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國際 標準 漢字의 異體字 硏究

        朴鍾寓(Park Jong-woo)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5 동아한학연구 Vol.- No.1

        유니코드가 국제 표준코드로 제정된 이래 각종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등 폭넓은 분야에서 채택ㆍ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전 전산화 사업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유니코드에 수록된 2만 여자에 달하는 한자는 한적 자료의 전산화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런데 유니코드는 그 자체에 다양한 異體字를 수용하고 있다. 이는 유니코드 제정 당시 韓ㆍ中ㆍ日 각국에서 사용되던 한자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초래된 것으로 각국의 한자 사용 습관과 한자의 音이나 義와는 무관하게 지나치게 形을 중심으로 통합ㆍ분리ㆍ재배열 하도록 한 데에서 기인한다. 하나의 코드체계 내에 다양한 자형을 수용할 경우, 인쇄ㆍ출판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대단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경우에는 입력과 검색에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국가 차원의 고전 전산화 사업이 연차적으로 확대 수행되는 현 시점에서, 異體字 인코딩 및 異體字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시급한 과제라 하겠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유니코드 Ext.B 한자의 異體字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 처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자코드연구센터에서 기존에 구축한 유니코드 BMP 영역 한자의 異體字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유니코드 Ext.B 한자의 異體字에 대하여 그 유형을 분석하고, 아울러 異體字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우선, 유니코드 BMP 영역 한자의 異體字 정보 DB 구축에 있어서 작업 경위, 異體字ㆍ通用字의 구분과 적용 원칙,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예를 정리하였고, 유니코드 Ext.B 한자의 異體字 유형 분석 및 DB 구축 방안에 있어서 Super CJK와 유니코드 Ext.B 한자, 유니코드 Ext.B 한자의 이체자 유형, 유니코드 한자의 이체자 정보 DB 구축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유니코드 한자의 이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면, 첫째로 고전 전산화 사업에서 입출력은 물론 이미 구축된 고전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정보 환경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Unicode is a standard for developing all kinds of database and software nowadays. So we apply Unicode to digitalizing Korean classical texts. But Unicode has many variations〔異體字〕 on some of Chinese characters. This could make serious problems of developing database so that we will provide for the future work. This is a study for make a efficient data processing about Unicode variations. First we presented some informations of 'Unicode BMP characters and Ext.B characters database' developed by Character Code Research Center〔문자코드연구센터〕. Second we analyzed a pattern of Unicode BMP characters and Ext. B characters. Lastly we discussed the developing methods of Unicode variations and Unicode variation code table.

      • KCI등재

        한국문헌 소재 이체자 정형화 방안(3)–鼻, 芻, 大, 匕, 厶가 포함된 자형을 중심으로–

        조성덕 근역한문학회 202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6 No.-

        본고는 한국고문헌에 나타난 異體字를 정리하고 이를 표준화하는 데 어떠한 과정이 필요하며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기존의 국가DB에서는 가독성을 이유로 대부분 正字로 입력하였으나 사전은 DB와는 달리 구조상 변별성이 있는 자형은 별도의 자형으로 인정하여 수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별도의 字形으로 인식될 수 있는 字形을 기준으로 유형을 나누고, 그 유형들이 과연 별도의 표제자로서의 가치가 있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口’와 ‘目’에 이어 변화가 다양한 鼻, 芻, 大, 匕, 厶 등이 포함된 자형의 변화를 검토한 것이다. 이 중 大ㆍ匕ㆍ厶 등은 口ㆍ目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자형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지만, 다른 글자들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때도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검토유형에 포함하였다. 일부 자형은 정자로 통합하는 것이 타당한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원래 형태로 정형화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어느 쪽으로 정형화하는 것이 좋은지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한국고문헌에는 중국이나 일본의 문헌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자형들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한국문헌의 이체자 연구를 토대로 다른 한자문화권 국가의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 판별함으로써 한자문화권의 同異性을 확인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question about how to organize and standardize the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When old books digital database produced by the Republic of Korea, is to replace standard characters input with variants for readability reasons, so its original data and database data are inconsistent. But, want to publish a Character dictionary about Korean unique glyph, you should include all variants of each Character. But we can't get all the income in Character glyph. We must judge the rationale.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and type characteristics of variant Characters are mentioned, and the possibility that variant Characters are prefixes is also explained. After research charater which contain with various components ‘口’ and ‘目’ research, focus on studies which contain with various components "鼻, 芻, 大 匕, 厶." When compenents 口ㆍ目 and 大ㆍ匕ㆍ厶 is used own, can not find any change in the shape, but when a compound or combine with other components, shape changes to various type, have to include to discussion group. Some Characters suitably summarize standard characters; some characters need new glyph characters; some characters are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classification to generalize. Through this study, found that many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do not exist in Chinese and Japanese. I hoped that a comparative study of the variant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ill prov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ultural circle of Han-characters in East Asia.

      • KCI등재

        韓中日 統合漢字 敎育方案에 對한 考察

        박종우(Park Jong woo)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1 No.-

        지난 2014년 한・중・일 3국의 정치인과 지식인의 모임인 ‘30人會’가 최근 한・중・일 공용 상용한자 808자를 선정, 발표했다. 처음 808자를 시작으로 향후 제2차, 제3차 합의를 통해 공용한자 수를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이제 실용적이고 기술적인 차원의 연구와 더불어 교육적 차원에서도 한중일 통합한자의 교육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는 향후 본격적인 韓中日 漢字 敎育方案 硏究를 위한 하나의 문제 제기이자 試論으로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韓中日 代表/標準 字形 問題에서는 단순한 통합을 넘어서 각국의 자형이 가지는 獨自性을 함께 연구하고 소통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국 역사와 문화의 이해에 필요한 정보임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各國 固有漢字 敎育의 問題에서는 같은 한자문화권이지만 각국의 固有漢字의 특징을 상호 간에 논의하는 일이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각국의 국내에서만 한자이지만, 대표자형의 경우와 같이 상대국의 역사와 문화 정보를 소통하는데에 필요함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위해 해당 전문가들이 상시적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밝혔다. 일단 한자 전문가들이 보다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필요가 있다. 더 이상 전산학 전문가나 행정 공무원에게 맡길 수만은 없음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과제를 구체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韓中日 統合漢字의 연구와 교육이 이제 민간 차원의 만남을 넘어 국가 기관의 긴밀한 협력과 지원이 절실한 상황임도 확인하였다. CJK characters(韓中日 統合漢字) is a standard for ideographs in China, Japan, Korea. This characters comes from classical texts of east asian. Nowadays we hav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nations on the internet. But the problem is the indigenous characters(固有漢字). Unicode has many variations[異體字] about this characters. This could make serious problems of promoting cultural interchange among nations. We will talk about the future work. This is a experimental study for make a efficient way of educating about CJK characters(韓中日 統合漢字). First we have to set up machinery to carry out this work. Second we must focus a discussion on the indigenous characters (固有漢字). Finally we should wake up and assume more responsibility for this work. And then we have to strive for promo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 KCI등재

        국제 표준 문자 코드 登錄을 위한 口訣字 基礎 資料 構築 現況

        하정수 구결학회 2019 구결연구 Vol.43 No.-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urrent status of basic data construction of the Kugyol character for the registration of the UCS of the Kugyol characters. This works can be smoothly processed and extend international distribution of information including a content can be smoothly performed. Korean history materials including are often used in special characters such as Korean Chinese characters, Idu, and old Korean characters. However, these Korean characters in Korean history data were not assigned to the separate area of the UCS. The 255-Kugyol characters constituency are assigned to the PUA(private use area) in specific word processor software. Therefore, these letters are not output properly unless they use fonts that support. First, the criteria and process for establishing the data necessary for the registration of the Kugyol characters are discussed. And the current status of data construction by this standard was divided into Seokdokgugyol data and the Eumdokkugyol data. Finally, the future tasks for the registration of the UCS of the constituency were presented. 구결자를 포함한 국어사 자료에는 한국식 한자, 이두, 옛한글 등 특수한 문자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국어사 자료에 나타나는 이러한 우리 문자들은 국제 표준 문자 코드(UCS, Universal Character Code Set)의 별도 영역을 배정받지 못하였다. 255자의 구결자는 ‘글’ 등 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의 유니코드 문자판 사용자 영역에 임의로 배정되어 있다. 따라서 ‘글’의 ‘한컴바탕’, ‘한컴돋움’ 등이나 ‘MS워드’의 ‘새굴림’, ‘새궁서’, ‘새돋움’, ‘새바탕’ 등처럼 구결자를 지원하는 글꼴을 사용하지 않으면 이 글자들은 제대로 출력되지 않는다. 이 연구는 구결자의 국제 표준 문자 코드 등록을 위한 구결자의 기초 자료 구축 현황을 보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구결자 등록에 필요한 자료 구축을 위한 기준과 과정에 대해 논의하고, 이 기준에 의한 자료 구축 현황을 석독구결 자료와 음독구결 자료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결자의 국제 표준 문자 코드 등록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는 구결자를 포함한 정보를 원활하게 처리하고 구결자가 포함된 정보의 국제적인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결자를 국제적인 문자 코드 표준에 등록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한국문헌 소재 이체자 정형화 방안 (1) – 口가 포함된 자형을 중심으로 –

        조성덕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question about how to organize and standardize the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When old books digital database produced by the Republic of Korea, is to replace standard characters input with variants for readability reasons, so its original data and database data are inconsistent. But, want to publish a Character dictionary about Korean unique glyph, you should include all variants of each Character. But we can’t get all the income in Character glyph. We must judge the rationale.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and type characteristics of variant Characters are mentioned, and the possibility that variant Characters are prefixes is also explained. This paper mainly studies a kind of words which contain “口” components. Component 口 is used alone without any change in shape, but when a word is generated with other components, no matter the number of strokes, components and strokes, there are many glyph changes. The change of component’s 口 can be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口, 吅, 僉, 品(喿), , 㗊(器). Some Characters suitably summarize standard characters; some characters need new glyph characters; some characters are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classification to generalize. Through this study, found that many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do not exist in Chinese and Japanese. I hoped that a comparative study of the variant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ill prov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ultural circle of Han-characters in East Asia. 본고는 한국고문헌에 나타난 異體字를 정리하고 이를 표준화하는 데 어떠한 과정이 필요하며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기존의 국가DB에서는 가독성을 이유로 대부분 正字로 입력하였으나 사전은 DB와는 달리 구조상 변별성이있는 자형은 별도의 자형으로 인정하여 수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별도의 字形으로 인식될 수 있는 字形을 기준으로 유형을 나누고, 그 유형들이 과연 별도의 표제자로서의 가치가 있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口가 포함된 자형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口는 자형의 특성상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자형의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지만 다른 글자와 통합되어 새로운 글자를 형성할 때는 그 획수와 상관없이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口의 변화는 口, 吅, 僉, 品(喿), , 㗊(器) 등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일부 자형은 정자로 통합하는 것이 타당한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원래 형태로 정형화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어느 쪽으로 정형화하는 것이 좋은지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한국고문헌에는 중국이나 일본의 문헌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자형들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한국문헌의 이체자 연구를 토대로 다른 한자문화권 국가의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판별함으로써 한자문화권의 同異性을 확인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한국제출 유니코드 확장한자B 음훈 검토

        조성덕 근역한문학회 202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3 No.-

        Standardizing phonetic value of Chinese characters are a common task for the countries in East Asian cultural sphere. The Chinese characters listed in 'Unicode CJK EXT_B' are 42,711 characters. Among them, 17,211 characters were chosen as the standard phonetic value in "A study on standard phonetic valu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ode CJK Ext_B." so,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standard phonetic value for 25,500 characters which is 59.7 percent of the total. In addition, the Chinese characters submitted by South Korea as CJK EXT_B are 166 characters, among these, the phonetic values in "A study on standard phonetic valu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ode CJK Ext_B." is 39 characters, and the phonetic value and semantic values in the "Unicode Chinese Character search engine", provided by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Korea University, is 40 character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se two studies. In the "Unicode Chinese Character search engine", five character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A study on standard phonetic valu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ode CJK Ext_B." are added, and phonetic value of four characters that were included in the "A study on standard phonetic valu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ode CJK Ext_B." is omitted. As a result of putting these two data together, only 44 characters are compiled in. In other words, despite the data submitted by South Korea, phonetic value and semantic value on 122 characters, or four-thirds of them, remain missing. Given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s registered in EXT_B, the amount of characters submitted by South Korea is very small. Nevertheless, much of the phonetic value and semantic value of characters is missing. The characters contained in EXT_B are supported by "글", so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phonetic value and semantic value of Sino-Korean characters. 한자음의 표준화는 한자문화권 국가의 공통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유니코드 CJK EXT_B’에 수록된 한자는 42,711자이다. 이 중 韓國의 「국제 표준코드 한자 Ext_B의 한자 표준음 연구」에서 표준음으로 정한 것은 17,211자이다. 다시 말해 전체의 59.7%인 25,500자에 대한 표준음 작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韓國이 EXT_B에 제출한 한자는 166자이며 이 중 「국제 표준코드 한자 Ext_B의 한자 표준음 연구」에 수록된 음가 정보는 39자이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유니코드 한자검색기>에 음훈 정보가 있는 글자는 40자이다. 하지만 이 두 곳에 있는 내용에는 차이가 있다. <유니코드 한자검색기>에는 「국제 표준코드 한자 Ext_B의 한자 표준음 연구」에 없던 5자가 추가되고, 「국제 표준코드 한자 Ext.B의 한자 표준음 연구」에 있던 4자에 대한 음가가 누락되었다. 이 두 자료를 합하면 44자에 대한 음가만 정리되어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국이 제출한 자형임에도 불구하고 이 중 4/3에 해당하는 122자에 대해서는 음훈 정보가 누락된 상태이다. EXT_B에 등록된 전체 글자 수를 감안할 때 韓國이 제출한 양은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가와 뜻에 대한 정보가 상당수 누락되어 있다. EXT_B는 “글”에서도 지원하는 자형이니만큼 音訓의 확정이 시급해 보인다

      • KCI등재

        한국문헌 소재 이체자 정형화 방안(2) -목(目)이 포함된 자형을 중심으로-

        趙成德 ( Cho Sung-duk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2

        본고는 한국고문헌에 나타난 異體字를 정리하고 이를 표준화하는 데 어떠한 과정이 필요하며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기존의 국가DB에서는 가독성을 이유로 대부분 正字로 입력하였으나 사전은 DB와는 달리 구조상 변별성이 있는 자형은 별도의 자형으로 인정하여 수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별도의 字形으로 인식될 수 있는 字形을 기준으로 유형을 나누고, 그 유형들이 과연 별도의 표제자로서의 가치가 있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目이 포함된 자형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目 역시 口와 마찬가지로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자형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지만 다른 글자와 통합되어 새로운 글자를 형성할 때는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目의 변화 유형은 直, 眞, 県(縣), 睿, 鼎 등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일부 자형은 정자로 통합하는 것이 타당한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원래 형태로 정형화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어느 쪽으로 정형화하는 것이 좋은지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한국고문헌에는 중국이나 일본의 문헌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자형들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한국문헌의 이체자 연구를 토대로 다른 한자문화권 국가의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 판별함으로써 한자문화권의 同異性을 확인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question about how to organize and standardize the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When old books digital database produced by the Republic of Korea, is to replace standard characters input with variants for readability reasons, so its original data and database data are inconsistent. But, want to publish a Character dictionary about Korean unique glyph, you should include all variants of each Character. But we can't get all the income in Character glyph. We must judge the rationale.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and type characteristics of variant Characters are mentioned, and the possibility that variant Characters are prefixes is also explained. This paper mainly studies a kind of words which contain “目” components. as well as 口 Component 目 is used alone without any change in shape, but when a word is generated with other components, no matter the number of strokes, components and strokes, there are many glyph changes. The change of component's 目 can be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直, 眞, 県(縣), 睿, 鼎. Some Characters suitably summarize standard characters; some characters need new glyph characters; some characters are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classification to generalize. Through this study, found that many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do not exist in Chinese and Japanese. I hoped that a comparative study of the variant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ill prov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ultural circle of Han-characters in East Asia.

      • KCI등재

        고문헌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과 한자 처리 문제

        이남희 ( Nam Hee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7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된 고문헌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 작업을 되돌아보면서 한자를 어떻게 입력, 처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정확한 한자 입력과 처리는 고문헌 디지털화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래야 검색과 유익한 정보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유니코드, 즉 한자 코드의 표준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제안한 한자들이 20,902자의 漢字群으로 통합되기에 이르렀다. 유니코드 3.0은 그 20,902자에다 Ext.A 6,582자가 추가된 것이다. 유니코드 3.1은 거기에다 다시 Ext.B 42,711자를 더한 것이다. 이어 Ext.C4,219자의 국제 표준 규격이 마련되었다. 지금까지 고문헌을 디지털화하는 작업, 대표적인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구축사업에서는 Ext.A를 포함하는 유니코드 3.0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Ext.B까지 포함하는 유니코드 3.1로 갈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기 위해서는 Ext.B에 대한 표준음 확정, 글꼴세트 제작과 운영 프로그램 개발 등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정자와 이체자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자형 선택 문제가 중요하다. 디지털화하는 고문헌 자료의 성격 등을 감안해서 지침과 방향을 정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유니코드에 있는 한자는 그걸 쓰고, 없을 경우에는 유니코드 내에서 최대한 선별해서 입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새로운 한자가 발견되면 유니코드 Ext.B와 Ext.C 한자 목록에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목록에 있는 경우 해당 코드정보를 반영해야 한다.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한자는 마크업을 해두고, 일정한 절차를 거쳐서 국제 표준코드인 유니코드에 등록시켜야 한다. 고문헌을 디지털화하는 사업을 하려고 할 경우, 이런 점들을 참고해서 작업의 방향을 정하는 것이 좋겠다. 상호운용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작업처리 지침이 필요하다. 학계와 관련 기관, 그리고 정보 산업계 사이에 신속하고 폭넓은 협의가 요망된다. In this article, I have focused on the database of old documents archives, especially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haracter. To enter the correct Chinese character in the process of digitization and processing of old documents will be an important part of the exact search. First, Unicode, the Chinese character were investigat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code. 20,902 characters of Unicode 3.0 was added to the Ext.A 6,582 characters. Unicode 3.1 added the Ext.B 42,711 characters. Ext.C 4,219 characters followed the international standards was set up. Until now, the digitization of old documents, a leading Korean History On-line business, including the Ext.A Unicode 3.0 is the standard. In the future, including Ext.B go to the Unicode 3.1 is considered. To do so, Ext.B definitive standard for the phonetic value, fonts, etc. Construction and Operating Programs Development should be complementary. In addition, the different form synonym selection problem is very important. The Chinese characters in Unicode that writing about it, if not the most selective in Unicode, and it is necessary to enter. And if find a new Chinese character, at firs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Ext.B and Ext.C and add its code number. If they are not in the Ext.B and Ext.C, a special markup should be given. Project to digitize old documents and such cases, these points are to be considered properly. And the cooperation of the academic circles and related institutions, and rapid and extensive consultations between the information industry and institutions will be needed.

      • KCI등재

        A Study on Improvement of Standards of Korean Character Sets and Unicode

        ( Kuk Kim ) 한국경영공학회 2018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3 No.1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improvement of KS standard for Korean character sets,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characters of Unicode. The backslash symbol (reverse solidus) must be properly displayed in the output of Hangul, and the Hangul character region in Unicode should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conjoining writing of Korean Hangul. As a result, the consistency between Unicode and KS can be maintaine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ANSI and KS standards of the keyboard output different characters by the same key.

      • KCI등재

        A Study on Improvement of Standards of Korean Character Sets and Unicode

        김국 한국경영공학회 2018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3 No.1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improvement of KS standard for Korean character sets,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characters of Unicode. The backslash symbol (reverse solidus) must be properly displayed in the output of Hangul, and the Hangul character region in Unicode should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conjoining writing of Korean Hangul. As a result, the consistency between Unicode and KS can be maintaine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ANSI and KS standards of the keyboard output different characters by the same k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