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밀로셰비치의 장례식과 세르비아 집단 희생자의식

        Seung Eun Oh 문화사학회 2011 역사와 문화 Vol.22 No.-

        The present paper intends to study the self-perception of collective victimhood of Serbs, by looking into the funeral of Slobodan Milošević, former President of Serbia and Yugoslavia, held on 18 March 2006. Milošević died of heart attack in a prison cell at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former Yugoslavia(ICTY) at The Hague on 11 March. The funeral of the former president served as a good occasion to understand political developments in the post-Milošević Serbia. Various controversies surrounding his funeral, from the cause of his death to his burial place, graphically demonstrated that Serbia was placed at a crossroad between old and conservative Serbia and new and more progressive Serbia. Thereby it was clearly shown that Serbia was divided by those who would consider Milošević as hero and those who as traitor. However, it should be mentioned that beneath the surface of the controversies and conflicts laid bare a general perception of Serbs which considered the former president as victim. The majority of Serbs appeared to consider him as the victim of western powers and later the ICTY. This phenomenon is closely linked with the self-perception of Serbs as a nation. From the mid 1980s, especially with Milošević coming to power, collective consciousness of victimhood has been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Serbs are loomed as a victim of big powers and history. There was a non-verbally delivered message that Serbs would be persecuted just because they wanted to live under the same roof of one country. This perception was developed and grew strong despite the fact that Serbia was not so much of a defender than an attacker in the context of the war of Yugoslavia’s dismantling. The funeral once again confirmed that the self-perceived collective victimhood of Serbs continued into post-Milošević Serbia. The implications from the funeral is that coming to terms with the past remains more of a task to complete that completed in Serbia.

      • KCI등재

        세르비아의 정치경제와 ODA관련 정책

        안성호(Ahn, Sung H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7 No.-

        2013년4월19일 세르비아와 코소보정상회담이후 6월 코소보독립에 대한 합의를 보면서 세르비아가 2014년 1월1일로 EU 가입의 전망이 밝아졌다. OECD/DAC, EU의 ODA는 코소보와 세르비아간 민족분쟁으로 인하여 정책환경이 부재하거나 제 기능이 발휘되지 못한 국가들에게는 그들이 분쟁에서 벗어날 수 있는 외부적 지원이 강화하고 분쟁 이후에도 이러한 국가가 처한 현실을 경감시킬 수 있는 긴요한 원조를 필요로 한다. OECD/DAC, EU 그리고 UN은 개발협력에 대한 평가와 대다수 개도국들의 절박한 경제사회의 현실을 직시하고, 변화하는 세계화 시대에 심화되는 상호의존성 및 동반자의식을 감안한 범지구적 국제협력의 시급성과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있다. 정치경제학적으로도 원조 공여국은 원조기구를 통해서도 수원국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발칸지역의 세르비아에 대한 OECD/DAC와 EU의 ODA 정책을 중심으로 상호 원조개발문제에 있어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분석 정리하였다. 세르비아는 EU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그동안의 민족분규에 따른 부정적 이미지를 축소하고 EU 가입목표를 향해 ODA 정책을 수립하고 동유럽 발칸지역 주변국가와의 협력을 통하여 적극적인 시장개척을 위한 기반 조성을 해야함을 강조하였다. 아직은 세르비아가 EU 가입국가가 아니며 정치경제적으로도 과도기에 있어 EU를 비롯한 국제기구와 유럽선진국의 대 세르비아 ODA 정책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EU, OECD, UN 등 국제기구 회원국 중 OECD DAC 회원국의 ODA원조는 각각 수원국가를 중심으로 협력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EU의 가입기준,OECD/DAC, 각국의 ODA 기준 등이 유사한 목표를 갖고 있으며 이는 공여국과 수원국 간의 글로벌한 협력을 추진함에 있어 하나의 기준이 되고 있다. 앞으로 EU 를 중심으로 한 유럽선진국가들은 세르비아를 비롯하여 동유럽국가에대한 ODA 정책에 더 많은 관심을 갖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Recently solving ideas of Kosovo ethnicity and the Serbia's politics and economy are focused on decision of Kosovo which is independence of Kosovo or taking part in Serbia federation with interests of EU and NATO. On April 19, 2013, Serbian and Kosovo PM's, Ivica Dacic and Hashim Thaci, has reached agreement on normalization of relationship. Agreement was reached in Brussels on conditions that Serbia will not interrupt the EU integration of Kosovo, and that the Government of Kosovo will guar-antee certain level of autonomy in judiciary and police, in predominately Serbian northern part of Kosovo. The European Commission has proposed the negotiation on EU accession. If the date for the accession talks would be approved by the end of the June 2013, on EU high-level conference, Serbia will start EU integration process from January 2014. Criteria of the Balkans' impotance in the history of Europe are solving Kosovo ethnicity through peaceful and democratic methods. Serbia political economy as a whole,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project will contribute to better mutual understanding among the participant countries. ODA of OECD/DAC & EU are the model of politics, economy, history and culture all over the world.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How much the Serbia's decision have a international meaning for the solution of the Kosovo's problem.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about the aspects and the efforts of EU & OECD/DAC, and I will explain about the historical contents on the Serbia's ODA policy and role.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 major factors on the ODA related Serbia's political economy and the future of the Balkans.

      • KCI등재

        세르비아의 한류 현상 분석 - 10, 20대의 케이팝을 중심으로 -

        염정은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tatues of a Korean Wave called ‘Hallyu’ a phenomenon seen in Serbia. The Korean Wave refers to the global popularity of Korean culture including K-pop music, and K-dramas. The Korean Wave in Eastern Europe has boomed in the mid-2000s around Hungary and Rumania, later spreading to Serbia. This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of the influx and popularity factors that influenced the Korean Wave in Serbia. The study interviewed 43 Serbians and this study shows that people started enjoying Korean culture, especially K-Pop from 2017. After encountering the Korean culture through social media, they spread it by sharing it with people around them such as family and friends. Their interest in K-pop expanded from Korea’s overall culture such as TV drama, movies, food, traditional culture. etc. However, generally the Korean wave is still unfamiliar in Serbia. The popularity factors can be summarized as novelty, perfection, and communication. They highly praised it for its ‘novelty’ as it’s different from Serbian culture. Also, performers work hard to achieve‘perfection’ and they have warm and sincere ‘communication’ with fans.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fu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paper regarding the Korean Wave in Serbia. It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and spreading the Korean Wave and it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on the Korean Wave in Serbia.

      • KCI등재

        세르비아의 EU 가입 과정과 주요 장애물에 관한 연구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5 EU연구 Vol.- No.41

        여러 경제 위기와 역내 다양한 갈등 속에서도 EU는 동유럽으로의 확장을 지속하여 왔다. 그 결과 2013년 7월 크로아티아의 EU 가입에 따른 6차 확대로 현재 총 28개 회원국을 보유하게 되었다. 오늘날 유럽의 여러 국가들 중 EU 비회원국은 서부 발칸(Western Balkan)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부 발칸국가들 중 EU 가입 대상의 가장 모범적인 국가인 세르비아를 중심으로, EU 가입 과정과 현황 그리고 여러 장애물들을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제2장에서는 서부 발칸 국가들의 EU 가입 노력과 현황들을 소개할 것이며, 제3장에서는 세르비아의 EU 가입 과정과 현황들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세르비아의 EU 가입의 주요 장애물들을 크게 세 가지 요소로 나누어 이를 분석하고 그 전략을 논하게 될 것이다; 첫째, 공기업의 민영화와 경제 개혁, 둘째, 코소보 평화 정착과 미래, 셋째, EU와 러시아 사이에서의 선택과 전략. Despite the various economic crisis and regional conflicts, the EU has to continue expansion into Eastern Europe. As a result, in July 2013, Croatia became a new member of the EU according to the sixth enlargement of the EU. Now the EU holds a total of 28 member states. Today, EU non-member countries among several countries in Europe are concentrated in the Western Balkan region. Serbia is most exemplary country for the EU membership among the Western Balkan countries. In this study, I analyze EU accession process and status of Serbia, expecially it's main obstacles.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I introduce the EU accession efforts and status of the Western Balkan countries. And in the third chapter, I study for the EU accession process and the status of Serbia. In the fourth chapter, I analyze largely split into three factors the main obstacles to Serbia's EU accession, and discuss its strategy; first is the privatization and economic reform, second is the peace and future of Kosovo, and third is the choice and strategy of Serbia between the EU and Russia

      • KCI등재

        세르비아니즘과 몬테네그로 독립문제

        김철민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6 국제지역연구 Vol.15 No.1

        Montenegro(Crna Gora) is a small country in South-Eastern Europe which has a population of about 620,000(2003), and the territorial expanse of 13,812 square kilometers. Montenegro, after having made a joint agreement in March 2003, forms a Federation with Serbia. The main contents of the join agreement are as follows; First, Serbia and Montenegro will keep the federation governments for 3 more years. Second, Montenegro has to make a decision on their independence through a referendum. Third, the new country should be named ‘Federation of Serbia- Montenegro Republics.' This study will discuss historical reasons and significance that may underlie the independence Montenegro is trying to gain from Serbia in terms of Serbianism. Chapter II observes how Serbianism has developed and affected problems of Montenegro's independence. This will be the bases of discussion in Chapters III and IV, where I will analyze historical disputes and national conflicts over the issue of national identity between Montenegro and Serbia. These Chapters in particular will examine the processes of Montenegro's independence that was initiated in 1999, and the relevant details. Also, I will analyze Montenegro's present situation and the future prospects for its independence. Finally in Chapter V, I will summarize the significance of Serbianism in the regions of Former Yugoslavia an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Montenegro's independence.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유고슬라비아 지역은 수차례의 민족 간 갈등과 분쟁의 아픔을 겪어왔다. 그러한 갈등과 분쟁의 요인 중에는 중세 세르비아 왕국의 영토 확대에 기초한 세르비아니즘이 주요한 자리를 차지하여 왔었다. 발칸유럽은 21세기 현재까지도 세르비아니즘의 그늘과 어두움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1999년 이후로 불거져 나오기 시작한 ‘몬테네그로 독립문제’라 말할 수 있다. 1992년 4월 유고슬라비아의 구성 공화국중 하나로 세르비아와 같이 연방을 구성하였던 몬테네그로는, 보스니아 내전과 코소보 전쟁을 겪은 이후 21세기 현재 세르비아의 그늘로부터 벗어나 독립을 추진해 나가려는 움직임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몬테네그로 독립문제는 잠시 수면에 가라앉아 있던 코소보와 마케도니아 그리고 보스니아내 민족문제의 부활을 예고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발칸유럽내 민족간 분쟁의 재현 가능성을 확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배경을 바탕으로 몬테네그로 독립문제와 세르비아니즘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종교와 언어 독립을 통한 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확립 연구

        권혁재(Hyok Jae 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4 동유럽발칸연구 Vol.38 No.5

        몬테네그로는 발칸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공화국중 가장 작은 공화국이며, 세르비아와 역사적으로 항상 같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공화국이다. 몬테네그로는 구유고연방의 해체 시기에도 마지막까지 세르비아와 연방을 함께 구성하였으며 다른 공화국의 독립과 달리 세르비아와 평화로운 해체와 독립을 이루었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를 민족적으로 다른 민족으로 구분하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이다. 역사적, 문화적, 종교적으로 몬테네그로는 항상 세르비아와 함께했으며 현재도 두 국가의 일반 민중은 서로가 다른 민족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세르비아인에게 몬테네그로인은 세르비아 방언을 쓰고, 세르비아 정교를 믿는 지역적으로 몬테네그로 지역에 거주하는 또 다른 세르비아인일 뿐이다. 일반 몬테네그로 민중 또한 자신들의 언어는 세르비아어이고, 종교는 세르비아 정교라 답하고 있다. 일부는 자신들을 민족적으로 세르비아인이라 답하기도 한다. 그러나 2006년 독립과 함께 몬테네그로 민족주의 엘리트 집단은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와 차별화되는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는 독자적인 민족임을 내세우고 있다. 몬테네그로 민중이 가장 정체성의 혼란을 격고 있는 것이 세르비아와 차별화하기 어려운 언어와 종교의 문제이다. 언어와 종교의 차별성은 발칸지역에서 민족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몬테네그로는 민족 정체성의 혼란과 세르비아와의 차별성 문제에 대한 해법을 종교독립과 언어독립에서 찾고자 한다. 이 연구는 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문제를 종교와 언어 문제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고, 현재 몬테네그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언어와 종교의 독립을 통한 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확립 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해 보았다. Montenegro was the smallest republic among the republics in the Balkans and in particular, it was always together with Serbia historically. Montenegro and Serbia formed a federation after the breakup of Yugoslavia and different from the independence of other republics, the isolation and independence from Serbia were peaceful. It is controversial to distinguish Serbia and Montenegro as different ethnic groups. Montenegro was always together with Serbia in history, culture, and religion and the people of both nations do not clearly see themselves ethnic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Serbians, the people of Montenegro are just another Serbian using Serbian dialects, following Serbian Orthodox Church, and geographically living in the regions of Montenegro. General people of Montenegro also say the Serbian as their language and the Serbian Orthodox Church as their religion. Some people even consider them ethnically Serbian. However, Nationalist elite group of Montenegro asserts that Montenegro is ethnically independent having its own history and culture differentiated from Serbia’s. The core of their nationalistic movement is the independence of the religion and language with which the people of Montenegro mostly confused about their identity. This study organiz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thnic identity confusion of the general people of Montenegro focusing on the issues in religion and language. It also organized and objectively evaluated the issues of the ethnic identity establishment through the independence of its language and religion currently pursued by the Montenegro government.

      • 코소보-세르비아 관계 정상화를 위한 EU의 역할과 한계: ‘유럽화’에서 ‘발칸화’로

        윤성욱 ( Sungwook Yoon ) 한국유라시아학회 2023 세계와 유라시아 Vol.1 No.2

        본 연구는 EU가 세르비아와 코소보의 ‘유럽화’, 다시 말해 EU 회원국으로 가입을 희망한다는 사실을 협상의 레버리지로 활용하여 양측의 관계 정상화를 시도해 왔으나 이러한 EU의 역할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코소보 전쟁 이후 발칸 반도에 불안정한 평화가 조성되었지만 2008년 코소보의 독립 선언으로 세르비아와 코소보 간 갈등은 언제든지 다시 폭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이에 EU는 2011년 세르비아와 코소보 간 관계 정상화를 위한 대화를 중재하여 왔고, 2023년 2월 EU 중재안에 대한 양측의 합의를 이끌어냈다. 그러나 중재안 이행을 위한 세부 사항에 대한 합의 도출에 실패하면서 협상의 촉진자로서 EU의 역할에 대한 비판도 점차 커지고 있다. 양측 간 갈등의 근본적인 문제는 민족주의적 갈등이며, 세르비아와 코소보가 인식하는 ‘관계 정상화’는 그 인식 자체에 차이가 있음에 EU의 ‘유럽화’ 전략은 그 한계가 명확하다. 오히려 2022년 말 양측간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세르비아와 코소보 문제는 또다시 ‘발칸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발칸 반도에서 갈등의 재점화가 EU에게 직접적 안보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발칸 반도에서 양측간 갈등의 종식과 궁극적으로 평화 정착은 EU 안보의 측면에서 필수적인 사안이다. 그럼에도 양측간 관계 정상화가 ‘재 발칸화’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EU의 역할과 역량이 제한적이라는 점은 EU가 안고 있는 고민임이 틀림없다.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EU’s role in normalising the relations between Serbia and Kosovo by utilising their intention of joining the EU, that is, ‘Europeanisation’ as a leverage is limited. The conflict between Kosovo and Serbia has been likely to explode at any time particularly after Kosovo’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2008, even though unstable peace has been established in Balkan Peninsula after the Kosovo war. The EU has stepped in to mediate for normalisation of their relations since 2011, and two sides have tentatively agreed on a proposed EU’s plan on February 2023. However, Kosovo and Serbia failed to reach a final deal on an annex on implementing the plan, which makes the EU’s role as a facilitator in this negotiation have come under stronger criticism. This shows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ir conflict is nationalist conflict; furthermore, the EU’s strategy of ‘Europeanisation’ has it clear limitation, in that two sides have distinctinve difference in their recognition of ‘normalisation of relations’. In fact, the Kosovo-Serbia problem tends to be re-Balkanised as their conflict was intensified in the late 2022. Having considered re-ignition of conflict in the Balkan Peninsula can be a direct threat to the EU’s security, an end of conflict and the establishment of peace in this region is essential for the EU. Nevertheless, ‘re-Balkanisation’ of normalisation of their relations and the EU’s limited role and capabilities for its solution are the EU’s concern.

      • KCI등재

        Common Histories, Constructed Identitie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Rebranding of Serbia

        Aleksandra Terzić,Željko Bjeljac,Nevena Ćurčić 국립민속박물관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0 No.-

        Even though Serbia is especially rich in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nd folklore, there is still no established register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Serbia that could evaluateparticular elements of folk heritage. The ethnographicheritage of Serbia is rich in spiritual values related tocustoms, celebrations, music, song, dance, stories andlegends, and this type of heritage is presented throughnumerous festivals, gatherings and tourist events. TheNetwork for the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Heritage was formed in 2012. Of the twenty-sevenproposals submitted, six representative elements of ICHthat reflect the ethnic cultural identity of the Serbiannation were initially chosen: the feasts for patron-saints,the St. George's Day ritual, a folklore dance called kolo,singing with the gusle, flute playing and rug making inPirot. These elem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crea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have the potential tobecome significant for tourism in Serbia. In this study,some of the elements proposed for the UNESCO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described, and their importance for the cultural identity ofthe Serbian people is explained.

      • 세르비아 시각에서 바라 본 코소보(Kosovo)

        김철민(Kim, Chul-M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9 동유럽발칸학 Vol.11 No.2

        21세기 현재 코소보(Kosovo)는 동유럽내 대표적인 민족분쟁 지역이자, 국제 사회의 관심 지역이라 할 수 있다. 2008 년2 월18 일,코소보(Kosovo)내 알바니아계의 하심 타치(Hasim TaCij)총리가 세르비아로부터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선포하였지만, 국제사회는 아직까지도 코소보의 미래를 둘러싼 논의에서 그 해결점을 찾지 못한 채, 오히려 과거 냉전 때와 같은 심각한 분열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을 비롯해 서구의 상당 국가들이 UN등 국제 사회가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데 반해, 당사자인 세르비아는 물론 러시아와 중국 그리고 소수 민족문제를 안고 있는 세계 여러 국가들은 코소보의 독립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세르비아의 시각을 통한 코소보 독립의 의미 그리고 코소보 평화협정인 ‘SCR 1244 결의’ 내용과 이행 현황을 분석하자 한다. 우선 제 2장에서는 그 동안 코소보 민족 문제의 해결을 위해 국제 사회가 어떠한 노력을 했는지, 그리고 국제사적시각에서 본 코소보 문제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소개하게 될 것이다 제 3 장에서는 코소보 민족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다 양한 노력들과 더불어 ‘SCR 1244 ’로 대변되는 코소보 평화 협정 수립에 대한 세르비아 시각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 이 장에서는 나는 코소보 평화 협정인 ‘SCR 1244 ’의 내용과 그 이행 현황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분류할 것이다, 첫째, 코소보 문제에 대한 국제 사회 개입의 정당성 문제, 둘째, 평화 정착을 위한 정치적 해결 문제,그리고 셋째, 코소보 최종 지위에 관한 문제.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본문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코소보 민족 문제에 대한 국제사적 의미와 코소보 평화 협정에 대한 세르비아의 시각을 다시한 번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의 국제 질서 속에서 향후 코소보의 미래와 그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21st Century, Kosovo is not only an area of important national conflict in Eastern Europe, but it is also an area of international interest in the world. Although Hasm TaCij, the current Prime minister of Kosovo, proclaimed the independence of Kosovo from Serbia on February 18, 2008, there has been little international effort to deal with the situation in Kosovo If anything, it is looking similar to the types of divisions the world witnessed during the Cold War. The U.S. is demanding that other nations as well as the UN recognize Kosovo’s independence. On the contrary, Serbia along with the Russia and China and many other countries, which are having problems with minority populations, are now resisting any attempt to recognize Kosovo’s independence.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the significance of Kosovo’s independence, and the contents and present situation of the Kosovo’s Peace Agreement (SCR 1244) from the point of view of Serbia. In chapter II, I will explain the extent to whic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working to resolve the question of Kosovo’s sovereignty and introduce the meaning of the question of Kosovo through the view point of international history. In chapter III, I will analyze the Serbian view point of the Kosovo Peace Agreement (SCR 1244) with the various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solve the question of Kosovo sovereignty. Especially, in this chapter, I will explain the content and present situation of the Kosovo’s Peace Agreement concerning the following classifications: 1) the justness of international society's intervention; 2) the political solution for peaceful settlement in Kosovo; and 3) the final status of Kosovo. Finally, in chapter IV, I will further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international history in the question of the sovereignty of Kosovo and the Kosovo Peace Agree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Serbia. In addition, I will examine Kosovo’s future and its significance in today’s international order.

      • KCI등재

        Serbia’s delayed transformation

        Branislav Radeljić(브라니슬라브 라델리취)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7 동유럽발칸연구 Vol.41 No.1

        본 논문은 세르비아의 문제가 많은 변화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민주당이 이끈 정부가 (주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기관들로 인하여) 여러 범위에 걸친 문제를 해결하고 세르비아의 미래를 강화하기에는 무능력했으며 이러한 점이 해로웠다는 것이 2012년 선거에서증명되었다. 그 결과로, 세르비아의 진보당이 정치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진보당의 선거공약은 곧 버려지며기존의 문제 접근법을 반 권위적으로 보이게 만들었다. 마찬가지로염려되는 것은 서구가 이러한 경향을 비판하기 꺼려한다는 점인데,이는 세르비아뿐만 아니라 더 넓은 서쪽 발칸 지역의 민주주의 증진에 대해 진정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의심하게 한다. This article elaborates on Serbia’s problematic transformation. The incapacity of the Democratic Party-led government to tackle a whole range of issues(mostly due to malfunctioning institutions) and consolidate Serbia’s future proved detrimental in the 2012 elections. As a result, the Serbian Progressive Party came to occupy a central role on the political scene. However, the party’s electoral promises were very soon abandoned making the adopted approach look semi-authoritarian. Equally worrying has been the West’s unwillingness to criticise this trend, which has encouraged suspicion about its genuine interest in promoting democracy in Serbia as well as the wider Western Balkan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