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한자문화권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 방안 연구 - TOPIK 초급 한자어를 중심으로

        이박문,박덕유,단채미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2 No.-

        This thesis mainly studies the Sino-Korean word with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Korean vocabulary system, and proposes a Sino-Korean word education program for non-Chinese cultural circles. Although many scholars have proposed the education programs of Sino-Korean word for Korean learners who are not in the Chinese cultural circle, most of them advocate that learners who have no Chinese knowledge should learn Chinese characters first before learning Sino-Korean wor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idea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o learn learning Sino-Korean runs counter to the original intention of learners to learn Korean. Therefore, this thesis argues that there is only necessary to use the relevance of Sino-Korean word and Chinese characters to learn Sino-Korean word, while the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is not essential. That is to say,in the process of learning a Sino-Korean word, the learner can achieve the learning of both the Sino-Korean word and the pure-Korean word by marking each individual character that constitutes a Sino-Korean word and its unique meaning with an pure-Korean word, which also helps to improve the Korean vocabulary. First, the vocabulary catalogue provided by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TOPIK) was used as the basis, and the Sino-Korean words that the learners must master in the primary stage were selected. The selected Sino-Korean words were then parsed in units of words. That is to say, for each word and its corresponding meaning, the associated Sino-Korean word in units of words, difficulty and importance are collated and analyzed. And an analysis of the proportion of associated Sino-Korean word and corresponding meanings. Through the calculation, the individual character with the proportion of 2 points or more and its associated Sino-Korean word characters were selected for detailed analysis. Based on this, A specific preliminary Sino-Korean word education program and learning model for Korean learners in the non-Chinese character circle were proposed. The new attempt put forward in this thesis can be us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word, the meaning of individual character, the intrinsic words and the Sino-Korean word in the process of learning Sino-Korean word in non-Chinese character culture circles, Which may have a very significant meaning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본고에서는 한국어 어휘 체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의 필요성을 인지함으로써 비한자문화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일부 학자들이 비한자문화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지만 한자어와 한자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한자 지식이 전혀 없는 학습자들에게 한자를 우선적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자어를 배우기 위해 한자부터 학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현실이기 때문에 기존 한자어 교육 방법과 달리 한자어와 한자의 연관성을 활용하는 새로운 교육 방안을 고찰하였다. 우선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 제시된 초급 어휘 목록을 추출하고, 초급 단계에서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한자어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선정된 한자어를 단자(單字) 단위로 이에 대응된 각각의 의미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즉 단자와 이에 대응된 의미, 관련된 한자어, 난이도, 중요도에 따라 분석 정리하고, 이와 관련된 한자어와 대응 의미의 비율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점수를 산정하여 2점 이상의 단자와 이에 대응된 한자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비한자문화권 학습자를 위한 초급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과 이를 적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새로운 시도가 한자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한자의 특성, 단자의 의미 파악, 고유어 및 한자어를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한자어에서의 음운현상의 발생과 제약의 기제

        변용우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occurrence and constraints of phonological phenomena in Sino-Korean words by analyzing information which is involved in the occurrence and constraints. The structure information which is involved in the occurrenc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Sino-Korean words was described from the viewpoint of a morphological structure analysis of Korean grammar. However, this structure information had the problem which cannot provide consistency as th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Sino-Korean words. So we tried to analyze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Sino-Korean words that speakers recognize based on the occurrence patterns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and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occurrenc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on the basis of it. For ‘n-r’ sequence used in Sino-Korean words, constrains occur because of an articulatory cause, but the method that the constraints are eliminated is subject to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Sino-Korean words, not the phonetic information. Lateralization is chos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ructure of Sino-Korean words with ‘n-r’ sequence is recognized as simple words by them or speakers. The change from ‘r’ to ‘n’ is chos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ructure of Sino-Korean words is recognized as the components are analyzed by complex words or speakers. And Glottalization of Coronal obstruent are appli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ructure of Sino-Korean words with sequence of liquid and coronal obstruent is recognized as simple words or simple words. There are the cases of constraints in the occurrence because phonological phenomena are causative of Sino-Korean words. Enough discussions on the mechanism of constraints of Sino-Korean words in phonological phenomena have not been done until now. The Sino-Korean words participate by Korean grammar, but there are the cases that specific phonological phenomena could not be applied. Phonological phenomena could not be applied to Sino-Korean words not because they avoid applying the applicable phonological phenomena but because they are not closely related to neighboring elements morphologically and syntactically. Glottalization of nouns in Sino-Korean words is not applied behind ‘-eul’, an adnominal clausal ending. It's because glottalization was attracted in order to represent intimacy between adnominal forms and following nouns in the noun phrase composition. If the Sino-Korean words participate in the composition, there cannot b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preceding and adnominal forms. And the purpose of 'n'-insertion is to keep free morpheme of following elements in the composition of grammar. But 'n'-insertion does not occur in the Sino-Korean words that following words have a vowel ‘i’. 'n'-insertion is not applied not because the Sino-Korean words avoid the 'n'-insertion but because there is no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recedent elements and them when the Sino-Korean words with the vowel ‘i’ participate as following elements. 본 연구는 한자어에서 음운현상의 발생과 제약에 관여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그 기제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한자어 음운현상이라 함은 한자어의 구조 정보가 관여하여 발생하는 것을 지칭하는데, 순수 음성적 조건에서 발생하는 음운현상은 한자어라는 범주를 따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자어에서 음운현상의 발생에 관여하는 구조 정보는 국어 문법의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정보는 한자어 음운현상의 발생 정보로서 일관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우리는 음운현상의 실현 양상을 바탕으로 화자가 인식하는 한자어 구조 정보를 해석하고 이를 근거로 음운현상의 발생 기제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한자어에 나타나는 ‘ㄴㄹ’ 연쇄는 조음적인 이유 때문에 제약이 발생하지만, 제약이 해소되는 방식은 음성 정보가 아니라 한자어 구조 정보의 지배를 받는다. ‘ㄴㄹ’ 연쇄를 가진 한자어 구조가 단일어나 화자에 의해 단일어로 인식되면 유음화가 선택되고, 한자어 구조가 복합어나 화자에 의해 구성 요소가 분석되어 인식되면 ‘ㄹ’의 ‘ㄴ’화가 선택된다. 또한 유음과 설정장애음의 연쇄를 가진 한자어 구조가 단일어나 단일어로 인식되는 조건에서는 설정장애음의 경음화가 적용된다. 음운현상에 한자어가 원인이 되어 발생에 제약을 입는 경우가 있다. 지금까지 음운현상에서 한자어 제약의 기제는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한자어는 국어 문법 단위의 지위를 갖지만 특정 음운현상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한자어가 해당 음운현상의 적용을 기피해서가 아니라 형태ㆍ통사적으로 인근 요소와 긴밀한 관계를 갖지 못해 음운현상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관형사형어미 ‘-ㄹ’ 뒤의 한자어 명사에 경음화가 적용되지 않는 것은 이 명사구 구성은 관형사형과 후행 명사의 긴밀성을 표시하기 위해 경음화를 유인하는데, 한자어가 후행 요소로 참여하면 선행 관형사형과의 관계가 긴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ㄴ’ 첨가는 문법 구성에서 후행 요소의 자립성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데 후행어가 모음 ‘i’를 가진 한자어에서는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는다. 한자어가 ‘ㄴ’ 첨가 현상을 기피한 것이 아니라 모음 ‘i’를 가진 한자어가 후행 요소로 참여하면 선행 요소와의 관계가 긴밀하지 못하기 때문에 ‘ㄴ’ 첨가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한자어에 반영된 이른 시기 성모 층위 고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999) ▽표시 한자음을 중심으로

        신우선 한국중국언어학회 2022 중국언어연구 Vol.- No.101

        In this paper, among the cases of ∇-marked Sino-Korean pronunciations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1999)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cases that reflect relatively early initial phonological strata compared to the current literary reading system are examined. The first topic dealt with is the phenomenon in which initials yǐ 以 are realized as r- in some Sino-Korean words such as georyang (擧揚∇) and Jirisan (智異∇山). It is analyzed because they reflect the phonological layer of Old Chinese when initials yǐ 以 were realized as a liquid sound. The second topic dealt with is the phenomenon in which some initials xiá 匣 are realized as k- in some Sino-Korean words. It can be the result of analogical changes by the influence of the sounds of similar graphs, but consider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s xiá 匣 and initials qún 群 in Old Chinese, and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Sino-Korean system revealed in the data of place names and personal names in the Silla period, the possibility of reflecting the historical layer of the Old Chinese should not be ruled out. Third, this paper discusses the phnomenen in which some initials zhāng 章 are realized as k- in some Sino-Korean words. The realization of “只” as “ki” in sinographic vernacular writing data reflects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Old Chinese. Fourth,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jang” and “jung” sounds appearing in “jangpo (菖▽蒲)” and “jungsil (充▽實)” may reflect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Korean in which aspirated and unaspirated sounds of plosives(including affricates) were not differentiated as phonemes. This case is different from others discussed in this paper, as it reflects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not of the Chinese that was borrowed. It can be seen that when analyzing the data of Sino-Korean, which is a product of language contact,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the both languages in the contact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the cases where the aspiratization of the level (平) tone voiced obstruent initials of Middle Chinese is not reflected are dealt with. Although the literary readings of “皮”, “筒” and “骰” in Modern Sino-Korean are all aspirated, reflecting the layer of the Chinese since the Song dynasty, in some Sino-Korean words such as “nokbi (鹿皮▽)”, “jeondong (箭筒▽)”, and “duja (骰▽子)” they are realized as unaspirated sounds, reflecting the phonological layer before the devoicing and aspiratization occurred in the Song dynasty. In this paper, among the cases of ∇-marked Sino-Korean pronunciations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1999)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cases that reflect relatively early initial phonological strata compared to the current literary reading system are examined. The first topic dealt with is the phenomenon in which initials yǐ 以 are realized as r- in some Sino-Korean words such as georyang (擧揚∇) and Jirisan (智異∇山). It is analyzed because they reflect the phonological layer of Old Chinese when initials yǐ 以 were realized as a liquid sound. The second topic dealt with is the phenomenon in which some initials xiá 匣 are realized as k- in some Sino-Korean words. It can be the result of analogical changes by the influence of the sounds of similar graphs, but consider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s xiá 匣 and initials qún 群 in Old Chinese, and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Sino-Korean system revealed in the data of place names and personal names in the Silla period, the possibility of reflecting the historical layer of the Old Chinese should not be ruled out. Third, this paper discusses the phnomenen in which some initials zhāng 章 are realized as k- in some Sino-Korean words. The realization of “只” as “ki” in sinographic vernacular writing data reflects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Old Chinese. Fourth,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jang” and “jung” sounds appearing in “jangpo (菖▽蒲)” and “jungsil (充▽實)” may reflect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Korean in which aspirated and unaspirated sounds of plosives(including affricates) were not differentiated as phonemes. This case is different from others discussed in this paper, as it reflects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not of the Chinese that was borrowed. It can be seen that when analyzing the data of Sino-Korean, which is a product of language contact,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the both languages in the contact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the cases where the aspiratization of the level (平) tone voiced obstruent initials of Middle Chinese is not reflected are dealt with. Although the literary readings of “皮”, “筒” and “骰” in Modern Sino-Korean are all aspirated, reflecting the layer of the Chinese since the Song dynasty, in some Sino-Korean words such as “nokbi (鹿皮▽)”, “jeondong (箭筒▽)”, and “duja (骰▽子)” they are realized as unaspirated sounds, reflecting the phonological layer before the devoicing and aspiratization occurred in the Song dynasty.

      • KCI등재

        한문과 문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군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stimulated people’s interest not only in research on the contents of Sino-Korean but also in Sino-Korean education itself. With the foundation of the association, Sino-Korean education that had been neglected took its first step of research. The organization has grown into an academic society leading Sino-Korean education both in name and reality, and made rich achievements in diverse areas of Sino-Korean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rends in the academic circle focusing on ‘trends in research on grammar,’ ‘trends in research on grammar education’ and ‘research on general grammar,’ using theses on Sino-Korean grammar reported in the academic circle.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Sino-Korean school grammar,’ the academic circle has raised problems continuously and conducted tasks for the standardization of Sino-Korean school grammar and the proposal was adopted by the 2007 Revised Sino-Korean Curriculum. In addition, Sino-Korean grammar carried in the 2007 Revised Sino-Korean Curriculum was absorbed in the textbook screening and settled as school grammar. Still there are various different opinions on Sino‐Korean school grammar, and thus we cannot say that Sino-Korean school grammar is complete. If it is refined continuously by reflecting practical needs, we may be able to establish more complete ‘Sino‐Korean school gramm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o develop strategies for teaching Sino-Korean grammar in school more effectively so that Sino-Korean may be taught and learned more effectively and interestingly. 한문교육학회의 창립은 한문의 내용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한문교육에 자체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켰다. 학회의 창립으로 인하여 그동안 소외되었던 한문 교육에 대한 연구가 첫발을 내딛게 된 것이다. 지금은 명실공히 한문교육을 주도하는 학회로 성장하여 한문 교육 방면의 연구에 있어 다양한 방면으로 풍부한 성과를 거두었다. 본고는 한문 문법과 관련하여 그간 학계에 보고되었던 논문을 중심으로 ‘학교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 연구’, ‘일반 문법 연구’로 나누어 학계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한문 학교 문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학계에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여 한문 학교 문법 통일을 위한 작업을 진행하였고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이 안을 수용하였다. 그리고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정리한 한문 문법은 이후 교과서 검정에서 그 내용을 흡수하여 학교문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아직 한문 학교 문법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이견이 있고 완정한 상태라고 할 수는 없다. 앞으로 현실에 맞게 지속적으로 수정해 나간다면 보다 완정된 ‘한문 학교 문법’의 체계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다룬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문법을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 한문을 보다 효율적이고 재미있게 교수ㆍ학습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漢文科 語彙 領域의 評價 方向과 實際

        안동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based on the learning objective of the area of vocabulary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the aspect of the evaluation of the vocabulary of the revised curriculum, it can be seen as the following; in terms of contents, the Sino-Korean word was the major area and the vocabulary was the mid area, and their range was reduced in terms of format. Some of the existing content factors of the Sino-Korean word were absorbed and integrated to the vocabulary of the Sino-Korean knowledge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and the condition of the Sino-Korean education given the nationwide form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time assigned to the subject. In the aspect of contents,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emphasized the practicality of the language use through the Sino-Korean word, whereas the revised curriculum put more stress on the grammatical area. The questions of the area of vocabulary take up about 30% in the nationwide evaluation questions. The evaluation questions relat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words’, ‘the usages of the expletive’, and ‘the meanings of the idiomatic phrases' are also largely tested in the field school evalua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of the vocabulary wouldn't seem to be reduced despite the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nationwide tests wouldn't as well. Although it can't be considered as 1:1 relationship, because the area of the Sino-Korean word which used to be the major area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altered into the mid area, they share common factors largely.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eaching the area of vocabulary in the Sino-Korean education is still valid though the status of the Sino-Korean word was reduced while the grammar was intensifi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area of vocabulary, the evaluation should be practiced based on the achievement and on the usage of the basic knowledge. Although the area of vocabulary takes large part, a thoughtful caution should be paid in order to avoid giving too much importance on the fragmentary, momentary knowledge or on the measurement of the basic grammar functions, and the categories of the 'Sino-Korean' and 'Sino-Korean knowledge' should be integrated and tested organically in order to evaluate the leaners' high mental abilities. In this thesis, some of the questions of the grammatical aspects are suggested as an example. However, that doesn't mean that the future questions of the area of vocabulary should be generally like this, otherwise, it is just to 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stead, the questions asking ‘the types of the Sino-Korean vocabulary‘ or ’the meanings of the idiomatic phrases‘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이 글은 개정 교육과정 語彙 領域의 학습목표에 따른 문항 개발 방향에 목적이 있다. 개정 교육과정 語彙 領域 評價의 양상을 보면 내용 체제면에서 漢字語는 대영역이었고, 語彙는 중영역으로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그 범위가 축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배당 기준에 따른 漢文科의 위상과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것으로 기존 漢字語 領域의 내용 요소를 한문지식의 어휘로 일부 흡수, 통합한 것이다. 내용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漢字語를 통한 言語生活의 실용성을 강조하였고,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그 보다 문법적인 측면을 더 강조하였다. 전국단위 評價問項을 보면 語彙 領域의 평가 비중이 약 30%정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 현장의 評價에서도 ‘단어의 짜임’, ‘허사의 쓰임’, ‘성어의 의미’와 관련한 평가 문항은 출제 비중이 매우 높다. 따라서 교육과정이 개정되었다고 해서 語彙 領域의 평가 비중이 줄어 들 것이라고 보이지 않는다. 국가수준의 시험에서도 그러할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대영역인 漢字語 領域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영역의 語彙 領域으로 바뀌어 1:1의 관계로 볼 수는 없지만 상당한 부분에서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漢字語가 가지는 위상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법 중심으로 일부 축소, 심화된 부분이 없지 않지만 여전히 漢文敎育에 있어 語彙 領域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유효하다. 語彙 領域의 평가는 기초적인 지식의 성취와 그 활용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여야 한다. 語彙 領域이 한문과의 다른 평가요소 보다는 문법적인 기능에 대한 평가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단편적, 일회적 지식이나 기초적 문법기능 측정에 편중되는 것을 지양하도록 주의해야 하며 학습자의 고등 정신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문’ 영역과 ‘한문지식’ 영역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평가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문법적인 측면의 문항 몇 개를 예시로 들었다. 그러나 그것은 개정 교육과정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향후 語彙 領域의 문항이 전반적으로 그러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대신 ‘漢字 語彙의 유형‘ 이나 ’成語의 의미‘를 묻는 문항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漢文科 ‘끊어 읽기’ 授業 事例 硏究

        이명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2 No.-

        끊어 읽기는 전통 한문 학습에서부터 현재까지 한문 문장을 바르게 풀이하고 이해하기 위해 활용하는 방법이다. 연구자는 실제 중·고등학교 한문과 수업에서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과 인식이 어떠한가를 밝힘으로써 한문과에서의 끊어 읽기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중학교 한문 교사 1명과 고등학교 한문 교사 1명의 수업 관찰과 심층 면담 자료, 기타 문서 자료 등을 수집하여 총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 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였고, 이 과정에서 자료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삼각측정법, 연구 참여자에 의한 연구 결과의 평가, 전문가에 의한 조언과 지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한문과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교사와 학생의 끊어 읽기에 관한 인식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 두 교사의 한문 문장 수업에서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은 문장 제시에서부터 시작되는데, 문장에 현토나 문장 부호 등을 표기해 이를 문장 해석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었다. 이후 실제 문장 해석 과정에서는 문장을 의미 단위에 맞게 끊어 읽는 활동을 반복하였다. 수신호, ‘+’ 표시, 현토, 억양 조절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문장을 의미 단위로 끊어 읽을 수 있게 하고, 이를 문장 구조 파악 및 해석에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평가 과정에서도 문항에 현토와 문장 부호 등을 표기하여 학습자의 문장 독해 및 문제 풀이를 도와주고 있었다. 끊어 읽기에 관하여 교사는 학습자의 한문 해석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필수 과정으로, 학생은 자신에게 주어진 한문 문장의 해석을 돕는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 끊어 읽기를 한문 해석에 실질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중ㆍ고등학교 한문 수업에서의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과 끊어 읽기에 관한 인식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한문 독해 능력 향상 및 한문 문장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추후 시행될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논의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Reading by punctuating in a sentence is a method that has been used from past till present in the Sino-Korean learning method to interpret and understand Sino-Korean sentences properly. This researcher aims to understand punctuating in the Sino-Korean class subject more profoundly by examining its concrete process and the recognition on it in the Sino-Korean class of present middle and high school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observed lessons conducted by one middie school and one high school Sino-Korean teacher and analyzed data colla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related literatures holistical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and in this process, in order to secure the credibility of the data, triangulation, the evaluation of the study result by the research participant,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intellectual methods were used. Through this, it figured out the concrete process of implementing punctuating in a sentence in the Sino-Korean class subject and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n it. The Sino-Korean class of the two teachers began by presenting sentences in the concrete process of implementing punctuating in a sentence. It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use added postpositional words or punctuation marks written along with the sentences. Later, in the actual process of interpreting sentences, students repeated the activities of reading sentences in meaningful units. With hand signals, ‘+’ marks, added postpositional words, or intonation adjustment, the teachers induced their students to read sentences in meaningful units on their own and to use it when they tried to understand sentence structures or interpret sentences. In the evaluation process as well, the teachers presented added postpositional words or punctuation marks for each question so that it could help students read sentences and answer questions. The teachers regarded punctuating in a sentence as an essential process for learners to interpret Sino-Korean sentences flexibly while students recognized it as a useful method which supported them to interpret sentences given to them; therefore, it was shown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used punctuating in a sentence substantially when interpreting Sino-Korean sentence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the concrete process of implementing punctuating in a sentence in the actual middle and high schools Sino-Korean class and the recognition on it, provides practical data for improving learners’ ability to read Sino-Korean sentences and activating the class for Sino-Korean sentences, and presents foundational data for discussing the methods to carry out the revised Sino-Korean subject curriculum to be executed later on.

      • KCI등재

        어원에 입각한 한자어 판별 기준

        소열녕 한국중국학회 2024 중국학보 Vol.107 No.-

        한국어의 한자어는 보통 ‘한자에서 온 말’, ‘한자에 기초해서 만들어진 단어’ 정도로만 이해된다. 그러나 실제로 어원 정보를 처리하거나 단어를 語種에 따라 분류할 때에는 명확한 기준이 없다. 본고는 표준국어대사전 의 어원 정보 처리를 대표 사례로 하여 기존의 한자어 정의와 분류 기준의 문제점을 지적한 후, 기존의 기준으로는 분류하기 어려운 단어들을 다음 세 가지로 나눠 자세히 논의하였다. 첫째는 ‘붓’(筆), ‘짐승’(衆生), ‘배추’(白菜) 등 현대 한국 한자음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A류이고 둘째는 ‘가난’(艱難), ‘잉어’(鯉魚), ‘겨자’(芥子)처럼 현대 한국 한자음과 일부 일치하는 B류이며 그리고 셋째는 ‘성냥’(石硫黃), ‘베이징’(北京)과 같이 ‘1字1音節’ 특징을 지니지 않는 C류이다. 그러고 나서 漢音系 차용어의 ‘경계 모호성’을 선행 연구와 필자가 직접 관찰⋅수집한 증거로 입증하여 이를 통해 한자어 분류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논의들을 토대로 어원에 입각한 새로운 한자어 판별 기준을 제시하였는데 그 기준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중국어에서 차용되었거나 한자어 형태소로 구성된 단어이다. 둘째, 한국 한자음과의 일치를 조건으로 하지 않으나 ‘1字1音節’의 특징을 지녀야 한다. 위 두 가지 기준에 부합해야 한자어로 포함시킬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앞서 언급된 A, B, C류의 거의 모든 단어를 한자어로 분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쇼롱보’(小籠包), ‘꿔바로’(鍋包肉)와 같이 ‘1字1音節’의 조건을 갖춘 漢音系 차용어들도 한자어로 볼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define the “Sino-Korean words” from a perspective in etymology. Korean vocabularies are usual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namely native words, Sino-Korean words and foreign words. Sino-Korean words or Hanja-eo(漢字語) literally means the words that are of Chinese origin, but in fact, scholars tend to use this term in the narrow sense where they assume that a Sino-Korean word should be pronounced exactly the same as the Sino-Korean pronunciation(韓國漢字音). Thus, words that are not consistent with the Sino-Korean pronunciation due to a sound change, like meok (먹, 墨), jimseung(짐승, 衆生) and the Early Mandarin loanwords like gyeoja(겨자, 芥子), bobae(보배, 寶貝) will not be categorized as Sino-Korean words, although they originated from Chinese or Sino-Korean morphemes (漢字語形態素).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Early Mandarin loanwords from the Joseon Dynasty documents and the transcription of Mandarin loanwords in Modern Korean, this paper tries to prove that the current definition of Sino-Korean word is inappropriate and needs to be modified as “words that originated from Chinese or formed by Sino-Korean morphemes and monosyllabic for each character”. Sino-Korean pronunciation is no longer a criterion to identify Sino-Korean word in this new definition.

      • KCI등재

        改定 敎育課程 ‘漢文’의 現場 適用 方案 硏究

        원용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4 No.-

        The core of the state of affairs of school lesson is always on 'what and how to teach?' and the curriculum must satisfy this. Since the foundation of the 7th revised curriculum on Sino-Korean subjec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7th curriculum, the school field is in a situation of having to accept many changes. In this context, it can be said that 'what' is the 'Sino-Korean' that is the major area of Sino-Korean curriculum and 'how' is the 'a secondary school field application'. The revised curriculum changed into the major area system of 'Sino-Korean & Sino-Korean knowledge'. Accordingly, the possibility in the aspect of linguistics was examined first for the school field application for only the 'Sino-Korean' except for the major area of 'Sino-Korean knowledge'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major area of 'Sino-Korean' in the revised curriculum has been categorized and structured into the three mid area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culture', and the contents according to each mid area have been presented. In addition,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years have been presented. Such contents are in fact a presentation of a series of courses that progress to 'understanding' from 'reading' and to 'culture' from 'understanding'. This is a literary embellishment course that must be dealt with in the Sino-Korean curriculum through which the 'cultivation of Sino-Korean skill' is being sought. Therefore, the 'contents system' and contents' of the revised curriculum 'Sino-Korean' were examined, analyzed and schematized to understand their implicit flow.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literary embellishment process of 'reading out aloud → punctuation → correct interpretation →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subject →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special expression methods'. In addition, actual 'sentences' were applied to this and the process of literary embellishment flow was traced in order to integrate the intend of revised curriculum which is the 'cultivation of Sino-Korean skill'. In addition, it has been elaborated that the curriculum itself must be respected rather than depending on the textbooks in orde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goal by applying the revised curriculum in the school fiel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will end up being correctly applied in the school field when the teachers become those who practice the curriculum and the recomposition of textbooks. 敎育課程에 대한 관심은 그 교과에 종사하는 사람에 국한하여 의미를 가진다. 학교 수업 사태의 核心은 늘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이며 敎科 敎育課程은 이를 充足해야 한다. 그러므로 ‘무엇을’은 교육과정의 目標와 內容을 包括하며, ‘어떻게’는 敎授-學習 方法과 교수 학습 방법에 기여하는 技法과 資料까지를 그 범위로 한다. 개정 제7차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과는 그 근본을 달리하기 때문에 학교 현장은 많은 變化를 受容해야 하는 상황이다. 여기서 ‘무엇을’은 개정 제7차 교육과정 대영역인 ‘한문’이며 ‘어떻게’는 ‘중등학교 현장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개정 교육과정은 ‘漢文․漢文知識’이라는 大領域 體制로 轉換하였다. 이에 따라 우선 개정 교육과정에서 대영역 ‘한문 지식’을 제외한 ‘한문’만을 대상으로 한 학교 현장의 적용하기 위하여 言語學的인 側面의 可能性을 探索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은 ‘읽기’, ‘理解’, ‘文化’라는 세 개의 中領域으로 範疇化하여 構造化되었으며, 또한 각각의 중영역에 대한 領域別 內容이 提示되었다. 또한 그들을 통하여 중학교 學年別 內容을 提示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사실상 일련의 과정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읽기’를 통하여 ‘이해’로 나아가며 ‘이해’를 통하여 ‘문화’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이어져 있다. 이는 문자언어를 대상으로 한 한문 교과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文識의 過程이며 이러한 문식의 과정을 통하여 얻고자 하는 것은 ’漢文 能力의 伸張‘이다. 따라서 개정 교육과정 ‘漢文’의 ‘內容 體系’와 ‘內容’을 檢討․分析하고 圖式化하여 그것들이 갖는 內在的인 흐름을 把握하였다. 그 결과 ‘소리 내어 읽기 → 끊어 읽기 → 바르게 풀이하기 → 내용과 주제 이해 → 특수한 표현 방식 이해 및 감상’이라는 文識의 過程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그것에 實際의 ‘文章’을 適用하고, 文識性 흐름의 過程을 追跡하여 ‘漢文 能力의 伸張’이라는 改定 敎育課程의 意圖를 學校 現場에 繼承하려 試圖하였다. 또한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적용되어 보다 목표 도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의존하기 보다는 敎育課程 自體가 尊重되어야 한다는 것도 부연하였다. 결국 敎師들이 敎育課程과 敎科書 再構成의 實踐者가 될 때 개정 교육과정은 비로소 學校 現場에 바르게 適用될 것이라 여겨진다.

      • KCI등재

        현대 자전류의 한자음 반영 양상 ―반절과 한자음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최미현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1 No.-

        To examine Sino‐Korean reflected in contemporary dictionaries from a synchronic viewpoint, in spite of being the same head characters, there are many cases that Sino‐Korean are often reflected at random in Chinese dictionary. Therefore, it is a risky interpretation to discuss the aspect of Sino‐Korean in Korea by simply comparing only the appearance of Sino‐Korean reflected in each contemporary Chinese dictionary,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rrespondence between Banjeol and Sino‐Korean presented by Chinese dictionary. Also, in contemporary dictionaries, there are many examples in which the Sino‐Koreanis differently reflected in Chinese dictionary despite the same Banjeol character. This is a serious problem because it makes it difficult for people using Chinese dictionary to judge what is right or wrong and causes confusion about Sino‐Korean in contemporary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Sino‐Korean reflected in contemporary dictionaries. However, simply comparing and contrasting Sino‐Korean may lead to errors in interpretation of Sino‐Korean in contemporary Korea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reflected in contemporary dictionaries more precisely, focusing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Banjeol and Sino‐Korean. 현대 자전류에 반영된 한자음을 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똑같은 표제자(標題字)임에도 불구하고 한자 사전에 따라서 그 한자음이 제각각으로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현대 자전마다 제각각으로 반영되어 있는 한자음의 모습만을 단순 비교하여 현대국어 한자음의 양상을 논하는 것은 자칫 위험한 해석을 낳을 수 있으므로, 자전에서 제시하는 반절(反切)과 한자음의 대응 관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대 자전류에는 똑같은 반절자임에도 불구하고 그 한자음이 자전마다 서로 다르게 반영되어 있는 예들이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는 자전을 사용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에 대한 판단을 어렵게 만들어 현대국어 한자음에 대한 혼란을 야기하므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본고는 현대 자전류에 반영되어 있는 한자음의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한자음만을 단순히 비교 대조하는 것은 현대국어 한자음에 대한 해석의 오류를 낳을 수도 있으므로 반절과 한자음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보다 정밀하게 현대 자전류에 반영된 한자음의 양상과 그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시경언해(詩經諺解)』(1613)의 한자음의 모습에 대하여

        이준환 ( Yi Jun-hwan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4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ino-Korean aspects written in Sigyeongeonhae(1613). For this purpose I extracted Sino-Korean from Sigyeongeonhae and classified Sino-Korean into five cases. The first case is Sino-Korean that is not seen in the 15th to 16th century literature and conform to the usual countermeasures. The second case is Sino-Korean that is not seen in the 15th to 16th century literature and does not conform to the usual countermeasures. The third case is the Sino-Korea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ino-Korean in the 15th and 16th century. The fourth case is Sino-Korean showing the use of multiple Sino-Korean. The last case is the other.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a large number of Sino- Korean were observed in Sigyeongeonhae.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Sigyeongeonhae is a very good text for expanding Sino-Korean data. Also, it was found that Sigyeongeonhae is a good data to fill the shortage of Sino-Korean. In this regard, I think it will be beneficial to quantitatively expand Sino-Korean and to strengthen the qualitative research on Sino-Korean if we go ahead and extract the data from Sigyeongeonhae and analyze the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