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기 궤적 예측을 위한 LSTM-based Multi-head Attention을 활용한 Recurrent 네트워크

        김명수,최원익 한국정보과학회 2022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8 No.3

        Recently, many studies have proposed methods to analyze air traffic flow or predict aircraft trajectories by applying deep learning techniqu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current network using LSTM-based Multi-head Attention to effectively learn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data over time to perform aircraft trajectory predictions. Specifically, we exploit LSTM to focus on the importance of past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values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keys, queries, and values. Extensive experiments using real-world datase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s the multi-head attention-based Bi-LSTM model for specific flights. In the case of latitude prediction, the proposed model reduces the MAE error by 29% for the KAL1253 flight and the RMSE error by 17% for the KAL1209 flight. In the case of longitude prediction, the MAE error for the KAL1253 flight is reduced by 83%, and the RMSE error for the KAL1257 flight is reduced by 82%. 최근 많은 연구들에서 딥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항공 교통 흐름을 분석하거나 항공기 궤적을 예측하는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에 따른 위도, 경도, 고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학습하여 항공기 궤적 예측을 수행하기 위하여 LSTM-based Multi-head Attention을 활용한 recurrent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attention을 적용하는 부분에서 LSTM을 사용함으로써 key, query, value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과거의 위도, 경도, 고도 값의 중요성을 예측 모델에 강조하도록 하였다. 실세계 데이터를 이용한 광범위한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이 특정 항공편에 대해서 multi-head attention 기반의 Bi-LSTM 모델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위도 예측의 경우 제안하는 모델이 KAL1253편에 대해서 MAE 기준 29%의 오차를 줄였고, KAL1209편에 대해서 RMSE 기준 17%의 오차를 감소시킨 결과를 보여주었다. 경도 예측에서는 KAL1253편에 대해서 MAE 기준 83%, KAL1257편에 대해서 RMSE기준 82%의 오차가 감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존중의 도덕적 가치에 대하여

        박해용(Park, Hae-Yo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5

        공동체의 가치가 손실되어 가는 현대사회는 사람에 대한 존중을 요구한다. 본 논문은 사람에 대한 존중을 도덕적 근원 가치로 정립하기 위하여 존중에 대한 근원적 성찰을 한다. 존중을 도덕적 근원 가치로 주장하는 이유는 존중이 사람의 감정적 정서와 이성적 규범성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존중이 모든 덕의 도덕적 가치의 토대가 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존중은 감정으로서 정서적 측면에서 작동하며, 동시에 사람과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구상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존중은 다른 덕들의 충실성을 담보하며, 다른 도덕규범에 비하여 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도덕의 활성화에 더욱 큰 공헌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덕적 근원 가치로서의 존중 개념이 새롭게 논의되어야 한다. 존중을 도덕의 근원 가치로 주장하는 기획은 두 가지 영역에서 논의된다; 존중의 정서적 공감성과 이성적 규범성, 상호 인정과 존중의 관계. 본 논문은,①흄과 칸트가 수행한 존중의 특성을 종합 연구하여 존중이 갖는 정서적 공감성과 이성적 규범성을 입증하며, ② 존중 개념은 악셀 호네트의 상호 인정의 도덕형식을 더욱 유의미하게 만들기 때문에 상호 인정 보다 더 근원적 도덕 가치임을 논증한다. 그러므로 존중은 다른 사람의 생각과 행위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근원적 도덕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존중은 일방통행적 존중이 아니라 상호 인정적 존중이어야 할 것을 강조하며, 존중은 타자에 대한 존중과 자신에 대한 존중이 반드시 결합되어야 함을 확인한다. 또한 존중은 존중의 대상에게 유익함을 줄뿐만 아니라 존중하는 사람의 품성을 고양시킨다는 것을 역설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존중은 가장 근원적 도덕 가치를 갖는다는 주장이 입증된다. Modern society which suffers a loss of community value, is demanding a respect for human. This thesis deeply introspect on respect, to establish respect for human as original value of morality. The reason asserting respect as original value of morality is that respect includes emotional sentiments and rational norms at the same time, also respect is considered to form the basis of moral value of all virtues. Respect performs as an emotion on sentimental aspect and let human relation organized rationally. Therefore respect guarantees the fidelity of other virtues and can contribute a valuable share to ethical vitalization compared to other moral standards. Thus there is need to rediscuss the concept of respect as original value of morality. The study on the planning for respect as original moral value can be discussed in two areas; emotional sentiments and rational norms of respect, relationship between mutual recognition and respect. This thesis, ① demonstrates the emotional sentiments and rational norms of respect by complex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espect done by Hume and Kant, ② proves concept of respect is more original moral value that makes Axel Honneth"s ethic form of mutual recognition more meaningful. Hence, respect has principle ethical meaning that exercise absolute influence on other"s thoughts and acts. This thesis, emphasizes that respect is mutual recognitive respect rather than one sided respect, and confirms that respect has to combine respect for others and respect for oneself. Furthermore, assenting with emphasis that respect gives benefit to the object of respect and enhances the personality of the person who respects. By this discussion, it is proved that respect has the most original moral value.

      • KCI등재

        20세기 초기 한국어 대우법 연구사

        양해승(Liang, Hai Sheng)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3 No.-

        본고는 『역대한국문법대계』에 나온 20세기 초기 대우법에 관련된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대우법의 체계화,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의 설정, 창립, 계승 및 발전, 확립에 대한 역사적인 흐름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알다시피 현대한국어의 대우법체계는 상대대우법, 주체대우법, 객체대우법 세 가지로 나눠져 있다. 대우법 실현방법은 주로 굴곡적, 파생적, 어휘적 방법이 있다. 위와 같은 대우법 체계화,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에 따라 『역대한국문법대계』에 나타나는 대우법 이론을 고찰해 한국어 대우법 연구의 초창기, 계승 및 발전시기, 확립시기 등 세 시기로 구분하여 설정했다. 이런 시기 구분 설정 기준은 한국어 대우법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라 정한 것이다. 주시경(1910)까지는 한국어 대우법 연구의 초창기라고 본다. 이 시기에 한국어 대우법에 대한 인식이 최초로 생겼다. 김규식(1909, 1912)은 처음 한국어 상대대우법의 체계 및 등급, 그리고 실현방법을 인식했고, 주시경(1910)은 상대대우법뿐만 아니라 처음 한국어 주체대우법의 체계,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을 인식했다. 그리고 한국어 대우법의 틀을 초보적으로 체계 있게 짰다. 주시경(1910) 이후부터 최현배(1937) 이전까지는 한국어 대우법 연구의 계승 및 발전시기라고 본다. 이 시기에 한국어 주체 및 상대 대우법의 체계화,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에 크게 기여한 학자는 김희상(1911, 1927), 김두봉(1916, 1922) 등을 들 수 있다. 최현배(1937)부터 정렬모(1946)까지는 한국어 대우법 연구의 확립시기라고 본다. 최현배(1937)에서는 주체 및 상대 대우법의 체계화,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에 대한 연구가 한 번 더 깊어지고 체계적으로 세분화되었다. 정렬모(1946)에서는 객체대우법을 처음 인식했다. 정렬모(1946)까지는 한국어 대우법의 삼분 체계가 완전히 이뤄졌고 각 체계의 높임 등급뿐만 아니라 실현방법도 거의 다 인식되었다. 본고는 『역대한국문법대계』에 나타난 20세기 초기의 한국어대우법 연구 성과를 대상으로 학자들의 한국어 대우법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라 위와 같이 세 가지 시기로 나눠 한국어 대우법의 체계화,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의 역사적 흐름을 자세히 밝혀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s the system of Korean Respect Study"s respect level classifi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s creation period, inheritance and development period, and establishment perio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Korean Respect Study"s theory which appeared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Korean Grammar Through The Ages”. The Korean Respect Study is divided into Listener Respect, Subject Respect and Object Respect;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is mainly divided into Inflectional Method, Derivative Method and Vocabulary Method. This paper is based on these basic theories. I have studied further about the Korean Respect Study"s theory shown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Korean Grammar Through The Ages”, and I try to divide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s Korean Respect Study"s research history into Creation period, Inheritance and Development period, and Establishment period. This kind of division is based on the level of recognition to Korean Respect Study"s theory, and I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Until Ju Si-gyeong (1910), it was the Korean Respect Study"s creation period. Jim Kyu-sik (1909, 1912) first discovered Korean Listener Respect"s level classifi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Ju Si-gyeong (1910) not only first discovered Subject Respect"s level classifi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but also first systematized the Korean Respect Study, establishing the framework of Korean Respect study at a preliminary level. 2. During between Ju Si-gyeong (1910) and Choi Hyeon-bae (1937), it was the Korean Respect Study"s inheritance and development period. In this period scholars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Korean Respect Study were Jim Hui-sang (1911, 1927: Refining Korean Listener Respect Method) and Jim Du bong (1916, 1922: Discovering more implementation methods of Korean Respect Way). 3. From Choi Hyeon-bae"s work (1937) to Jeong Ryeol-mo (1946), it indicated the full establishment of the Korean Respect Study"s system. Choi Hyeon-bae (1937) not only classified the Korean Respect Study"s methods according to respect level in a more in-depth way and found more implementation methods, but also comprehensively systematized the Korean Respect Study"s implementation methods and respect level. and Jeong Ryeol-mo (1946) first found Korean Object Respect Method.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Korean Respect Study should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as above, and investigates in-detail the Korean Respect Study"s level classification, implement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in each perio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 KCI등재

        어린이집 생명존중교육의 난점과명상의 접목 가능성 탐색

        이영림,김혜순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5 No.-

        The study aims to explore challenges in respect-for-life education at child care center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editation as an alternative.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to September 2014 and ten directors from child care centers in G City were interviewed. This was followed by categorization and analysis of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and other materials.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pertaining to the significance of respect-for-life education as perceived by the director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ing education of mutual respect has the power to enliven life-respecting communities. Second, respect-for-life education is at the root of sound personal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espite this significance, respect-for-life education at child care facilities is not continuously pursued. Based on opinions of the subject directors, the study uncovered the two following challenges in respect-for-life education at child care centers: The first challenge is the aspect of respect-for-life education which is mostly conducted outdoors. The second challenge is science-based education involving animals and plants rather than the actual practice of respect for life. The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meditation, where it contributes to cultivating respect for life, to facilitate such education for preschoolers. The study applied Buddhist perspectives to meditation, such as the philosoph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four immeasurable minds. Also, the study presents seven meditation examples for preschoolers in respect-for-life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explore educational values and directions in respect-for-lif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생명존중교육의 난점을 파악하고 그 대안으로명상 접목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자료 수집은2014년 6월부터 9월까지 진행되었으며 G시의 어린이집 원장 1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이 실시되었다. 이후 수집된 면담자료와 기타 자료 등의 내용을범주화하고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장들이생각하는 생명존중의 교육적 의미로는 첫째, 상호존중의 교육실천이 생명 공동체를 살리는 힘이다. 둘째, 영유아기 바른 인성교육의 뿌리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보육현장에서는 생명존중교육이 지속하여실시되고 있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원장들의 목소리에 담긴 어린이집 생명존중교육의 난점을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주로 바깥에서만 이루어지는 생명존중교육의 양상이다. 둘째, 생명존중의 실천 보다는 동식물을 활용한 과학적 접근의 교육 양상이다. 이를 토대로, 영유아 생명존중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생명존중 함양에 도움을 주는 명상의 효과를 알아보고, 명상 접목의 방향으로서 연기와 사무량심에 근거하였다. 그리고생명존중 중심 영유아 명상활동의 7가지 예시를 들었다. 본 연구가 영유아 생명존중의 교육적 가치 및 방안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간호사와 환자가 인지하는 환자존중 비교 연구

        박연옥 ( Yon Ok Park ),문경선 ( Kyung Sun Moon ),정명숙 ( Myung Suk Chung ),김효심 ( Hyo Sim Kim ) 한국의료윤리학회 200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9 No.2

        A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patients` and nurses` views on the expectations and performance related to ``respect for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ich was approved by an Institutional Review Board, were 276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or intensive care units and 172 patients admitted to the general ward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outh Korea.?The instrument used in the study was based on the concept of Respect for Patients developed by Yoo Myoung-Ra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2.0 with a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d a one 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urses` views of the expectations and performance levels related to respect for patients (p=.000).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views of expectations and performance?levels related to respect for patients (p=.000). Third, the level of expectation concerning respect for patients as viewed by nurses and patients was 4.46 and 4.22 respectively. Thi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 The level of performance related to respect for patients as viewed by nurses and patients was 3.48 and 3.82 respectively. This too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expectations concerning respect for patients relative to the level of the nurses` education (p=.015)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formance related to respect for patients relative to the nurses` working place (p=.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expectations concerning respect for patients relative to patients` income levels (p=.009)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formance concerning respect for patients relative to patients` income levels (p=.005) and religion (p=.037).

      • KCI등재

        진정성 리더십, 존중감, 발언행동 및 목표몰입 간의 관계

        박노윤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1

        Respect has been identified as a key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work life and is associated with good job performance. Employee can perceive respect through authentic leadership.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erceived respect,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respect and employee’s voice and go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resp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two outcomes. As predicted, authentic lead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respect, and perceived respect i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voice and goal commitment.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two outcome variables are fully mediated by perceived resp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thentic leadership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how employee perceives respect within their work setting, and show the importance of perceived respect for employee behaviors. A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ceived respect serves as an important mechanism through which authentic leadership influences employee behaviors.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theory and practice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advancing theory and research in the future. 존중은 조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성과와 관련되어 있고, 진정성 리더십을 통해 지각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진정성 리더십을 존중감의 선행요인으로 보고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존중감이 구성원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고, 존중감이 진정성 리더십과 구성원 행동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정성 리더십은 존중감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존중감은 구성원의 발언행동과 목표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진정성 리더십은 존중감을 완전매개로 하여 구성원의 발언행동과 목표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현장에서 존중감을 갖게 하는데 진정성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존중감이 구성원으로부터 긍정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변수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구성원이 지각하는 존중감을 통해 진정성 리더십이 구성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보여줌으로써 진정성 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존중감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가 이론과 실무측면에서 가지는 의미를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교육에서 존중의 재음미

        김희봉 ( Hee Bong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1

        이 논문은 교육에서 존중의 의미를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몇 가지 논의를 재검토하고 이에 대한 연구자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존중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관점은 아동중심 교육관이다. 그러나 피터스는 아동중심 교육의 관점을 비판하면서 자신의 입문으로서 교육 개념과 교육의 준거를 토대로 한 존중의 관점을 제시한다. 그는 교육의 개념 분석을 통해 존중이 교육의 본질적인 개념은 아니지만 아동의 개별성에 대한 규범적 보호자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스토야노프는 존중은 교육의 본질적 개념이며, 학생들을 존중한다는 것은 그들이 합리적인 담론의 실제에 입문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기싱어는 교육적 관점의 존중은 학생들이 자기 자신을 타인들과 동등하게 주장할 수 있는 존엄성이 부여된 존재로 인식하도록 그들을 대하는 것이고, 이는 자율성의 제한과 격려를 통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관점은 아동의 합리성, 자율성 중심의 존중을 강조한다. 좀 더 포괄적으로 개인적 잘삶이란 관점에서 보면, 존중은 학생들이 가치 있는 활동에 전심을 다해 성공적으로 몰두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런 존중을 실현하고자 하는 학교의 모습은 교육과정을 비롯한 여러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respect in education. In order to perform the purpose, I examine the perspectives of the some philosophers of education who discus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espect. ``Child-centred`` view is regarded as the most serious one that emphasizes the respect of child. Richard Peters refuses the view. And he argues the demand to respect the child`s individuality or autonomy should not be seen as constitutive for education. He refuses the child-centred view by means of the conceptual analysis of education. The demand for respect has only a limited function within Peters` thought: it works as a normative protection for child`s individuality. Stojanov intends to establish the principle of respect as a general educational principle. He thinks that the principle of respect demands the initiation into the practice of rational discourse. This requires that the child`s ability to articulate his views in a rational discourse should be developed. Giesinger argues that to respect children is to treat them in a way that enables them to see themselves as persons endowed with dignity. He thinks that the aim of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child`s self-respect should not be situated in the distant future, but in the educational situation itself. I think that their views adhere to a certain rational point of view. Then, the principle of respect in education have more comprehensive aspects. In comprehensive view, to respect child can be understood a promotion of personal well-being. White argues that a flourishing life is one filled with successful and whole-hearted engagement in worthwhile activities and relationship. On this view, part of the task of education is to induct children into relationships and activities, including work activities, encouraging them, as autonomous agents under construction, to choose among them those which suit them best.

      • KCI등재

        칸트의 존경 이론에서 주관적 전회와 존경의 절취(Subreption)

        정대훈(Dae Hun Jung) 철학연구회 2016 哲學硏究 Vol.0 No.112

        According to Kant the object of respect is moral law. Furthermore, a person that evokes our respect with his honest character and conduct promotes our moral conduct as an example of the law by way of illustration. But Kant’s’internalistic’ moral theory is exposed to the problem, that it does not manifest itself directly to us that the person herself in her own inside has acted from respect for the moral law. Our reason in this cognitively uncertain situation judges that this person has acted in accordance with the law by her honest character; this is not a arbitrary supposition, but a subjectiv-teleological judge for us to respect this person and to follow her example. this means that the practical aptitude to idea of the moral law in us is revitalized through the presentation of this person as a visible object in front of us and that the respect for the idea in us is transfer and realized as a respect for a person outside us. The ground of the respect for the person is in the last instance in our reason, rather than in this person. The’subjective turn’ that is fulfilled in Kant’s critique of theoretic reason, practical reason and judgement can also be confirmed in the problem of respect. The transfer of the respect according to this subjective turn can be analysed by the concept of the subreption that Kant has used in his critical philosophy in general and in the analysis of the sublime. The subreption in the respect is not only a error, it realizes the purpose of his critical philosophy in the theory of the respect under the aim of the cultivation of the moral aptitude.

      • KCI등재후보

        ブログにおける韓国語の「심(이다)」について : 日本語との対比を通して

        오수진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28 No.1

        This study conducts a contrastive analysis of 「sim(ida)」, frequently used in internet blogs in Korea, which indicates the functional expansion of 「respect」 in 「si」, with the morphemes in Japanese that have similar functions of 「sim(ida)」. The findings are as follow. (ⅰ) The function of 「+ respect」 in 「si」has expanded to indicate 「- respect」, associated with 「irony」 and 「intimacy(affection)」. The use of 「si」 not only to elder/higher-ranked but also to young/lower-ranked, ones in equal social status, inorganic matters, pets seems apparent. (ⅱ) While the use of 「si」 with 「- respect」 seems to be readily observable in Korean, it was found that such expansion of the function of 「+ respect」 toward 「- respect」 seems rather difficult to find in Japanese. (ⅲ) In the comparison of 「sim(ida)」 and 「o~da」, the former seems to maintain the meaning of 「si」, the marker of 「+ respect」 and 「- respect」. On the contrary,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latter is applied as a marker of respect or used in a predicative noun phrase. Especially, when it is to indicate 「description of situation」, the meaning of 「+ respect」and 「- respect」 is lost. 本来プラス評価を表す言語表現を用いて、実際伝えたいことはマイナス評価である例がしばしば見られる。例えば、一般的に恩恵を施す意味として用いられる日本語の「~てくれる」は当該の事柄に対して好ましいこととして捉える場合もあれば、印税を横取りしたお兄さんに対して「お兄さんがまたやってくれました」という表現を使うと、皮肉として捉えることもできる(籾山 2009)。さらに、日本語の敬語表現においても、通常相手に敬意を払うプラス評価のマーカーと言えるが、当該の事柄や対象によって必ずしもプラス評価を表しているとは言いにくい場合がある。 (1) 妻:今日も相変わらず、お早いですね ①では妻がいつも夜遅く帰宅する夫に対する発話であり、表面的には「お早いです」という敬語を使用しているものの、話し手の妻は夫に対して不満や怒りなど、ネガティブな態度を表明している。これと類似した表現として、韓国語においても近年インターネットのブログなどで以下のような例がよく見られる。 (2) 자연분만 2박3일 기준으로 나는 짐을 챙겨 보심이다. (3) 갈매동 맛집- 소담촌 우리 딸램이 좋아하심. これらは書き手自身や書き手自身の子供に対する書き込み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通常相手に敬意を払うマーカーの「시」が用いられており、実際表される意味は決して敬意とは言えない。本研究では(2)(3)のような、韓国語の尊敬の先語末語尾「시」と韓国語の名詞化辞の1つである「음」 尊敬の先語末語尾は、語幹末音が子音の場合は「으시」、母音の場合は「시」をとらな ければならないが、以降尊敬の「시」と表記する。また、ここで「음」と総称する名詞化辞 は、語幹末音が子音の場合は「음」、語幹末音が母音の場合は「ㅁ」という異形態が 存在する。 が結合した「심(이다)」 韓国語の「심」は尊敬の「시」と名詞化辞の「음」が結合した形態であるが、文末に出 現する際はコピュラを伴うこともあるため、便宜上「심(이다)」と表記する。 を主な研究対象とする その理由については3.1節で後述する。 。そして文末形式の「심(이다)」における「시」の機能や特徴を明らかにする。また、それに対応する日本語との対比を通して両言語の類似点と相違点について論じる。

      • KCI등재

        인구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초등학교 도덕과의 생명존중교육 내용 분석

        박종익,차우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5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교육의 관점을 적용한 초등학교 도덕과의 생명존중교육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하여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인구교육과 도덕교육의 더 나은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명존중교육에 대한 내용 분석틀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현재 초등학교 도덕과에서 생명존중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내용 분석 준거틀은 생명존중의 범주에서 각 영역을 ‘생명존중의 이해’, ‘생명존중의 위기’, ‘생명존중의 실천’으로 나누고 각 하위내용 요소를 12가지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한 내용 분석 준거틀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생명존중의 위기’ 영역에서 인간생명의 위기의 내용 요소와 ‘생명존중의 실천’ 영역에서 ‘인간생명의 존중’에 해당하는 내용 요소의 빈도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생명윤리의 갈등’과 ‘생명윤리의 회복’과 관련된 내용 요소는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인구교육은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인구문제와 관련된 현상의 다양한 원인 중 하나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생명 경시 현상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해결의 방향을 교육으로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그렇기에 인구교육의 패러다임에서 강조하는 생명존중에 대한 가치교육은 학교 교육의 바탕이 되어야하며, 생명존중교육 내용 분석의 대상을 생명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초등학교 도덕과를 통해 살펴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초등학교 도덕과에서의 생명존중교육은 인구교육의 관점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방향을 지향할 수 있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better ways to teach Population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in a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through content analysis of life-respect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orality classes applying the perspective of Population Education. Methods: Accordingly, a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framework of life-respecting educ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to examine how life-respecting education is conducted in the moral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s. So, the content analysis framework divided each area into ‘understanding, crisis, practice of life respect’ and analyzed twelve sub-content el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developed content analysis framework, the content element of the crisis of human life in the ‘crisis of respect for life’ and the content element corresponding to ‘respect for human life’ in the ‘practice of respect for life’ were the most frequent areas. However, it was found that content elements related to ‘conflict of bioethics’ and ‘recovery of bioethics’ were insufficient. Conclusion: Population Education is an attempt to identify one of the various causes of phenomena related to population problems in a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as a phenomenon of disregard for life at the social and cultural level and seek a direction to resolve it. Therefore, value educationon respect for life, which is emphasized in the Population Education, should be the basis of school education. Moreover, the subject of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life-respect education was examined through moral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at directly deal with the value of life. Accordingly, life-respecting education in the morals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should move towards a direction that can embrace both Morals Education and the perspectives of Populat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