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영향

        심선옥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nslation patterns, trends and influence of the Third World Poetry in the 1970s. It is a basic work for research that gave an overview of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hird World Poetry from 1910 to the 1960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historical common experience, emotional similarities, cosmopolitanism, and universal culture are important in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This paper surveyed the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on literary magazines, poetry magazines, and books of publications in the 1970s and compiled it into a list.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hird World Poetry in the 1970s are four major trend. First, Latin American and African poetry is the mainstream in translation, but translations to Middle East Asia and Southeast Asia are minimal. Second, the trend of translation has changed from Latin American poetry to African poetry and American black poetry. Third, They are classified by medium and the concept of world literature. One is the case of translation the Third World Literature is in order to introduce recent World Literature trends, and the other is the case of transl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Third World literature. Especially, These translated poetry used the method of resistance to the violent regime, Popular Literature, and realism in Korean literature. Lastly, This paper explained the reason why Pablo Neruda was a problematic text in the 1970s in Korea. His collection of poems was censored because he was a communist. Also,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wide trend of his poems at the level of criticism in Korea.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is that Korea has become a member of the Third World and has a common position and sense within the world system. 이 연구는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수용 현황 및 당대 시단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1910~60년대까지 제3세계 번역시를 개관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한국 근현대시문학사에서 제3세계 시 번역의 기준으로 역사적 공통 경험과 정서적 유사성, 그리고 ‘세계성’과 ‘보편적 교양’이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1970년대 문예지, 시 전문지, 출판 시집 등을 대상으로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수용 양상을 조사하고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970년대 제3세계 번역시의 경향, 번역 대상과 매체별로 시기적 변화양상과 의미를 분석하고 제3세계 문학론과 번역시의 관계, 제3세계 번역시가 한국시에 미친 영향 등을 검토하였다. 1970년대 제3세계 시의 번역 양상을 정리하면, 먼저, 번역 대상으로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시가 주류를 이루며 중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대한 번역은 미미한 편이었다. 시기적으로는 1971년 네루다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것을 계기로 라틴아메리카 시문학에 대한 관심이 확장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에는 아프리카 시와 흑인시로 번역의 중심이 옮겨갔다. 매체별로는, 제3세계 문학에 대한 특정한 인식 없이 최근의 세계문학 동향을 다양하게 소개하는 과정에서 스페인, 남미, 인도, 중동남아 시를 번역하는 경우(『시문학』과 『세계의 문학』), 한국문학과 제3세계문학의 관계에 집중하여 번역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후자의 경우, 『문학사상』이 국내의 정치적 억압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저항문학의 관점에서 라틴 아메리카 시와 제3세계문학을 연재한 것, 동인지 『반시』가 ‘민중적 민족문학’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아프리카 시 번역을 연재한 것이 해당된다. 특히, 제3세계 문학과 민족문학을 통합하는 관점으로 ‘민중적 관점’과 ‘리얼리즘’을 주장하였던 백낙청, 구중서, 박태순의 제3세계문학론은, 제3세계 번역시의 중심이 라틴 아메리카문학에서 아프리카 시와 흑인시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끝으로, 제3세계를 대표하는 시인 네루다가 1970년대 한국문학 장에서 ‘문제적 텍스트’가 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가 공산주의자라는 사실로 인해 『네루다시집』에 남아 있는 검열의 흔적은, 1970년대 네루다 시집 출판의 어려움뿐 아니라 이념적인 문학작품의 출판에 대해 엄혹했던 당시의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소개는, 서구 중심의 세계문학 개념에 대한 반성적 인식과 새로운 세계문학의 기준점을 마련했다는 점, 제3세계 문학과 한국문학이 세계사적 과제의 실현을 위한 연대를 모색했다는 점, 그리고 한국 시의 영역과 비평 언어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세계의 시 World Poetry』 (Norton, 1997) 소재(所在) 한국고전시(韓國古典詩)의 존재 양상 고찰

        강혜정 ( Kang Hyejung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본고는 1997년 뉴욕의 노튼 출판사에서 간행된 _세계의 시 World Poetry_에 한 국의 고전시가 수록되어 있다는 것을 학계에 보고하고, 그 존재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의 시』에 수록된 한국의 고전시는 얼마나 되며, 어떤 장르의 작품이, 어떻게 소개되고 있는지, 그리고 번역자, 번역서별로 볼 때는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서구사회에 소개되고 있는 한국 고전시 존 재 양상의 한 국면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세계의 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우선이 책이 기존의 편협하고 왜곡된 세계문학의 관념에서 벗어나 명실상부한 세계문학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전에 출간된 `세계의 시`는 서구문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우리 시가 포함된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그러나『세계의 시』는 비영어권 작품을 80%이상 수록하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소수 언어권 문학까지도 포섭하게 되었다. 게다가 이 책은 `노튼 (W. W. Norton)`이라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출판사에서 출간되어 그 영향력, 파급력이 크기에 이 책에 수록된 작품은 향후 세계 문학 속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고 전시로 정전적 지위를 누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세계의 시』는 시공간적으로 방대한 양의 작품을 체계적으로 수록하기 위해 시대적, 지리적, 언어적 특성을 모두 고려한 새로운 편집 방식을 취하였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한국의 시는 파트 3부터 파트8에 걸쳐 총 48편이 수록되었다. 그 중 고전시가 36편인데 원전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은 모두 33편으로, 한시9편, 향가2편, 시조22편이다. 시조 작품수가 압도적으로 많아 시조가 한국 고전시를 대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기별로는 신라 향가 2편, 고려 한시 6편, 조선조 시조22편 조선조 한시가 3편으로조선시대 작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작품들은 『세계의 시』에 배치될 때 부적절하게 놓인 경우가 있으며, 그 창작 언어에 대해서도 잘못 지칭하고 있는 경 우가 있었다. 한국 시의 번역자는 모두 10명인데 그 중 케빈 오록과 조앤 그릭스 비의 번역시가 절반이 넘는다. 오록은 한국의 대표적인 번역자 중 한 명으로 다수의 작품을 번역했기에 그의 작품이 많이 수록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그릭스비는 70여 편의 얇은 번역서 한 권만을 남겼지만, 그녀의 번역이 영시로서 아름답게 번역되었기에 다수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인용된 번역서는 1970년대 1980년대에 해외에서 간행된 서적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Korean classical poems in World Poetry: An anthology of Verse from Antiquity to Our Time(W. W. Norton & Company, 1997; editors: Katharine Washburn, John S. Major; general editor: Clifton Fadiman). This anthology merits attention, as unlike those in other similarly named collections, the poems within World Poetry are truly worthy of the name. While numerous collections have claimed to stand for `world poetry`, the major are, in fact, limited to primarily Western poems. However more than eighty percent of the works in World Poetry were originally composed in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enabling less familiar languages such as Korean to join the ranks of `world poetry`. Moreover, W. W. Norton`s position as a highly influential publisher means in this book could represent classical Korean poetry to the world`s readers. World Poetry includes 48 Korean poems, with 36 of them classical poems. Most Korean classical poems, such as hangga and sijo, have been available in Korean. Also, most Korean classical poems, such as sijo, have been enjoy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anthology features ten different translators for the Korean section, with most of the poems translated by Kevin O`rourke and Joan S. Grigsby. The translations were published abroad in the 1970s or 1980s. Thanks to World Poetry, Korean literature has been able to extend its boundaries of readership internationally. However, some of the Korean poems in this anthology are misarranged and many of them are misinterpreted from the original language.

      • KCI등재

        황동규의 극서정시(劇敍情詩) 연구 - ‘극화(劇化)’를 중심으로

        최라영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3

        The ‘Dramatic Poetry’ of Whang Dong-gyu is his intrinsic poetics developed after his middle poetry, when he gains confidence as a creative poet himself. His poetics, ‘dramatization’ and ‘dramatic’ as the ‘Dramatic Poetr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drama poetry’ which expresses social criticism by researching inside himself in his early poetry. However, he uses the term, ‘dramatization’(dramatic), as a comprehensive meaning that exceeds the ‘dramatic poetry’ in the late period of his poetry. The ‘dramatization’ of the dramatic poetry has the meaning that he makes positive and rapid changes in his poetry. In other words, the ‘dramatic poetry’ means the touching poetry as a ‘dramatization of experience’. He extends his poetics by the change of his poetry, from early period to the middle period and from the middle period to the late period. His poetics, ‘dramatization’, reveals fixed situation in his later period's poetry. This essay is focused on his later poetry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rapid changes’. The characteristics of ‘rapid changes’ and ‘dramatization’ are examined through his view, terms, and poetry. Those can be summarized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is the ‘dramatization’ of the ‘structure’ or ‘making power’. Second is the ‘dramatization’ of the ‘dignity’ or the ‘rebirth’. Third is the ‘dramatization’ of the ‘experiencing nature’ or the ‘spiritual realm of being delivered from worldly existence’. His poetics, ‘dramatization’, aims ‘human dignity’, ‘his inherent world’, and, ‘nature friendly experiences’ starting from his ‘original personality’. It is important that the ‘dramatization’, the key point of his dramatic poetry, is not an empty opinion but a verified poetics through his poetry which shows the stage of the spiritual realm of esthetic realization. His poetics reveals vulnerability in his later period's poetry. Vulnerabilities are the ‘texture’ contrasted with the ‘structure’, the ‘humane passion’ contrasted with the ‘dignity’, and the ‘social involvement’ contrasted with the ‘experiencing nature’. These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fact that he extends his poetics from the ‘dramatization’ a narrow sense to the ‘dramatization’ as a broad sense in the later period of his poetry. Finally, his opinion to society in his middle period's poetry is eliminated. It can be said that the ‘dramatic poetry’ is a ‘double-edged sword’ for his poetics. 황동규의 ‘극서정시Dramatic Poetry’는 개성적 기질에 부합한 시의 지향에 관하여시인으로서 자신감을 얻게 되면서 중기시 이후부터 전개한 시인고유의 시론이다. 그가 처음 ‘극서정시’의 특성으로서 ‘극화’, ‘극적’ 등을 사용한 것은, 초기시의 내면탐구 경향으로부터 사회비판적 내용을 담은 장르확장으로서의 ‘극시drama Poetry’ 차용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그러나 이후 그는 자신의 후기시 논의에서 ‘극화(극적)’를 ‘극시’ 범주를 훌쩍 넘어서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하였다. 이때 그가 논의한 ‘극서정시’의 ‘극화’는 자신의 시에서 긍정적 방향으로 비약적 변화를 보여주는 의미를 지닌다. 즉 ‘극서정시’는 ‘체험의 극화’로서 요약되며 감동을 주는 좋은 시를 뜻한다. 즉 시인은 초기시에서 중기시로의 시적 변화, 그리고 중기시에서 후기시로의 시적 변화를 아우르면서 큰 맥락에서 일관성을 갖도록 ‘극서정시’ 곧 ‘극화’시론의 내용항을 변용, 확장시켜왔다. 그가 주장하는 ‘극화’ 시론은 후기시에 이르러 정착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 글은 ‘비약적 변화’를 주요 특성으로 하는 후기시의 ‘극화’시론에 초점을 맞추어, 시인의 견해와 용어들을 경유하여 ‘작품’, ‘자아’, 그리고 ‘대상’의 측면에서 ‘비약적 변화’ 혹은 ‘극화’의 특성을 구체화하였다. 그것은, 첫째 ‘틀’의 ‘극화’ 혹은 ‘빚는 힘’, 둘째 ‘품위’의 ‘극화’ 혹은 ‘환해짐’(거듭남), 셋째 ‘자연체험’의 ‘극화’ 혹은 ‘범속을 벗어나는 순간’(선(禪)의 경지)으로서 정리될 수 있다. 전자가 시인의 전기시의 특성(지향) 에 상응한다면 후자는 그의 후기시의 특성(지향)에 상응하는 것이다. 즉 ‘극화’시론의 특성은 자신의 ‘본래적 개성’의 자리로부터 ‘인간적 품위’, ‘자기 고유의 세계’,그리고 ‘자연친화적 체험’을 지향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의미있는 사실은 ‘극서정시’의 핵심인 ‘극화’는 공허한 주장이 아니라 미적 깨달음의 경지라는 그의 실제 창작물로서 증명된다는 것이다. 후기시의 ‘극화 시론’은 그가 지향해온 시론의 이면과 관련하여 취약한 부분을드러낸다. 그것은, ‘틀’과 대비되는 ‘결’의 측면, ‘품위’와 대비되는 솔직한 ‘인간적 열정’, 그리고 ‘자연체험’과 대비되는 사회적 참여 등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그가 후기시에서, 대화적 정신을 추구하는 좁은 의미의 ‘극화’로부터 극적 정화(淨化)와 관련된 넓은 의미의 ‘극화’를 자신의 시론으로서 변용, 확장한 사실과 관련이 깊다. 즉 그의 후기시는 중기시에서 보여준 서정시의 장르적 확장과 관련한 대사회적 목소리를 상실한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극화 시론’은 황동규의 시세계에서 ‘양날의 칼’ 에 해당된다.

      • KCI등재

        미주 한인시와 ‘세계로서의 문학’의 가능성

        이형권 ( Lee Hyeongkwo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3

        미주 시인들은 1990년대 들어서 타자와의 공존을 지향하는 글로벌한 시적 상상력으로 시를 창작했다. 그들은 이를 위해 미국, 중국, 일본, 캐나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등에서 활동하는 해외 한인시인들과의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그들은 미주에서 발행되는 문예지들을 통해 미주 이외의 지역에서 활동하는 시인들의 특집을 마련하기도 했다. 또한 전 세계의 한인시인들의 시를 망라하는 공동사화집 『2000년 시의 축제』를 발간하여 국제적인 연대감을 과시했다. 다른 한편으로 한글시를 영문으로 번역하는 작업도 활발하게 전개하여 한인시의 세계화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특히 『2000년 시의 축제』에서 미주 시인들은 토포필리아의 상상을 통해 한국 시문학의 확장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테면 김윤태, 이정강, 주선희, 송희숙, 이성호, 김문희, 전달문 등의 시는 이질적 정서와 향수의 토포필리아를, 배정웅, 주영석, 이창윤, 최연홍, 김호길, 석상길 등의 시는 현지 적응과 동일시의 토포필리아를 보여준다. 전자는 고향의 장소에 대한 애착을, 후자는 현지의 장소에 대한 애착을 기조로 삼는다. 이들이 시를 창작하는 것은 문학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들이 한국 한글시를 창작하고 감상하는 일은 민족정신을 고양하고 공동체 의식을 앙양하는 일이다.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시 창작은 인생 자체의 실존적 의미를 탐색하는 일이자, 세계 시민의 일원으로서 살아가게 해 주는 정신적 계기이다. 이는 카사노바의 용어를 빌리면 ‘세계로서의 문학’에 발을 들여놓는 것이다. 미주 시인들은 뉴욕은 뉴욕의 정서로, 토론토는 토론토의 정서로 창작한 시들을 다수 발표했다. 이들의 작품들은 마치 양탄자의 무늬처럼, 제각각의 존재 의미를 부여받는 동시에 전체로서의 세계문학을 구성하였다. 미주 한인시는 한국시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토포필리아를 보여준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그것은 한국시가 결여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시의 위상을 높여주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Korean American poets have written poems with the poetic imagination that appeals to the world readers, aiming at the co-existence with Others since 1990’s. In addition, they have made an effort to build a rapport with expatriate Korean poets from other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Canada, Argentina, Chile, etc. They published special issues with Korean poems from different countries through some literary journals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y showed the international bond by publishing The Poetry Festival of Year 2000 that contains Korean poems from all around the world.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ranslation of Korean poems into English ones in order to globalize the former. In particular, Korean American poets tried to expand the horizon of Korean poetry through imagination of ‘topophilia’ in The Poetry Festival of Year 2000. Their writing act has more meanings than writing literature. They tried to uplift the sense of communality as well as Korean nationalism through writing poems. Also, their act of writing played roles as exploring existential meanings of their lives as well as spiritual opportunities to live as world citizens. This means that according to P. Casanova, they play a role as ‘literature as a world’. Korean American poets emphasize local sentiments. For example, some from New York write poems about New York, and others from Toronto do about Toronto. Their individual works belong to world literature as if the patterns of a carpet have their own meanings as a part but they consist of the carpet as a whole. Korean American poetry has their own meanings because it shows its own unique ‘topophilia’ that cannot be found in Korean poetry. The poets contribute to raising the statue of Korean poetry as world literature by complimenting elements that cannot be found in Korean poetry.

      • KCI등재

        전후 신진시인들의 "세계" 인식과 "시"의 이념-『세계전후문제시집』(신구문화사, 1962)을 중심으로

        김양희 ( Yang Hee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논문은 『세계전후문제시집』에 대한 연구이다. 이 앤솔로지를 1950년대 중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에 이르는 한국 전후시사에서 세계시를 직접적으로 번역하는 것의 의미와 번역주체들이 본 세계성의 형상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 텍스트로 보고, 다음의 문제를 논구하고자 하였다. 첫째, 이 시집이 가지고 있는 구성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이 시집은 여타의 전집과는 달리 신진 시인들이 번역자로 참여하고 있는 바, 이들이 세계시를 번역하는 것의 궁극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해명하고 당대 신진 시인들이 세계시를 통해 모색한 새로운 시의 이념을 추론하고자 하였다. 『세계전후문제시집』의 세계는 서양(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과 동양(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하여 (북유럽, 남유럽, 라틴 아메리카, 인도를 포함한) 기타 대륙으로 구성된다. 냉전 체제 안에서 자유 민주주의의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는 가운데 ‘서구적 가치= 현대성’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성을 반영하는 데 있어서 『세계전후문학전집』은 ‘공산주의’라는 이념을 괄호 안에 묶는 대신, 불안과 절망이라는 정서적 언어를 응축해내고 있다. 다음으로, 이 전집은 각 나라와 장르를 편집· 병치하는 구성을 보인다. 이런과정을 통해 한국시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과 함께 대등하게 세계문학의 기호 속에 기입되며 이 과정에서‘시’라는 매개를 통해 ‘세계’와 ‘개인’을 ‘세계사적 주체’로 연결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한편으로, 이 시집은 여타의 전집과는 달리‘외국어 능력’을 갖춘 ‘이중 언어 세대’의 ‘현역시인들’ 중심으로 번역을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이 시집은 시적 언어로서의 ‘모국어’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실험장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마지막으로 『세계전후문제시집』에 참여한 시인들이 세계시의 흐름에서 주목한것은 ‘전후’, ‘언어``,‘저항’이다. ‘전후’, ‘언어’, ‘저항’은 ‘전후 세계시’가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지점이었으며, 이러한 이념은 한국의 신진 시인들에게 와서 ‘행동하는 언어’라는 명명으로 구체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ostwar problematic poetry of world]. In the post-war literature field,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 Literature- in other word, literary Cosmopolitanism - was a very important issue. In Korean modern poetry``s history from the late 1950s to 1960s, The Anthology is valuable historical materials which shows ``meaning of translation to world poetry`` and ``cosmopolitan awareness`` of young writer who participated in translation. By targeting this anthology, This paper examined process of the idea of forming a new poem in postwar Korean poetry history. This paper research follow topic. First, it aims to study on this anthology’ s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and look for ‘meaning of translation’ . Second, this paper try to look at the meaning with naming of ``before and after war`` and ``the world``, the ``problem``. This is due to reveal their political unconscious of post-war poets. Next,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anthology. This is because it reveals a map of the ‘World’ by contemporary poets imagine. Finally, this paper explore the idea of a new world poem is emerging by contemporary poets. This is related to the ultimate effect being given by the markedness Korea in the world. This would mean ‘New poetic ideology’ that the contemporary poetry wanted to fill in the literary field.

      • KCI등재

        주방언(周邦彦) 영물사(詠物詞)에 전개된 텍스트 세계의 주제 표현 양상 고찰

        김준연 ( Kim Joonyoun ),하주연 ( Ha Juyeon ) 중국어문연구회 2018 中國語文論叢 Vol.0 No.88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text world revealed in the ci poetry on things composed by Zhou Bangyan in order to see how he represent the themes and sentiments in his works. It was in the judgment that the text world theory needed to figure out the elements set in the discourse world appear in Zhou Bangyan’s ci poetry make what kind of sub-worlds and how the texts have diversity. Especially, we think that the process of examining how the poet constructs the text world using ‘world-building elements’ and ‘function-advance propositions’ greatly helps understanding the theme of the work and the world of emotion. We first examined the technique of deictic center movement to see how Zhou Bangyan reveals the theme of exposing of feeling.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way in which the speaker transcribes the feelings and emotions described on the things into the audience. Thus Zhou Bangyan can constitute a feeling of ‘being One with Nature’ in ci poetry and put the theme of exposing of feeling as well. Then we focused on how to display the sub-worlds while reviewing the ways in revealing the theme of farewell in ci poetry. After this investigation, an obvious conclusion was derived that the audience feels emotions not by the things described but by the themes originated from the sub-worlds. Finally, we examined how Zhou Bangyan reveals the theme of affection, and analyzed how the time and space of the text world are separated and crossed each other. Zhou Bangyan is evaluated to be able to go through the ‘deposits of feelings on things’, which was difficult to find in previous ci poetry through the separation and crossing of time and space.

      • KCI등재

        쌍백당 이세화의 시세계 고찰 -기사년(1689) 이전과 이후의 시세계 대비를 중심으로-

        이황진 ( Lee Hwang-jin )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8

        본고는 기사년(1689) 숙종에게 인현왕후를 폐위하는 일이 불가함을 극간한 일로 그 절개와 충정을 인정받은 쌍백당 이세화(1630~1701)의 시세계를 고찰한 글이다. 특히 기사년 이전과 이후의 시세계 대비를 중심으로 하여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기사년 이전의 시세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것은 1663년(34세) 이세화가 평양판관으로 있을 당시 형장을 지나치게 써서 사람이 죽어나간 일로 인해 의주로 유배되었던 사건이다. 이 사건은 그의 관로와 현달을 가로막는 멍에가 되었기에 이후 이것이 자신의 능력과 포부를 온전히 펼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표출된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종과 숙종이 그의 능력을 인정해 주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등용해 준 것을 감사하게 여겼기에 이는 자신의 맡은바 직책에 충실히 임하는 것이 곧 충이라는 인식으로 표출된다. 기사년 이후의 시세계를 좌우한 것은 기사년 인현왕후 폐위 사건이다. 당시 오두인, 박태보와 함께 상소문 기사진신소 를 올린 후 모두 숙종의 친국을 받고 유배되는데, 그 둘은 유배 가는 도중에 세상을 뜨고 오직 이세화만이 목숨을 부지하였다. 이세화는 유배에서 풀려난 후 파주 선영 아래로 돌아와 ‘백수귀전(白首歸田), 단심연궐(丹心戀闕).’ 여덟 자를 써서 벽에 걸어 놓고 그러한 삶을 살아가고자 하였다. 이는 곧 자신의 여생을 이러한 마음가짐으로 살아가겠다하는 굳은 의지의 표현이자 기사진신소 에 담긴 진심이었다. 따라서 기사년 이후의 시세계는 바로 그 둘, 즉 농사를 지으며 즐기는 평온한 삶과 임금에 대한 일편단심 이 두 세계로 집결된다. 이렇듯 기사년 이전 시세계의 한 면모였던 포부를 온전히 펼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은 기사년 이후의 시세계에서는 더 이상 드러나지 않으며, 기사년 이전에 표출된 충은 자신의 직책에 충실히 임하는 것이라는 직분이 강조되었던데 반해 기사년 이후의 시에서 충은 일편단심과 같이 심적인 요소가 더 강조되어 표출된다는 점에서도 기사년은 그 이전과 그 이후의 시세계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전환점이자 변곡점이 되었다. This article is to contemplate the poetry world of Ssangbaekdang Lee Se-hwa(1630~1701) who was recognized for his integrity and loyalty by strong remonstrance to King Sukjong that it would be unacceptable to dethrone Inhyeon-wanghoo (Queen Inhyeon) in the year of Gisa (1689). In this article, the poetry world of Lee Se-hwa is classified into before the year of Gisa and after in a way of taking a look at any change in his poetry world. What influenced so greatly on his poetry world prior to the year of Gisa was the incident of his exile to Uiju because of people died for excessive use of the sticks for flogging criminals while Lee Se-hwa (1663: 34 years of age) was serving as a government official in Pyeongyang. This incident was the road block for him to advance in his government positions that he expressed the regrets for unable to spread his wings of ambition and competence to the fullest. And, notwithstanding the foregoing fact, King Hyeonjong and King Sukjong acknowledged his competence to appoint him in high ranking government posts over the oppositions in the government and he expressed his loyalty toward the king with profound appreciation. The dethroning incident of Inhyeon-wanghoo in the year of Gisa turned around his poetry world. At that time, he submitted the written appeal to the king along with Oh Du-in and Park Tae-bo and all three of them were interrogated by King Sukjong and exiled, and Lee Se-hwa was the only one to sustain his life while the other two were dead on their way to the exile. Lee Se-hwa was released from the exile and lived in the family burial ground in Paju to be with his family and he wrote the eight letters in ‘白首 歸田, 丹心戀闕’ to hang on the wall to write poems on various thoughts. Therefore, his poetry world after the year of Gisa could be summarized in two worlds of living peaceful life to enjoy in farming and the sincerity toward the king.

      • KCI등재

        박목월 메타시 연구 - 시인으로서의 자기 인식을 중심으로 -

        박치범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k, Mok-Wol's metapoems. All of his metapoems dealed with his own poems and poetry not the others. As a result, in his metapoems, theory of poetry and poet often appeared in conjunction with the ontology of his own. In other words, the reflection on his poetry and self as poet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reflection on self-existence. His attitude about himself and his poetry is related to the perception that self-existence and his poem share a common attribute and fate. It was also shown as a metapoems that reveals that writing poems is a way of proving and realizing self-existence. The metapoems of Park, Mok-wol deals with such questions as "what poetry to write (what poet is a good poet)?", "What is written on the basis of poetry," and "what is poetry ultimately for?". Among them, a series of metapoems about the requirements of good poetry presented 'calmness' and 'simple' as a requirement of good poetry, and he expressed the desire to write poetry that reveals these characteristics well. In addition, a series of meta poems on the basis of poetry writing suggested 'living' and 'self existence as a poet' on the basis of writing poetry. Among them, the metapoems dealing with the problem of living contained mostly his efforts to balance poetry and living. And metapoems dealing with self-perception as a poet have explored things that should be prepared before writing poetry, usually through careful observation of poetry writing itself. Finally, many metapoems dealing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writing poetry were presenting the 'world of God' as the answer. He believed that his practices of writing the poems reached the world of God or revealed the will of poetry to the world. 이 글은 시인으로서의 자기 인식을 중심으로, 박목월의 메타시가 갖는 의미와 특성을 살펴볼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에서 살핀 박목월의 메타시는 공통적으로 타인의 시편이나 시론, 시인론이 아니라 박목월 자신의 그것에 주목한다. 그 결과 박목월의 메타시 중에는 시인론과 시론이 자기 존재론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자기와 시에 관한 박목월의 이러한 태도는 자기 존재와 시가 그 속성과 운명을 공유한다는 인식을 드러낸 결과이다. 이를 통해 박목월은 시 쓰기 행위가 자기 존재를 증명하고 실현하는 방식임을 드러내는 메타시를 창작할 수 있었다. 박목월의 메타시는 크게 ‘어떤 시를 쓸 것인가(어떤 시가 좋은 시인가)?’, ‘시 쓰기는 무엇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가?’, ‘시 쓰기는 궁극적으로 무엇을 위한 것인가?’ 등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었다. 그 중 좋은 시의 요건에 대해 다룬 메타시는 공통적으로 ‘담담함’과 ‘소박함’을 좋은 시의 요건으로 제시하였으며, 박목월은 이러한 특성이 잘 드러나는 시를 쓰고자 하는 열망을 시로 형상화하였다. 또 시 쓰기의 바탕에 관해 다룬 일련의 메타시는 시 쓰기의 바탕으로 ‘생활’과 ‘시인으로서의 자기 존재’를 제시하였다. 그 중 생활의 문제를 다룬 메타시는 대체로 시와 생활의 균형을 잡기 위한 노력을 다루고 있었다. 또 시인으로서의 자기 인식을 다룬 메타시들은 대체로 시 쓰기 행위 자체에 대한 세심한 관찰을 통해 시를 쓰기 전에 준비되어야 할 것들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시 쓰기의 궁극적인 목적에 대해 다루고 있는 메타시는 ‘신성의 세계’를 그 답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박목월은 자기의 시 쓰기 행위가 신의 세계에 가 닿거나 시의 뜻을 이 세상에 드러내는 일이라고 생각하였다.

      • KCI등재

        元代 道士 시인 張雨 詩歌 고찰

        임원빈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7 No.-

        張雨는 도사의 신분이면서 시가창작과 회화로 명성이 높았다. 장우는 도사답게 은거 생활을 주로 하였지만 완전히 세속을 떠난 것은 아니었으며, 은거 생활 중에도 많은 시인 및 화가와 왕래하며 시가를 창작하였다. 이에 장우의 시가를 道敎文化의 표현, 田園山水詩의 정취, 交遊詩의 우의, 入世精神의 표출 등으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첫째, 장우의 시가에 나타난 도교문화는 주로 도교사상, 도교 인물, 도관, 도교 유적 등이다. 이 중 도교 유적에 관한 시가창작이 많다는 것은 특징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장우가 표현한 田園山水詩의 정취는 일반 시인들이 표현한 平淡, 淸新, 유유자적함 등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다. 이는 장우가 도사이지만 일반 시인과 다를 바 없는 정감을 가졌다는 것을 알게 한다. 특징적인 것은 陶淵明을 좋아했듯이 田園詩가 두드러지다는 점과 화가답게 山水와 관련된 題畵詩의 창작이 많다는 점이다. 셋째, 장우의 교유시는 수량이 상당히 많은데, 이는 도사가 文人化되며 문인들과의 왕래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화가였기에 화가 시인들과의 화답시와 제화시도 그 수량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장우의 교유시에는 절절한 우의보다는 담담한 우의가 주로 표현되고 있었다. 넷째, 도사의 신분인 장우이지만 儒家 집안의 출신이며, 도사의 文人化에 따라 유가의 관리와 왕래하였고 또 원대 말기의 혼란은 자연스럽게 현실에 관심을 두게 하여 그의 시가에 入世精神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시가는 주로 백성들의 고통을 동정하거나 송 왕조의 멸망을 은근하게 회고하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정리하면, 장우는 도사 시인이지만 시가창작에 나타난 다양한 제재나 높은 수준을 보면, 원대의 저명한 시인들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다고 할 수 있다. Although Zhang Yu was a Taoist monk, he was renowned for his poetry and paintings. Accordingly, we examined Zhang Yu's poetry by dividing it into expressions of Taoist culture, the mood of rural landscape poetry, the allegory of friendship poetry, and the expression of spirit of entering the world. First, the Taoist culture shown in Zhang Yu's poetry mainly includes Taoist ideas, Taoist figures, Taoist practices, and Taoist relics. Among these,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poems about Taoist relic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feature. Second, the mood of rural landscape poetry expressed by Zhang Yu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lain talk, freshness, and leisurelyness expressed by general poets. This shows that although Zhang Yu is a Taoist monk, he has emotions no different from that of an ordinary poet. What is distinctive about him is that, as he liked Tao Yuan Ming, his pastoral poetry stands out and, as a painter, he creates many paintining poems related to landscapes. Third, the number of Zhang Yu's friendship poems is quite large, which can be said to be because Taoist monks were transformed into literary figures and had many interactions with literary people. In Zhang Yu's friendship poetry, calm friendship was mainly expressed rather than earnest friendship. Fourth, although Zhang Yu was a Taoist monk, he came from a Confucian family, and as Taoist monks became literary figures, he had many interactions with Confucian officials. In addition, the chaos of the late Yuan Dynasty naturally made him pay attention to reality, and the spirit of the spirit of entering the world. These poems are mainly expressed as sympathizing with the suffering of the people or subtly reminiscing about the fall of the Song Dynasty. Although Zhang Yu is a Taoist poet, the variety of materials and high level of his poetry can be said to be comparable to those of famous poets of the Yuan Dynasty.

      • KCI등재

        청운 이해 시문학 연구

        윤재환 ( Jae Hwan Yoon ) 한민족어문학회 2004 韓民族語文學 Vol.45 No.-

        Cheongeun(靑雲) Lee Hea(李瀣) was born in Namin family(南人 家門) declining by the conflict of parts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朝鮮 王朝). He was in the expectation by ills good talent but could not meet people`s expectation and ills aspirant by ills death of 27 years old Even he only lived 27 years but he wrote more than 300 poetries and 35 literatures. Through of them he proved all ills potential of his literature. This study is trying to show Cheongeun Lee Hea`s literature world and his tendency. Cheongeun Lee Hea`s poetry is focusing on writer`s feeling so his literature is trying to show ills feeling than any formal literature technique. This is showing that poetry is a part of Cheongeun Lee Hea`s life. In his poetry, many things can be found similar with his father. It can not be know exactly that Cheongeun Lee Hea learned from his father or not, but the common thing they liked poetry can be found because the most of part of thin literature are poetry. This is general symptom that can be found in his family who like poetry from before The next common thing of their poetry is showing the writer`s feeling Measan(梅山) or Cheongeun did not hide or extend their feeling in their poetries They Just showed what they felt just like telling their story in poetry. So all thin poetry is showing the common thing that can be easily read and understanded because all poetry is focusing to showing writer`s feeling than any other formal literature technique. All these symptoms are telling that poetry is not their Special literature activity but their part of life. In the symptom can be found in Cheongeun Lee Hea`s poetry, poetry of Cheongeun learned the basic part of Measan` s poetry This part make it possible to guess Cheongeun`s literature activity in study was under ills father Measan`s influence So the real value of Cheongeun`s poetry can be unveil by comparison between previous, current and after 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