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Whose option ratios contain information about future stock prices?

        ( Bonha Koo ),( Ryumi Kim ) 한국파생상품학회 2024 선물연구 Vol.32 No.1

        Using the next-day and next-week returns of stocks in the Korean market, we examine the association of option volume ratios - i.e. the option-to-stock (O/S) ratio, which is the total volume of put options and call options scaled by total underlying equity volume, and the put-call (P/C) ratio, which is the put volume scaled by total put and call volume - with future returns. We find that O/S ratios are positively related to future returns, but P/C ratios have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returns. We calculate individual,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s’ option ratios to determine which ratio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future returns and find that, for all investors, higher O/S ratios predict higher future returns. The predictability of P/C depends on the investors: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investors’ P/C ratios are not related to returns, but foreign P/C predicts negative next-day returns. For net-buying O/S ratios, institutional net-buying put-to-stock ratios consistently predict negative future returns. Institutions’ buying and selling put ratios also predict returns. In short, institutional put-to-share ratios predict future returns when we use various option ratios, but individual option ratios do not.

      • KCI등재

        KOSPI200 야간 옵션 풋-콜 비율의 가격발견 분석

        이우백 ( Woo Baik Lee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6 선물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독일 Eurex와 연계하여 상장된 KOSPI200 야간 옵션의 풋-콜 거래 비율에 내포된 현물시장의 가격발견 효과를 분석했다. KOSPI200 야간 옵션시장의 거래 정보를 반영하는 풋-콜 비율은 익일 정규 현물 주간시장이 개장할 때 시가에 대부분 즉각적으로 반영되며, 장중 현물 주간시장에 지연되어 반영된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야간옵션시장 거래량, 거래대금, 당일청산 거래량으로 측정한 풋-콜 비율은 모두 익일KOSPI200 수익률과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야간시장의 거래 정보가 익일 현물시장이 개장할 때 결정되는 가격에 효율적으로 반영되는 효과에 기인한다. 그러나 야간 옵션 풋-콜 비율과 익일 개장부터 폐장까지의 장중 수익률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전일 KOSPI200 옵션 주간 정규시장의 거래활동풋-콜 비율은 표본기간 내에서 익일 현물 지수의 변동에 대한 유의적인 설명력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야간 옵션시장의 가격발견 기능이 상대적으로 주간 옵션시장을 지배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풋-콜 비율 중에서는 당일청산거래량의 가격발견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옵션 가격 변동에 따른 매매차익을 실현하고자 하는 투기적 거래에 익일현물시장의 정보 내용이 내포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풋-콜 거래활동 비율과 익일현물 지수 수익률간 관계를 옵션 거래승수 인상 전·후의 하위 기간으로 양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변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야간 옵션 풋-콜 거래활동비율에는 현물 수익률에 대한 일방향성 가격발견 외에도 다음날 현물시장의 변동성 예측에 관한 정보내용도 유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야간 옵션시장의 풋-콜비율에 대해서는 주간 옵션시장의 풋-콜 비율이 유의적인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옵션시장에서 거래자들이 주간시장과 야간시장을 연계하여 거래하는 전략을 실행함을 제시한다. Trading of KOSPI200 options on Eurex launched in 2010 starts at 17:00 after market and closes at 05:00 in the next morning.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role of put-call ratio of KOSPI200 nighttime options in price discovery process of spot market.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The information content of put-call ratio of nighttime options is significantly incorporated in opening price of spot market next trading day but not delayed to the daytime spot market. Specifically, all put-call ratios measured in terms of total volume, total value, and cleared volume of nighttime options has strongly positive correlation with returns of KOSPI200 next trading day but put-call ratio of daytime option market has no predictive power of next daily return during sample period. This implies that the nighttime options market shows more leading role than daytime options in opening price discovery. This relationship between put-call ration and spot market return remains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the period of the multiplier for KOSPI200 options increased. However, the change in put-call ratio of nighttime options is significantly explained by precedent put-call ratio of daytime market. This Overall empi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traders of KOSPI200 options have tendency to implement strategy of linkage between price movement of daytime and nighttime market.

      • KCI등재

        Option volume and stock returns: evidence from single stock options on the Korea Exchange

        ( Mincheol Woo ),( Meong Ae Kim ) 한국파생상품학회 2021 선물연구 Vol.29 No.4

        Informed traders may prefer the options market to the stock market for reasons including the leverage effect, transaction costs, restrictions on short sale. Many studies try to predict future returns of stocks using informed traders’ behavior in the options market. In this study, we examine whether the trading volume ratios of single stock options have the predictive power for future returns of the underlying stock. By analyzing the stock price responses to the “preliminary announcement of performance” of 36 underlying stocks on the Korea Exchange from November 2014 to March 2021 and the trading volume of options written on those stocks, we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option ratios, which are the call option volume to put option volume ratio (C/P ratio) and the option volume to stock volume ratio (O/S ratio), and the future returns of the underlying stock. We also examine which ratio is better in predicting the future returns. The authors found that both option ratio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ability about future returns of the underlying stock and that the return predictability of the O/S ratio is more robust than that of the C/P ratio. This study shows that indicators generated in the options market can be used to predict future underlying stock returns. Fur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a dearth of literature pertaining to single stock op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ingle stock options market is efficient and influences the price discovery in the stock market.

      • KCI등재

        옵션시장 투자자들의 거래활동과 현물 지수 수익률의 상호관계 분석

        옥기율,장우애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ng-activities in the option market and the index price return. We construct put-call ratio from option volume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option and the stock market using VAR model. Although many previous researches studied the relations between option volume and index price returns, we specially focus on the relations between put-call ratio and index price returns. The result of analysis show that stock market strongly affect trader's activities in the option market, but in the exception of deep-out-of-the-money option, whereas trade-activity in the option market does not affect the future index price returns. 본 연구는 옵션시장에 참여하는 정보거래자들의 거래활동이 현물인 주가지수 수익률을 선도하는지 아니면 역으로 현물의 가격움직임이 옵션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옵션시장 참여자들의 거래활동과 주가지수 수익률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옵션시장 참여자들의 거래활동에 대한 지표로 본 논문은 풋-콜 비율을 사용하였으며 옵션시장 참여자들 중에서 정보투자자들의 거래활동을 살펴보기 위해 행사가격별 옵션 거래활동과 하루 중 수익률이 급변하는 경우 옵션시장의 거래량 움직임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DOTM옵션을 제외하고는 주식시장이 옵션시장을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옵션시장 투자자들의 거래활동은 현물 지수 수익률을 선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KOSPI200 옵션 거래승수 인상 조치에 따른 투자 행태 변화 분석

        이우백(Woo Baik Lee) 한국증권학회 2014 한국증권학회지 Vol.43 No.1

        KOSPI200 옵션 거래승수는 2012년 3월 9일부터 50만 원으로 기존의 거래승수인 10만 원의 5배가 인상되었다. 이러한 대폭적인 거래승수 인상 조치는 한국파생상품시장이 개설된 이래 유동성의 대폭적인 변화를 가져온 정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거래승수 인상이 투자자의 거래 활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거래승수 인상 후 옵션 시장의 일평균 거래량과 미결제약정 수량은 거래승수 인상 전 기간 대비 약 80%가 감소했다. 옵션의 머니니스별 풋-콜 비율의 변동은 전반적으로 주가지수 변동에 후행하는 추세 추종적 행태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행태는 거래승수 인상 전·후 기간으로 일관성 있게 유지되었다. 또한 풋-콜 비율과 현물 수익률간 동시적 일별 인과관계 검정 결과에서도 거래승수 인상 전·후 기간별로 KOSPI200 수익률은 풋-콜 비율 변동에 주도적인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로 작용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구조적 변화에 대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검토할 때, 옵션 거래승수 인상은 투자 행태의 변화에 따른 부작용보다는 정책 당국의 목표대로 시장의 건전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옵션 거래 승수 인상에 따른 유동성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존 KOSPI200 옵션시장의 정보 효율성은 훼손되지 않고 강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미 글로벌 파생상품시장의 거래활동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KOSPI200 옵션시장이 성숙화 단계에서 시행된 조치라는 점에서 파생상품시장 관련 정책은 시장의 질적 수준이 충분히 확보된 상황에서 검토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multiplier for KOSPI200 Options was increased to 500,000won equal to five times prior multiplier since March 9, 2012. The implementation of new multiplier is evaluated as the policy that induces radical change in liquidity on Korean derivatives marke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this increase of multiplier influences trader`s behavior and market quality employing VAR.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Daily trading volume and open interest was sharply decreased by about eighty percent of pre period before new multiplier was implemented. However, daily change in put-call ratio by moneyness tends to follow the market return consistently throughout the pre and post period in daily lead-and lag relationship. KOSPI200 returns also exogenously explains the change in put-call ratio in daily contemporaneous relationship. Overall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e of multiplier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sound market quality policy-makers intended for rather than adverse reaction of trader`s behavior. Also despite shrinkage in liquidity due to new multiplier, the informational efficiency of option market is robust without deterioration. The study also provides implications that policy about derivatives market should be examined in consideration of appropriate market quality, for policy of new multiplier was implemented in maturity stage of KOSPI200 Options market leading position in global derivatives market activity.

      • KCI등재

        투자심리가 장중 KOSPI200 선물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김우현,류호영,김태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4

        This study investigates impacts of investor sentiment on KOSPI200 nearby futures returns using the 10 minutes data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x futures returns and changes in cash returns and change in investor sentiment measures are examined and following results are found.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KOSPI cash return is estimated as 0.9027 and its explanatory power is 74.5%. Thus KOSPI cash return is found to be the dominant variable for the variation of its futures returns. In addition, investor sentiment variables like VKOSPI, foreigners’ futures long position, individual traders’ long position, and put/call volume ratio reveal margin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VKOSPI shows very significant impact on intraday futures returns unexplained by the cash market return. Also, trading behavior of futures market participants show strong effects on unexplained futures returns. The ratio of ATM put/call trading volume provides significant information regarding unexplained futures returns. According to test results, futures prices affected not only by the cash market prices but also by investor sentiment. Thus it is confirmed that investor senti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futures returns unexplained by the cash market return.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기간의 10분 단위 내재변동성지수(VKOSPI), 선물거래 주체별 거래량, 풋/콜 거래량비율 등의 단기 투자심리지표와 현물수익률이 선물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내재변동성지수의 상승은 주가를 하락시키며, 이 지수는 주가 상승기 보다 하락기에 더 큰 충격을 미친다. 선물 거래 주체는 외국인, 기관, 개인투자자로 분류되며, 이들 투자자들의 거래량은 초단기 선물수익률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콜 거래량 대비 풋 거래량의 증가는 현․선물 가격의 하락을 초래하는 변수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다음으로 요약된다. 첫째, KOSPI200 현물수익률이 KOSPI200 선물지수 단기 수익률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현물수익률의 영향을 제거한 후의 초단기 선물수익률은 VKOSPI가 상승할수록 낮아짐을 관측함으로써 VKOSPI의 증가가 선물지수 단기적인 하락을 초래하는 공포지수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투자주체별 거래량의 관점에서는 외국인(개인) 투자자의 거래량의 증가는 선물수익률의 상승(하락)을, 외국인(개인) 순매수 거래량의 감소는 선물수익률의 하락(상승)으로 이어짐으로써 개인 투자자의 투자심리는 시장의 가격추이와 역행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넷째, 풋/콜 순매수 거래량의 증가(감소)는 현물수익률의 영향을 제거한 후의 초단기 선물수익률의 하락(상승)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VIX와 PCR 중 어느 것이 시장방향지표로 더 유용한 역할을 하는가?

        한덕희 ( Deok Hee Hahn ),이상원 ( Sang Won Lee ) 한국금융공학회 2008 금융공학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2004년 1월 2일부터 2007년 2월 28일까지를 표본기간으로 하여 일별자료를 가지고 심리적 지표인 VIX와 PCR의 시장방향지표로서의 유용성에 대해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VIX(PCR)와 KOSPI200간의 동시간에서의 상대적 영향을 조사한 결과, VIX와 PCR 모두 KOSPI200수익률과는 음(-)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VIX는 주가수익률 변화에 상대적으로 양(+)의 변화율이, PCR은 음(-)의 변화율이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VIX와 PCR 모두 비대칭 효과를 보였다. 둘째, VIX와 PCR이 미래 주식시장 예측치로서의 예측력이 있는지를 검정한 결과, VIX와 PCR 모두 60일KOSPI200수익률과 VIX간에는 서로 유의적인 관계를 보였다. 다만, PCR이 높은 경우에는 유의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VIX와 PCR 중 어느 측정치가 실제 주가 움직임을 더 잘 측정하는지를 검정한 결과, VIX가 투자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이며 음(-)의 회귀계수는 VIX가 높을수록 투자정서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PCR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남에 따라 PCR이 투자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VIX가 PCR보다 시장에서 시장방향지표로서 투자자의 심리적 지표로 더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We explore whether the VIX(Volatility Index) and the PCR(Put-Call Ratio) can provide the information to estimate the KOSPI 200 spot price movement, using daily data. The sample period covers from January 1, 2004 to February 28, 2007.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 First, we examine effectiveness of the VIX and the PCR with respect to contemporaneous changes as well as future changes. There is a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turn of the KOSPI 200 and the VIX. The PCR has same results. Also, empirical investigation suggests that asymmetric effect exists. In other words, for the VIX, positive the VIX returns yield bigger changes than do negative returns. For the PCR, vice versa. Second, there exist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VIX and the 3-month forward KOSPI 200 future returns. For the PCR, except high the PCR, there exist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PCR and the 3-month forward KOSPI200 future returns. Third, the VIX is a better measure of stock price forecasting and thus the VIX is a better choice as a measure of investment sentiment.

      • KCI등재

        거래승수 인상에 따른 일중 KOSPI200 옵션거래활동과 현물 시장 변동성간의 관계 분석

        이우백 ( Woo Baik Lee ) 보험연구원 2015 보험금융연구 Vol.26 No.3

        KOSPI200 옵션 거래 승수 인상 조치는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었던 단일 파생상품의 유동성을 축소한 이례적인 정책의 사례이다. 본 연구는 KOSPI200 옵션거래 승수 인상 조치에 따른 옵션 시장의 유동성 변화와 현물시장의 변동성간의 관계 변화를 일중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주요한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옵션 승수 이후 기간에 AR(1)-GARCH(1,1)으로 추정한 현물 시장의 일중 조건부 변동성은 옵션 승수 이전 기간보다 유의적인 수준으로 감소했다. 이같은 결과는 옵션시장의 거래활동이 승수 인상 이후 기간에 급감하면서 옵션 시장에서는 현물 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키는 교란적 요인도 감소했음을 제시하는 간접적인 증거라 할 수 있다. 또한 승수인상 전.후 기간 동안 풋-콜 비율과 현물 시장 변동성간에는 양방향적 인과관계가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를 가진 옵션 거래자들이 변동성을 예측하는 매매 전략을 실행하고, 아울러 비정보 거래자들도 변동성을 추종하는 매매 패턴이 공존하므로 현물 시장과 옵션 시장간에는 정보 흐름이 상호 환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승수 인상 이후에 극가격 옵션의 거래는 감소한 반면 등가격 또는 근가격 옵션의 거래로 집중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등(근)가격 옵션의 거래는 승수 인상 후 기간에 단기적 변동성을 선행하는 추세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변동성을 후행하여 추종하는 노이즈 거래는 감소한 것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극가격 옵션에서 승수 인상 후에 변동성을 추종하는 거래는 승수 인상 전 기간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승수 인상 후에 낮은 변동성이 지속됨에 따라 변동성에 기반한 투기적 매매 행태가 축소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옵션 거래승수 인상 이후에 변동성이 감소하고, 개인 투자자들이 집중하는 외가격 옵션에서 변동성을 추종하는 노이즈 거래 행태가 감소했다는 실증 결과는 옵션 시장의 제도 변경 자체가 현물 시장의 질적 수준을 훼손하지 않았다는 이우백(2014)과 일관성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o mitigat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excessive speculation and high participation of retail investors in the KOSPI 200 options market,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raised the option multiplier for KOSPI 200 options to KRW 500,000 equal to five times prior multiplier since March 9, 2012. The implementation of new multiplier is evaluated as the policy that induces radical change in liquidity on Korean derivatives marke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this increase of multiplier influences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market liquidity and volatility of spot market employing VAR.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daily conditional volatility of spot market employing AR(1)-GARCH(1,1)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implementation of new multiplier. This implies that the disturbing factors that affect volatility weakened with shrinkage in liquidity due to new multiplier. (2) The bidirectional causal relations between change in put-call ratio and market volatility consists throughout the pre and post period. This shows that informed option trader implements the trading strategy that predict short-term volatility but uninformed trader also tends to follow volatility contemporaneously. (3) ITM option traders tends to lead more strongly the short-term volatility during the period of new multiplier. Meanwhile, speculative trading significantly decreased due to low volatility. Overall,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despite shrinkage in liquidity due to new multiplier, the informational efficiency of option market is robust without deteri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