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적 방법론과 회계학연구

        김석웅(Kim Seok-wo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65

        최근에 우리 나라에서도 질적 방법론과 이를 이용한 질적 연구가 사회학, 간호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회계학계에도 일부가 발표되고 있지만, 질적 방법론의 분야에서 방법론, 이론, 연구방법, 자료조사방법, 자료해석방법 등에 관한 개념들이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고 혼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의 내용분석을 통해서 질적 방법론의 체계를 명확히 하고 연구현황을 살펴서 한국의 회계학계에 질적 방법론과 연구방법의 이해와 확산을 촉진하고자 한다. 질적 방법론은 비판적 방법론과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주로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한다. 해석적 방법론은 연구대상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자의 체험을 통해 경험현실을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질적 방법론인 해석적 방법론의 철학적 배경은 해석학과 현상학이고, 주로 이용하는 이론은 사회학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구조화이론, 일상생활방법론, 제도이론, 행위자연결망이론 등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민속지학, 실행연구, 사례연구, 근거이론 등이고, 자료수집방법은 면접, 참여관찰, 현장연구, 문헌조사 등이며, 자료분석방법은 해석학, 서사분석, 기호학(내용분석, 대화분석, 담론분석) 등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내용분석해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민속지학(ethnography)은 문화기술지, 민속기술지, 종족지학이라고도 하는데, 연구대상인 사람(회계담당자)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적 배경에 대해 연구자가 (비)공개적으로 그들의 삶에 일정한 기간동안 참여하여 직접 체험하면서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방법이다. 실행연구(action research)는 현실의 구체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실행연구에서는 연구로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해석적 방법론의 사례연구(case study)는 연구자가 구체적인 사례에 직접 참여하여 체험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례를 연구한다. 해석적 방법론에 의한 연구는 주관성, 일반성의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결합하는 Q방법론, 삼각측정(triangulation) 등의 혼합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Nowadays, Qualitative methodology has also been applied to various disciplines such as Sociology, Nursing, Education in Korea. In Accounting, Although some qualitative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their concepts such as methodology, research method, theory, data researching method and data interpreting method have not been clar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and expansion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method in the Korean accounting community through clarifying the framework of qualitative methodology by content analysis of prior accounting researches. The qualitative methodology means both the critical methodology and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owever it mean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in a narrow sense. It is the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view point of the researched and to interpretate and reconstruct the reality experiencing through lived experienc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re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y. Theories used in qualitative methodology are sociological theories such as symbolic interactionism, structuration theory, ethnomethodology, institutional theory, actor- network theory. The research methods are action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In this paper, the research methods of qualitative methodology are the research focus. The ethnography is the research method to collect data on the life style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researched people(accountants) through lived experience participating the phenomena and life of them during some periods. The action research is the process to pursue the knowledge to solve specific problems at the field. The case study of interpretive methodology is to research the case at which the researcher have participated during some period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as some problems such as subjectivity and lack of genera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Mixed methods such as Q methodology, triangulation have been used.

      • KCI등재

        Applied Research Skills in Law and Social Sciences :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ologies

        Hyun-Jeong Cho(조현정),Hyun-Jung Lee(이현중)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법률적 연구분야와 사회과학 연구분야에 있어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연구방법론인 계량적 연구 방법론(quant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비계량적 연구방법론(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그리고 둘 이상의 분야에 걸친 연구 방법론(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ologies)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즉, 각 연구방법론들의 특징, 단점 및 장점 등을 서로 비교ㆍ연구하였다. 이들 연구방법론들은 사회ㆍ법률적인(socio-legal)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방법론으로서 연구자들에게 보다 넓은 관점과 통찰력을 제공하며, 또한 연구결과의 확실성(reliability)과 일반화(generality)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들 연구방법론들의 장점과 한계점들을 살펴봄으로써 사회ㆍ법률적인(socio-legal) 연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해하며, 또한 사회과학분야에서 파생되는 법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The general focus of this article is on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ologies. The article starts with discussing that there ar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however, it is important not to exaggerate them. Als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two important research methodologies to conduct socio legal research. The final part of the paper initiat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s which stresses the integration of the theory, methods, or techniques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necessarily requires further consideration of the disciplines themselves. From the article, it will be studied on how to conduct socio-legal resarech through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ologies.

      • KCI등재

        교육방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장선영,고은현,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endency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by analyzing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which is there 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thodology in Korea and finally put through the advanced proposals for educational methodology. The total articles were 217 which have been published for the last over 10 years (2003-2013). We analyzed the articles based on two criteria: research domains, research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in the part of research domains, the teaching methodology accounted for 71.4% (155 articles) of the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domains were educational counseling (13.8%, 30 articles), educational evaluation (9.2%, 20), educational curriculum (2.8%, 6),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 6). In the teaching methodology domain, the study of learning guidance model accounted for 38.2% (83 articles). Its hows that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has been mostly conducted on the teaching methodology, especially learning guidance model. Second,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survey study accounted for 45.2% (98 articles) of the total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literature study 14.3%, development research type I 11.5%, quasi-experiment study 10.6%, case study/qualitative study 7.8%, experiment study 6.9%, development research type II 3.2%, cost effectiveness study 0.5%, and others 0%. It is needed to be researched in the field of more qualitative study than quantitative one and also to expand the research domain and target learners in the future.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들을 연구하는 학문이 태동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방법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이론들에 의해서 정립되었듯이 교육방법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상황을 항상 고려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원점에 서서 우리나라 교육방법의 현 모습과 발전 과제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을 다룬 전문 학술지인 ‘교육방법연구’ 2003년도에 발간된 15권 1호에서부터 2013년도의 25권 2호에 이르는 총 11권 28호, 21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질적인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의 교육방법들이 현재 어떤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 속에서 어떤 교수와 학습의 요구가 있는지 교육방법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과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방법의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주로 ‘교수방법’의 ‘학습지도 모델 연구’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 둘째, 교육방법의 연구방법에서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조사연구’의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향후 사례연구 및 문화기술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들이 보다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고등교육을 주로 대상으로 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유아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방법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의 의미고찰을 전제로 한 기업교육과 같은 다양한 성인교육에서의 교육방법이 필요하고,평생교육과 같은 범위로까지도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디자인 분야 융합연구의 방법론적 특징

        김덕수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1

        <Background> This study aims, while analyzing convergence research articles of JIDR(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to provide fundamental understandings regarding convergence research trend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orks as a reference for conduction convergenc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utilizing a meta-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distinguish the convergent characteristics of JIDR articles. A research frame was developed to introduce philosophical assumptions working as the base of research methods, while briefly presenting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The type, at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The convergence articles of JIDR were selected as a unit of analysis. <Result> First, a single method research design,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more dominant research type than convergence research design. A mixed methods research was uncommon yet. Secon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similarly found to convergence research conducted with a mode of single method research. The purposes of convergence research with a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were the evaluation and suggestion of alternative solutions, while the counterpart is more likely to prefer the evaluation and suggestion of alternative solutions to theory and model building. Third, the convergence research articles of JIDR with a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 were categorized as exploratory, embedded, explanatory mixed methods. Fourth, the majority of convergence research articles were published by researchers with a design background. Fifth, constructivist and emancipatory perspectives in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of research methodology were mostly found. The assumptions recognize the plurality of truths and respects inductive logic. <Conclusion> Philosophical assumptions regulates the compatibility of research methods to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methodological trends of convergence research in the field of design and provides understandings about relationships between them to convergence researchers. <연구배경> JIDR(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에 게재된 연구문헌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디자인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융합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방법론적 지향을 분석하여, 융합연구의 방향성 정립에 참조할 수 있는 기초자료의 제공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론적 지향은 메타분석으로 JIDR 게재논문들의 융합적 특성을 변별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조사를 시행한다. 연구방법론의 전제가 되는 인식론적, 존재론적, 그리고 방법론적 입장에 대한 개론적 소개를 통해 분석의 틀을 구성한 후, JIDR 게재논문들 중 융합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디자인 연구방법론의 유형과 속성 및 연구의 성격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첫째, 융합연구보다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 단일방법연구 디자인에 의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통합방법연구 디자인에 의한 연구는 아직 미분화 상태다. 둘째, 단일방법연구에 의해 진행된 융합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대등한 빈도로 수행되고 있다. 양적 연구에 의한 융합연구 경향은 평가/제안형이었으나,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융합연구 성격은 평가/제안형이 이론/규범형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셋째, 통합방법연구에 의한 융합연구 논문들에서 발견되는 연구 디자인은 기본 통합방법연구 기법인 탐색적 통합연구, 내재적 통합연구, 그리고 설명적 통합연구로 이루어졌다. 넷째, 융합연구의 학제 간 협력은 디자인 학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섯째, 연구방법의 철학적 가정에서는 구성주의나 해방적 연구의 진리의 복수성을 인정하고 상호작용을 권장하고 귀납적 접근을 존중하는 태도가 가장 많이 발견된다. <결론> 연구문제와 연구방법의 정합성을 규정하는 철학적 가정에 기반을 두고 디자인 분야 융합연구의 방법론적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진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research methodology of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presum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al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categorized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in music education and classified research articles(N=112) published in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JMES) of Korea by the research methodological category since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ost of Korean publications in JMES were review articles (n=96; 85.7%), and the small numbers of articles took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n=16; 14.3%) relatively, while majority of American music education studies i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JRME) produced results b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78.3%). In conclusion, stud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needs to balance research methodological procedure with producing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more for the future of Korean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에 관련된 학술적 연구들의 유형을 과학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류하고, 현재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유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음악교육의 현황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나은 한국 음악교육의 미래를 위하여 음악연구의 방법론적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과 관련한 연구방법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현황을 알기위하여, 음악교육 공학회에서 발간하는 음악교육공학에 출간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삼아 유형을 분석하여(N=112) 미국의 JRME에 출간된 음악교육연구유형(Yarbrough 1996)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가 대부분 양적연구방법인 실험연구와 조사연구(78.3%)인데 반해, 한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는 대부분 질적연구방식에 속하는 메타분석(Meta-Analysis)을 사용한 문헌연구(Review Article) 방식(85.7%)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국에서 양적연구에 치우친 음악교육계가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연구방법의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처럼, 한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한 현장중심의 양적연구들이 많이 나와서 한국의 음악교육이 발전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 연구패러다임의 변화와 소비자학 분야에 적용된 질적 연구 고찰

        오아름(A Reum Oh),유현정(Hyun Jung Yoo)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7 생활과학연구논총 Vol.11 No.2

          Despite the recently increased interest i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due to a change in research paradigm, the current condition sees that actual research materials on qualitative approach are not much published. This study is to examine detailed research methodologies in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and how such methodologies are utilized in the field of consumer studies, and contribute to a presentation of direction for a various and in-depth study beyond the level of academic studies dedicated to a quantitative research.<BR>  In this regard, we reviewed in detail 4 research methodologies such as Ethnography, Grounded Theory, Narrative, and Phenomenology a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requently accepted in comparison in the field of consumer studies and analyzed theses which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mong the research theses reported to academic journals of the related academic societies till 2006. As a result of an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only 10 theses among the ones in academic journals of the 5 related academic societies in total from 1994 till 2006 were the research materials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search in the field of consumer studies in Korea has still been heavily focused on a quantitative research.

      • KCI등재후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론적 탐구

        정상원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1

        Many researchers in South Korea showed strong interest i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as a traditional methodology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o explore various themes. However, methodological research on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s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is set to conceptualize the trait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research identified 4 key traits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first, an emphasis on anecdote unveiling its meaning; second, a revelation of the essential meaning structure of the experiences as an objective of research; third, an emphasis on interpretation and hermeneutics circle during the process of analysis; fourth, the actualization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as a trait of methodological process. This research focusing on the trait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s expected to help researchers who adapt his methodology to implement researches, apply more adequate and traditional hermeneutic phenomenology.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한 전통으로 여타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통해 다양한 주제들을 탐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방법론적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van Manen의 저작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은 다음의 네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첫째, 의미를 드러내는 일화의 강조. 둘째, 탐구의 목적으로서 체험의 본질적 의미구조 밝히기. 셋째, 분석에 있어서 해석과 해석학적 순환 강조. 넷째, 방법적 과정의 특징으로서 환원의 구체화 등이었다. 이러한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에 대한 탐구는 그의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더욱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접근을 시도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발 분야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08∼2017년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이재영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4

        As the shoes industry has been strengthened due to the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becoming segmented more and 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shoes industry through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relevant fields.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hoes in Korea on the aspect of the publication methods, research contents and research methodologies for identifying the existing research statu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the researches had been published since 2015 and presented by one author or two co-authors. The authors of researches were mostly affiliated to the colleges. Thus,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ofessional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in cooperation with the industry. For the research contents,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shoes industry focused on the 21st century in the period field and marketing and design in the theme field. Then,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converged interdisciplinary themes in wider areas in more diverse periods. Next, the case study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io in the methodology. Moreover, the methodology applied per them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ly, the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through more diverse viewpoints and methodologies. In case of the difference per research typ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the research approaches. Furthermore, the specific methodology was preferred per theme regardless of the research types. Then, it was found that the methodology played the significant role in the researches on the shoes industry. 현대 패션에 있어 산업 구조의 세분화로 신발 산업이 강화됨에 따라 관련 분야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신발 산업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기존 학문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신발 관련 연구의 동향을 게재방식, 연구내용, 연구방법별로 살펴본 결과, 첫째, 게재방식의 경우 연도는 2015년 이후, 저자 수는 1인과 2인 공저, 소속 기관은 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산업체와 연계된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내용의 경우 시대는 21세기, 지역은 한국, 주제는 마케팅과 디자인이 주를 이루어 다양한 시대와 폭 넓은 지역, 학제 간의 융합적 주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의 경우 사례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주제별로 사용하는 연구방법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보다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 여러 관점에서의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연구유형별 차이점의 경우 방법에 있어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구유형과 관계없이 주제에 따라 특정한 연구방법이 선호되어 신발 분야 연구에서 연구방법이 유의미한 요소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체육학에서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관한 다학문적 고찰

        김원정(WonJungKim)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6

        체육학에서는 질적 연구를 방법적(또는 기법적)으로 적용하는 논문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질적 연구방법론’ 자체에 대한 논의와 담론을 함께 다루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체육학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패러다임과 연구방법론에 대해 그동안 논의되어 온 질적 연구의 문제점을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적용하는 체육학 분야 중에서는 여덟 개 영역(체육철학, 체육사, 스포츠교육학, 스포츠사회학, 스포츠 여가, 사회체육, 스포츠심리학, 특수체육학)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첫째, 체육학의 학문 분야별 특성과 질적 연구방법론은 어떻게 연계되는가, 둘째, 체육학에서의 질적 연구방법론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적용되어 왔는가, 셋째, 체육학에서의 질적 연구방법론 적용 연구의 ‘질적 글쓰기’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관한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체육학 전반에 걸친 이러한 거시적 논의와 반성적 고찰은 미래의 질적 연구방법론의 적용과 학문적 확산을 위하여 지속되어야 할 것이며, 체육학 연구자들은 각자의 연구 분야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역량과 전문성을 발달시켜야 할 것이다. Recently, a number of qualitative researches using qualitative methods (or techniques) have been increasing. But, there are not so many researches dealing with discourses and discussions related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paradigm and to reflect qualitative researches by reviewing many multidisciplinary literatures in P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There are three main themes around eight sub-academic areas in PE and sport, First, what is the linked meanings between academic identit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PE and sport? Secondly, what kinds of aspects should we reflect on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es? Lastly, how can we do qualitative writing of those qualitative researches? These macro-level arguments and reflective exploration of qualitative methodology should be continued and disseminated in the future. Ultimately, it can be possible for researches to develope the competency so that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d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and methodology.

      • KCI등재

        Qualitative Research in Healthcare: Data Analysis

        Im Dasom,Pyo Jeehye,Lee Haneul,Jung Hyeran,옥민수 대한예방의학회 2023 예방의학회지 Vol.56 No.2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with increasing frequency in various fields, including in healthcare research, wher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has traditionally dominated, with an empirically driven approach involving statistical analysis. Drawing upon artifacts and verbal data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or participatory observations, qualitative research exam- ines the comprehensiv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salient yet unappreciated phenomena. In this study, we review 6 representa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in terms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methods: consen- sual qualitative research, phenomenological research, qualitative case study, grounded theory, photovoice, and content analysis. We mainly focus on specific aspects of data analysis and the description of results, while also providing a brief overview of each method- ology’s philosophical background. Furthermore, since quantitative researchers have critic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or its perceived lack of validity, we examine various validation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This review article intends to assist research- ers in employing an ide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in reviewing and evaluating qualitative research with proper standards and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