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용자 관점에서 본 수원법원 종합신청사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

        황유철,김영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1

        Background We will study and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office sign system, and examine the user-centered sign system. In recent, public offices have become larger, and the number of users has been increasing due to various demands as well as administrative and public purposes. Therefore, a more accurate and convenient sign system should be applied to public government user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n effective method by studying the system of the public office, especially the court. Method We analyze the cases of Seoul, Busan and Incheon, which are large in domestic courts, and analyze the case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ich is a multi - use facility, and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which is popular among the general public, and the recently reopened Busan metro sign system. For efficient analysis, we will visit the case study, review the related academic data, and analyze more objective data through statistical data. Based on the case analysis, we will study the application method of efficienc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sign system. Result We analyzed the focused user sign system through case analysis and site analysis. However, a conventional sign system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the case and is applied to the target building as it is. In addition, the scale of the biggest court in Asia as well as the country is emphasized, and it shows the problem that the efficient sign system is not applied. Conclusion The public office needs to change from a general view that it is always lagging behind the private sector, but rather to a more user-centered system by applying new technologies to the forefront. In this study, we propose a digital sign system which is actively used in the private sector, and further suggest a new concept sign system using VR, AR and hologram technology. 연구배경 최근 들어 공공청사는 대형화되고 기존 행정 및 공공의 목적 등 다양한 요구에 의하여 그 이용자가 늘어가고 있다. 따라서 공공청사 이용자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편리한 사인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용자관점에서 공공청사, 특히 법원의 안내 사인시스템을 연구하여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먼저 국내 법원중 규모가 큰 서울, 부산, 인천의 사례를 연구 분석하고, 다음으로 인천국제공항과 일반인들이 많이 찾는 국립중앙도서관 그리고 부산도시철도 다대선 사례를 비교 분석하기로 한다. 효율적인 분석을 위하여 대상 사례를 직접 방문 조사하고 관련 학술자료를 검토한 후, 통계청 통계자료를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기로 한다. 연구결과 국내 법원 사인시스템의 사례분석과 수원법원 대상지 분석을 통하여 이용자 중심의 사인시스템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관습적으로 설계하는 사인시스템은 사례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대상건물에 그대로 적용되어 있었다. 또한 국내는 물론 아시아 최대 규모의 법원이라는 규모만 강조되고 효율적인 사인시스템이 적용되지 못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 수원법원 종합신청사는 차량과 보행자 각각의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사인의 위치와 크기, 색상, 문자로 적용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이용자 중심의 사인디자인시스템으로 적용하는 변화가 요구되었다. 그리고 민간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사인시스템 적용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VR, AR, 홀로그램 기술을 도입한 신 개념 사인시스템을 부분적으로 라도 도입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가 공공청사는 항상 민간 부분보다 디자인이 실용적이지 못하고, 신 개념 디자인을 신속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일반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공공간 사인시스템의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예춘홍(Ni, Chun Hong),안병진(Ahn, Byoung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4 No.-

        빠르고 효율적으로 길을 안내할 수 있는 도구인 사인시스템은 오늘 날 특유의 독특한 디자인 이념과 형식으로 사회의 유통 시스템 전반에 많은 편리함을 가져다주었다. 다양한 국가와, 지형, 경제발전 수준에 따라 각기 실정에 맞는 다양한 사인디자인과 기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선진국의 경우 이미 사인시스템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 성숙한 상태이며, 다양한 집단의 수요를 전반적으로 잘 고려하여 반영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사인시스템의 완성도를 척도로 도시의 발전 정도를 측정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 발전에서 사인시스템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충분히 설명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관련 자료에 관한 문헌정리와 사례조사 수집을 통해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도 측면에서의 선진국들의 사인시스템에 대한 주시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장애인 부분에서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그리고 지체장애인, 그리고 아동, 노인, 부녀자 등 여러 다양한 측면들을 예로 들어볼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선행 연구 자료들의 중심 포인트를 찾은 뒤,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 국가들의 실제사례를 바탕으로 공공 공간 사인시스템의 타깃 집단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이에 그치지 않고 사인시스템 중 유니버설 디자인 이념에 관해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정리와 실제 고찰을 통해 연구자는 이러한 방면에 중국의 관심도가 비교적 떨어지는 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소외계층을 개별적인 집단으로 분류해 놓고, 사인시스템 사용 중에 발생하는 이 집단의 실제 니즈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교차 디자인 이념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해보았다. 우선, 시각장애인 위주의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무장애 디자인이 타깃으로 하는 집단에는 주로 시각장애인, 노인 및 색약인 계층이 있다. 독일의 역사박물관 사인시스템은 시각장애인 집단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사인시스템 중 유니버설 디자인 분야에서 보다 더 많은 디자인 아이디어 및 발전 가능성을 제공해주었다. 외국인, 노인 및 아이들을 타깃으로 하는 공공시설사인디자인의 경우 색채에 관한 연구 및 색채와 글자체 응용 간의 연구가 특히 더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독일 공항의 사인디자인은 그래픽디자인을 적극 활용한 사인시스템으로, 오늘날처럼 그림을 글처럼 읽는 시대에 이러한 소외계층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포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노인과 아이들의 정보 식별도를 높이는 데 공헌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두 번째, 사인디자인에서 주 사용층을 소외계층으로 하면 발생가능성이 있는 문제점들이 많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사인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키 높이 문제로 인해 사인 식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지체장애인의 경우 사인디자인 사용 시에 특정한 니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임산부의 경우 임신 기간에 밖으로 외출할 시에 특수한 서비스형 사인시스템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 우메다 병원에서는 독특한 디자인 이념을 통해 사인디자인을 완성, 환자 및 기타 보호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마지막으로 소외계층과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해 정리하는 과정에서 한 사회에서 소외계층의 존재가 전체 사회의 발전을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수혜자들 또한 사회 한쪽에서 전체 사회의 발전을 촉진하고, 문제발견 및 해결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자는 자료조사부터 시작해서 사례들을 분석하고 연구를 최종적으로 마무리 짓는 과정에서 현재 수 많은 선진국들이 공공 공간 사인시스템 시설 구축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과학 연구 분야에서 대량의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현상들은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의 사인시스템의 공헌 정도를 반영하고 있다. Sign system is an effective guiding tool. Current sign system provieded a lot of convenience to the society by its unique design concept and forms. According to the diversity in counties, regions and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sign system presented the different design features in the world. In developed countries, sign system has been relatively mature, it considered variety needs from different groups. The perfection of sign system is the way to measure the level of development, which reflected the importance of sign systems in social development. Based on the study on the literature data and case studies, I found that Sign system in developed countries attached importance to vulnerable groups which include disabled person, children, seniors and women (pregnant women). In this study, I found the cantorial issue by analyzing the paper, researched on cases from the United States, Germany, Japan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and tried to analyze the crowd which Public Space Sign system concerned. Through the research, I found that Chinese Sign system haven’t pay much attention on vulnerable groups in China. In this study, I classified the Vulnerable Groups into different types of groups, with the actual needs of those groups in Sign System explored the crossover design concept of Universal Design . First, Vulnerable Groups focused on the needs of the blind people, the seniors and color weakness crowd. By analyzing the Sign system in German Historical Museum, I expanded the design ideas. In the Sign system for foreigners, seniors and children, color and word font are particularly important. The appropriate used of graphic design in German Airport Sign system accelerate the information capture of people, especially for the seniors and children. Secondly, the problems for disabled person in Guide system became apparent. Such as identifying issues for children in using the Sign system because of height problems; the special requirement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and pregnant women in using sign systems. Sign system of Umeda hospital in Japan met the needs of special groups with its unique design concept. Finally, I summarized Vulnerable Groups and Universal Design, I found the existence of Vulnerable Groups promoted social progress. Universal Design is also a powerful tool to discover the problem in social progress. According to the previous thesis research and case study, I found that developed countries payed attention on to different aspects in Sign system, and the national investment in research is large. From this point , Sign system reflected contribution to an area.

      • KCI등재

        동물원 사인시스템에 나타난 공감 디자인에 관한 연구

        예춘홍(Ni, Chun Hong),안병진(Ahn, Byoung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방법과 범위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사회에서는 사인시스템 디자인이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사인시스템 구축 방면에서 봤을 때, 사인시스템 디자인 분야는 어떤 한 지역의 발달 정도를 대표하며, 해당 지역의 문명 수준을 측정하는 기준으로도 활용된다. 디자인 차원에서는 사용자의 수요를 표현하는 일종의 표현 방식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진국들과는 달리 중국에선 사인시스템 디자인 개념이 비교적 늦게 도입된 편이다. 특히, 중국의 동물원은 외국의 동물원과 비교했을 때 공감 디자인과 같이 심도 있는 디자인 방면에서 여전히 격차가 매우 큰 편이다. 게다가 사인시스템의 디자인 심리, 도형 디자인의 응용 등의 방면에서도 사용자의 심리에 관한 분석이 상당히 부족하여 대부분 사인시스템의 작용이 명확하지 않거나 심할 경우 유명무실 한 경우도 다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미국과 독일의 우수한 동물원 사인사례를 수집한 다음 동물원 사인시스템 디자인에서의 공감 디자인 방법과 응용형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사인시스템에서 공감 디자인의 작용과 방법을 분석하여 중국의 동물원의 사인시스템과 선진국의 동물원 사인 디자인과의 격차를 좁힐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공감 디자인의 관점에서 실제 운영되고 있는 우수 해외 동물원의 사인시스템을 분석하여 동물원 사인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디자인요소를 4가지의 유형을 통해 추출하였다. 먼저, 지식 설명형 사인시스템은 안내하는 과정에서 관객들로 하여금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오스나브뤼크 동물원에서는 동물 이 갖고 있는 자체 가죽의 특성을 가지고 사인시스템에 적용하여 디자인하였다. 방향 안내형 사인시스템은 주로 화살표를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전달 속도가 더 빠르다. 미국의 워싱턴 국립동물원에서는 화살표를 대신하여 동물들의 발자국 모양을 이용해서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데,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사인을 통해 거리감을 좁혀주며 공감적 느낌을 일으킨다. 예술 조형형 사인시스템은 예술 조형형 사인으로 방향을 가리키는 것을 창의성 있게 표현하는 데, 예를 들어 사바나 트랙 야생 동물원에서는 눈과 색채 간의 시각 원리를 통해 관광객의 관계를 더 가까이 끌어당기고 있다. 야생 생태형 사인시스템은 대부분 자연과 결합한 공간에서 많이 응용된다. 자연재료 등의 사용을 통해 사인시스템을 자연과 하나로 느끼게끔 한다. 하노버 동물원에서는 자연재료를 이용하여 지속가능한 공간을 만들고 있으며 사용자의 관점으로 인간 본질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보통 동물원은 사람들이 여가 시간을 보내거나 동물들을 보러 가는 중요한 장소로, 동물원의 사인시스템 디자인은 마땅히 다양한 관객 집단의 수요를 만족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동물원 사인시스템 디자인은 특수한 장소 환경적 수요로 인해 동물과 사람, 장소와 사람 간의 문제에 보다 더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세계의 수많은 선진국들에서 사인시스템 디자인이 크게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인본적인 수요를 중심으로 하는 디자인 이념에 있다. 사람들의 수요를 통해 공감을 얻고, 사람들의 삶 곳곳에 스며들 수 있으며, 사람들의 감정을 반영할 수 있는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와 오늘 날의 쌍방향성 디자인은 공감 디자인의 기본적인 필요조건이다. 공감 디자인은 이러한 측면에서 실제적인 관찰 및 문제 발견, 문제 해결 이렇게 단계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므로, 동물원 사인시스템 디자인의 우열이 동물원의 미래발전 추세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된다고 할 수 있다. Sign system design is used widely in modern society. When viewed from the construction aspect of sign system, sign system design represents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a region and is also utilized as a standard for measuring the level of civilization of that region. When viewed from a design aspect, sign system design can be interpreted as a kind of expression mode which represents the user"s demand. However, unlike the advanced countries where sign system design have long been applied in various fields, the concept of sign system design was introduced in China only recently. In terms of city construction, China is still relying only on sign system design of large cities and capital investment that wholesome facility construction works are not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compared to zoos in foreign countries, zoos in China still shows a huge gap in terms of utilizing in-depth design such as empathy design. Moreover, they significantly lack accurate analysis of user psychology with respect to elements such as the application of design psychology and diagram design of sign system design. Consequently, the effects of sign system are mostly not clear or, in the worst cases, nominal. First of all, outstanding zoo sign cases from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ere collected so as to analyze methods and application forms of empathy design in zoo sign system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and methods of empathy design in the sign system used in foreign countries and to discover ways to close the gap between zoo sign system in China and zoo sign design in advanced countries. Also, four types of design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zoo sign system were educed by analyzing the sign systems of excellent foreign zoos that are actually in operation from the viewpoint of empathy design. The four types of design elements are as follows: First, knowledge descriptive sign system allows the viewers to receive a lot of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showing. The Osnabrück Zoo applied the characteristic of leather inherent to each animal in the sign system. This application provides accurate direction guide and simultaneously conveys the contents of information in an eye-catching way, and also arouse emotional responses from the viewers. Second, direction guiding sign system, which mainly indicates directions using arrow signs, is faster than information descriptive sign system in terms of transmission speed. In America, the National Zoological Park in Washington use shapes of animal footprint instead of arrows to indicate direction. This application form reduces the sense of dis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animals through sign and arouse empathic sensation from the viewers. Formative arts sign system, which uses formative arts as signs, creatively expresses ways of indicating directions. For example, in the wildlife zoos along the Savannah tracks, signs applying the visual principles between the eyes and colors are used to bring the tourists more closer to the animals. Wild ecological sign system is usually applied in spaces combined with the nature. By using natural materials, the sign system is made to feel like a part of the nature. At Hanover Zoo, sustainable spaces are created using natural materials and these spaces satisfy the essential demands of humans with the viewpoint of the users. Zoos, in general, are important places where people spend their leisure time or come to see animals. The sign system in a zoo should be a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satisfying the demands of various groups of viewers. When designing a zoo sign system, great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roblems between animals and people as well as place and people due to the environmental demands of the special place. The reason sign system design developed remarkably in many advanced countries is because of their design philosophy centered on humanistic demands. The bas

      • KCI등재

        도시민과 이용객에게 편리한 Sign System 관한 연구 -화성행궁, 수원성을 중심으로-

        하용훈,여정식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4 No.2

        현대사회는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보기에 흉한 시설물들은 또 다른 도시의 시각적 공해요소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적 공해를 제거하기 위한 선결과제로는 상황에 맞는 시설물의 설계와 시공이 필요하고, 아울러 문화와 휴식공간의 확보가 우선이며 그러한 것들의 시각이미지 제안에 따르는 사인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도시의 팽창과 확대는 문화와 휴식공간의 두 가지 이점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부분적 발달을 유도한다. 이러한 차이를 줄이는 대안으로써의 전통문화 공간은 도시민에게 매우 중요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시각정보 전달매체인 Sign System은 도시를 효율적이고 체계가 잡혀 있는 유기적인 형태를 만들어 주기도 하지만, 반대로 도시를 더 복잡하고 혼란스럽게 만들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활성화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필요하며, 그 대안으로써 효과적인 Sign System의 정비를 통해 도시민의 편리뿐만 아니라 관광객에게 지역과 도시를 인상 깊게 각인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따라서 기능적인 면에서 체계가 잘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도시의 문화도 잘 반영된 미적 아름다움까지 갖추어야 하는 만큼 기존의 전통문화 공간 Sign System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대안을 찾고자 한다. The public design has been emphasized in the modern society with the ugly buildings and structures being the visual pollutants in cities. It is required to secure the cultural and resting place before everything and to design and construct the suitable structures in order to remove such visual pollutants.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sign system as per the visual image proposal. The expansion of cities has failed to meet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that is, the cultural and resting place, and just induced partial development only. As an alternative to close such a gap, the traditional, cultural place ha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for the city residents. As the visual information medium in the communication society, the sign system makes the cities more organically effective and systematic but may worsen confusion and complication in cit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try to find new way to activate the sign system by effectively improving it for city residents' convenience. If it is successful, the tourists will be deeply moved the during their stay there. In this stud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look into the problem with the sign system in the traditional cultural place in order to find the solution, as it should be equipped with the aesthetic beauty with the reflection of the culture of the city while functionally and systematically available.

      • KCI등재

        인천광역시 통합사인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김영희 ( Kim Young-h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사인디자인은 공간과 시설 속에서 사람을 안전하게 맞이하는 것으로 도시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문화 수단이다. 또한 사인계획디자인은 사인을 체계적으로 실행해가는 것으로 도시의 공간을 아름답고 쾌적한 환경으로 만들어가는 디자인 이다. 최근 인천은 다양한 국제행사 및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같은 신도시개발로 사인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활발해 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사인디자인을 보다 계획적이고 디자인적인 접근으로 도시환경과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즉 사인디자인의 원리를 통해 일정이상의 형태와 구성으로 표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인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디자인적 요소(문자, 색채, 픽토그램)의 연구와, 국제화 고령화 시대를 대비한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의 도입 등 이다. 그리고 국내외 사인디자인 현황조사 및 분석 등으로 선 개발된 활용사례를 소개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사내용을 종합 분석하여 인천광역시 통합사인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사인계획의 중요성과 그 방안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려 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누구에게나 편리한 사인으로, 나아가 외국인에게는 도시의 정보를 안전하고 알기 쉽게 제공하여 긍정적인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기여코자 하였다. 또한 국제도시 인천광역시 도시정체성 확립과 도시공간에 생명을 불어 넣게 되기를 희망한다. "The twenty-first century is the period of culture. Sign design is an important cultural method which express the identity of city that accommodate people safely in the space and facility. Also, Sign System Design executes sign systematically that makes beautiful and pleasant environment of urban space. Currently, the importance of necessity is required of Sign System Design of Incheon due to various international events and new urban project of Incheon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This study approaches the sign design of Incheon Metropolitan systematic and design method which improves urban environment and quality of citizens` life. Thus, the expression could be possible by some feature and composition through the principles of sign design. Definitely, the study of theoretical examination and design element of letters, color, pictogram, and the introduction of Universal Design for international aging period. And I introduced predeveloped utilizing cases by foreign and domestic sign design current investigation and analysis. In addition, I suggest the necessity of Incheon Metropolitan Unified Sign System Design structuring by comprehensive analysis of investigating contents, and I try to suggest basic materials on the importance and method of Sign System.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make the positive urban image with safe and easy way for foreigners. I hope this Sign System Design will contribute the urban identity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Incheon Metropolitan, and inspire lively spirit of urban space."

      • KCI등재

        지역이미지 통합과 축제 활성화를 위한 인천시 부평로의 사인시스템 디자인개발

        고영준(Ko, Young Jun),김미연(Kim, Mi Yeon) 韓國商品學會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1

        오늘날 사람들의 욕구가 훨씬 다양화, 고도화되고, 세계화의 영향으로 외국인들의 거주 및 왕래가 잦아짐으로써 기존 사인시스템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지역에서 열리는 축제를 포함한 지역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지역을 방문하는 다양한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인시스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시 부평구의 상징도로인 부평로 가로환경을 개선하고 부평구의 대표적인 거리축제인 풍물축제를 활성화하기위한 방안의 하나로 부평로의 종합안내사인, 방향유도사인, 관광안내사인을 디자인개발하기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해 첫째, 사인시스템의 종류 및 특성과 지역이미지 통합과 축제 활성화를 위한 사인시스템의 역할에 대해 문헌 고찰하였다. 둘째, 사인시스템개발에 필요한 대상지의 지역적 특성 파악을 위해 부평구의 현황, 그리고 부평구의 지역이미지 및 부평로에서 매년 개최되는 거리축제인 풍물축제를 조사하였다. 셋째, 사인시스템디자인개발을 위한 디자인요소 추출을 위해 일본 도쿄의 록본기힐,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지역의 사인시스템을 실태 조사하였고 부평로에 설치되어 있는 사인시스템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적 특성과 부평로를 이용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니즈 등을 고려하면서 종합안내사인, 방향유도사인, 관광안내사인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Considering diversified people's needs and increasing number of foreigners who visit and reside in the country under globalization trend, changes of existing signs are required. Especially, facing the local autonomy perio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ign system which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elps a variety of visitors to use it convenient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general information sign', 'direction sign' and 'tourist information sign' to improve the street environment of Bupyong-ro which is a symbolic road of Bupyong District, Inchon and revitalize Pungmul Festival which is the representative street festival. For the research, the first, literature study was carried out over the characteristics of signs and the role of sign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regional images and the revitalization of festivals. The second, in order to identify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urrent situation of Bupyong District, the images of Bupyong District and Pungmul Festival were analyzed. The third, a field study to draw design elements of signs was conducted for sign systems in Rokponggi Hill of Tokyo and Minatomira of Yokohama, Japan as well as an existing sign system in Bupyong-ro. As a result of synthesis of the analysis, its design directions were formulated. Finally, three types of sign designs which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various people's needs were proposed.

      • KCI등재

        사인(SIGN)시스템에 따른 소비자 방문 유도 및 시각인지 향상에 관한 연구

        신재욱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Getting into the 21st century, technologies and media have been developed rapidly. In this process, much information has been shared and technologies have been standardized. With cutthroat competition, corporations have strategically developed a sign system as their media crucial to forming customers' favorable emotion or stimulating them. A sign system has contributed increase of commercial sale and revenue and has been used as an exemplary means for expressing a corpor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secure competitiveness through analysis on efficient sign system, form differentiated good feeling from consumers and increase the number of visit to stores.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which elements induce visit of consumers and have many influence on visual cognition in consumers' seeing and feeling a sing system. As a methodology of study, this study composes of case study, literature study and precedent study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Next, this study analyzed which process of visual cognition will be conducted by a consumer seeing a sign system.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marketing activities of corporations by identifying the element for improving visual cognition and identifying the element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consumer visits through an analysis on a sign system. 21세기로 접어들면서 빠른 속도로 기술과 미디어가 발달 하였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정보가 공유되고 기술의 평준화가 이루어졌다. 경쟁이 치열해지고 기업은 소비자들에게 호의적 감정을 형성하거나 자극하는데 중요한 매개체로 사인(SIGN)시스템을 전략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사인(SIGN)시스템은 상업적 매출, 수익 증가에 기여하며, 기업을 표현하는데, 가장 대표적 수단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따라서 효율적인 사인(SIGN)시스템 분석을 통한 경쟁력 확보 및 차별화된 소비자의 호감도 형성, 그로 인한 매장 방문 횟수를 높일 필요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가 사인(SIGN)시스템을 보고 느끼는데, 어떠한 요소가 방문을 유도하고, 시각적으로 인지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사례연구와 문헌연구, 선행연구로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다. 그 다음 사인(SIGN)시스템을 바라보는 소비자가 어떠한 시각인지과정을 거치는지 SPSS18.0프로그램을 통하여 설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언어적 소구유형의 사인이 문자 언어적 소구유형의 사인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소비자들의 방문유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사인(SIGN)시스템 분석으로 시각인지 향상 요인을 찾아내고 소비자 방문 횟수가 증가되는 요소를 살펴봄으로써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도움이 되는데 있다.

      • KCI등재

        광주광역시 도시 철도역 사인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양근영(Yang, Keunyoung),백진경(Paik, Jinky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1

        연구배경 오늘날 우리는 공공시설 내에 접하고 있는 공간의 위치를 탐색하고 파악하거나, 목적하는 공간의 방향을 확인할 때, 사인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정보를 얻고 있다. 현재 광주광역시의 최대 관심 사업이었던 도시철도 2호선이 16년간 정부와 지자체 협의 가운데 어렵게 진행되었다. 이제 1호선과의 연결 시스템 문제와 각종 이용 설비 디자인에 대한 치밀한 연구와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도시 철도 역내에서 사인시스템이 갖는 편익과 안전의 중요성이 더욱 가속화되고 이와 관련된 디자인 개선이 시급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방법으로 첫째, 도시철도 사인시스템의 이론적 고찰로서 사인시스템의 일반적 의미와 사인현황 그리고 광주도시철도 현황에 대하여 알아본다. 둘째, 광주광역시 도시철도역에서 대표 상권이며 앞으로 환승역(상무역, 남광주역, 금남로4가역)에 대한 디자인 현황조사와 일본의 대표 도시철도역의 사례에 대하여 알아보고, 셋째, 사인의 사용실태 및 문제점 조사를 진행하여 앞으로 도시철도역 디자인 개선 방향에 대하여 알아본다. 연구결과 조사결과 안내사인의 주요 폰트는 주로 중앙정렬로 되어 있으며, 유도 사인은 앞/뒤 정렬로 되어 있다. 폰트 색상은 이용자에게 잘 보이기 위하여 배경은 흰색과 문자는 진한 검은색으로 제작되어 있다. 유도 사인은 반대로 문자색은 흰색과 배경색은 회색으로 제작되어 있다. 사인에 대한 사용자 실태 조사결과 역의 종합적인 인상에서 1호선이 아직까지는 혼잡하지 않아 큰 불편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내판의 이용정도와 관련하여 일반 사용자에 비해 고령자, 외국인 등의 교통약자가 일반인에 비해 안내사인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현재 광주광역시 안내 사인시스템은 20년 전 설계한 것으로 무엇보다 시급한 사인시스템정비가 필요하다. 더욱이 기존 1호선 사인시스템과 새롭게 제작될 2호선 사인시스템이 원활하게 연결되어 이용자 오류를 낮추어야 한다. 사인시스템 사용에 있어서 길을 찾는 데 불편함이 없고, 안전을 확보하고 위험으로부터 벗어 날 수 있는 각종 사인시스템이 될 수 있도록 디자인이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oday we are getting information effectively through sign when we explore and understand the location of the space we encounter in public facilities, we look at the direction of the space that we aim for. The city rail line No. 2, which has been the most interesting project for the metropolitan city of Gwangju, has been difficult to carry out for 16 years amid consultations betwee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Now, detailed research and improvement on the problems of line 1 and connection systems and the design of various use facilities are required. The benefits and safety of the sign system in the urban railway area are further accelerated and related design improvements are urgently needed. Methods The first research method is to find out the general meaning of the sign system, sign statu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Gwangju Metropolitan Railway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city railway sign system. The second method of research is a study on the status of urban railway station(Sangmoo Station, Namkwangju Station, Geumnam-ro 4-ga Station) in Gwangju City. The third research method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signs and problems to find out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design improvement. Result As a result of the status survey, the fonts of guide signs are usually center aligned, and the guide signs are front and back aligned. The font color is made of white background and dark black letters to make it look good to users. On the other hand, the guided signs are made of white letters and gray colors. A comprehensive survey of sign shows that Line 1 is not congested and that users are not inconvenienc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portation vulnerabilities of the elders, foreigners, etc. are more dependent on guide signs than the general user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use of signboards. Conclusion Currently, the guide sign system in Gwangju was designed 20 years ago, and it needs more urgent maintenance than anything else. Moreover, errors should be lowered by the existing Line 1 sign system and Line 2 sign system to be newly manufactured. t will have to be designed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finding a way in using the sign system, and it will be a variety of guiding signs to ensure safety and escape danger.

      • KCI등재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사인시스템 개발연구

        정석영(Suk Young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1

        버스터미널은 많은 사람들이 왕래가 빈번하며, 그 지역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터미널의 이미지는 그 지역의 이미지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을것이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의 경우 서울의 많은 버스터미널 중에서도 서울의 대표적인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곳의 경우 서울과 지방 사람이외에도 수많은 외국인의 왕래도 잦은 곳이다. 그러나 그러한 중요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이곳을 찾는 방문객이 방문 시 목적지를 현재의 사인시스템으로는 쉽게 인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사인시스템에 서울고속버스터미널만의 아이덴티티(Identity)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이처럼 현재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의 사인시스템의 목적 및 기능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방문객 모두가 편하고 서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방문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내·외의 교통의 요지 및 디자인적인 완성도가 높은 터미널의 사인시스템을 조사하였으며, 사인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논문과 문헌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관련기관의 자료를 참조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방문조사결과 연구대상을 출입구 사인시스템, 매표소 사인시스템, 승차장 사인시스템으로 정하여 진행하였다. 이는 방문객이 승차하는데 필요한 동선을 기준으로 정하였다. 또한 각 지역의 자치행정구역의 고유색을 찾아 서울, 충청/강원, 호남, 영남의 고유색을 부여하여 방문객이 쉽게 목적지를 구분할 수 있게 하였으며, 서울의 상징이미지인 해치를 적용하여 서울고속버스터미널만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서울을 찾는 많은 방문객에게 서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하며, 서울에 대한 이미지 개선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In a bus terminal, there are frequent comings and goings of people, so it can be called as a gateway to its region. Therefore, the image of the bus terminal can represent that of its region.Seoul Express Bus Terminal is a representative icon of Seoul among many other bus terminals. A large number of foreigners visit here frequently as people of Seoul and other local people do. Although it has an important function, which helps visitors to recognize their destination, it is not easy to find out the destination at this present sign system. The sign system can not express the original identity of Seoul Express Bus Terminal, either. By grasping the functional problems as well as purposes of its sign system,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ign system can reinforce a positive image of Seoul and also provide visitors with convenience. This study was performed through site visit to identify problems. And domestic and oversea transportation hubs and terminal sign system with best quality design were investigated. Research papers and literature related to sign systems, and materials of relevant authorities through the internet were also referred for this study. The study is conducted by on-the-spot surveys and references to theses, documents and resources related institutions. Under the on-the-spot surveys, the objects in the study are like this: an entrance sign system, a ticket office sign system and a platform sign system. These objects are based on how passengers move until they get on the bus. In this study, the own local colors are given to Seoul, Chungcheong/Gangwon, Honam, Youngam provinces following each color of a self-governing administration so that visitors can identify their destination easily. Using Haechi, the symbol of Seoul, the original identity of Seoul Express Bus Terminal is characterized also. Such changes in Seoul Express Bus terminal can lead visitors to have a positive image toward Seoul and improve its image.

      • KCI등재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남현우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3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ign system framework that can efficiently access events such as exhibitions, education, performances, and festivals by curators and researchers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signing system, the need to redefine functional spaces, and the importance of setting guidelines. Therefore, previous studies on the sign-in system available in the museum, field inspection, and target group interview (FGI)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vious studies on the museum sign system and the sign system of domestic museum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Second, the importance of basic, core facilities, and auxiliary facilities was presented to establish the name and function of the museum space. Third, to propose the museum sign system framework, we proposed the direction of four guidelines: location, installation, marking element, form and structure, and tone and manner, focusing on guide, descriptor, regulatory sign, guide sign, and decorative sign. Fourth,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ign system was proposed to the museum. This study can bring about the improvement of exhibition and educational services and the increase of promotion in terms of museums, curators, researchers, and design. 본 연구는 뮤지엄에서 발생되는 사인시스템의 문제점, 기능공간의 재정립 필요성, 가이드라인 설정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학예사 및 연구사의 전시 및 교육, 공연, 축제 등의 이벤트를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사인 시스템의 프레임워크를 설정하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뮤지엄에서 활용 가능한 사인시스템에 대한 선행연구, 현장실사, 표적집단면접법(FGI)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엄 사인시스템의 선행연구와 국내 뮤지엄의 사인시스템을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뮤지엄 공간 명칭 및 기능 정립을 위하여 기본, 핵심시설, 부대시설의 중요도를 제시하였다. 셋째,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기 위하여, 안내사인, 설명사인, 규제사인, 유도사인, 기명사인, 장식사인을 중심으로 위치와 설치, 표기요소, 형태와 구조, 톤앤매너의 4가지 가이드라인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넷째, 뮤지엄에 사인시스템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뮤지엄, 학예사, 과학연구사, 디자인 측면에서 전시 및 교육 서비스 향상과 프로모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