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단기 산전 배우자지지 강화교육프로그램이 분만과정 중 배우자 참여 효과와 지지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곽인자,박광희,이미영,김미라,이희선,홍영미,윤선진,박현정 임상간호사회 2004 임상간호연구 Vol.10 No.1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 of spouse participation during labor and the degree of support that pregnant women in labor perceived after the one session spouse s support reinforcement prenatal education program. Method: For this study,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In order to set up the objectives, this researcher developed the support reinforcement education program of spouse for one sess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educated couples before labor and control group was not educated couples before labor in clinic.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87primiparas and 86spouses of primiparas who had vaginal deliveries in pregnancy from 37weeks in pregnancy to 42 weeks without postpartum complications. The research material was used to self answered questionnaires papers consisted of 51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prenatal information and the request of participation during labor, the participation effect of spouses and support degree to pregnant woman and data about neonate state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 SASv8.12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In this analysis, &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effect that pregnant women had perceiv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pport degree of spouse that pregnant women had perceiv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effect of spouse and the support degree to pregnant women that spouses had perceiv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participation effect and support degree of spouse to pregnant women during labor was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 Therefore, we suggest that this one session spouse support reinforcement prenatal education in clinic is very helpful to couples that could not receive long-term prenatal childbirth education. Thus nurses in maternal care part are encouraged to provide pregnant women support reinforcement education program for spouse before labor pain onset and should be developed continually in clinic.

      • KCI등재

        배우자의 유족연금 수급권

        차성안(Cha Sung An)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2012 노동법연구 Vol.0 No.32

        유족연금은 가입자 등의 사망으로 부양을 상실한 유족에 대한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유족연금 수급권의 범위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사망한 가입자 등과 유족 사이의 부양관계가 주로 고려된다. 이러한 부양관계는 규범적 부양관계와 사실적 부양관계의 양 측면에서 파악될 수 있다. 그리고 배우자의 유족연금의 경우에는 배우자가 출산, 육아, 가사활동, 독자적인 소득활동 등을 통하여 가입자 등의 연금형성에 기여한 것에 대한 보상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족연금 수급권자 결정원리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공적연금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국민연금법상 배우자의 유족연금에 관한 여러 가지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은 시사점 중 핵심적인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망한 가입자 등에 의한 생계유지기준과 관련하여, 민법상 가입자 등이 1차적 부양의무를 지는 대상인 배우자의 경우 원칙적으로 사실적 부양관계의 고려 없이 유족연금 수급권이 인정되도록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가입자 등이 1차적 부양의무를 지는 대상인 배우자에 대한 부양의무가 실제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하여 이들을 유족연금 수급권자의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은 헌법상 혼인과 가족에 대한 보호에 위반될 소지가 크다. 구체적으로 생계유지기준을 정하고 있는 국민연금법 시행령 별표와 관련하여, 가출, 실종의 주체가 배우자이고, 가출, 실종 등으로 인하여 명백히 부양을 받지 못한 것에 대한 귀책사유가 배우자에게 있는 경우에 한하여 당해 배우자를 수급권자에서 제외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배우자의 경우 재혼으로 인하여 유족연금 수급권이 소멸하는 것은 혼인의 자유를 저해하고, 배우자가 연금형성에 기여한 것에 대한 보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면에서 위헌이라고 판단된다. 배우자의 유족연금과 관련하여 이러한 위헌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입법이 조속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동성의 쌍이 이룬 생활동반자관계에 기하여 부양을 받고 살던 생활동반자가 상대방 생활동반자의 사망으로 생계곤란에 처하는 상황이 현실에서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생활동반자를 유족연금 수급권자로 인정하는 입법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Survivor Pension of National Pension Act exists for the protection of the beneficiary who lost his or her Livelihood Support from the insured person because of the death of the insured person. Therefore in deciding the scope of beneficiary, the relation between the deceased insured persons and survivors in Livelihood Support is mainly considered. Livelihood Support could be grasped through both legal duty of support and de facto support. And in case of surviving spouse pension, the compensation for the contribution of the surviving spouse to the formation of pension through child delivery, childcare and homemaking should be also considered. In this thesis, centering around the principle of deciding beneficiary of the survivor pension, many issues about surviving spouse pension of National Pension Act are discussed. First, relating to the Livelihood Support criteria, in principle surviving spouse pension needs to be granted to a surviving spouse without considering the de fact Livelihood Support by the deceased insured person. It is likely to infringe on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marriage and family, if surviving spouses a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beneficiary of survivor pension with the reason that they’re not supported by their deceased husbands or wives in reality. Relating to the Presidential Decree about Livelihood Support criteria, only when a surviving spouse leaves home or disappears at his or her own will and he or she is responsible for the apparent nonexistence of Livelihood Support, the surviving spouse could be excluded from the beneficiary. It is against the Constitution that survivor pension is deprived when a surviving spouse is married again, because it infringes on the freedom of marriage and provides no compensation for the spouse’s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pension. To remove the unconstitutionality in this case, the disputed article should be quickly deleted. And considering that many civil partners of homosexual marriage are put into danger of losing their livelihood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include civil partners into the beneficiary of survivor pension.

      • KCI등재후보

        부부 간 과거의 부양료청구의 인정 여부 - 대법원 2008. 6. 12. 선고 2005스50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정구태 ( Chung Ku Tae ),배소현 ( Bae So Hyu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대법원 2008. 6. 12. 선고 2005스50 결정은 부부 간 이행청구 전 과거의 부양료청구를 부정하는 종래의 태도를 유지함으로써 이행청구 이후의 것에 대해서만 부양료지급을 인정하였다. 반면에 대법원 1994. 5. 13. 선고 92스21 전원합의체 결정은 양육친의 비양육친에 대한 과거의 양육비 청구에 있어서 종래의 소극적 태도를 변경하여 이를 인정하였다. 부모의 미성년자녀에 대한 부양의무와 부부 간 부양의무는 공히 제1차적·생활유지적 부양으로서 부모의 미성년자녀에 대한 부양의무가 자녀의 출생시부터 발생하는 것처럼 부부 간 부양의무도 혼인성립시부터 발생한다고 보아야 하므로, 부부 간 과거의 부양료청구와 양육친의 비양육친에 대한 과거의 양육비청구를 달리 취급하는 것은 부양의무의 성질상 타당하지 않다. 대상결정과 같이 본다면 가령 夫로부터 부양을 받지 못하게 된 시점에 바로 부양청구를 한 처는 부양료를 지급받을 수 있는 반면, 바로 부양청구를 하지 않고 자력으로 어렵게 생활을 영위하다가 몇 년이 지난 후에 뒤늦게 부양청구를 한 처는 과거의 부양료를 지급받을 수 없게 되어 명백히 형평에 어긋난다. 전원합의체 결정이 친자관계의 본질에 근거하여 양육친의 비양육친에 대한 과거의 양육비청구를 인정한 것과 마찬가지로, 앞으로 법원이 혼인공동체의 본질에 입각하여 부부간 과거의 부양료청구도 인정하는 것으로 판례를 변경하기를 기대해 마지않는다. As regards the support fee,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the court did not accept the claim for a portion during the period before the claim for payment. Hereat, some problems of such rulings have been analyzed with the rulings of the Supreme Court. It requires that the court accepts such claims just the same as the child support fee. Like the duty to support a minor is incurred from his or her birth, the duty to support a spouse is incurred from the marriage in order for a spouse to help the other live his or her life. Thus, it is not reasonable to treat them differently. There have been increasing cases where the duty to support is imposed to both spouses and the husband is ordered to pay the support fee, which implies that it is unreasonable to restrict the claim for the support fee only to the portion after the period of delay in payment. In addition, it may be reasonable to accept even the portion of the support fee for the period before the claim for payment on condition that the economic ability of the payer, the equity of burden and other problem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just like the child support fee. It may be fairer with the involved persons, and may not produce contradictory results in family cases. In conclusion, the rulings of the Supreme Court show that the support fee can be claimed, even though the portion is for the period before the claim for payment made by one of spouses. Like the retrospective portion of child support fee has been accepted in the interests of child welfare, the isolated spouse needs to have a right to claim the retrospective portion of the support fee.

      • KCI등재

        배우자와의 지원교환 유형이 전기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남석인,김세진,김호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2

        Recently, spousal reciprocity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as a key component for improved marital relationships in old age.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support exchanges by older couples and examines the effect of each type of support on depression. We used latent group analysis (LCA) to derive support types for spouses by gender. In addition, basic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types of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The older males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based on their receipt status: (1)interchange, (2)emotional support exchange / receiving instrumental support, (3)receiving instrumental support and care, (4)receiving instrumental support, and (5)giving instrumental support and care. The older females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based on their provision status: (1)interchange, (2)instrumental support, (3)unilateral support, (4)emotional support exchange, and (5)emotional support exchange/receiving instrumental support and care. Compared to the interchange type, The older males had more depression when they receive unilateral support. However, The older females were more depression when they provided unilateral support. We suggest that a positive marital relationship depends on appropriate role allocation and reciprocal support by older couples and propose an intervention strategy to improve psychological stability. 최근 노년기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연구에서 부부 간 상호호혜적 관계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노년기 배우자와 갖는 지원의 흐름과 그 영향력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들이 가정 내에서 배우자와 어떠한 형태로 지원교환을 하고 있는지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지원형태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잠재집단분석(LCA)으로 전기노인의 성별에 따른 배우자와의 지원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기초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유형별 특성 및 우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남성노인은 수혜를 중심으로 상호교환, 정서교환도구수혜, 도구수발수혜, 도구수혜, 도구수발지원의 5가지 유형이 도출되었고, 여성노인은 제공을 중심으로 상호교환, 도구지원, 일방적지원, 정서도구교환, 정서교환도구수발수혜의 5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각 유형별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은 상호교환에 비해 어느 형태의 지원이든 일방적으로 지원을 받는 유형일수록, 여성은 일방적으로 지원을 제공하는 유형일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부부 간 적절한 역할분담 및 상호지원을 통한 긍정적 부부관계와 이에 따른 노인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고령화 사회에서 부양의무에 관한 연구

        최현숙(Choi, Hyun-Sook),윤석찬(Yoon, Seok-Chan) 한국재산법학회 2012 재산법연구 Vol.29 No.1

        Common view for supporting aged dependent is based on Civil Law, Clause 974. Under this common view, as support for the aged old parents is understood as a secondary support, vacuum of support for the old parents is created and as a resul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or the aged parents, an opinion of solving the support problem for the aged parents by strengthening the obligation of the support obligators is dominantly prevailing but as possibility of receiving support from children by their parents is being decreased gradually due to nuclearization of family and weakened consciousness for supporting the parents by their children and recognition for supporting aged parents by children of full age is lowered, strengthening duty of support for the support obligators of full age does not provide a proper solution. In view of the fact that even in various countries of Northern Europe that may be called as global welfare states, they are now pursuing an initiative of strengthening private support systemagain while operating a system of strengthening public support instead of private support (in the past), it would be reasonable for us to look for an appropriate way of strengthening private SUPPOlt system as well. But just strengthening duty of support for the support obligators will not provide an appropriate solution considering transformed family pattern. In addition, aged old parents also are showing a high tendency of trying to spend their aged life by looking for a way of self-reliance rather than turning to their children for support. Therefore, given these various situations of the changing times, in order to provide spouse left as singlewith self-reliance so that he (she) may not be placed in a position requiring support, strengthening inheritance share may be reasonable as an appropriate way of satisfying change of generation. Therefore.by giving an opportunity of claiming property division light to the survived aged spouse, an inheritor, even at the time of commencing inheritance through introduction of a system of claim for division of matrimonial property newly established in 1990 in inheritance law, such spouse shall be arranged to secure self-reliance by primarily havingan opportunity of liquidation for the property jointly accumulated during matrimonial life and regarding remaining inheritance property, a problem of sharing such inheritance property shall be solved by the children of full age who are joint inheritors for such property. 고령의 노부모에 대한 부양의 문제에 대해서 통설은 민법 제 974조에서 그 근거를 찾고 있다. 이로 인하여 고령의 노부모에 대한 부양을 2차적 부양으로 이해하게 되면서 노부모에 대한 부양의 공백이 발생하게 되자 고령의 노부모에 대한 부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부양의무자의 의무를 강화함으로써 노부모에 대한 부양의 문제를 해 결하자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핵가족회와 자녀의 부약의식의 약화로 인하여 부모가 자녀에게 부양을 받을 가능성이 점차 줄어 들고 있고 성년자녀 들의 노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이 낮 아침에 따라 성년의 부양의무자에게 부양의무를 강화하는 것이 적절한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 세계적인 복지국가들이라 할 수 있는 북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도 사적부양에서 공적부양의 강화로 제 도를 운영 해 오다가 다시 사적부양의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태도를 살펴 볼 때 우리도 사적부양을 강화하도록 하는 적절한 방법을 찾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그렇다고 부양의무자에게 의무만을 강화하는 것도 변화된 가족의 형태로 볼 때, 적절한 방법은 되 지 못한다 또한 고령의 노부모들 역시 자녀에게 의지하기 보디는 자립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노후를 보내려 고 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가지 시대 적 상황을 반영한다면 홀로 남은 배우자가 요부양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자력을 확보해 주기 위해서는 상속분을 강화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적절한해 결방안이 될 것이다. 따라서 1990년에 신설된 「재산분할청구권」제도의 상속법에의 도입을 통해서 상속개시시에도 상속인인 고령의 생존 배우자에게 재산분할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여 혼인 생활 중 공동으로 형성한 재산에 대해서는 일차적으로 정산의 기회를 확보하여 자력 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남은 상속재산에 대해서 공동상속인인 성년의 자녀들과의 상속재산 분배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배우자의 부양과 기여분 ― 대법원 2019. 11. 21.자 2014스44 전원합의체 결정을 중심으로 ―

        이소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40 No.3

        배우자 사망 시 생존 배우자의 보호는 지금과 같은 고령화 사회에서 현실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배우자상속을 비롯하여 생존 배우자 보호를 도모할 수 있는 법적 수단에 관하여는 다양한 관점에서 서로 다른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그런데 공적부조, 부부재산제, 배우자상속 제도의 차원에서 생존 배우자 보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모두 입법적인 해결을 필요로 한다. 빠른 시일 내에 위와 같은 법 개정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공동상속인들의 상속분을 조정해 주는 기존 제도를 통해 생존 배우자 보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온당한 해결 방식이라고 생각된다. 이 글은 대법원 2019. 11. 21.자 2014스44 전원합의체 결정을 소재로 하여, 배우자의 부양행위에 대한 기여분 인정 문제를 다루었다. 대상결정에서 다수의견은 부양의 주체(배우자), 부양의 형태(상당한 기간 투병 중인 피상속인과 동거하면서 피상속인을 간호)에 따라 기여분 인정 요건의 엄격성이 달라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반면 반대의견은 부양의 주체, 부양의 형태에 따라 기여분 인정 요건의 엄격성을 완화할 수 있고, 일정한 경우에는 기여분 인정을 원칙으로 삼을 수도 있다고 보았다. 필자는 기여분 제도가 생존 배우자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통상적인 부양의무 범위 내의 부양행위에 대해서도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부양의 특별성을 인정하는 해석론을 전개하였다. 판례 법리가 제시하는 상대적 기준(공동상속인 간의 공평을 위하여 상속분을 조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만큼의 부양)과 절대적 기준(피상속인과 상속인 사이의 신분관계로부터 통상 기대되는 정도를 넘는 부양)의 상관관계 안에서 부양의 특별성을 판단하되, 배우자 간 부양의 특수성이나 통상적인 부양 개념의 변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The issue of how to protect the living spouse of the deceased has become very important in this “aging” society. Most of the responses to the issue require legislative measures. But, as one might reasonably expect, such legislative measures cannot be taken in a short period of time. As such, I believe relying on the existing legal rules that adjust the portion of inheritance is the most workable solution to the issue at hand.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 spouse is allowed to claim his/her contributory portion, based on the fact that he/she has supported the deceased.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aid decision stated that the inheritance law might not treat the spouse in a different way than it does the other heirs. On the contrary, the dissenting opinion emphasized that the law had to protect the spouse, reaching to the conclusion that a spouse might always claim his/her contributory portion, given the fact that the spouse had supported the deceased by way of living with and taking care of him/her for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he legal rules on contributory portion can, and should, help the spouse lead the rest of his/her life with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I think the support of a spouse may constitute the basis that allows contributory portion, even in a case where such support falls within a spouse’s duty to support. This is because the law of contributory portion, after all, is designed to find the balance or realize the equality among the heirs. In other words, if giving the spouse his/her share of inheritance stipulated in the law is deemed too harsh to the spouse, the court may, and should adjust the share of inheritance applying the law of contributory portion.

      • KCI등재

        경력열망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조직적 요인: 남녀집단간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이윤수,이재영 한국기업교육학회 2023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5 No.1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on career aspiration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pecifically, individual factors included spouse’s support and whether individuals had children, while organizational factors included top management’s support and whether individuals had a mentor. In addition, we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 conducted path analysis and multi-group path analysis using data from 1,251 married male managers and 2,509 female managers from the Korean Women Manager Panel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a spouse’s support, having a mentor, and top management’s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aspirations. Further, having children, spouse’s support, and top management’s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we found that career aspira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s of spouse’s support, having a mentor, and top management’s support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ulti-group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se findings differed across gender, particularly the relationships between having a mentor and career aspirations and between top management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배우자 특별수익에 관한 하급심 실무동향 및 분석 : 배우자의 상속권 보장을 중심으로

        박원철(PARK WON CHEOL) 한국가족법학회 2021 가족법연구 Vol.35 No.1

        Under the existing civil law, spouse’s right of inheritance is not likely to be properly protected for the following reasons: surviving spouse’s shares of statutory inheritance has a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the division of property caused by divorce, exception rules for spouse’s special benefit have not been made, and acceptance requirements for spouse’s contributory portion to support are strict. However, inheritee’s will needs to be more respected in that inheritee’s bestowal or bequest to spouse is likely to have reflected spouse’s community property formation or support. To the same effect,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if spouse’s property received contains compensation or evaluation for spouse’s contribution or effort, liquidation of substantial community property, and performance of obligation of support, this is not a special benefit. Nevertheless, the judgement by the lower court on spouse’s contributory portion and special benefit has ambiguous criteria, is inconsistent and less predictable, and has limitations in examining evidence or difficulties in fact finding and difference in judge’s empirical rule and value judgement, which causes judges to draw different conclusions. For such reasons, the legal system that was intended to promote substantial equity between co-inheritors may cause inequality between co-inheritors or infringe spouse’s right of inheritance severely. Therefore, the theory of legislation that to guarantee spouse’s right of inheritance, the existing civil law should be revised in the direction of introducing such methods: considering inheritee’s explicit intent of return exemption on the preferential basis or increasing spouse’s share of statutory inheritance instead of dividing the inheritance share depending on contributory portion and special benefit is getting persuasion.

      • KCI등재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 외상후성장, 회복탄력성,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정경임(Kyung-Im Jung),전혜성(Hye-Seong Jeon) 한국가족치료학회 2020 가족과 가족치료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회복탄력성,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외상 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혼자 및 사실혼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241명을 최종 자료로 사용했다.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를 독립변인으로, 외상후성장을 종속변인으로, 회복탄력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변인으로 구성한 모형의 경로를 구조방정식모델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경험이 있는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완전매개 하였다. 둘째,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간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외상후성장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순차적으로 완전매개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각된 배우자지지는 외상을 경험한 개인의 외상후성장에 있어서 변화를 도울 수 있는 영향요인이 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배우자지지가 직접적인 영향요인이기 보다는 회복탄력성 및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거쳐서 개인의 외상후성장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post-traumatic growth, resilience,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f middle-aged adults with traumatic experience. Method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12 middle-aged adults with trauma experienc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241 people who are married and maintain a common-law relationship were used as final data. Results: First, resilience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aged adults with traumatic experience. Second,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resilience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sequentially completely mediated. Conclusions: Spousal support perce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n influencing factor that can help change in post-traumatic growth of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but such spouse support is not a direct influencing factor, but rather resilience and adaptive cognitive support.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individuals.

      • KCI등재

        부모의 양육 및 일반스트레스에 미치는 배우자 지지 및 사회 지지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현정환(Hyun, Jung-Hwa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24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일반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향을 미치는 탐색요인을 지지의 주체(배우자, 사회)와 지지의 내용(양육, 심리)으로 나눠서 그 영향력의 차이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은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 641명(어머니 340명, 아버지 301명)이며, 이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은 자녀 수, 취업유무, 양육스트레스 및 일반스트레스, 양육지지 및 심리지지 등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라는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는 타인이나 기관(어린이집 등)보다도 심리적으로 가까운 사람, 즉 배우자로부터의 이해와 지지가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지지의 내용도 돌봄과 같은 양육지지만이 아니라, 심리적 지지도 유의미한 영향 요인임이 나타났다. 그리고 양육스트레스라는 문제는 부모 일반스트레스와 밀접하게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완화에 관련된 지원 전략의 수립이나 연구를 해나갈 때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parenting stress and general stres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influence by dividing it into the subject of support (spouse, society) and the content of support (parenting, psychology) as an exploratory fact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41 parents(340 mothers and 301 fat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number of children, the existence of employment, parenting stress and general stress, parenting support and psychological support. Research shows that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from a psychologically close person(spouse) is much more important in solving the problem of parenting stress.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 content of support was a nurturing support such as care. and psychological support was a significant influence. Also, the issue of parenting stress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general stress of parent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provide future direction when establishing or researching support strategies related to parenting stress relie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