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판윤리

        이인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7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5 No.2

        After examining the values and core principles that are emphasized in publication ethics, I explored the international trends of recent publication ethics on the rules and ethical standards that the stakeholder of publication should obey. I discussed the core principles of publication ethics and the responsibilities of researchers and journal editors and publishers in publishing process, focusing on the Singapore Statement, the guide of publication ethics of Committee on Publication Ethics (COPE), and Elsevier, which are well-known international standards for publication ethics. Related topics discussed in publication ethics as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ethics include data fabrication and falsification, plagiarism, illegitimate authorship, duplicate publication, and conflict of interest. Important values that are emphasized in publication ethics are integrity, transparency, and trust. The following principles and behavior are required for researchers in publication ethics. First, researchers must be accurate and honest when presenting their research results in journals, proceedings, theses, and books. Second, authorship should be given to those who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research. Third, if a violation of research ethics is recognized even after the research results are published, the research result should be withdrawn in whole or in part. 출판윤리에서 강조하는 가치와 핵심 원리를 살펴본 후, 출판과 관련된 각 주체들이 지켜야 할 규칙이나 윤리적 기준에 대해 최근출판윤리의 국제적 동향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출판윤리에 관한 국제적 표준을 잘 제시하고 있는 싱가포르 선언, Committee on Publication Ethics (COPE)와 Elsevier의 가이드를 중심으로 출판윤리의 핵심 원리, 출판윤리에서의 연구자와 학술지 편집인과 출판사의 책임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윤리의 중요한 영역으로서 출판윤리에서 논의되고 있는 관련 주제는 데이터의 위조, 변조, 표절, 부당한 저자표시, 이중게재, 이해충돌 등 다양하다. 출판윤리에서 강조하는 중요한 가치에는 진실성, 투명성, 신뢰이다. 출판윤리에서 연구자에게 요구하는 원칙과 행동 양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가 자신의 연구결과를 학술지 논문, 학술대회 발표 논문, 학위 논문, 저서 등으로 발표할 때 정확하고 정직해야 한다. 둘째, 연구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사람에게 저자자격을 부여해야 한다. 셋째, 연구결과가 발표된 이후에도 연구윤리를 위반한 사항을 인지하게 되면 연구결과의 전부 혹은 일부를 철회해야 한다.

      • KCI등재

        편집심사업무 관점에서 학술지 윤리강화를 위한 표절 검증사례

        황희중,이정완,Dong-Ho Kim,Dong-Jin Shin,김병구,김태중,이용기,김완기,윤명길 한국유통과학회 2017 유통과학연구 Vol.15 No.5

        Purpose – To improve and strengthen existing publication and research ethics, KODISA has identified and presented various cases which have violated publication and research ethics and principles in recent years. The editorial office of KODISA has been providing and continues to provide advice and feedback on publication ethics to researchers during peer review and editorial decision making process. Providing advice and feedback on publication ethics will ensure researchers to have an opportunity to correct their mistakes or make appropriate decisions and avoid any violations in research ethic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different cases of ethical violation in research and inform and educate researchers to avoid any violations in publication and research ethics. Furthermore, this article will demonstrate how KODISA journals identify and penalize ethical violations and strengthens its publication ethics and practi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paper examines different types of ethical violation in publication and research ethics. The paper identifies and analyzes all ethical violations in research and combines them into five general categories. Those five general types of ethical violations are thoroughly examined and discussed. Results – Ethical violations of research occur in various forms at regular intervals; in other words, unethical researchers tend to commit different types of ethical violations repeatedly at same time. The five categories of ethical violation in research are as follows: (1) Arbitrary changes or additions in author(s) happen frequently in thesis/dissertation related publications. (2) Self plagiarism, submitting same work or mixture of previous works with or without using proper citations, also occurs frequently, but the most common type of plagiarism is changing the statistical results and using them to present a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3) Translation plagiarism, another ethical violation in publication, is difficult to detect but occurs frequently; (4) Fabrication of data or statistical analysis also occurs frequently. KODISA requires authors to submi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paper (the output of the statistical program) to prevent this type of ethical violation; (5) Mashup or aggregator plagiarism, submitting a mix of several different works with or without proper citations without alterations, is very difficult to detect, and KODISA journals consider this type of plagiarism as the worst ethical violation. Conclusions – There are some individual cases of ethical violation in research and publication that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five categories presented throughout the paper. KODISA and its editorial office should continue to develop, revise, and strengthen their publication ethics, to learn and share different ways to detect any ethical violations in research and publication, to train and educate its editorial members and researchers, and to analyze and share different cases of ethical violations with the scholarly community.

      • KCI등재

        중복게재 예방을 위한 연구자와 학회의 책임

        이인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6

        Redundant publication is a topic that is frequently controversial along with plagiarism, unfair authorship, and poor academic activities in publication ethics, an important sub-area of ​​research ethics. Some researchers know what redundant publication is and why it is a problem in recycling their previous research results, but they do not know or misunderstand specifically what types of redundant publication are and when they fall under redundant publications.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factors and criteria for judging redundant publications depending on the academic field and the method or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herefore, in this paper, after examining the meaning,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redundant publication, I have collected and answered the questions that the members of Korea Society Moral &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want to know more clearly or still have a lot of room for misunderstanding in relation to the recent issues surrounding redundant publication, Through this, it is suggested what the responsibilities of researchers and the members of Korea Society Moral &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are necessary to meet the recently strengthened research ethics and prevent redundant publication. 중복게재(redundant publication)는 연구윤리의 중요한 하위 영역인 출판윤리(publication ethics)에서 표절, 부당한 저자표시, 부실한 학술활동과 함께 자주 논의되고 있는 주제이다. 그렇지만 연구자들 중에는 중복게재의 의미와 유형이 무엇이며, 자신의 이전 연구 내용을 재활용할 때 어떻게 해야 중복게재에 해당되지 않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거나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학문 분야, 연구의 방법이나 특성에 따라 중복게재를 판단하는 요소나 기준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복게재의 의미와 특성 및 유형에 대해 살펴본 후, 최근 중복게재를 둘러싼 여러 쟁점과 관련하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회원들이 보다 명확하게 알고 싶어 하거나 여전히 오해할 여지가 많은 질문들을 모아 이에 답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 강화된 연구윤리에 부응하고 특히 중복게재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자와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책임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체육학 학술지의 출판윤리 규정 내용 및 요구 분석

        오수학 ( Suhak Oh ),유정애 ( Jeongae You ),권영문 ( Youngmoon Kwon ),최지아 ( Jeeah Choi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4

        건강한 학술연구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학차원의 연구윤리위원회 활동, 학회 및 출판사 차원의 자정 노력과 시스템이 과거에 비해 다각도로 구축되고 있다. 현재 기존의 연구윤리와 차별화된 학술 논문의 공적 출판과 관련된 출판윤리의 강조는 국내외 선진 학회에서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화된 출판윤리 진단 기준을 근거로 2020년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체육학 학술지를 전수조사하고 출판윤리 규정 내용 및 학술적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체육 분야의 개별 학회가 학문적 다양성과 특수성을 반영한 선진화된 학술논문 출판윤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맞춤형 출판윤리 규범을 체계화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체육학 학술지의 규정은 설정한 기준과 비교할 때 매우 잘 갖추어진 학회에서부터 규정 자체가 없는 경우도 나타나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고, 규정 내용 수준의 범위가 학회 간 상당히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출판윤리의 필수 규정으로 간주되는 조항을 정비하지 못한 학회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육학 학술지의 출판윤리 개선을 위해 국내외 선진화된 출판윤리 규정 참조 및 준용을 통한 개정 작업과 함께, 편집인, 심사자, 저자의 인식 확산을 위한 각 학회의 노력이 필요하다. To foster a healthy research culture in Kinesiology, the committee activities of research ethics at the university level and self-correction systems at the academic level or publisher level are being built in various ways than in the past. In present, publication ethics related to the public publication of scholarly paper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research ethics is being emphasized in domestic and foreign advanced societies. Based on the advanced diagnostic standards for publishing ethics, this study was conducted a complete survey of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Kinesiology registered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2020,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academic needs of the publication ethics regulations. Throughout this, this study has intended that each academic society in the field of Kinesiology has developed advanced guidelines of academic publication ethics guidelines reflecting academic diversity and specificity and contribu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ystematizing customized publication ethics standards. As a result, when comparing the standards set by Kinesiology associations, the range was very large from some journals without regulations to other journals with well-equipped regulations. It was also investigated that there are a number of academic societies that have failed to revise the provisions that are considered essential regulations of publication ethics. Finally,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perception of editors, reviewers, and authors, along with revised works to refer advanced publication regul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 KCI등재

        변호사법상 법무법인등에 취업한 퇴직공직자에 관한 고찰

        정형근(Jung, Hyung-Keun) 경희법학연구소 2020 경희법학 Vol.55 No.2

        변호사법에서 퇴직공직자를 규율하는 것은 비법조계에 존재하는 전관예우를 금지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세월호 사건에서 드러난 각종 이권에 얽혀 있는 관피아와 같은 부패구조를 척결하기 위해서는 현직에 있는 공직자들이 공정하고 특혜없는 직무수행이 요청된다. 공직자는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공평무사하게 처신하여야 하며 전관이었던 퇴직공직자의 청탁을 우호적으로 처리하여서는 아니된다. 퇴직공직자를 영입한 법무법인등은 그 명단을 지체없이 지방변호사회에 제출해야 한다. 법률사무소의 사무직원은 사전에 신고해야 하지만, 퇴직공직자를 채용할 때는 아무런 규제규정이 없다. 퇴직공직자의 범위는 공직자윤리법상 재산등록의무자와 변호사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공직자로 한정된다. 법무법인등에 취업하는 퇴직공직자는 사무직원의 결격사유와 같은 형사처벌을 받은 전과 있는 자는 일정기간 취업을 제한하는 결격사유가 필요하다. 퇴직공직자의 명단을 제출해야 하는 기한의 제한도 없어서 실제로 명단 제출을 어느 정도 지연하였을 때 징계처분을 할 것인지 명확하지 않다. 그리고 퇴직공직자가 법무법인등에서 행한 업무에 관한 활동내역서를 제출해야 한다. 퇴직공직자가 행하는 업무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퇴직하였던 국가기관에서 취급하였던 업무와 관련된 로비스트와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퇴직공직자의 업무는 범죄행위가 아니라면 어떤 행위도 할 수 있다. 퇴직공직자의 활동내역서를 제출받아 그 업무수행 과정에서 위법행위나 범죄혐의가 있는지 여부를 법조윤리협의회가 조사하게 된다. 만약 위법사유가 존재하고, 그 행위에 법무법인등의 변호사가 관련되어 있다면 그 법무법인등과 변호사에 대하여 징계개시 신청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범죄혐의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지방검찰청 검사장에게 수사 의뢰를 할 수 있다. 수사 의뢰의 대상자는 관련된 변호사는 물론 퇴직공직자도 포함된다. 퇴직공직자에 대한 실효적인 규율을 하기 위해서 개선해야 할 점도 많다. 현재는 퇴직공직자를 영입한 법무법인등의 적극적인 협조가 없으면, 이 제도가 유명무실해 질 수 있다. 퇴직공직자를 채용한 경우에 그 명단의 제출기한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활동내역서의 제출의무 기한이 무제한으로 되어 있는 것을 채용한 때부터 5년 이내로 한정하는 등의 조치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을 채용하는 단계에서 지방변호사회나 대한변호사협회가 전혀 관여할 수 없다. 그래서 사전에 채용신고를 하도록 하고, 채용시 형사처벌을 받은 전과가 있을 때는 이를 제한하는 결격사유도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퇴직공직자의 명단 및 활동내역을 거짓으로 작성하거나 미제출에 대해서는 제재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과태료를 부과하는 규정을 신설함이 타당할 것이다. The Legal Ethics and Professional Conduct Counci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thics Council”) shall be established in order to establish legal ethics and build a healthy legal climate. The Ethics Council shall perform the work in each of the following subparagraphs: 1. Consulting about statutes and regulations, the legal system and policies for the establishment of legal ethics; 2. Analysis of the state of legal ethics and measures against violations of legal ethics; 3. Applications for the commencement of disciplinary action against those who violate statutes and regulations pertaining to legal ethics or request for investigations of such persons; 4. Other work, such as consulting about matters necessary to establish legal ethics. When a person liable for registration of property referred to in Article 3 of the Public Service Ethics Act, or a retired public official, as non-attorney-at-law, who has served in a position of a specific grad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or higher one (referred to as “retired public official” in this Article) is employed by a law firm, limited liability law firm or law firm partnership; or joint venture law firm as defined in subparagraph 9 of Article 2 of the Foreign Legal Consultant Act (hereafter referred to as “law firm, etc.” in this Article), such law firm, etc. shall submit a list of names of retired public officials whom it employs, to the local bar association having jurisdiction over its principal office without delay, and prepare and submit a statement of business of retired public officials of the preceding year in which the details of business activities, etc. are included, to the local bar association having jurisdiction over its principal office by the last day of January of each year. Employment referred to ‘retired public officials entire activities to receive wages, salaries and others in any name, such as money and articles or economic benefits in return for the provision of labor or service. Every local bar association shall submit data it receives pursuant to paragraph (1), to the Ethics Council. The chairperson of the Ethics Council may, when he or she finds as a result of examining data submitted pursuant to paragraph (4) that the relevant persons are suspected of having grounds for disciplinary action or committing any illegal act, file an application for the commencement of disciplinary proceedings against such persons with the President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or request the investigation of such persons to the chief prosecutor of a district prosecutors office. Statements of duties referred to in paragraph (1) shall include the details of business activities of retired public officials, such as cases and affairs in which they are involved and other matter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The following shall be entered into a name list submitted pursuant to Article 89-6 (1) of the Act: 1. Name of a retired public official; 2.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of a retired public official; 3. Name of the institution for which a retired public official worked and his/her Grade at the time of retirement; 4. Date of employment when a retired public official worked at a law firm, etc.; 5. An attorney-at-law who is responsible for submission of the name list.

      • KCI등재

        중복게재의 유형과 판단 기준

        이인재 ( Lee In Jae ) 한국감정평가학회 2021 감정평가학논집 Vol.20 No.3

        우리는 연구자가 연구 성과를 발표 및 게재하는 과정에서 잘 모르고 한 것이든 의도적으로 한 것이든 연구윤리를 위반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표절과 함께 중복게재(redundant publication)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연구윤리의 중요한 하위 영역으로서 출판윤리(publication ethics)가 있는데, 출판윤리에서는 표절과 함께 중복게재 및 저자 자격(authorship)에 관한 쟁점이 핵심적으로 논의되곤 한다. 연구자들 중에는 표절과 함께 중복게재에 대해 많이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중복게재의 의미나 그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때에 중복게재에 해당되는지에 대해서는 쉽게 판단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만큼 중복게재를 둘러싼 논의에서 학문 분야, 연구의 방법이나 특성에 따라 중복게재를 판단하는 요소나 기준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복게재를 둘러싼 여러 쟁점과 관련하여 연구자들이 보다 명확하게 알고 싶어 하고 또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는 질문들을 모아 이에 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평소 대학의 교수나 대학원생 그리고 연구소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 윤리 강의를 했을 때 나왔던 질문들과 이메일이나 학술 행사 등에서 개인적으로 받았던 질문들을 몇 가지로 유형화하여 이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밝히는 방식으로 기술하였다. We know that plagiarism and redundant publications are typical examples of violating research ethics, whether done intentionally or unknowingly in the process of announcing and publishing research results. Publication ethics presents itself as an important sub-area of research ethics. In publication ethics, issues related to plagiarism, redundant publication and authorship are often discussed as core issues. Among researchers,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curious about redundant publications along with plagiarism. Researchers say that they want to know to some extent the meaning of redundant publication and why it is a problem but cannot easily determine when specifically the term redundant publication is applicable. This is because, in the discussion related to redundant publications,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judgment criteria of redundant publications depending on the academic field and the method or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issues of redundant publication and suggests desirable publication practices which researchers should understand and comply with. To this end, I have collected the most pertinent questions from audiences and researchers who have attended my research ethics lecture and respond them. I usually categorize the questions I received when I lectured on research ethics for university professors, graduate students, and researchers at research institutes, as well as the questions I received personally via e-mails and at academic conferences, and here I describe my views on them. Researchers should present the sources adequately and clearly when they use their previously published papers. It is recognized that when researchers publish their paper whose content was the same or substantially like that of a previously published one without adequate cross-referencing and then take advantage of it unduly, that is unjustifiable redundant publication.

      • KCI등재후보

        생태 정의의 공공성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박성철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4 No.-

        In an era of ecol-crisis, Christian ethics must provide a value system for eco-justice. In the past, Christianity looked on the eco-crisis without properly resisting the ideology of the industrial society. But The publicity Christian discour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iticizing the ideology of industrial society and the distortion of Christian eth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crisis that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establish Christian ethics for ecol-justice are as follows. First, the eco-crisis is a negative result of an industrial society that exploited and repressed nature to maximize individual economic benefits. Second, the damage of eco-crisis appears unequal according to social stratum or class. Third, Christian ethics distorted due to the privatization of faith led to imperialism, which spread eco-crisis all over the world. In order to the Christian ethics for eco-justice to be established through the publicity discourse today, the following basic conditions must be met. First, the Christian ethics for eco-justice is oriented toward the public participation of Christians in order to strengthen and realize publicity. Second, Christian ethics for eco-justice aims for Christian public participation in resolving social inequality caused by eco-crisis. Third, Christian ethics for eco-justice targets at recognizing the publicity of the gospel and promoting Christian public participation for the public good(common good). Therefore, Christian ethics in the era of ecological crisis could have a mission for an eco-society. Now, the Christian ethics for eco-justice must consider the public participation of Christians for the eco-society and the total change of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mission. 생태 위기의 시대에 기독교 윤리는 생태 정의를 위한 가치 체계를 제공해야 한다. 과거 기독교는 산업 사회의 이데올로기에 제대로 저항하지 못한 채 생태 위기를 방관하였다. 그러나 기독교적 공공성 담론은 산업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기독교 윤리의 왜곡 현상을 비판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를 정립하기 위해 반드시 고찰해야 할 생태 위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 위기는 개인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연을 착취하고 억압한 산업 사회의 부정적 결과물이다. 둘째, 생태 위기의 피해는 사회적 계층이나 계급에 따라 불평등하게 나타난다. 셋째, 신앙의 사사화로 인해 왜곡된 기독교 윤리는 제국주의를 이끌었고고 제국주의는 생태 위기를 전 세계로 확산하였다. 오늘날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가 공공성 담론을 통해 정립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기본 조건들을 충족해야 한다. 첫째,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는 공공성을 강화하고 실현하기 위한 그리스도인의 공적 참여를 지향한다. 둘째,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는 생태 위기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그리스도인의 공적 참여를 지향한다. 셋째,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는 복음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과 공공선(공동선)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공적 참여를 지향한다. 그러므로 생태 위기 시대의 기독교 윤리는 생태 사회를 위한 사명을 가져야 한다. 이제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는 이 사명을 성취하기 위해 생태 사회를 위한 그리스도인의 공적 참여와 삶의 총체적 변화를 고민해야 한다.

      • KCI등재

        의료윤리학의 학문적 위상과 학제적 연구의 범위에 대한 일고

        강명신 ( Myoung Sheen Kang ),손명세 ( Myoung Sei Sohn ) 한국의료윤리학회 2009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2 No.3

        Medical ethics, which is expanding in scope, now includes public health ethics, bioethics, and biomedical or health care ethics. Though it started as a form of professional ethics, medical ethic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s of practical ethics, a branch of philosophy. According to Rawls, much of moral theory is independent from the other parts of philosophy. That is, the study of moral concepts and their relation to our moral sensibility has its own distinctive problems and subject matter, requiring unique forms of study. But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ethics and medical ethics? In this article we argue that moral theory and medical ethics are necessarily interconnected and that they support each other. Professional duties are influenced by health care systems and policies, and public health ethics is influenced by ethical and political theory. Therefore, we argue that problems in medical ethics should be addressed from a meta-viewpoint that takes other disciplines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해방 전후 시의 사적 윤리와 공적 윤리 : 오장환을 중심으로

        김춘식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8 한국문학연구 Vol.0 No.57

        The inclusion of both the private ethics of self-criticism and public ethics of the poems by O Jang-Hwan, after the liberation, is related to the general attempt of ethical and political rehabilitation of the colonial period. In this paper, the most urgent problems of literature to be constructed at that time are ‘conscience’, ‘self-criticism’, ‘overcoming of peti-bourgeois’, ‘new citizen consciousness’, ‘democracy’, ‘We looked at the process of repositioning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together under the name new community’ or ‘state’. The problematic point of O Jang-hwan showed the work of linking the criticism of himself before liberation and the poet as the subject of the newly constructed literature. This feature is more meaningful because it embodies the politics of the Nam-lo -Dang and the Josun-Munhakga-Dongmaeng. It is also an important point that the ethics of private individuals are extended to political processes, and this leads to a new phase of evaluation of the authenticity of poetry. The authenticity of poems in the liberation period depends on the ability to sublimate the private ethics of the self-criticism to the public level. The ethical legitimacy of political lottery and practice exists in the peculiarity gained by the process and authenticity of self-confessions and reflections, and it is a feature of this periodic aesthetics that it is oriented toward futurism through such ethical and political legitimacy. If the past is equalized as a citizen, the future is ideologized as progressive realism, democracy and people. In addition, since the level of private ethics is linked to the political dimension and the problem of public political sovereignty, O Jang-Hwan’s poems demand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dilemma of peti-bourgeois ethics. If the poetry of him in colonial period and the his individualism are connected to the problem of ethics that can be chosen, the poems of him, basically excludes individualism and aims for communitarianism. This point seems to be a conscious point of him. The questions of conscience, self-criticism and confession are not limited to personal ethics in this respect. It is a private matter in that it is a process of proving authenticity to move toward a collective solidarity, but at the same time it touches on the problem of communal political sovereignty. 이 논문은 오장환의 해방기 시를 중심으로 해방기 조선문학가 동맹 측의 사적 윤리와 공적윤리의 문제를 조명한 논문이다. 식민지 잔재 청산, 봉건적인 유제 타파 등을 내세운 과거 청산의 문제와 ‘건설’이라는 말을 중심으로 한 ‘미래주의’의 기획은 이 시기 좌우를 포괄하는 이념이고 경향이었다. 이 논문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해방기 좌파의 문학론과 창작방법론이 ‘공식주의’적인 정치성을 전면에 내세우며 만들어졌다기보다는 당시의 현실정세에 대한 적극적인 탐구와 인식을 전제로 구축되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입장을 취한다. 해방 직후 ‘새롭게 건설될 문학의 성격’과 ‘과거 청산’의 문제는 식민지 시기와 ‘해방 이후’라는 역사적 분기점에 ‘과거’와 ‘미래’라는 두 개의 대척점을 마주 세우면서 ‘새롭게 역사’를 만들어 가려는 기획의 형식을 지닐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전환과 새로운 기획이 중첩되는 지점에서, 역사발전 법칙이나 전망에 대한 사유는 하나의 ‘과학적 체계’를 지닌 역사관, 미래주의를 가정하게 된다. 해방 직후, ‘건설’의 문제에서 ‘민주주의’, ‘인민’과 ‘파시즘’, ‘국수주의’가 서로 대칭을 이루는 개념이 되는 과정은 이 시기 정치성의 문제가 ‘국가 건설’을 둘러싼 윤리적 정당성, 역사적 당위성의 문제에 얼마나 밀착되어 있었는지를 말해준다. 인민성의 개념은 이 점에서 사적인 개인의 윤리적 자기 점검과 공적인 주권 회복의 양면에서 모두 중요한 척도가 된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오장환은 사적 윤리의 점검이 공적인 윤리의 차원을 향해 나아가는 출발점이 될 수밖에 없는 특수한 조건에서 ‘소시민성’, ‘식민지 잔재 청산’, ‘봉건적 잔재 탈피’ 등의 역사적인 문제를 개인, 내면의 문제로 환원한 대표적 시인이다. 해방기의 정세는 이 점에서 개인적 양심의 문제를 역사적 폭력의 문제와 연결해서 다시 돌아보고 설명할 수밖에 없는 예외적 지점을 안고 있었다. 해방기 이후 ‘공식주의’에 대한 비판은 ‘현실정세’와 동떨어진 지식 엘리트의 허위성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단어로 정립되는데, 공식주의에 대한 비판은 객관적 정세와 이념적 지향을 하나로 결합하기 위한 전형적인 방법이다. 개인적 양심의 문제가 선행되지 않고서는 객관적 정세, 역사적 진보, 이념적 지향이 모두 어렵다는 문제의식은 ‘역사적 폭력’과 ‘주체’의 문제에 대한 사유를 촉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오장환의 시가 해방 직후 자기비판의 사적 윤리와 공적 윤리의 양면을 모두 아울러 포함할 수 있었던 점은 식민지 시기의 과거 행적에 대한 기성 문인 일반의 윤리적, 정치적 복권 시도와 관련된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공직윤리 시스템 비교연구

        윤태범(Yun Tae beom) 한국부패학회 2010 한국부패학회보 Vol.15 No.3

        In this paper, I have compared the ethics management system between Korea and USA. Most developed countries had established and operated many laws and institutions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servant's ethics. Representative means for the public servant's ethics are code of ethics, ethics law, and conflict of interest act. Then, Most countries have a multiplicity of background in establishing ethics-related means. So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not only the current laws and institutions but also the background and reasons for the enough understanding of ethics management system of other countries. Many ethics institutions of Korea are stand on that of USA. So,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and reasons of ethics system of USA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In this paper, I have compared code of ethics, ethics law, and conflict of interest law between Korea and USA. Two countries have some points of common. First, Two countries had legislated some ethics institutions when ethical problems or corruption cases were broken in government. Second, many acts were legislated in the early days of presid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