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북핵 해결 협력 방향

        엄구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 중소연구 Vol.41 No.4

        문재인 정부의 북핵 문제 해결의 접근은 이제까지의 양국간 많은 이견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역대 어느 정부보다 러시아와 공유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북핵 해결에서의 양국 해결 협력 가능성을 검토해 볼 실익이 크다는 것이 이 연구의기본 의의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러시아와의 북핵 해결을 위한 국제 대화에서의 협력 가능성과 북핵 해결을 위한 건설적 중재자 역할 가능성을 중심으로 북핵해결에서의 양국 협력의 가능성과 바람직한 방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러시아의 북핵 전략과 정책 목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역내 NPT 체제는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서는 미국과 제한적이나마공조한다. 둘째, 북핵 해결과정에서 미국의 역내 패권 강화를 막기 위해 다자적 대화에 의한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추구한다. 셋째, 러시아 동북지역의 안정 유지를위해 북한에 대한 고립화 및 봉쇄 반대와 북핵문제의 군사적 해법을 거부한다. 넷째, 한반도에서의 지정학적 영향력 확보를 위해 북핵 6자회담의 주도적 참여를 통한 자국의 정치적 역할 공간 확대한다. 다섯째, 북핵의 해결과정을 동북아 다자안보 및 평화체제에서의 러시아 위상 확대와 연계한다. 한러간 북핵 해결의 전략적 협력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논점들은 러시아의 건설적중재자 역할 가능성, 대북 제재의 적극적 참여 가능성, 쌍중단을 출발점으로 하는 러시아의 모르굴로프 로드맵은 실효성, 6자회담이 아닌 새로운 대화 채널 수립의 가능성 등이다. 이상의 논점 판단을 근거한다면 한․러간 북핵해결의 전략적 협력은 UN 북핵제재의성실한 이행과 북한의 대화 참여 유도 협력을 통한 6자회담을 대체하는 UN 주도의새로운 국제적 대화 플랫폼 형성차원에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단기적으로 한반도위기관리 협력 채널 구축과 중장기적으로 러시아가 중국과 독립적인 입장을 취하는데 도움이 되는 신북방정책의 적극적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런 원칙 하에서 다음의 몇 가지 협력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tarts from a proposition that there is a great opportunity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t this time because there are more areas where the two countries share much in common in the Moon Jae-in government’s approach for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an in any previous governmen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possibility and the desirable direction of bilateral cooperation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with Russia in international dialogue and Russia’s role as a constructive mediator for the resolution of the issue. As to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Russia's strategy and policy go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PT system in the region should be maintained and for this, Russia can restrictively cooperate with the United States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Second, Russia pursues a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rough multilateral dialogues in order to prevent the strengthening of the US supremacy in the process. Third, in order to maintain stability in the northeast region of Russia, it rejects the isolation or containment of North Korea and any military 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Fourth, Russia expands the space for its political role through a leading participation in the six-party talks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o 188⋅ 제41권 제4호, 2017/2018 겨울secure its geopolitical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Fifth,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ll be linked to the expansion of Russia's position in the multilateral security and peace regime in Northeast Asia. The issue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clude the possibility of Russia’s role as a constructive arbitrator, the possibility of Russia’s active participation i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the feasibility of Morgulov’s roadmap for Korean settlement, and the possibility to establish a new dialogue channel other than the six-party talk. Based on the above arguments,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for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should be pursued to form a new UN-led dialogue platform replacing the six-party talks through sincere implementation of the UN nuclear sanctions and cooperation in encouraging North Korea to engage in dialogue.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aggressively promote the new northern policy that, in the short term, will be conducive in establishing a cooperation channel for crisis manag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at, in the mid to long term, will help Russia to take an independent position from China.

      • KCI등재후보

        ‘한ㆍ러 수교’ 이후의 한국 내 시베리아 지역 연구현황

        김정훈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1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5 No.1

        Last year was the 20th anniversary of Korea-Russia diplomatic relations, established on Sept 30, 1990. Under the titles “the 20th anniversary of Korea-Russia Diplomatic Relations', many diplomatic, economic, cultural and academic competition were carried out.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have great influence over Korea's academic community. In fact, the fever of studying in Russia churned out numerous results. However, this external prosperity has raised several questions to us. ‘What will be the depth of our knowledge about Siberia in Russia, indeed?’ As, Korea-Russia Diplomatic Relations greets adolescence, beyond its 20th anniversary, I think it is necessary for us to agonize at least once, over the issues like ‘How are the direction and the trend to understand and study the identity of Siberia in Russia, progressing?. In this context, this thesis analyzes the number of the academic research results and the academic fields in Korea, regarding Siberia. The data was collected from 'Google (http://www.google.co.kr/)', the world's largest search site; 'Korea Research Information (http://kiss.kstudy. com), providing academic data in Korea; and the journals from Korea’s academic research institutes. And a priority was given to the academic journals. The key periods of the research results, which wer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data, started from 1990 till 2010. When looking at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the domestic researches about Siberian region in Russia have been primarily focusing on economic value, regional proximity, and political 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 Northeast Asia, etc. Meanings of area studies are truly vast, in the perspective of academic meaning and implications. Like the world becomes more complex in the aspects of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the regional studies which require academic links also become complex. I think that the model for correct area studies will be born. For studying a phenomenon, we do not need to focus on political trend only, even if it is a political event. The motivation of the incurred event has to be analyzed. It is because in the process of analysis, historical,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reasons may be involved, or they may become the starting points of the events. The academic paradigm to integrate them and see the whole is needed. The correlation among them and also the researches regarding the diachronic status are important. This poin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e direction of domestic researches, regarding the Siberian region in Russia. 1990년 9월 30일 한국과 소비에트 연방이 맺은 수교가 지난해로 벌써 20주년을 맞이했다. 이에 따라 ‘한ㆍ러 수교 20주년’이라는 타이틀하의 각종 외교, 경제, 문화 및 학술대회가 이루어졌다. 양국의 수교는 한국의 학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실제로 1990년대 러시아 유학 열풍은 적지 않은 수의 결과물을 양산해 냈다. 그러나 이러한 외향적 풍요로움은 우리에게 여러 가지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과연 우리가 러시아 시베리아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의 깊이는 어느 정도일까?’ 아니 한 발 더 나아가 ‘러시아 시베리아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방향과 경향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 것인가?’ 등의 문제를 ‘수교 20주년’을 넘어서 양국 간 교류의 청년기를 맞이하는 이즈음에 한번 고민해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런 맥락 하에 본 논문은 한국 내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학술 연구결과물의 수와 학문분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자료는 세계 최대 검색 사이트라 할 수 있는 ‘구글(http://www.google.co.kr/)’, 한국 내 학술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사이트 ‘한국학술정보(http://kiss.kstudy.com)’ 그리고 한국 내 러시아 관련 학술연구기관의 학술지 등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주로 학술논문을 우선적으로 했다. 자료 수집에 포함된 연구결과물의 주요시기는 체제 붕괴 시점인 1990년을 기점으로 하여 2010년까지로 했다. 자료 취합과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지금까지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국내에서의 연구는 대부분 경제적인 가치와 지역적인 근접성, 그리고 인근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정치경제적 협력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학문적 의미와 필요성에 있어서의 지역연구가 가지는 의미는 실로 방대하다.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역사, 경제, 문화적으로나 세계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듯이 학문적 고리가 필요한 지역연구 역시 복잡해지고 있다. 올바른 지역연구의 모델이 탄생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하나의 현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정치적인 사건이라고 하여 정치적 동향만을 주목할 수은 없다. 그 사건이 발생하게 된 동기를 분석해야 하는데 그 분석 과정 속에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이유가 관여되어 있거나 사건의 단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묶어서 하나를 온전하게 볼 수 있는 학문적 패러다임이 필요한 것이다. 이들의 상관관계와 종합적이고 통시적인 상황에 대한 연구 역시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국내의 연구방향 역시 이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Russia’s Policy on Nuclear Proliferation and National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주승호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14 Pacific Focus Vol.29 No.2

        As a Northeast Asian power sharing a 17-Km border with North Korea, Russia has a keen interest in Korean affairs. The future of Korea is of great concern to Russia both because of the Korean peninsula’s geostrategic importance and South Korea’s alliance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This article addresses three primary questions: (i) How has Russia’s Korea policy evolved over the years? (ii) What position does Russia take on North Korea’s nuclear ambitions? and (iii)Will Russia support Korean unification? Russia professes its support for Korean unification. But there are important caveats. Given all the caveats, Russia will be neither active nor positive in supporting Korean unification, especially since it is likely to be achieved on South Korean terms. Will Russia then tolerate a Korean unification, which is likely to follow the German model of the South’s absorption of the North? Under the right circumstances, Russia might. In the German case, Mikhail Gorbachev as the Soviet leader an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were the keys to the smooth sailing to Germany’s unification in 1989–1990. As with the German case, the state of US–Russia relations and the type of leader in the Kremlin will prove the most crucial factors in Russia’s acceptance or non-acceptance of a unified Korea. In this article, the author argues that Russia’s interests in and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consistent over the years in two important ways. First, Russia opposes any power’s dominance in Korea. Second, Russia prefers a status quo on the Korean peninsula to a Korean unification. The author also argues that Russia will acquiesce to North Korea’s status as a de facto nuclear weapons state for lack of a viable alternative.

      • KCI등재

        Russia’s Approaches to the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Program : Between Multipolarity and Breakup Of the Nonproliferation Regime

        Igor Khripunov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9 전략연구 Vol.- No.46

        소연방의 해체 이후 러시아의 북한에 대한 접근을 보면 열의(熱意)도 모자라고 모순투성이다. 즉 지난 날 극동의 동맹국인 북한과의 관계를 악화시키는가 하면, 2000년대 들어와선 갑작스럽게 협력을 재개하거나 최우선 현안인 비핵화를 위협하는 위기상황의 포괄적인 해결책 모색을 위해서는 일련의 적극적인 - 대부분 성공하진 못했지만 - 역할을 자임(自任)하기도 했다. 북한에 대해 재가열된 러시아의 새로운 관심은 무엇보다도 미국의 헤게모니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인하는 다자주의적 지정학적 인식에 토대를 두고 있다. 이 같은 인식은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중 ? 러 양국의 관계 정상화의 주춧돌이 되었으며, 고조된 긴장 완화를 위한 양국 협력의 굳건한 근거가 되기도 하였다. 오늘날 러시아의 시각에서 볼 때 - 러시아의 새삼 확인된 전(全) 지구적 관심과 경제력의 회복에 힘입어 - 한반도 위기는 더 이상 다른 국제 현안과 동떨어진 개별현안이 아니다. 오히려 러시아가 지구촌 차원에서 최우선 비중을 두고 다뤄온 국제 현안 및 관심사들과 밀접하게 엉켜 있다. 먼저 러시아의 접근방식은 미국을 위협시하는 인식, 자국의 역내 정치, 러시아가 전략적으로 훨씬 더 비중을 두는 이란사태에 한반도 문제 해법이 끼칠 수 있는 함의와 관련, 정교하게 계산된 묘수(妙手)에서 기인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러시아의 접근방식은 자체 국익에 충실한 역내 패권국 중국의 날로 커져가는 영향력에 대한 조심스러운 견제이기도 하다. 러시아와 중국은 - 북한의 핵무기가 자국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고 느끼지는 않지만 - 북한의 핵개발 프로그램에 반대하고 있다는 데엔 이견이 없다. 러시아나 중국은 북핵 위기에 대한 해결책은 다름 아닌 워싱턴 정부의 손에 놓여 있다고 믿는다. 그럼에도 체제 붕괴나 급변과 같은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로 나타나서 러시아와 중국으로 대규모 난민들이 유입되는 일이 없기를 바라고 있다. 또한 역내 질서가 재편된다면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지대로 미군 병력이 진주 ? 주둔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은 이미 NATO의 지속적인 동유럽 팽창 가능성에 직면해있는 러시아로서는 끔직한 시나리오일 수 있다. 북한에 대한 강경 제재 조치가 북한을 한층 더 벼랑 끝으로 내몰아 긴장을 고조시켜온 기존의 ‘악의 순환’(vicious circle)은 이제 깨질 때가 왔다. 이는 러시아와 중국이 2009년 북한의 핵실험이 가져올 지정학적 낙진이 양국 모두에게 여태까지와는 다른 심각한 위협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인식할 때에 비로소 가능하다. 일본이 재무장까지도 허용할 급진적인 헌법 개헌을 향해 나아가고, 한국마저 군사력을 현대화하고 정비하며, 또한 미국도 역내 주둔 병력을 증강하고 역내에서의 임전태세를 강화한다면, 러시아와 중국은 - 적절한 긴장감을 유지하는 한편, 혁신적인 외교 역량과 지속적인 끈기를 가다듬으면서 -북핵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오늘날 동북아 지역 차원에서 일어나는 지정학적인 균형 변화에 발맞춰가야 할 것이다. 졸고(拙稿)는 북핵해법의 새로운 접근 방법을 찾아 헤매는 러시아에게 주어진 미래 옵션들 중의 하나를 재고(再考)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5월 이후의 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북한이 2차 지하 핵실험을 감행한지 거의 3주가 되어서야 UN 안보리는 또 다른 결의안을 채택했다. 새로운 제재는 기본적으로 북한의 첫 핵실험이 있었던 2006년 UN 안보리가 승인했던 조치들을 강화하는 데 지나지 않았다. 단지 이번에는 미국, 일본, 그리고 몇몇 다른 국가들이 북한 선박이 무기와 관련있는 장비를 싣고 있다는 의혹이 생길 경우 가차없이 선박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결의안을 필요로 했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는 예외없는 검사를 실시한다는 사실에 반발하였다. 이에 타협안으로 채택된 것은 공해상에서만 선박심사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만약 해당 선박이 검사 받기를 거부할 경우, 선박은 가까운 항구에 정박하여 검사를 받도록 하였다. 결의안의 채택을 둘러싸고 논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러시아는 대(對)북한 제재의 강화라는 강경책과 아울러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고 올만한 유화책 사이의 좁은 길을 걷고 있음을 다시 한 번 보여 주었다. 이번 북한의 2차 핵실험의 파장은 매우 클 것이다. 먼저 북한 핵 사태를 더 이상 이전과 같이 논의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6자회담은 유명무실해지고 있으며 앞으로는 북한 핵실험 이후의 완연히 다른 도전 현안들을 다루게 될 것이다. 아울러 일본의 재무장 추세와 미국의 역내 안보 공약의 재확인, 유도체계를 비롯한 한국군의 전력증강 추이 등을 다시 한 번 재가열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 정부에게 남아있는 대안은 다름아닌 상하이협력기구(SCO)의 틀 내에서 대(對)북한 영향력이 가장 큰 중국과 함께 북한이 핵무장을 포기하도록 압박하는 국제 여론을 선도하는 일일 것이다. 북한 역시 이러한 다자 협의에 참여한다면 핵무장을 지향하는 자국의 행동에 좀 더 투명성을 부여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Russia’s post-Soviet record regarding the DPRK is lackluster and rife with inconsistencies, ranging from the alienation of its former ally in the East to the rapid resumption of cooperation in 2000 and a series of proactive, though mostly unsuccessful moves toward a comprehensive solution of the crisis, with denuclearization as a top priority. This renewed attention to North Korea was largely driven by Russia’s new geopolitical concept of a multipolar world, whose major objective was to counterbalance the hegemony of the United States. This concept became a building block of the rapprochement between Russia and China from the late 1990s through the early 2000s and provided solid ground for bilateral cooperation on defusing the crisis. As Russia reasserted its global interests and restored its economic power during this period of time, the Korean crisis ceased to be a relatively freestanding issue for Russia. Rather, it became closely interwoven with other global problems and concerns that Russia has been dealing, often affecting higher-priority issues for Moscow. On the one hand, Russia’s approach to the standoff on the Korean Peninsula appears to derive from its threat percep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its regional policy, as well as carefully calibrated moves focused on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a Korean solution for Russia’s farmore strategically valuable interests in Iran. On the other, they are a careful balancing act in the growing shadow of China, the regional hegemon with a stake in a solution to the Korean crisis on terms consistent with its own interests. There is no doubt that both Russia and China oppose the DPRK nuclear program and are committed to the nonproliferation regime, though they do not feel directly threatened by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They believe that a solution to the crisis lies more with Washington than anyone else but wish to avoid near-worst-case scenarios associated with a regime collapse or change, which would likely create a massive flow of refugees into Russia and China. The resultant regional realignment might also bring U.S. troops to both countries’ borders, which would be a frightening scenario for Russia, which already confronts the continuing prospect of further NATO expansion. This business-as-usual routine, avicious circle in which tough measures to punish the DPRK led only to further escalation from the embattled communist regime, can be broken. It will be possible when Russia and by the same token China grasp the new, serious risks to themselves posed by the geopolitical fallout from the spring 2009 tests. As Japan proceeds on the road to a radical revision of its constitutional fundamentals to allow militarization, South Korea modernizes and expands its armed forces, and the United States reinforces its military presence and preparedness in the region, Russia and China will have to treat the changing geopolitical balance in response to North Korean threats with appropriate urgency, innovative diplomacy, and persistence. The paper will review one future option open to Russia in its new search for a solution.

      • KCI등재

        푸틴-아베 재집권(2012)이후 러·일 관계변화 동인과 전략적 함의

        김정기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7 국가안보와 전략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backgrounds and intentions of both Russia and Japan in taking active moves to improve their bilateral relations through active summit diplomacy and economic cooperation, under the situations that western countries including US and even Japan keep imposing economic sanctions against Russia. Based on that, this paper suggests possible implications of these changes to Northeast Asia and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Russia and Japan, both countries can exert huge influence on building the East Asian order, and there are several situations that might tighten infraction security in the East Asian region, such as an increasing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US and Russia, an escalating US-China rivalry over the East Asian region, Russia’s return of geopolitics, Japan’s legislation for peace and security, and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vocations.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predict what steps Russia and Japan would take in the future in terms of establishing stable order in the East Asian region, especially in the Korean Peninsula. Improvement of Russia-Japan relations requires both countries to adjust its own position by solving their territorial conflicts and their dilemmas over China in geopolitical aspects. Accordingly, the improved Russia-Japan relations would lead to following results: Improvement of both countries’ images in the East Asia, enhancement of US-Russia relations through Japan, counterbalance China, success of Russia’s Eastern policy, expansion of both countries’ influence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mprovement of Japan’s strategic position, and promotion in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Far East and the Arctic. However,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Russia-Japan relations will be affected by US-Russia relations and US-China relations. Under these circumstances, Korea should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strengthened Russia-Japan relations in a way to foster the atmosphere for Korean Unification. In addition, Korea should have an exact understanding about the dynamics in the composition of the East Asian order in order to figure out possible strategies to strengthen its own position in the region. 이 글은 러·일이 미국 등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제재가 지속되고 있고 일본도 경제제재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에서 활발한 정상외교와 경제협력을 통해 관계개선에 적극 나서고 있어 그 배경과 의도, 동북아 및 한반도에 미칠 정책적 함의 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양국이 동아시아 질서구축에 영향력이 큰 데다, 시기적으로 미·러간 대립 심화, 러시아의 지정학적 회귀, 일본의 안보법제 완료, 미·중간 질서 주도권 다툼 심화, 북한의 핵 및 미사일 도발 등으로 동아시아 역내 안보경색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어떤 행보를 보일지를 가늠하는 것은 역내 정세안정 여부와 함께 한반도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러·일의 관계강화는 영토문제 타결 등 국익·안보 측면에서 서로 조율이 필요한데다 양국 모두 중국 딜레마를 해소해야 하는 지정학적 전략 구상과 맞닿아 있으며, 결과적으로 동아시아 역내 위상 제고, 중국에 대한 견제, 일본을 통한 러시아의 대미 관계 개선, 러시아의 동방정책 성공과 동북아 영향력 확대, 일본의 전략적 위상 강화 등을 가능케 하고 극동·북극 지역 개발협력을 촉진시킬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러 및 미중 관계 수준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한국으로서는 러·일 관계 강화를 한반도 통일여건 조성에 활용하고, 역내 역학구도 변화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여 우리의 입지를 보다 강화시킬 전략적 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

      • SSCISCOPUSKCI등재

        Russian Influence on North Korea: Views of Former South Korean Ambassadors to Russia

        ( Doug J Kim ) 한국국방연구원 2012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24 No.3

        Russia and North Korea have a historical relationship dating back to the beginning of the Pyongyang regime. The former Soviet Union had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nd its Air Force supported the communist forces on the ground. Moscow was the major donor in the reconstruction of postwar North Korea.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had been initiated with Soviet equipment and training of nuclear scientists. Russia is a permanent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All of these factors make Russia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most influence over North Korea. However, after Moscow had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Republic of Korea in 1990, there were ups and downs in the relations between Russia and North Korea. First, the period from 1990 to 1995was the worst time for Russia-North Korea relations. Second, Russia`s influence was regained after the new treaty on Friendship, Good-Neighborly Relations and Cooperation with the North was signed. Moreover, the first trip for a Russian leader, Vladimir Putin, to North Korea was made in 2000. Third, since the beginning of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n 2002, Russia became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Six-Party Talks. Russia realized that a balanced diplomacy toward the two Koreas works better for the interests of Russia rather than the pro-South Korean stance in the first few years of the early 1990s. In the 2000s,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Moscow and Pyongyang has improved. The railway connections of the TSR and TKR, and the construction of oil and gas pipelines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under discussion among Russi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owever, the process has been slow. The author has inter viewed the former South Korean ambassadors to Russia in order to gain first-hand knowledge of Russia-North Korean relations. As to the overall Moscow-Pyongyang relations, the author shares the same views as the Russian experts about South Korea. However, they emphasized one particular point. North Korea`s debt to Russia. This was an issue that was rarely discussed in South Korea. In June 2012, Russia announced that 90 percent of the North Korean debt could possibly be written off. If the Russian initiative is approved, North Korea could join and initiate new projects with Russia. The Seoul government should be able to join the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Russi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e Ambassadors` advice needs to be taken seriously.

      • KCI등재

        러시아·중앙아시아 관계 -2015년 EAEU 창설 이후를 중심으로-

        박상남 사단법인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2023 분석과 대안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ussia-Central Asia relations since the launch of the EAEU in 2015 and forecast the future from a structural realism perspective. Bilateral relations have both elements of close cooperation and elements of conflict. Russia and Central Asia,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n authoritarian alliance, also have a symbiotic relationship in which they have no choice but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regime. Based on this, Russia has made various efforts to reunify Central Asia. Central Asia also has no choice but to cooperate with Russia for its survival, but at the same time, it has expanded its scope of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void being subjugated to Russia again. However, as China's power expands, Russia's relative weakness, and wariness toward Russia increases after the Ukraine War, the gap in bilateral relations is widening. In particular, as China's influence grows, Russia's nervousness also increases. This is why Putin visits Central Asia and holds active summit talks even during the war in Ukraine. If competition between Russia and China surfac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international order in Central Asia will become unstable. However, it is still unlikely that the power of Russia and China will reverse in Central Asia. Above all, the security, historical, and cultural connections between Russia and Central Asia are areas that are difficult for China to catch up with. Therefore, a weakening of Russia's influence compared to the past is inevitable, but its superiority is expected to continue. If Russia breaks away from belligerence and transforms into an attractive cooperative partn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ilateral relations will take an upward turn again. However, it seems unlikely that such changes and innovations will occur under the Putin regime. Therefore, the biggest obstacle to realizing Putin's goal of reunifying Central Asia is Putin himself.

      • 학술논문: 러시아연방의 안보 전략과 대한반도 전략

        유영철 ( Young Chul Yu ) 한국군사학회 2011 군사논단 Vol.68 No.-

        Russia has been trying to put an end to internal disorder, and enhance diplomatic means and military strength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 security environment facing the nation. Particularly, the Russian Federation has been ensuring its security through military reform since Putin came to power in 2000. The most distinguishable feature of Putin`s military reform in comparison to Yeltsin`s military reform is its great emphasis on enhancing military capabilities. In short, the Yeltsin government tried to reshape the military through structural reorganization. On other hand, the Putin government pursued military build-up as the economic recovery in the 2000`s enabled the Russian state to finance it. However, Russia is no longer pursuing to regain its lost influence and power on the world stage through military build-up. Rather, Russia wants to establish stability at home, prevent any disintegration of Russian Federation, and secure its plentiful natural resources. The key objective of Russia`s security strategy is to demonstrate political and diplomatical means for peaceful resolutions of discord and conflict between states while preventing any external aggression against Russia with proper level of military readiness. In matters concerning the Korean Peninsula, we should not underestimate the ever-changing role of Russia in future six-party talks. As Russia does not have security concerns regarding North Korea`s nuclear issue as much as China, Russia has more flexibility in addressing the issue. For these reasons, we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ussia in Northeast Asia and make efforts to enhance ties between our two nations. Currently, there is no significant issue that can adversel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ROK and Russia. Nevertheless, the situation is not entirely favorable to us. As the upcoming Putin government is expected to pursue pragmatic diplomacy on basis of national interests, the ROK-Russia relationship can not be advanced without our own effort. Accordingly, we need to enhance trust between our two nations and seek positive changes from the Russian side.

      • KCI등재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외교와 한국

        우평균 ( Pyung Kyun Woo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1

        본 논문은 러시아의 동북아에너지 외교 대상인 일본과 중국 및 한국에 대한 러시아 외교의 특색을 파악하고 있다. 러시아의 에너지 전략과 동북아 국가들에 대한 수출 구도는 상호 연계되어 있으며, 에너지 자원을 전략적으로 사고하고 있다. 러시아 뿐 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도 에너지 자원 외교에 대해 전략적으로 개념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장기계획을 수립하여 대처해 오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중국과 일본의 에너지 전략은 동북아의 지정학적인 구도와 국제관계의 경쟁과 대립 및 협조의 양상이 혼재되어 있다. 러시아는 동북아의 에너지 주요 수입국가들인 한국, 일본, 중국 등의 국가들과 양자협상을 통해 에너지 협력 구도를 러시아가 주도하는 형식으로 유지하며, 메가 프로젝트에 외국 기업보다는 러시아의 국영 에너지 회사들이 직접 참여하려는 의도를 관철하려 한다. 중국과 일본은 보다 많은 에너지 수입 쿼터와 파이프라인 연결망을 자국에 유리하게 부설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며, 러시아는 일본과 중국 간의 경쟁구도를 활용하여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할 것이다. 중국과 일본 간에 러시아 에너지 수입과 연결망 확보를 놓고 벌이는 경쟁은 서로 일치하지 않은 이해관계가 개입되어 있기에 양보할 수 없으며, 양국이 러시아에 대해 양국 간의 협력구조를 형성하기 힘들다. 한국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러시아 에너지에 대해 수입국가들 간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데 앞장서기 보다는 중국과 일본 간의 경쟁관계를 조정하는 역할에 국한하는 편이 바람직한 역할 설정이 될 수 있다. 동북아의 유일한 에너지 수출 국가인 러시아가 에너지 협력에 있어 양자주의를 내세우면서 주도권을 확립하려는 분명한 목표가 존재하는데, 다자주의의 노력을 한국만 기울인다면 한국이 러시아 에너지 시장을 놓고 벌이는 경쟁에서 소외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한국은 2000년대 이후에 기존의 해외 에너지공급원 이 제한되어 있어 이를 안보의 위협이 될 수 있는 문제로 인식하고 정부차원에서 이를 다양화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기존의 노력을 넘어서서 향후에 지구적 공공재로서 시베리아 동부의 개발을 국제화하고, 시베리아 동부의 개발을 넘어서 매장량이 많은 시베리아 서부의 개발과 파이프 라인 건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 개발을 위한 투자위험이 다양화하고 공유되기 위해서는 법적으로 안정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고, 매장량에 대한 투명성이 보장되어야 하고, 기술적 어려움에 대비하고, 에너지사업의 정치화에 대처해야 한다. 또한 외국회사가 참여하는 국제컨소시엄을 형성하여 에너지 개발의 위험을 분산하고 국제협력과 정책공조를 도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한국의 에너지 수출 시장에서의 몫 확대는 러시아 동부 지역에 대한 평가와 그 지역이 갖고 있는 잠재적 역량을 개발로 현실 화시키는데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방도를 찾으려는 노력과도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에너지를 전략적 관점에서 사고하면서 장기계획과 행동 플랜을 설정하려는 보다 근본적인 노력과도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has a purpos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ussia``s diplomacy toward Korea, Japan, and China, as main states of Northeast Asia. Russia``s energy diplomacy toward Northeast Asia is recognized as a ardent issue, while the scope of Russia``s diplomacy has been broadened to East Asia from the traditional region in her concerning, the Europe. Russia``s Energy strategy and the export system to Northeast Asian states is connected deeply each other. Russia thinks strategically energy resources. Japan and China have been also considered energy resources as a strategic one as well as Russia, and it is evident that they have been established long term plan for energy supply. Energy strategy of Japan and China is mixed in the structure of geo-political axis, confrontation, competition, and concert in international relation. Russia wants to manage her leadership in negotiation with the other state through bilateral contact on energy cooperation and Russia also intends to participate directly in the management of mega project. Japan and China willing to aside from advantage of their country in the fields of import quarter and pipe line connection. Contrary to, Russia has to maximize her interests, using the nature of competition between Japan and China. Japan-China rivals is originated from supply system and that cooperation between Japan and China is difficult to make for it``s competitive nature. Korea has to set her desirable role as a arbitrator among the major states, Russia, China, and Japan in Northeast Asia rather than making the states`` cooperation frame. Russia as a single export state in energy sector in Northeast Asia has a vivid goal for achieving leadership with bilateralism in energy cooperation. If only Korea will try to negotiate through multilateralism, Korea should be surrounded by alienated atmosphere in Northeast Asia. It could be recognized rightly that Korean government has been tried for securing the multi energy market from abroad in 2000s. Nevertheless, Korea has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East Siberia as a common goods in global level, and has to consider positively the development of West Siberia which possesses abundant potential quantity in energy resources beyond the East Siberia and the construction of pipeline. For multifying and sharing the danger of investment, legally stable institutions are needed, transparency on burying quantity is guaranteed, technical difficulty is avoided, and the politicalization of energy business is has to evaded. And it is need to founding international consortium which is managed by foreign companies, the danger of energy projection has to evaded as a outcome of thi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mmon policies on this field has to be eschewed. At the same time, Korean government should strive to obtain the utmost cooperation of Russia in the various bilateral energy projects which are reciprocally beneficial to Russia and Korea. At last, the increasing of Korea``s sharing the interests in energy export market in Northeast Asia is connected to trying to the possibilities and methods of excising energy development beyond potentiality. It is need to suggest that this point can provoke to establish action plan and long term blue print with the strategic thinking on energy resources.

      • KCI등재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러 관계와 한국의 대러정책 지향

        우평균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8 국방연구 Vol.61 No.1

        This article has a purpose to evaluate and foresee the phenomenon that why the prospect of US-Russia relationship is not be better than the past, and then to suggest the considerations for Korea’s policy toward Russia. US-Russia relations are more acrimonious than at any time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US sanctions against Russia have been strengthen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merican politics also deeply affected negatively to rapprochement between two countries. Nevertheless, a significant rapprochemen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is improbable if Trump will overcome the difficulties from the ‘Russia Scandal’. Korea’s foreign policy has to prepare the future with this tendency. Therefore, Korea need to respond the effect of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that will change the current adversarial nature of US-Russia. Secondly, it is need to get support from Russia on the issue of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Thirdly, restoring the previous partnership between Russia and US should affect to the cooperation between two Koreas and Russia, so it is need to review of the mega project. 본 논문은 2017년 1월 미국의 트럼프 정부 출범을 전후하여 나타나기 시기한 미국과 러시아 간 관계 개선에 대한 전망이 왜 기대와 달리 진전되지 않고 있는지, 이에 대한 평가와 전망을 하는 것을 1차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미·러 관계의 진전 가능성과 현실에 대한 평가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의미를 한국 외교가 대러 관계와 관련하여 지향해야 할 점을 제시하고 있다. 트럼프 집권 이후 대러 관계는 국내 정치 스캔들이 비화하면서 미국 조야에서 대러 감정이 악화되었으며, 이를 반영하듯 미국의 대러 제재가 강화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적 요인 외에도 미국 정치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양국 관계가 전면적으로 개선되기 어려운 측면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스캔들을 둘러싼 의혹을 극복한다면 대러 정책은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며, 한국의 대외정책 역시 이점을 염두에 두고 대비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 점을 주시하면서, 한국 대외정책의 지향성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미·러관계의 개선 효과에 대비하는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북핵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확보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미·러관계의 개선이 남·북·러 3각 협력 사업에 미칠 효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