many Chenese scholars has regarded Koguryo's history as the part of Chinese History since 1980s. Where did this nontraditional historical view came from? Why did Many Chinese scholars change their historical view? This questions were not simple, but we can investigate the primary factors. Generally speaking, many people understand that Chinese revisionism is the products of the Unified Multinational State concept in People's Republic of China(PRC). Of course, it's a important reason. But, we need to go back to the late Qing and Republican China period and investigate the 'One China' concept. Han-chinese Liangqiqiao and Sunwen designed this imagined community. 'One China' concept has consisted of two main elements, that is, 'Zhonghua minzu' and 'Unified Multinational State'. PRC's 'One China' concept was the historical formative substance. 'Zhonghua minzu' and 'Unified Multinational State' concepts were extended in time and space. The tools of the extensions were the borderland studies and the ethno-national studies. There was 'One China' concept, but Changing mode of Chinese historical recognitions were many cases. After all, Koguryo's history was also incorporate into Chinese history. It resulted in many Koreans questions and protests. So then, why did Chinese scholars bigin the revisions of historical cognitions in 1980s? It was connected with the Economic Reform and Open Door Policy, the weakened socialist ties. And there were Chinese historical experiences in Backgrounds of Chinese revisionism. The important experience is Korean War. The Korean peninsula was the battlefield of the Chinese army. Today's China and Korea hold the ancient Koguryo's territory in common. These points strenthened the concern of Chinese scholars. The China's revisionist historical cognition is a window of understanding comtemporary China.

      • KCI등재

        巨視的 관점에서 본 東北亞 社會文化體系의 變動

        이성주 동북아역사재단 201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3

        It seems very important at the current situation to review the existing researches critically, which attempt to explain the socio-cultural change on the regions ranging from the northeastern China to Korea and Japan, and to seek an alternative research paradigm in the macroscopic perspective. Although the researchers from three countries of contemporary Northeastern Asia, that is to say, Korea, China and Japan, have attempted to interpret the pre- or ancient culture and to explain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society in these regions respectively, it is also true that they tend to show a big difference in perspective between them according to ethnic and political point of view. The archaeologists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conceived a regional boundary of Northeastern Asia based upon racial culturalism and tried to sort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ultures on such a massive scale of space with phylogenic idea. Korean archaeologists tend to confirm the Northeaster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r with the consideration of a range of national history rather than of their research areas. Recently the Chinese academics argue the investigation theory on civilization under the premise of ‘multinational unified state’,and attempts to include various historical entities of the northeastern part of China into its own national history, which tend to provoke severe conflicts and tense. The current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Manchuria is under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terpretation with reference to a phylogenic and national history and political perspective with statism conflict each other. This research aims at discussing about archaeological perspectives and theoretical premises on the explanation of distribution and change of material culture in the Northeastern Asia in the pre- and historical period.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review the research perspective based upon national history and statism. And I do explore the theoretical framework within which regional interaction was investigated on a massive scale in archaeology and seek an alternativ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in the Northeastern Asia. 중국 동북지방으로부터 한국과 일본 열도에 이르는 지역을 대상으로 거시적인 관점의 사회문화변동을 설명하려 했던 연구들에서 한․중․일의 연구자들은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이념에 따라 관점의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 시점에서 동북아지역 선사와 고대의 문화변동을 설명하는 여러 관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바람직한 연구의 틀을 모색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20세기 초부터 일본은 동아시아라는 범주 안에서 선사시대 지역문화 간의 관계를 검토해 왔지만 제국주의시대의 인종주의에 토대를 둔 계통론이라는 담론으로 풀어가려 했다. 해방이후 남한과 북한 고고학계에서는 다양한 지역문화와 그들 사이의 관계를 연구대상으로 삼기보다 민족사의 시간적․공간적인 범주가 어떻게 확대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중국 동북지방과 한반도의 고고학 자료를 분석해왔다. 최근 중국 학계에서 다민족 통일국가론이라는 대 전제하에 동북지방의 고고학 자료에 나타나는 사회문화적 과정도 지금의 자국영토 안에서 진행된 역사로 포괄하는 정책적인 연구를 시도하면서 갈등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글에서는 20세기 기간 동안 동북아지역의 거시적인 변동을 검토하는 제 관점들을 변별하여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지역-내, 지역-간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중국 동북지방과 한반도 남부의 사회문화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 틀을 모색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통일적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적용

        우실하 고구려발해학회 2007 고구려발해연구 Vol.29 No.-

        통일적다민족국가론은 단순히 중화인민공화국의 강역, 민족, 역사에 대한‘이론적인 논의’에머물고 있는 것이 아니다. 이미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통일적다민족국가론을 바탕으로, (1) 중화문명의 시발지를 요하유역으로 옮기고 있고, (2) 요하문명론을 통해서 이 일대를 새로운 문명의 발생지로 자리메김하고 있으며, (3) 최근에는 백두산 주변 문화도 그 주체는 한족이라는 장백산문화론이 등장하고 있다.‘하상주단대공정 → 중화문명탐원공정 → 동북공정 → 요하문명론’으로 이어지는 역사관련 공정들은 단순한‘역사공정’이 아니라 거대한‘대(大) 중화주의’건설을 목표로 한 중화인민공화국의 21세기 국가 전략의 일부분이다.요하일대의 신석기 유적에서는‘화하제일촌(夏第一村) 혹은 중화제일촌(中第一村) ’, ‘중화제일용(中第一龍) ’, ‘중화제일봉(中第一鳳) , ‘세계 최고(最古)의 옥’등 중화인민공화국의 모든 문화상징들이 발견된다. 비록 중화인민공화국 학자들이‘중화제일용’처럼‘중화’라는 용어로포장하고 있지만, 이 지역은 분명 중원의 황화문명와는 매우 이질적인 문명권이다.이 지역은 고대로부터 동이의 강역이었고, 예 맥의 선조들이 주도하던 새로운 문명권이었다. 이지역에서‘용(龍) 봉(鳳) 문화’와‘옥기 문화’등은 남하하여 중원지역으로도 전파되었다. 그러나이 지역에서 보이는 많은 문화적 요소들은 한반도 쪽으로만 연결된다. 이런 까닭에 중원문화권에서는 보이지 않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이 요하 일대 만주지역과 한반도 일대에서 보이는 것이다.요하 일대의 여러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는 중원문화권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한반도에서 보이는, (1) 빗살무늬토기, (2) 고인돌, (3) 적석총, (4) 치를 갖춘 석성, (5) 비파형동검 등이대량으로 발굴된다. 이것은 모두‘시베리아초원 → 몽골 → 만주 → 한반도 → 일본’으로 이어지는북방문화 계통이다.한반도는 이‘요하문명’을 바탕으로 황하문명을 흡수하며 역사를 형성해 왔다. 곧, 요하문명의주도세력은 예맥의 선조들로 그 주맥(主脈)은 한반도로 이어지는 것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이러한 요하문명과 한반도의 연계성을 단절하기 위해, (1) 이 지역의 모든 고대 민족들은 신화시대부터황제족의 후예이며 중화민족이라는 허구적인 논리를 개발하고 있고, (2) 중원의 한족들과는 관계가 먼 요하문명을 중화문명의 시발지로 만드는 작업을 국가 전략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모든 논리의 출발점이 바로 허구적인 통일적다민족국가론인 것이다.요하문명은 한, 중, 일, 몽골의 시원문명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이곳에서 중원지역으로 남하하여 영향을 미친 점도 있다. 그러나 그 주맥은 분명하게 한반도로 이어진다. 이제 이 요하문명의 주도세력, 진정한 주인은 누구인지 분명하게 따져 밝혀야 할 것이다.‘통일적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적용 (우실하) 83

      • KCI등재

        『大義覺迷錄』 해석의 역사적 변천에 대한 一考察 — ‘君臣大義’에서 ‘中華大義’까지 —

        이동욱 중국근현대사학회 2022 중국근현대사연구 Vol.9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interpretations of Great Righteousness Resolving Confusion(1729) published by Emperor Yongzheng(1678-1735) of Qing Dynasty over time. The publication and proclamation of the book reflect the emperor's intention to maintain the integration of Qing Empire by confuting the anti-Qing arguments of Han intellectuals based on the traditional idea of the distinctions of Hua(華) and Yi(夷) through the “unification of Hua and Yi(華夷一統)” under the rule of the Manchu Emperors and the emphasis of Confucian “great righteousness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君臣大義)” and suturing conflicts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 The content of the book, however, exerted various effects according to times and situations and was subjected to colorful interpretations. Since middle Qing, the awareness of the unification of Hua and Yi became common under the rule of Qing Empire with Han intellectuals sympathizing with it, but the anti-Qing logic based on the distinctions of Hua and Yi, which Emperor Yongzheng tried to eliminate, managed to survive and was inherited as the anti-Qing slogan of the Revolutionaries in late Qing. The theory of the unification of Hua and Yi in Great Righteousness Resolving Confusion was thus inherited as the Reformists’ arguments for Great Nationalism(大民族主義) and the Republic of Five Peoples(五族共和) in late Qing, but the book was also highlighted for its sharp revelation of the cunning nature of Manchu rulers, who suppressed the nationalist ideas, and the immorality and misrule of Manchu emperors thanks to the emphasis of the revolutionary fact on the cause of “great righteousness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These show that the book's interpretations included both inheritance and criticism. However, since the 1980s, the book has been highlighted anew as a traditional ideological resource of the theory of unified multi-ethnic Chinese nation in Mainland China. Even a new political interpretation came out that the integration of peoples and the maintenance of territorial integrity was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ina” passed down from the book. The traditional logic of imperial integration, which was argued 300 years ago and demanded loyalty toward the Manchu rulers, is reinterpreted as a theory of national integration for the Chinese unitary multinational state around the Han Chinese today.

      • KCI등재

        中國學界의 高句麗 對隋ㆍ唐 70年戰爭 認識의 批判的 檢討

        朴京哲 한국고대사학회 2004 韓國古代史硏究 Vol.33 No.-

        The Chinese scholars recently define not as international, but as internal war the Koguryo's 70 years war against the Chinese Kingdoms(Sui, Tang), in interpreting as real - historical story the Empirial Edicts of Sui(隋) & Tang(唐) WenDi(文帝)/YangDi(煬帝) and Taejong(太宗). But in these documents are difined altogether Koguryo, Paekche and Silla as barbarian according to the Sino - barbarian world perspective. So, to isolate only Koguryo into China's inland, to evaluate only Koguryo as the object of internal policy and to define only the war against Koguryo as internal, all these are illogical, alogical and contradictive in deducing the Edicts. Furthermore the wars and peaces between Koguryo and China(Sui, Tang) could not be determined in the conventional schemas: Sino-barbarian world perspective and tribute system. When retracing geopolitically politically and historically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time, we can find the war between Koguryo and China as international war based on the realistic and pragmatic principles for the national interests to survive, to preserve and develope each States or each Kingdoms. Koguryo and China were keeping the inter - contradictory international policy. Koguryo from the beginning adopted the expansion policy, so called 'continent policy, by military power. This was realized by ruling Mongol to preserve and expand the independent Lebensraum or Hegemony in East - North Asia. But China adopted the 'world policy' for her eternal national security to build the unilateral ruling order centered to China in East Asia. The war between two was the confrontation of these policies: Koguryo's continent policy and China's world policy. So the 70 years war was not internal but international war.

      • KCI등재

        중국의 한국고대사 인식과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전호태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8 No.258

        Chinese Historian View of Ancient Korean History and Study of Goguryeo MuralsJeon Hotae*Peoples Republic of Chinaas a multi-ethnic nationestablished unificative multi-ethnicnation theory as means of defining its national identity since the foundation of Republic of Chinain 1911 and endeavored to elaborate this theoryBorderland researchwhich was carried out atthe same timewas also one of the efforts to supplement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After winning the Chinese Civil Warthe government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invaded Tibetfurther enforcing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in politicssociety education and began toinclude the theory in history textbooks 다민족국가인 중국은 중화민국 성립 단계부터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국가정체성을 규명하는 이론적 바탕으로 삼고 이를 정교하게 다듬는 데 주력하여 왔다. 함께 진행된 변강 연구도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 일환이었다.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신중국 정권이 티베트 침공을 강행하면서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은 정치ㆍ사회ㆍ교육 제 방면에서 전면에 내세워졌고, 역사교과서에도 적극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민족간, 지역간 평등과 공존을 담보해주어야 할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한족중심이라는 전제가 붙고 이것이 애국주의, 통일주의와 접합되면서 중국 내 소수민족의 자치주의는 크게 억압되었다. 1986년 중국이 개혁ㆍ개방 노선을 채택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정치적ㆍ문화적 충격에 대비하고 다양한 사유방식의 유입에 대처하는 차원에서 변강 연구는 재개되었고,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기반과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도 본격화하였다. 중국 동북지역 역사문화도 한족중심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한 변강 연구의 주요 대상이자 과제였다. 고구려사는 동북지역 연구에서도 가장 중요한 연구주제였으며, 고분벽화는 고구려사의 성격을 규정하고 입증하는 데 결정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유적으로 여겨졌다. 중국의 연구자들은 대학의 세계사 교재에서 고구려사를 한국고대사에서 분리해내고 한국고대사의 영역을 한반도 중남부로 제한해버리는 역사인식과 서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고구려사를 漢化된 고구려인의 역사, 동북지역 한문화권 확산과 전파의 과정으로 규정하고 설명하려 한다. 이런 시각을 지닌 연구자들에게 고분벽화는 고구려가 한문화를 바탕으로 성립하고 발전한 나라였음을 확인하게 하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물질적 증거일 뿐이다. 2000년 전후 쏟아져 나오는 중국학계의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논저는 한문화의 속성을 그대로 지닌 문화적 증거물로서의 고분벽화에 관한 것들이다. 앞으로도 중국의 연구자들은 중국 변강문화가 증원문화의 영향권 아래 편입되는 과정을 역사적 시공간 속에서 찾아내거나 상정하여 그려내는 작업에 몰두할 것이고, 동북지역 연구의 경우 그 좋은 대상이자 사례로 고구려 고분벽화를 선택할 것으로 예상되낟. 비록 논리성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연구시각과 허술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준비된 논저들이지만 중국 연구자들의 관련 연구 성과는 동북3성 지역의 지방 행정단위 상징물 조성사업, 관광홍보용 예술 활동 등에 활용되면서 적지 않은 대중교육 효과를 누리고 있다. 동아시아 역사인식과 서술의 공유 부분 확대, 이를 위한 공동 연구 기반 조성과 공동 연구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보는 연구자의 입장에서는 우려되는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왜곡된 인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대량 생성된 연구성과 물들이 중국 내외를 잇는 중국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고 공유되면서 왜곡된 동아시아 역사인식체계가 확산되고 재생산될 가능성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한국학계가 고구려사, 고구려문화,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를 좀더 폭넓은 시각에서, 학제적 차원, 국제적 공동 연구의 차원에서 시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장을 마련하고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 마련에 좀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시점이다.

      • KCI등재

        중국의 한국고대사 인식과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전호태(Jeon Hotae)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8 No.258

        다민족국가인 중국은 중화민국 성립 단계부터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국가정체성을 규명하는 이론적 바탕으로 삼고 이를 정교하게 다듬는 데 주력하여 왔다. 함께 진행된 변강 연구도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 일환이었다.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신중국 정권이 티베트 침공을 강행하면서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은 정치ㆍ사회ㆍ교육 제 방면에서 전면에 내세워졌고, 역사교과서에도 적극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민족간, 지역간 평등과 공존을 담보해주어야 할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한족중심이라는 전제가 붙고 이것이 애국주의, 통일주의와 접합되면서 중국 내 소수민족의 자치주의는 크게 억압되었다. 1986년 중국이 개혁ㆍ개방 노선을 채택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정치적ㆍ문화적 충격에 대비하고 다양한 사유방식의 유입에 대처하는 차원에서 변강 연구는 재개되었고,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기반과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도 본격화하였다. 중국 동북지역 역사문화도 한족중심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한 변강 연구의 주요 대상이자 과제였다. 고구려사는 동북지역 연구에서도 가장 중요한 연구주제였으며, 고분벽화는 고구려사의 성격을 규정하고 입증하는 데 결정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유적으로 여겨졌다. 중국의 연구자들은 대학의 세계사 교재에서 고구려사를 한국고대사에서 분리해내고 한국고대사의 영역을 한반도 중남부로 제한해버리는 역사인식과 서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고구려사를 漢化된 고구려인의 역사, 동북지역 한문화권 확산과 전파의 과정으로 규정하고 설명하려 한다. 이런 시각을 지닌 연구자들에게 고분벽화는 고구려가 한문화를 바탕으로 성립하고 발전한 나라였음을 확인하게 하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물질적 증거일 뿐이다. 2000년 전후 쏟아져 나오는 중국학계의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논저는 한문화의 속성을 그대로 지닌 문화적 증거물로서의 고분벽화에 관한 것들이다. 앞으로도 중국의 연구자들은 중국 변강문화가 증원문화의 영향권 아래 편입되는 과정을 역사적 시공간 속에서 찾아내거나 상정하여 그려내는 작업에 몰두할 것이고, 동북지역 연구의 경우 그 좋은 대상이자 사례로 고구려 고분벽화를 선택할 것으로 예상되낟. 비록 논리성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연구시각과 허술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준비된 논저들이지만 중국 연구자들의 관련 연구 성과는 동북3성 지역의 지방 행정단위 상징물 조성사업, 관광홍보용 예술 활동 등에 활용되면서 적지 않은 대중교육 효과를 누리고 있다. 동아시아 역사인식과 서술의 공유 부분 확대, 이를 위한 공동 연구 기반 조성과 공동 연구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보는 연구자의 입장에서는 우려되는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왜곡된 인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대량 생성된 연구성과 물들이 중국 내외를 잇는 중국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고 공유되면서 왜곡된 동아시아 역사인식체계가 확산되고 재생산될 가능성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한국학계가 고구려사, 고구려문화,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를 좀더 폭넓은 시각에서, 학제적 차원, 국제적 공동 연구의 차원에서 시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장을 마련하고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 마련에 좀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시점이다. People’s Republic of China, as a multi-ethnic nation, established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as means of defining its national identity since the foundation of Republic of China in 1911 and endeavored to elaborate this theory. Borderland research, which wa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was also one of the efforts to supplement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After winning the Chinese Civil War, the government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invaded Tibet, further enforcing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in politics, society, education, and began to include the theory in history textbooks. As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which should have secured ethnic, regional equality, became centered around Han ethnic people and combined with nationalism, the independence of minor ethnic groups in China was strongly oppressed. In 1976, as China chose to reform and open, borderland research was resumed as a preparation for political and cultural shock from outside contact. The full-fledged fundamental research also began to strengthen the basis and goals of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The history and culture of northeast China was the main object of borderland research based on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The history of Goguryeo was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heme among the northeastern region research, and murals were considered the crucial evidence defining historical identity of Goguryeo. The Chinese researchers have separated history of Goguryeo from ancient Korean history and limited ancient Korean territory to central and southern Korea. Furthermore, Chinese researchers see history of Goguryeo as a history of Sinicized people and an extension of Chinese Han culture. For researchers with such point of view, murals are the best material evidence supporting their idea that Goguryeo’s foundation and development relied solely on Han culture. The post-2000 study of Goguryeo murals by Chinese scholars are all about Goguryeo murals as a cultural evidence for direct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Chinese scholars would continue to focus on describing the process of borderland culture’s assimilation to Chinese culture, and it is likely that those scholars would choose Goguryeo tomb murals as a good example of assimilation process in northeastern China. Despite their fallacious point of view and illogical reasoning, the Chinese scholars’ recent studies are becoming public and more widespread as they are applied in local trademark creation projects and used in tour advertisements and in arts. Such a trend is considered inappropriate when each country’s cooperation is necessary to refine East Asian historical views. Also, some premeasures should be taken as a preparation for spreading history distortion through Chinese network. This is the moment for Korean scholars to try seeing Goguryeo tomb mural research from long term point of view and to be more active in establishing network between international scholars.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역사 논쟁과 고구려 역사 논쟁

        김한규(Kim Han Gyu)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3

        2003년에 ‘동북공정’ 에 의해 한국과 중국에서 야기된 고구려 역사의 귀속에 관한 논쟁은 그 과정과 내용이 학계는 물론 언론계와 시민사회에까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유사한 역사 논쟁이 비슷한 시기에 동아시아 각 방면에서 발생하여 진행되었거나 현재 진행되고 있음은 학계에서조차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티베트인과 중국인 사이에서 전통적 檀越關係등에 관한 논쟁이 있었고, 베트남인과 중국인 사이에서는 중월관계사 전반에 관한 논쟁이 있었으며, 타이완인과 중국인 사이에서는 統獨論爭, 몽골과 중국인 사이에서는 몽골역사의 귀속에 관한 논쟁, 동 투르키스탄인과 중국인 사이에서도 동 투르키스탄 역사의 귀속에 관한 논쟁, 일본인과 중국인 사이에서는 釣魚列嶼/尖閣諸島의 영유권에 관한 논쟁 등이 있었다. 이들 역사 논쟁은 모두 논쟁의 일방이 중국인이었고 ‘중국적 세계질서’ 의 유산을 핵심적 쟁점으로 삼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 동아시아의 역사 논쟁들을 비교사적으로 정리하여 분석하면, 고구려 역사 논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통시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ocess and contents of a debate on the history of Koguryu between Korean and Chinese societies have been widely known not only in academics but also in the media and the civil society. However, it has not been well known that the historical debates which were similar to the above argument were occurred in the various regions in East Asia during the similar period. For instance, between Tibetan and Chinese societies,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over the traditional priest-donator relationship, and Vietnamese and Chinese societies have exchanged an argument on the history of Sino-Vietnam relationship. For Taiwanese, a problem of independence from or unification with China has long been disputed with Chinese society. Moreover, an issue on the reversion of the Mongol history, and an issue on the reversion of the East Turkistan history have been debated between Mongolian and Chinese, and Uyghur historians and Chinese, respectively. Lastly, there also has been an argument over the dominium of the Tiao-y“u-tao or Senkaku islands between Japanese and Chinese societies. All of these historical debates has two traits in common:First, one of the counterparts of all debates was always Chinese society. Second, one of the key concepts that caused those debates was always the inheritances of the Chinese world order.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useful lessons to understand the debate on the history of Koguryu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 traditional East Asia, the analysis and arrangement of these historical debates by using the method of comparative history should be help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