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양오염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 「환경정책기본법」과 「토양환경보전법」을 중심으로 -

        이지원 중앙법학회 2017 中央法學 Vol.19 No.4

        What is recently being highlighted as legal issue in both academic and executive circles is the problem of soil pollution. Soil pollution means losing function of soil’s original state as various substances that are harmful for soil become accumulated. The soil pollution damage through soil pollution can be classified as the damage of soil itself and the secondary damage of life, physical body and property due to such damage. The claim for damages on such soil pollution damage can only be solved with the legal theory on the responsibility of compensation for damages according to the civil lawsuit. In case soil pollution has occurred, first of all, the sufferer may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due to the illeg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In other words, the sufferer may claim for damages on the occurred damage by proving the conditions of general illegal activities. But in order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pursuant to the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the sufferer has to prove deliberation and negligence of assailant, illegality of harmful act o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armful act and occurrence of damage. Accordingly, the sufferer claiming compensation for damages by proving all these things reveal limitations on the protection of sufferer. Therefore, a special legal theory is being developed in proving deliberation and negligence of assailant or causal relationship in order to protect the sufferer in theories and legal precedents. Even in our recent legal precedents, there is an example of acknowledging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liability on the soil pollution damage based on the liability of structure. As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Article 44 provides the ‘strict liability of polluter’ 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ne would be able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Article 44 in case the soil pollution damage has occurred. As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rticle 10-3 Paragraph 1 provides that “When there has been a damage due to soil pollution, the applicable polluter must compensate the damages and purify the contaminated soil”, the strict liability and liability of purification are provided on the soil contamination damages. The strict liability provision of polluter in accordance with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rticle 10-3 can become very useful means for the sufferer. Therefore, damages caused by pollution at workplace are eligible for compensation as long a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harmful act and the causal damage are proven. However, as mentioned before, this causes many problems. Even if the existing regulations are amended as Article 44 of the “Revision for EPA,” submitted as government bill in May of 2009, it only adds problem on top of another one. Enactment of this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 mainly focuses on compensation to victims for damage, but also has preventive function for infringement. Strengthening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rough strict liability in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 not only entrusts environmental protection to regulations, but also corresponds with the general tendency that inserts the market economic measures. That is, through rigorous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e burden in environment-hazardous production process eventually will lead to develop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ion and process. 토지오염은 통상적으로 토양오염을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토양오염이란 토양에 해로운 각종 물질이 누적됨으로써 토양 본래 상태의 기능을 상실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토양오염피해의 손해배상청구는 기본적으로 민사상의 손해배상책임법리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 먼저 피해자는 토양오염이 발생한 경우 민법 제750조에 의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민법 제750조에 기하여 손해배상을 청구를 하기 위해서는 피해자가 가해자의 고의⋅과실, 가해행위의 위법성, 가해행위와 손해발생간의 인과관계를 증명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피해자가 이를 모두 증명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한다는 것은 피해자보호에 한계를 보여준다. 또한 토양오염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가 환경오염에 대한 ‘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토양오염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에 근거하여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토양환경보전법상으로는 피해에 대하여 과실책임이 아닌 무과실책임을 지우고 있으며, 공동의 책임인 경우에는 연대책임(부진정연대책임)을 지우고 있다. 이것은 피해자의 구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토양정화책임과 그에 따른 비용책임에 대하여도 소급책임, 엄격책임, 연대책임을 지게하고 있다. 다만 천재지변과 전쟁으로 인한 경우에는 면책하고 있다. 책임당사자는 오염유발자와 토양오염시설의 소유 또는 점유자 및 운영자, 그리고 그 시설을 양수한 자 및 인수자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책임당사자가 불명하거나 무자력 등으로 인하여 책임을 질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책임당사자의 범위를 확대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에 대해 2011년 4월의 개정에서는 그 동안 미비한 제도들을 획기적으로 보완하는 규정을 신설 또는 개정하여 한층 진일보하였다. 즉 오염원인자의 범위를 확대하여 원인자책임의 원칙을 더욱 보완하였고, 토양환경평가를 구체화하여 양도·양수당시에 실시된 토양환경평가 결과에 대한 증거가치를 부여함으로써, 토양오염의 책임소재에 따른 분쟁을 해결하고 토양환경평가를 자율적으로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환경책임법의 제정은 피해자에 대한 피해의 보상을 주목적으로 하나, 또한 이것을 넘어서 침해의 예방목적도 가지고 있다고 할 것이다. 무과실책임에 의한 환경책임법을 통한 환경책임의 강화는 환경의 보호를 규제법에만 맡기지 않고, 시장경제적인 장치를 삽입하는 일반적인 경향에 상응하는 것이다. 즉 엄격한 환경책임으로 환경위험적인 생산과정에 대한 부담은 환경 친화적인 생산과 생산과정을 개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된다.

      • 토양오염부지의 환경매체 연계관리 방안

        황상일 ( Sang Il Hwang ),양경 ( Kyung Yang Et Al ),박용하,정아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본연구보고서 Vol.2018 No.-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in Korea has mainly been carried out on the basis of soil contamination and some groundwater contamination. However, given the pollutant spread between adjacent environmental media and the receptors affected by pollutants,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should be conducted in a linked management instead of individual media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a system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the medias such as soil, groundwater, surface water, and atmosphere of contaminated sites escaping from the existing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media laws. Although many stakeholders are aware of the need for this, there is little detailed research on the specific situation regarding relevant policies under the existing media law and future direction.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anagement status of contaminated sites in accordance with the laws of each environmental media in Korea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system to solve the problems.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ontamination control procedures such as investigation and remediation of contamin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laws and cases by relevant environmental media that can be affected by contaminated soil. Although soil and groundwater are closely intertwined the most, contamination management is carried out under individual laws. Also, there is a lack of links between the statutes, resulting in blind spots in the management of the investigation, cleanup, etc. In case where the precise survey of soil and groundwater is conducted, the possibl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sprea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al media is subject to investigation. However, there is little legal basis regarding follow up on contamination found in surrounding environmental media.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cause of contamination and the contaminant to be managed n accordance with each environmental media law, even if the contaminant is to be removed or managed. Even if the remediation is carried out, problems such as re-contamination due to differences in cleanup levels by environmental media laws may occur. In Washington, the USA, and Alberta, Canada, there are not only laws for each environmental media, but also an integrated law for managing contamination of each environmental media in contaminated sites, making this problem less likely to occur. There is a system to manage contaminated sites from a human and ecological risk perspective. Although there is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soil contamination in Korea, it is not activated due to the systematic limitations on the application of risk assessment, risk assessment techniques and risk management procedures.Taking the aforementioned current status into account, four alternatives were proposed to resolve the problems and improve policies towards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instead of individual environmental media. The first measure i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soil and groundwater management. It complements the legal basis of each law related to contamination detection, investigation and remediation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the 「Groundwater Act」. In the same way as in the first case, the second plan i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soil and groundwater management. In the 「Groundwater Ac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etection, investigation and remedia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are transferred to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at enables integrated management of soil and groundwater to be realized. The third plan integrates contents related to the detection, investigation, remediation and management in individual laws on environmental media of contaminated sites such as soil, ground water, surface water, and air quality, and incorporates the contents into the new chapter on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in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e fourth plan is to establish a new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Act」. It is a plan to establish a law on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by separating and integrating contents related to contamination detection, investigation, remediation and remediation responsibilities among relevant laws of individual environmental media such as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Groundwater Act」. This is the transition toward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the risk of the recept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alternative, the first alternative, which can solve problems on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relative easily and quickly, is likely to be feasible in the short term. In the long run, it would be desirable to switch to a system proposed in the fourth alternative, which allows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rather than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environmental media. 우리나라에서 오염부지에 대한 관리는 주로 토양오염, 그리고 일부 지하수오염을 중심으로 실시되어 왔다. 하지만 인접해 있는 서로 다른 환경매체 간의 오염물질 확산 및 오염물질에 영향을 받는 수용체 관점에서 볼 때 오염부지의 관리는 단순히 개별 매체에 대한 관리가 아닌 매체별 연계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 토양·지하수 등 매체별 법에 따른 오염토양·지하수 관리에서 토양·지하수는 물론 오염부지의 지표수, 대기 등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매체를 통합하여 연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서는 관련된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그동안 기존 매체별 법에 따른 정책 및 제도가 실행되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구체적인 현황 파악 및 정책의 전환 방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연구된 내용은 부족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오염부지의 환경매체에 대한 개별법에 따른 환경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현 상황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토양오염이 발생한 상황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환경매체별로 오염의 조사, 정화 등 오염관리 절차의 현황에 대하여 관련 매체별 법령과 사례 분석을 통해 현 제도의 미비점을 분석하였다. 토양-지하수는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별 법령에 따라 오염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며, 각 법령의 연계도 부족하여 조사, 정화 등의 절차에서 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토양 및 지하수에 대한 정밀조사 시, 주변 환경매체로의 확산 가능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주변 환경매체에서 오염이 발견된 이후의 후속 절차에 대해서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환경매체의 오염제거, 정화 등을 실시하고자 하더라도 각 환경매체별 법에 따른 관리대상이 되는 오염원인의 차이, 오염물질 항목의 차이 등의 문제가 있으며, 정화가 실시되더라도 매체별 정화수준의 차이로 인한 재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워싱턴주, 캐나다 앨버타주 등에서는 각 환경매체별 법령뿐만 아니라 오염부지 내에서의 각 환경매체별 오염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법이 존재하여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적으며, 인체 및 생태위해성 관점에서 오염부지를 관리하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도 토양오염에 대한 위해성평가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나 위해성평가 적용 대상의 제한, 위해성평가 기법 및 위해관리절차 등에 대한 제도적 미비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이와 같은 현황을 반영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 오염부지관리로의 정책 전환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4개의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1안은 토양-지하수 관리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으로 「토양환경보전법」과 「지하수법」의 오염 발견·조사·정화와 관련된 각 법의 근거 조항을 보충하는 내용이다. 2안은 1안과 마찬가지로 토양-지하수 관리의 연계를 강화하되, 「지하수법」 내에 지하수의 오염 발견·조사·정화와 관련된 내용을 「토양환경보전법」으로 이동하여 「토양환경보전법」 내에서 토양과 지하수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적인 오염부지 개념을 적용하여 관리하는 방안이다. 3안은 토양, 지하수에 더하여 지표수, 공기질 등 오염부지의 환경매체별 법령의 오염 발견·조사·정화와 관련된 내용을 통합하고, 이를 「토양환경보전법」 내에 오염부지의 관리와 관련된 장을 추가하는 방안이다. 4안은 가칭‘오염부지관리법’을 신설하는 것으로 기존 「토양환경보전법」, 「지하수법」 등 환경오염관리법령 중 오염 발견·조사·정화·정화책임과 관련된 내용을 분리·통합하여 오염부지관리에 관한 법을 신설하는 방안으로, 본격적인 수용체의 위해성을 중심으로 한 오염부지관리 체계로 전환하는 내용이다.각 대안별 특성과 장단점을 고려했을 때, 많은 문제점들을 비교적 쉽고 빠르고 해결할 수 있고, 이해관계자들에게서 많은 수요가 제기되는 1안이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적으로는 각 환경매체별 관리가 아닌 오염부지의 오염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4안의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초등 토양 환경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신승재,김기대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4

        Soil is the foundation of the life of every organism and environmental factor that has an important relationship with water, air, and ecosystems. However, to date, most studies on soil environment are mainly related to natural science approach which is related to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t needs more systematic soil environmental education to have the correct recognition and value from the stage of elementar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ystematic education on soil environment and to develop the goal of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and content system for soil environment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with the soil environment, How do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deal with the soi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for elementary school textbooks of grades 3 to 6 (Korean, science,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course), the science for the first semester of 4th grade directly covered the soil environment bu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ere indirectly handled or lacked of soil environment as a whole. Especially, it was insuffici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raise interests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n soil environment. Furthermore, the contents were not enough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environment and human, soil problems, and specific solutions. 본 연구에서는 토양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초등학교 국어, 과학, 사회, 실과 등의 교과를 분석후 현재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토양환경교육의 현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토양환경교육 내용은 매우 빈약하고 부족한 부분이 많아 초등학생이 토양과 관계된 내용을 이해하고 토양에 대한 애착을 형성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초등학교 토양 관련 교과인 국어, 과학, 사회, 실과의 3-6학년의 내용을 진단한 결과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토양환경교육 내용은 주로 1영역인 토양환경에 대한 이해가 주를 이루었으며 구체적으로 토양환경을 다루고 있는 교과는 4학년 1학기 과학교과서였다. 국어와 사회 실과에서도 토양환경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는 있으나 부차적으로 토양을 언급하거나 보조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 많았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토양환경교육 내용은 여러 가지 흙, 흙이 만들어지는 과정, 지표의 변화, 소중한 흙과 관련된 내용으로 토양에 대해 전체적인 이해를 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았다. 즉 초등학교에서 다루고 있는 토양환경관련 내용으로는 토양에 대해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부족하고 토양에 대한 흥미나 환경감수성을 키우기에 미흡하여 토양환경교육에 대한 내용의 보완이 요구된다.

      • 토지환경 분야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정책 방향

        명수정 ( Soojeong Myeo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6 No.-

        토지환경은 농작물 생산과 생물들의 서식처 제공, 기후변화 대응 및 각종 오염물질의 정화와 같은 중요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모든 생물들의 생존과 인류 경제활동의 기반이 된다. 그러나 토지환경은 그 중요성이 극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개발과 도시화 등으로 인해 계속 황폐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토지환경 분야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을 위하여 먼저 2015년 발표된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에서 토지환경과 관련된 지표들을 살펴보고, 보도자료 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토지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조사·분석하였다. 토지환경 분야는 지속가능발전목표 15번, ‘땅 위의 생명’과 관련성이 높으며, 특히 세부 목표 15.3 토지황폐화 중립의 확보와 관련성이 높다. 그 외 지속가능발전목표 1번 ‘빈곤 퇴치’, 2번 ‘기아 근절’, 6번 ‘깨끗한 물과 위생’7번 ‘접근성 있는 깨끗한 에너지’, 11번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12번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13번 ‘기후행동’, 그리고 17번 ‘목표를 향한 파트너십’도 관련성이 높다. 토지환경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된 이슈로는 첫째, 도시화와 개발 등으로 인한 토지이용 변화, 둘째, 에너지원 조달을 위한 산림훼손, 셋째, 과다 경작과 방목, 넷째, 토양 침식 및 유실, 다섯째, 중금속을 비롯한 토양오염, 여섯째, 토양 산성화, 일곱째, 토양 염류화, 여덟째, 해수의 침입, 그리고 싱크홀 및 지진과 같은 이슈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최근 일어나고 있는 토지환경 분양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사례로는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토양 침식 등으로 인해 사라지는 토지, 습지의 감소, 매립지의 수용 한계, 폐기물 매립지와 군부대 시설 및 폐광산지역 등의 토양오염, 싱크홀 발생, 태풍 및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등을 찾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지속가능발전지표를 정하고 이를 모니터링하고 있는데, 토지환경 분야의 관련 지표는 농업 분야의 농지면적 비율, 친환경인증 농산물 생산비율, 식량자급률, 화학비료사용량, 농약사용량에 대한 지표가 있으며, 산림 분야에서는 국토면적 중 산림지역 비율, 1인당 도시공원 면적, 목채 벌채 정도에 대한 지표가 있고, 도시화 분야에서는 도시화율과 수도권 인구 집중도에 대한 지표가 있으며, 생태계 분야에서는 자연보호지역 비율이 있다. 그 외 토지환경과 관련된 지표로는 자연재해 피해, 갯벌면적 증감, 생활 및 일반폐기물 발생량, 그리고 GNI 대비 ODA 비율이 있다. 최근 토지환경 분야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지속가 능발전 지표의 동향을 살펴보면, 상기 15개의 지표 중 5개만 긍정적인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토지환경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토지환경 분야의 지속가능발전 관련 정책 및 제도를 ‘토지’ 및 ‘토양’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토지이용, 즉 용도 지역에 대한 관점에서 토지를 다루고 있으며, 토지의 질적 평가를 위해 토지적성평가를 제시하고 있다. 그 외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과 「환경정책기본법」, 그리고 『국가환경종합계획』을 살펴보았는데, 토지환경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된 내용은 전반적으로 환경보호를 위한 토지이용 규제와 토양오염의 정화를 위한 정책이 주를 이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토지환경 분야의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행을 위한 아홉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첫째, 토지황폐화 중립의 확보, 둘째, 기후변화 등 관련 타부문과의 연계 및 협력 강화를 통한 시너지 증대, 셋째, 토지환경 분야의 지속가능성을 나타내는 적정 지표 개발, 넷째, 개발된 지표를 통한 DB 구축과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 다섯째, 토지환경 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 축적, 여섯째, 토지황폐화 중립 확보를 위한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및 관리계획 수립, 일곱째,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강화, 여덟째, 자료공개 및 홍보·교육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인식 강화, 아홉째, 토지환경 분야의 정책개발에 있어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류화이다. 본 연구는 한정된 시간과 자원으로 인해 제한적인 범위에서 토지환경 분야의 지속가능발전 동향과 토지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이슈를 조사·분석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이슈들을 계속 발굴해 나가야 할 것이며,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을 위한 적절한 정책을 추진, 관련 문제들을 해결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이 성취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Land environment is the foundation of the existence of living creatures and the economic activities of human beings as it provides essential ecosystem services such as agricultural production, habitats for lives,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and self-purifica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s. Despite its importance, however, land environment is being degraded globally due to land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UN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elated to land environment in order to pursue the sustainability of land environment, and explored materials such as press releases to examine issues undermining the sustainability of land environment. Land environment is addressed in SDG 15 on ‘life on land’, especially SDG 15.3 on land degradation neutrality. Besides, land environment has strong relationships with SDG 1 on ‘no poverty’, SDG 2 on ‘zero hunger’, SDG 6 on ‘clean water and sanitation’, SDG 7 on ‘aforestation and clean energy’, SDG 11 on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SDG 12 on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SDG 13 on ‘climate action’, and SDG 17 on ‘partnership for the goals’. Major environmental issues related to the sustainability of land environment are i) land use change due to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ii) forest degradation in the course of energy sources supply, iii) over-cultivation and grazing, iv) soil erosion and loss, v) soil pollution by heavy metals and other pollutants, vi) soil acidification, vii) soil salinization, viii) salt water intrusion, and ix) other issues such as sink halls and earth quake. Some examples ofland environment degradation in South Korea are a) disappearance of coastal land due to soil erosion and other factors, b) wet land reduction, c) limited availability of landfills, d) soil contamination in landfills, military bases, and abandoned mining areas, e) sink halls, and f) damages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 and flood. South Korea is making effort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by establishing and monitoring indicator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area of land environment, there are five indicators: the ratio of agricultural land, the ratio of environment-friendly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the food independency rate, the amount of chemical fertilizers used, and the use of agrochemicals in the farmland. The area of forest has three indicators: the ratio of the forested area, urban park area per capita, and the degree of timber deforestation. For urbanization, there are two indicators: the urbanization ratio and the degree of population concentration in the capital city and vicinity area. In the area of ecosystem, there is one indicator: the ratio of nature protection area. Other related indicators are damages from natural disasters, coastal wetland change, the amount of generated solid waste and the ratio of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o GNI (Gross National Income). The recent trend of these indicators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shows only five positive indicators in contrast to ten negative ones. In order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poli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area of land environmen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related policies and systems, using the key words ‘land’ and ‘soil’. The study examined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which considers land in termsof land use and suggests ‘land aptitude assessment policy’ for land quality assessment. The study also surveyed the Basic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nd the Comprehensive National Environmental Plan, whose polic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land environment mostly addresse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regulations and remediation plans for contaminated soil. The current study suggests eight policy direc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SDGs in land environment : 1) ensuring land degradation neutrality to protect the land environment, 2) increasing the synergy effect by facilitating cooperation with other fields such as climate change, 3) developing appropriate indicators reflecting the sustainability of land environment, 4) building a database based on the indictors,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land degradation neutrality, 5) accumulating scientific data regarding land environment, 6) promoting sustainable land management planning to ensure land degradation neutrality, 7) strengthen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EIAs), 8) raising awareness through data disclosure and campaign and education, and 9) main-stream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formulating policies on land environment.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limited scale due to the time and resource constraints. Future research needs to explore issues regarding land environment in a broader context and design proper policies to solve related problems and ultimately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초등 토양 환경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신승재 ( Seung Jae Shin ),김기대 ( Kee Dae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2

        본 연구에서는 토양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초등학교 국어, 과학, 사회, 실과 등의 교과를 분석후 현재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토양환경교육의 현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토양환경교육 내용은 매우 빈약하고 부족한 부분이 많아 초등학생이 토양과 관계된 내용을 이해하고 토양에 대한 애착을 형성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초등학교 토양 관련 교과인 국어, 과학, 사회, 실과의 3-6학년의 내용을 진단한 결과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토양환경교육 내용은 주로 1영역인 토양환경에 대한 이해가 주를 이루었으며 구체적으로 토양환경을 다루고 있는 교과는 4학년 1학기 과학교과서였다. 국어와 사회 실과에서도 토양환경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는 있으나 부차적으로 토양을 언급하거나 보조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 많았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토양환경교육 내용은 여러 가지 흙, 흙이 만들어지는 과정, 지표의 변화, 소중한 흙과 관련된 내용으로 토양에 대해 전체적인 이해를 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았다. 즉 초등학교에서 다루고 있는 토양환경관련 내용으로는 토양에 대해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부족하고 토양에 대한 흥미나 환경감수성을 키우기에 미흡하여 토양환경교육에 대한 내용의 보완이 요구된다. Soil is the foundation of the life of every organism and environmental factor that has an important relationship with water, air, and ecosystems. However, to date, most studies on soil environment are mainly related to natural science approach which is related to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t needs more systematic soil environmental education to have the correct recognition and value from the stage of elementar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ystematic education on soil environment and to develop the goal of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and content system for soil environment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with the soil environment, How do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deal with the soi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for elementary school textbooks of grades 3 to 6 (Korean, science,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course), the science for the first semester of 4th grade directly covered the soil environment bu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ere indirectly handled or lacked of soil environment as a whole. Especially, it was insuffici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raise interests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n soil environment. Furthermore, the contents were not enough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environment and human, soil problems, and specific solutions.

      • KCI등재

        토양환경의 보전과 책임

        조은래 한국토지법학회 2012 土地法學 Vol.28 No.1

        토지오염은 통상적으로 토양오염을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의 토양환경보전정책은 1995년의 토양환경보전법의 제정 이후 부문별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부문별로 추진해 온 사후관리중심의 단편적 대책으로 토양오염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국민건강 및 생태계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토양자원의 보전 및 환경과 경제의 순환정책으로 전환하는 체계적인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토양환경보전법의 주요내용은 토양오염의 예방 및 규제, 사후적 관리보전과 토양오염에 대한 책임으로 대별된다. 동법에 의한 토양환경의 보전은 토양환경관리의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행, 토양측정망의 설치·운영, 토양환경평가제도, 토양오염의 신고 및 검사, 오염토양의 정화와 검증, 위해성 평가, 토양보전대책지역의 지정 및 관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2011년 4월의 개정에서는 그 동안 미비한 제도들을 획기적으로 보완하는 규정을 신설 또는 개정하여 한층 진일보한 것이다. 즉 오염원인자의 범위를 확대하여 원인자책임의 원칙을 더욱 보완하였고, 토양환경평가를 구체화하여 양도․양수당시에 실시된 토양환경평가 결과에 대한 증거가치를 부여함으로써, 토양오염의 책임소재에 따른 분쟁을 해결하고 토양환경평가를 자율적으로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오염부지 관련정보의 관리 및 공개제도를 확립하여 일반 주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는 정화사업 외에도 오염원인자를 포함한 모든 유형의 토양정화와 관련하여 위해성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오염부지에서 반출하여 정화하는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정화 및 재활을 위하여 토양관리단지를 지정할 수 있게 하여 토양자원의 재이용을 촉진하고 투명한 공급체계를 마련하였다. 이외도 토양오염대책지역 내에 있는 피해주민들의 지원대책 등을 마련한 것도 진보적인 입법이라고 할 수 있다. 토양오염에 대한 책임에 있어서 오염원인자가 오염토양에 대한 정화책임과 그 피해에 대한 배상책임을 부담한다. 주의해야할 것은 토양오염의 책임에 대하여 오염원인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무자력 등에 의해 책임당사자가 책임을 질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자력이 준비되지 않는 지방자치단체는 정화의 실시를 연기하여 토양오염을 더욱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대부분의 경우 국민의 조세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대비하여 정화비용에 대한 재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as enacted in 1995. As revised 18 times in october 2011 now, it have been supplemented with various institutional strategy. Soil environment is conserved by soil environmental management master pla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monitoring system, soil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pollution report and inspection, the pur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contaminated soil, risk assessment and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soil conserving measure area under this act. Especially in april 2011 revision, the innovative regulations to complement defective institutions are established or amended. Polluter Pays Principle is supplemented by expanding polluters range. By giving evidential value to the result of soil environment assessment conducted at the time of land transfer, it resolves the responsibility disputes of soil contamination and conducts soil environment assessment autonomically. As a result, the management and the open system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contaminated sites is established and makes inhabitant's right to know satisfied. In addition to the soil cleanup that a local government enforces, it estimates the risk connected with all type of soil purification including polluters. For the efficient purification and recycling of the soil that is carried out from the contaminated site, it promotes the reuse of soil resources by designating soil management subdivision and prepares reliable provision systems. And aside from these, we say that it is a progressive legislation prepared for the support measures for the damaged resident in soil pollution area. Polluter bears a purification responsibility and a liability of reparation in a soil pollution. About responsibility of soil pollution, there is case to note that polluter doesn't exist or responsible parties can't be responsible by lack of funds. In this case, the local governments that don't have funds can aggravate soil pollution by delaying implementation of purification. Therefore when this occurs, purification is mostly achieved by citizen's tax. In readiness for this, securing finance for cleanup cost is very important. In short, the most effectiv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is to prevent soil pollution in advance, but pollutions caused by business activity and human activity can't be prevented in reality. Thus, we should place major emphasis on more advanced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policy and soil management.

      • KCI등재

        토양환경보전법제의 입법방향

        김기태 ( Kim Ki-tae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일감부동산법학 Vol.12 No.-

        토양환경보전법은 1995년 1월 토양의 오염과 정화에 관한 문제로 인하여 기존의 수질환경보전법에서 새롭게 제정하였다. 이러한 토양환경보전법은 환경과 관련된 법제들 중에서 제일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늦게 제정되어 기존의 잘못된 내용들을 바로 잡아 더 나은 법제로서 발전했어야 함에도 지금의 토양환경보전법은 그렇지 못하다. 이러한 토양환경보전법은 토양의 오염에 관한 사항, 오염된 토양의 정화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개정되면서 이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감독하기 위하여 토양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필요한 사항을 국민들에게 고시하고 있다. 국민들에게 필요한 사항을 고시함으로써 국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나, 토양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전문기관의 지정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국민 모두에게 실효성 있는 토양환경보전법이 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hich was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was newly enacted on January in 1995 because of the problems with the soil pollution and remediation. Although this ac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laws related to the environment was enacted too late, it does not correct the wrong things which are existing in our society. By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e matters about soil pollution and remediation have been revised and soil information system is also set up to manage and supervise these matters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And this system is making a public announcement of the essentials. It is good to notify the people the information, but there is a problem about choosing the specialized agency for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Therefore, I will draw up the measures to be an effective act for all the people.

      • KCI등재

        토양오염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의 법리

        전경운(Chun, Kyoung-Un),김영경(Kim, Young-Kyung) 경희대학교경희법학연구소 2013 경희법학 Vol.48 No.3

        최근 학계와 실무계에서 공히 법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토양오염피해의 문제인데, 토양오염이란 토양에 해로운 각종 물질이 누적됨으로써 토양 본래 상태의 기능을 상실케 하는 것이다. 토양오염을 통한 토양오염피해는 토양 자 체의 피해와 그로 인한 2차적 생명, 신체, 재산상의 피해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토양오염피해의 손해배상청구는 기본적으로 민사상의 손해배상책임법리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 토양오염이 발생한 경우에 먼저 피해자는 민법 제750조에 의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다. 즉 피해자는 일반불법행위의 요건을 증명하여 발생한 피해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하지만 민법 제750조에 기하여 손해배 상을 청구를 하기 위해서는 피해자가 가해자의 고의 · 과실, 가해행위의 위법성, 가해행위와 손해발생간의 인과관계를 증명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피해자가 이를 모두 증명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한다는 것은 피해자보호에 한계를 보여준다. 이에 따라 학설과 판례에서는 피해자 보호를 위하여 가해자의 고의 · 과실의 증명에서예견가능성설을 인정하거나 인과관계의 증명에서 개연성설을 취하는 등 특수한법리를 전개하고 있다. 둘째로 토양오염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민법 제758조의 공작물책임에 관한 규정도 손해배상청구권의 법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토양오염을 유발하는오염물질의 상당 부분이 기업설비 등의 공작물에서부터 비롯되므로 공작물책임 은 중요한 책임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최근의 우리 판례에서도 공작물책임에 근거하여 토양오염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예가 있다. 셋째로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가 환경오염에 대한 ‘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토양오염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에 근거하여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의 효력 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고, 이 규정을 정책선언적 규정으로 본다면 이 규정에 근거하여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넷째로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 제1항은 “토양오염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에 해당 오염원인자는 그 피해를 배상하고 오염토양을 정화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여서 토양오염피해에 대하여 원인자의 무과실책임과 정화책임을 규 정하고 있다.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에 의한 오염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의 규정은 피해자에게는 매우 유용한 구제수단이 될 수 있다. 즉 토양오염으로 인한 피해자는 가해행위와 토양오염손해 사이의 인과관계만을 증명함으로써, 피해의 배 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What is recently being highlighted as legal issue in both academic and executive circles is the problem of soil pollution. Soil pollution means losing function of soil’s original state as various substances that are harmful for soil become accumulated. The soil pollution damage through soil pollution can be classified as the damage of soil itself and the secondary damage of life, physical body and property due to such damage. The claim for damages on such soil pollution damage can only be solved with the legal theory on the responsibility of compensation for damages according to the civil lawsuit. In case soil pollution has occurred, first of all, the sufferer may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due to the illeg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In other words, the sufferer may claim for damages on the occurred damage by proving the conditions of general illegal activities. But in order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pursuant to the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the sufferer has to prove deliberation and negligence of assailant, illegality of harmful act o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armful act and occurrence of damage. Accordingly, the sufferer claiming compensation for damages by proving all these things reveal limitations on the protection of sufferer. Therefore, a special legal theory is being developed in proving deliberation and negligence of assailant or causal relationship in order to protect the sufferer in theories and legal precedents. In case soil pollution damage has occurred,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liability of structure in the Article 758 of the Civil Code also can be the legal ground of claim for compensation of damages. That is because the liability of structure can be utilized as important liability basis as considerable portion of contaminants causing soil pollution originates from structures such as corporate equipments. Even in our recent legal precedents, there is an example of acknowledging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liability on the soil pollution damage based on the liability of structure. As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Article 44 provides the ‘strict liability of polluter’ 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ne would be able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Article 44 in case the soil pollution damage has occurred. But there is controversy on the effect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Article 44 and one would not be able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if this provision is seen as a policy declaration oriented provision. As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rticle 10-3 Paragraph 1 provides that “When there has been a damage due to soil pollution, the applicable polluter must compensate the damages and purify the contaminated soil”, the strict liability and liability of purification are provided on the soil contamination damages. The strict liability provision of polluter in accordance with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rticle 10-3 can become very useful means for the sufferer. In other words, it is because the sufferer from soil pollution is able to receive compensation of damage by proving onl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harmful act and the soil pollution damage.

      • KCI등재

        토지양수인의 정화책임과 토양환경평가

        박종원 ( Jong Won Park ) 한국환경법학회 2010 環境法 硏究 Vol.32 No.2

        미국은 브라운필드법과 AAI 규칙에서 토지양수인이 엄격한 정화책임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토양환경보전법」 개정법안에서 토지양수인이 엄격한 정화책임을 면제받을 수 있는 요건을 완화하고 있다. 즉, 토양환경평가의 실시 및 그 결과에 대한 신뢰만으로 정화책임을 면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전문가의 검사 결과만을 신뢰하였다고 해서 면책되는 것이 아니라 토지양수인에게도 일정한 의무가 부과되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모든 적절한 조사의 실시 이외에도 다른 요건을 충족하여야만 비로소 정화책임이 면제될 수 있다. 결국, 개정법안은 브라운필드법보다도 완화된 요건으로 토지양수인의 정화책임을 면제하는 셈이다. 우리나라에서 미국과 같이 심각한 수준의 브라운필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한편, 기술수준이나 전문성을 고려할 때, 그리고 허위·부실 평가에 대한 현실적인 유인을 고려할 때, 아직까지 토양환경평가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신할 수 없는 상태에 있음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토양환경평가의 실시 및 그 결과의 신뢰를 이유로 정화책임을 면제하는 경우 토양환경평가의 활성화라는 정책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오히려 허위·부실의 토양환경평가가 양산되고 토양환경의 개선과 정화라는 본래의 입법목적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지금 당장은 개정법안에서와 같은 토지양수인의 정화책임 면제를 도입하는 것은 곤란하다. 앞으로 미국과 같이 심각한 수준의 브라운필드 문제가 발생한다거나, 혹은 기술력과 전문성의 제고, 허위·부실 작성 유인의 제거 등으로 토양환경평가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담보된 이후에, 다시 신중하게 검토하더라도 늦지 않을 것이다. 지금 당장은 현행과 같이 사안별로 선의·무과실을 판단할 수 있는 여지를 열어두어야 할 것이다. The Brownfields Act and the AAI rule extends liability protection to prospective purchasers and innocent landowner. And the SECA bill,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and pending in National Assembly, exempts the land-purchaser who trusted the result of an assessment of soil environmnet from liability to clean-up.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AAI is not required only to environmental professionals, but also to the persons seeking to establish the innocent landowner defense or the bona fide prospective purchaser liability protection, and the AAI rule is just one of the many steps required for protection from liability. Additionally, to be afforded liability protection, one must perform other continuing obligations. In short, the SECA bill allows the land-purchaser`s liability protection more easily than the Brownfields Act. But, considering a level of assessment-related skill or experience, and the monetary incentives to false or fraudulent assessmen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assessment of soil environment is always accurate and faithful. Under this circumstances, exempting the land-purchaser who trusted the result of an assessment of soil environment from liability will go against the SECA` purpose, conservation of soil environment. I oppose exempting the land-purchaser from liability in the SECA bill. If Korea experiences a serious problem such as the brownfields problem in U. S., or the skills or experiences on the assessment of soil environment are accumulated sufficiently, we may have to restudy the issue of land-purchaser`s liability.

      • KCI등재후보

        토양환경보전법 토양오염부지 소유자의 정화책임 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헌재2010헌바167사건)에 관한 소고

        채영근 헌법재판연구원 2018 헌법재판연구 Vol.5 No.1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case 2010Hun-Ba167, decided that the provisions of Article 10-3(3)2.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2002) were in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This case was developed when the mayor of Masan city issued the cleanup order against the landowner who rented his land to the operator of the gas station as the soil underneath was revealed contaminated by leak of petroleum from the underground storage tank of the gas st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held that Article 10-3(3)2.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hich imposes the responsibility to cleanup on the landowner for owning the land at the time of soil contamination, infringed the landowner of the property right and equal protection of law.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Court, it was the infringement of the property right to ask the owner of the site nevertheless he was not involved in the contamination to take responsibility for cleanup to exceed the value of the land. And furthermore, the Court found that it was an infringement of the equal protection of law to provide indemnity for innocent no-fault landowners unlike their successors of the contaminated land. Standards and practices of Judicial review regarding the violation of property rights and equal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re so vague and flexible that it is hard to predict. In the case of Masan gas st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undertaken an unprecedented rigorous examination, but it has not provided sufficient grounds for the process leading to the conclusion. On the contrary, just two years before, in a parallel case the Constitutional Court came out with completely opposite decision. In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imposing cleanup responsibility on the landowner in addition to actual polluters is crucial for the expeditious cleanup of contaminated soil. It is also a decisive policy of the legislature to build the duty of due care of the land and soil on the landowner. Strengthening the environmental obligation of landowners is also a global trend.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Masan gas station case seems a bit anachronistic in a sense of contemporary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law. 헌법재판소는 2012.8.23. 2010헌바167사건에서 구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 제3항 제2호 규정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하였다. 이 사건은 주유소의 지하저장탱크에서 유출된 유류로 인하여 토양오염이 발생하자 관할 마산시장이 주유소운영자에 대하여 정화조치 명령을 내렸으나 이에 응하지 않자 주유소 부지소유자에 대하여 정화조치 명령을 내린 사건이었다. 헌법재판소는 토양오염 당시의 부지소유자를 오염원인자로 보아 정화책임을 부과하고 있는 구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 제3항 제2호는 청구인의 재산권과 평등권을 침해한다고 보았다. 헌법재판소는 부지의 소유자이나 토양오염에 관여하지 아니한 자에 대하여 토지의 거래가치를 초과할 정도로 정화책임을 묻는 것은 헌법상의 재산권침해에 해당한다고 보았고 더 나아가 선의 무과실의 오염부지 양수인에 대하여 면책을 인정하는 것과 달리 선의 무과실의 토지소유자에 대한 면책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평등권을 침해한다고 보았다. 토양환경보전법상 토양정화제도의 정비 필요성 및 입법론은 별론으로 하고, 토지소유자에 대하여 오염원인자와 더불어 정화책임을 지도록 한 종전 토양환경보전법상의 규정이 헌법이 보장하는 재산권과 평등권을 침해한 것이라는 헌재결정의 타당성에 대하여는 상당한 의문이 든다. 토지의 사회적 기속성에 비추어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설치를 허용한 토지소유자에게 토양정화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환경보전의 필요성이 중시되는 현대사회에서 토지소유자의 의무로 충분히 인정할 만하며 이미 오염된 토지의 양수인과 오염당시 토지의 소유자는 엄연히 다르다는 점에서 면책인정에 차이를 두는 것은 충분히 합리성이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이 사건에서 헌법재판소는 유례없이 엄격한 심사를 한 반면, 그 결론에 이르는 과정의 논거는 충분히 제시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 사건결정일로부터 불과 2년 전에 헌법재판소는 폐기물관리법상 부지소유자의 처리책임조항에 대하여 전원일치 합헌결정을 한 바 있어 이 사건 결정의 타당성은 더욱 의문이 든다. 토양환경보전법에서 오염원인자와 더불어 토지소유자에 대하여 오염된 토지의 정화책임을 인정하는 것은 오염된 토양의 신속한 정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토지소유자에 대하여 사후적으로 정화책임을 묻는 것은 토지소유자의 환경보전의무를 무겁게 지우겠다는 입법자의 강력한 정책적 결단이기도 하다. 토지소유자의 환경보전의무를 강화하는 것은 세계적인 입법추세이기도 하다. 토지소유자의 경제적 이익을 앞세워 토양환경보전법상의 토지소유자의 정화책임을 형해화하는 헌법재판소의 태도는 시대착오적이라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