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셸 앙리의 삶의 현상학 -후설의 지향성을 넘어 비지향적 파토스로-

        이은정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문화 Vol.- No.39

        In this paper, Michel Henry's phenomenology of life is discussed. The phenomenology of life suggests going beyond Husserl's phenomenology. Husserl’s phenomenology is Henry's starting point, and Henry owes thought to it. But Henry wants to be more fundamental than Husserl, or to be more phenomenological. Beyond Husserl's phenomenology, the phenomenology of life he constructed responds to his consistent demands. What Henry is trying to overcome in Husserl's phenomenology is the long-standing prejudice that Husserl's phenomenology has captured, phenomenological monism. Against phenomenological monism, Henry advocates phenomenological duality. Phenomenological duality is the recognition of a phenomenality tha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intentionality. That's pathos. This pathos is the essence of life and its concrete reality. This thesis first examines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overthrow and renewal of phenomenology required as part of a critique of classical phenomenology, and then discusses the phenomenology of life suggested by Henry. 이 논문은 미셸 앙리의 삶의 현상학을 논한다. 삶의 현상학은 후설 현상학을 넘어설 것을 제안한다. 후설 현상학은 앙리의 출발점이며 앙리는 그것에 사유를 빚진다. 다만 앙리는 후설보다 더 근본적이고자, 또는 더 현상학적이고자 한다. 후설 현상학을 넘어 그가 구축한 삶의 현상학은 이런 그의 일관된 요구에 부응한다. 앙리가 후설 현상학에서 극복하고자 하는 것은 후설 현상학이 사로잡힌 오랜 선입견, 현상학적 일원론이다. 현상학적 일원론에 반대해 앙리는 현상학적 이원성을 주장한다. 현상학적 이원성은 지향성과 근본적으로 다른 현상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바로 파토스다. 이 파토스가 삶의 본질이자 그 구체적 실재이다. 이 논문은 먼저 고전 현상학 비판의 일환으로서 요구된 현상학 전복과 쇄신의 맥락과 의미를 짚고, 이어서 앙리가 제시한 삶의 현상학을 논구한다.

      • M. 하이데거의 실존주의 현상학, 사고와 교육

        임태평 ( Lim Tae Pyeung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5 No.2

        현대 실존주의 현상학의 철학자들은 “학파” 철학의 개념에 너무나 반대한다. M. 하이데거의 철학은 그 방법에서는 현상학이나 그 내용에서는 존재론이고 해석학적이다. 그는 철학의 방법으로서 후설의 현상학을 수용했으나 그의 스승의 현상학적 접근의 한계를 인정하고 실존을 뜻밖에 그의 철학의 내용에 넣게 되었다. 따라서 그의 철학은 총칭적으로 실존주의 현상학이라고 말한다. 사고하는 방법의 교수와 학습의 필요성을 인간의 삶과 철학적 사고의 방식과 관련하여 본고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한 주제(theme)를 개설하려고 한다. 첫째, 하이데거의 철학을 그 방법으로서 현상학적 측면과 그 내용으로서 존재의 학(the science of Being), 즉, 존재론과 그 해석학적 측면에서 고찰한 다음, 둘째, 실존주의 현상학과 사고의 유형에서는 1. 실존주의 현상학: 총칭적 개념과 주제를 개설하고 2. 하이데거의 사고 개념에서는 두 가지 사유 유형인 타산적 사고와 명상적 사고의 차이를 논술하며, 그리고 셋째, 실존주의 현상학, 사고와 교육에서는 실존주의 현상학에서 사고와 교육 그리고 그 실제(교수/학습)를 분석 및 종합하여 마지막으로 이러한 그의 사고 개념과 사고의 교수/학습 이론이 오늘날 우리의 교육현실에 시사하는 바를 추론함으로써 결론에 대신하려고 한다. Contemporary thinkers tend to avoid identification with any philosophical label. Philosophers of Existential Phenomenology strongly suggest that they are much opposed to the notion of “school” philosophy. The reasons they give for their opposition are entirely consistent with their approach to philosophy. Heidegger‘s philosophy in its method is phenomenology, but in its content is ontology and ontological hermeneutics. Therefore, His philosophy also is called existential phenomenology. Philosophers of Existential phenomenology have rejected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but they remain indebted to him for his initiation of a new philosophical attitude and method. In this paper I will outline three main themes as a way into a phenomenological introduction of teaching/learning of thinking with reference to the human living and philosophical thinking and their implications for education(teaching/learning). To sum up: 1. M. Heidegger's Phenomenology and Existentialism: 1) Phenomenology as method of philosophy, 2) Existentialism as content of philosophy. 2. M. Heidegger's Existential phenomenology and Thinking: 1) Existential phenomenology: generic notions and basic themes 2) M. Heidegger's Two Types of Thinking: calculative thinking and meditative thinking, 3. Existential Phenomenology, Thinking and Education: 1) Existential phenomenology, education and its practice, 2 Existential phenomenology, thinking and teaching/learning. 4. Conclusion: Another generic notion of existential phenomenology is that literature and arts can cooperate with philosophy in identifying man and teaching the world about man. Then the way of thinking(Denkart) can be teach and learn? we can teach it. And Heidegger says in What is called Thinking, In order to be capable thinking, we need to learn it first. What is learning? Man learns when he disposes everything he does so that it answers to whatever essentials are addressed to him at any given moment. We learn to think by giving our mind to what there is to think about. Thinking can be teach and learn, but the way of the question "what is called thinking ?" lies even now in the shadow of four weakness. This weakness can be described in four statements: 1. Thinking does not bring knowledge as do the sciences. 2. Thinking does not produce usable practical wisdom, 3. Thinking solves no cosmic riddles 4. Thinking does not endow us directly with the power to act. Heidegger says, as long as we still subject thinking to these four demands, we shall overrate and overtax it. Therefore, Both excesses prevent us from thinking.

      • 선험현상학적 ‘지역학’의 이념과 과제

        최경섭(Choi, Kyeong-Seop)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9 철학과 문화 Vol.19 No.-

        E. 후설의 현상학은 철저한 주체성의 철학으로 여겨져 현대의 많은 철학자들은 여러모로 후설의 현상학을 비판하며 자신의 철학적 영감을 얻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후설의 현상학을 조금 더 면밀히 살펴보면 ‘주체성’이란 현상학의 전개과정 중 한 단계-그러나 매우 중요한 단계-에 해당할 뿐, 그 자체로서 현상학의 핵심주제나 동기가 되지는 못한다. 현상학적 탐구의 중추가 되는 동기는 다름 아닌 아무런 전제나 편견을 두지 않고 ‘주어진 사태 자체로( Zuden Sachen selbst!)’ 다가가 그 현상을 포착하려는 데에 있는 것이다. 이렇듯‘주어진 사태 자체로’ 다가가 그 현상을 포착하려는 현상학의 여정(旅程)은 초기 존재론적 현상학에서 시작하여 중기 선험적 주체성의 현상학을 거쳐 후기 생활 세계의 현상학에 이르며 가장 직접적으로 주어진 ‘사태’로서 후설은 생활세계를 발굴한다. 여기서 한발자국 더 나아가 우리는 후설이 말하는 생활세계를 ‘지역’으로 해석하고 후설 후기의 생활세계현상학을 ‘선험적 지역현상학’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후설의 현상학적 발전상(上) 가장 완숙한 형태로서 등장하는 ‘선험적 지역현상학’은 분명 일종의 지역학이면서도 철학적/현상학적으로 견고해진 지역학의 연구방법으로서 모든 보편적, 절대적 학문과 예술의 선험적 근간으로서 ‘지역’을 발굴하고 들추어내는 제1의 근본철학 혹은 가장 근원적인 학문비판론인 것이다. 이제 ‘선험적 지역현상학’은 후설의 현상학이 철저한 주체성의 철학이라는 오명을 깨뜨리며 실제 수많은 지역 혹은 지역문화들을 조우(遭遇)하면서도 선험적 (상호)주체성으로 구성되는 그 선험적 근간을 파헤치는 존재론적인 동시에 선험(초월)적인 연구방법임이 드러난다. 본 논고에서 우리는 보편/절대적인 학문이라 여겨지는 ‘기하학’을 예로 들어 ‘선험적 지역현상학’을 적용하여 ‘기하학’이 지금의 보편/절대적인 학문으로서 가능하게 된 여러 선험적인 지역근간들을 밝히는 작업을 짧게나마 감행해보고자 하며, 끝으로 ‘선험적 지역현상학’과경험과학으로서 기타 여러 유형의 지역학들을 간단하게나마 비교, 대조해보고자 한다. E. Husserl's phenomenology has been regarded exclusively as a philosophy of subjectivity and therefore lots of modern philosophers obtained their philosophical clues and inspiration criticizing Husserl's phenomenology in a way or another. However, looking into the rubric of Husserl's phenomenology closely, we discover that 'subjectivity' takes up only a stage - an important stage, though - in the development of Husserl's phenomenology and cannot be identified with the central theme or motive of phenomenology itself. The central motive in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s lies in returning 'to the things themselves( Zu den Sachen selbst!)' without any presuppositions and prejudice and grasping the immediately pre-given phenomena. On the way of phenomenology to return 'to the things themselves' and grasp the immediately pre-given phenomena, we start from the early ontological phenomenology, pass through the middle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nd finally arrive at the later life-world phenomenology. At this point, Husserl discovers the life-world as the most immediately pre-given. Advancing a step further, we are going to interpret Husserl's life-world as 'region' and develop the life-world phenomenology in the later Husserl into a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that emerges as the most full-fledged form of phenomenology in Husserl's development is surely a kind of regional studies, but it is a methodology of regional studies that is thoroughly criticized and consolidated philosophically and phenomenologically. It is surely the first philosophy or the most fundamental critique of science that divulges 'regions' as the transcendental foundations of all the universal, absolute arts and sciences. Now,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destroys the stigma that Husserl's phenomenology is only a philosophy of subjectivity and turns out to be an ontological/transcendental methodology of regional studies that not only tries to encounter countless 'regions' and 'regional cultures' but also divulge their transcendental foundations constituted by the transcendental co-subjects. Then, in the present paper, we will take 'geometry' for example and apply our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to 'geometry' in order to divulge the various transcendental 'regional' foundations that have made 'geometry' possible as a universal/ absolute science. Finally, we will briefly compare and contrast our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with other types of regional studies as empirical sciences.

      • KCI등재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

        이남인(Nam-In Lee)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8 No.-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은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이 후설의 현상학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그러한 한에서 그것이 전적으로 후설의 현상학의 틀을 벗어나 있다는 견해를 피력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정당하지 않다. 그 이유는 저 연구자들이 이러한 견해를 피력하면서 전거로 제시하는 레비나스의 후설 현상학 비판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비나스의 현상학과 후설의 현상학의 관계를 올바로 규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후설의 현상학에 대한 레비나스의 비판을 철저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의 목표는 바로 지향성, 구성, 초월론적 주관 등 초월론적 현상학의 핵심적인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후설의 현상학에 대해 레비나스가 가하는 비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를 토대로 레비나스가 현상학적 전통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해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필자는 1장에서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에 대해 레비나스가 가하는 비판을 후설의 지향성 개념에 대한 비판과 구성, 초월론적 주관에 대한 비판으로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거기에 이어 필자는 2장에서 후설의 지향성 개념에 대한 레비나스의 비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3장에서는 후설의 구성 개념과 초월론적 주관 개념에 대한 레비나스의 비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4장에서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이 후설에 의해 정초된 현상학의 전통 속에 있다는 사실을 해명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Levinas's criticism of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nd shows that there are fundamental similarities between Husserl's phenomenology and Levinas's phenomenology of the other. According to Levinas,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could be called a phenomenology of representation, since it could deal only with the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He maintains that the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in Husserl knows nothing about the exteriority as the other in an absolute sense, since it is not a passive, but an active intentionality. For this reason, the transcendental subjectivity as the bearer of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is a center of the constitution as a free and subjective creation of the meaning of the object. Levinas's criticism is highly problematic in many respects. Contrary to what Levinas maintains,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is not always active, there is also passive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Moreover,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is not the only topic of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Various types of non-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for example, the intentionality of enjoyment, the intentionality of transcendence or the evaluative intentionality as the main topics of Levinas's phenomenology of the other, have been also analyzed in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It is not the case that intentionality in Husserl's phenomenology, might it be active or not, might it be representational or not, knows nothing about the exteriority, since its basic character is determined by the structure of the other. For this reason, transcendental subjectivity as the bearer of the constitution should not be regarded as a center of a free and subjective creation of the meaning of the object. There are fundamental similarities between Levinas's phenomenology of the other and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the former could be regarded as a phenomenology that has developed in detail one of the motives that could already be found in the latter.

      • KCI등재

        에드문트 후설의 ‘바깥의 현상학’ - "수동적 지향성"을 중심으로 -

        김영필(Kim Young-Phil)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6 No.4

        최근 현상학과 인지과학의 학제적 융합을 시도하는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들 중 대부분은 메를로 퐁티나 하이데거의 현상학을 인지과학의 철학적 토대로 인용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현상학의 창시자인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을 생물학이나 신경과학 등과 연결하여 인지현상학(cognitive phenomenology)의 학문적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에는 다소 인색한 편이다. 이러한 경향은 후설의 현상학을 1인칭의 자서전적인 현상학으로 규정하는데서 비롯된 것이다. 후설의 현상학을 의식으로 환원해 들어가는 일종의 내재주의 혹은 내성철학으로 성급하게 재단하는 데 익숙하기 때문이다. 후설의 현상학에 대한 이러한 평가를 논거로 하여, 바렐라(F. Varela)와 데넷(D. Dennett)은 후설의 현상학을 인지과학과 - 방법론적으로든 내용적으로든 - 연결할 수 있는 고리를 확인하기 힘들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후설의 현상학을 1인칭의 자기(auto)현상학 혹은 유아론으로 규정한다. 이들은 후설의 현상학을 ‘안’의 현상학으로 규정하여, 타 학문, 특히 인지과학과의 연결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자의적인 전략에 익숙해져 있다. 본 연구는 후설의 현상학을 1인칭의 ‘안’의 현상학으로 규정하지 않는다. 초기의 이러한 입장이 후기의 발생적 현상학으로 가면서 현상학 자체가 자연화된다. 이 자연화의 과정을 통해 심리학이나 생물학과 연결할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한다. 이 고리는 체화된 마음으로서의 몸이다. 몸은 메를로 퐁티에 의해 더욱 구체화되기 이전 후설의 후기 사상의 핵심적인 주제로 등장한다. 고전적 인지과학이 극복할 수 없었던 의식과 인지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접점이 후설 현상학의 주제들 속에서 발견된다. 본 연구는 ‘수동적 지향성’(passive intentionality)을 통로로 후설의 현상학과 인지과학이 상호 협력 혹은 상호제약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한다. 본 연구는 후설의 현상학이 안의 현상학으로부터 바깥의 현상학으로 전개되어 가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인지현상학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러한 연구의 배경은 후설의 현상학과 인지과학의 간극을 메우려는 긍정적인 연구들이다. 특히 갤러거(S. Gallagher)와 자하비(D. Zahavi) 그리고 톰슨(E. Thompson)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톰슨은 바렐라와 로쉬와 공동저술한 책(THE EMBODIED MIND: COGNITIVE SCIENCE AND HUMAN EXPERIENCE, 1991)에서는 후설의 현상학을 유아론으로 규정했다. 하지만 바렐라와 공동으로 저술하던 중 바렐라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결국 16년 후 톰슨 개인의 저술로 발표한 책(MIND IN LIFE, Biology, phenomenology, and the Science of Mind)에서는 후설을 유아론으로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불교와 인지과학의 학제적 연대의 가능성을 연구했던 이전의 책에서와는 전혀 다른 입장을 취한다. 톰슨은 후설 현상학, 특히 후기 발생적 현상학의 주제들인 몸, 습관, 상호주관성이론, 생활세계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신경현상학의 길을 열어 놓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학문적 동향을 고려하면서,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에 방점을 두어 인지과학과의 학제적 연대를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Recently, a growing number of studies have attempted the academic unity of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Most of these studies cite the phenomenology of Merleau-Ponty and Heidegger as the philosophical basis of cognitive science. It is rather stingy to study the academic possibilities of cognitive phenomenology by linking Edmund Husserl, the founder of phenomenology, with biology and neuroscience. This tendency stems from defining the phenomenology of Husserl as a first-person autobiographical henomenology. This is because he is used to hastily judge the phenomenology of Husserl as a kind of internalism or introversion philosophy that is reduced to consciousness. Based on this assessment of phenomenology of Husserl, F. Varela and D. Dennett argue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loop that can link Husserl"s phenomenology to cognitive science by the methodology or content. They define the phenomenology of Husserl as first-person autophenomenology or solipsism. They are accustomed to arbitrary strategies that define the phenomenology of Husserl as the inner phenomenology and fundamentally block the connections to other studies, especially cognitive science. This study does not define the phenomenology of Husserl as the phenomenology of the internal-first person. As this position in the early stage becomes the later generative phenomenology, phenomenology itself becomes naturalized. Through this process of naturalization, it forms a link to psychology or biology. This connecting link is the body as embodied mind. The body appears as a key theme in the latter thought of Husserl before being further actualized by Merleau-Ponty. The gap between the mind and cognition that the classical cognitive science could not overcome is found in the themes of Husserl"s phenomenology.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he phenomenon of Husserl and cognitive science can mutually cooperate or restrict through the passive intentionality.

      • KCI등재

        무도현상학

        이상호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3

        This study is a introductory study on the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If the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is a academic system displaying the essence of martial arts, the essence of martial arts exactly explains why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need. The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is supported by the academic benefits and theoretical validity that the phenomenological method gives. And we have to begin from the reflection of natural attitude for enlightenment, unification of body and mind, and cultivation of person. In which we will know why the essence of martial arts bases on a erroneous judgement that we generally take for granted. Martial arts needs the universal and the strict to be built the a academic system. The universal is to make the theoretical system in which all contents include. The strict is a theoretical system to support the universality as practical method. And the theoretical base of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need static phenomenology, genetic phenomenology, and generative phenomenology. Based on them,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will develop as follows: subject of enlightenment and relation of it, movement of disciplinant and meaning of experience, body’s subject and role in cultivation of martial arts, meaning of cultivation, meaning of theoretical practice of martial arts, meaning of time and space in cultivation of martial arts, and meaning having completion of martial arts. This thesis is not completion of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but a introductory suggestion to show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무도현상학의 시론적 논의이다. 무도현상학이 현상학적 방법으로 무도가 갖는 본질을 드러내는 하나의 학문체계라면,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 왜 현상학적 방법이 필요하며 그것이 가져다주는 학문적 이익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드러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무도현상학의 시작은 먼저 무도본질에 대한 자연적 태도의 반성에서 출발해야 한다. 즉 깨달음, 심신일여, 인격완성에 대해 우리가 일상적으로 갖고 있는 관념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해야 한다. 그 속에서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무도본질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왜 틀린지 그 속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도현상학이 이론적으로 하나의 학문체계를 갖기 위해 보편학과 엄밀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보편학은 일반적으로 모든 것을 적용 가능한 이론체계를 형성해야 하는 것이고, 엄밀함은 이를 실천적인 방법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체계를 말한다. 그리고 무도현상학의 이론적 토대는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 그리고 생성적 현상학의 관점이 필요하다. 이것을 바탕으로 무도현상학의 전개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깨달음의 주체와 깨달음의 상관관계, 무도수행자의 움직임과 체험의 의미, 무도수행에서 몸의 주체와 역할, 무도수행의 의미, 무도에서 이론적 실천의 의미, 무도수행에서 시간과 공간의 관계, 일상생활에서 무도수행의 완성이 갖는 의미 등이다. 본 연구의 무도현상학과 관련된 논의는 완성된 것이 아니라, 앞으로 연구해야 할 내용을 거시적으로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양극성 장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과 치료 - 임상, 상담심리학과 현상학적 방법 간의 학제 간 연구

        이종주 한국현상학회 201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9 No.-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model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Husserls genetic phenomenology and recent studies since the 2000s on bipolar disorder, a representative mental disorder of modern society - BAS extension models, integrated cognitive models, positive emotional disorder models. First of all, by re-diagnosing depression as depression episode of bipolar disorder which Han Byung-chul diagnosed as the representative ills of modern society in Fatigue Society(2010), this paper reveals that bipolar disorder is a typical modern mental disorder that causes mood swings and energy exhaustion caused by performance-oriented life, self-centered life, pleasure, happiness-seeking life, and ostentatious activity-seeking life. Second, Criticizing Han Byung-chul’s sociological approach to bipolar disorder, traditional diagnosis and analysis methods - psychoanalysi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biologym, this paper proposes a dialogue between phenomenology and new approaches to bipolar disorder since the 2000s - BAS extension models, integrated cognitive models, positive emotional disorder models. we argue that the analytic ways of constitutions of self, object and word in phenomenology,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 epoc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intuition of essence - , especially demolishing and building as methods of genetic phenomenology and three ways of experience of others in intersubjective genetic phenomenology - attachment, empathy and communication - have very important implications in analysis and cure of bipolar disorder. Thir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research results since 2000 are actually compared with Richard Lazarus’s circular model of synchronization : motivation → triggering event → cognitive assessment → emotional response → coping. Fourth, the research results of the three models are integrated into the world-constitution, object-constitution, cognitive-emotional constitution and practical constit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enetic phenomenology. Fifth, we explore the problems of object-world constitution, cognitive-emotional constitution and practical constitution of bipolar disorder through epoche, reduction of phenomenology as representative methods of phenomenology and seek the method of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Finall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model are proposed.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정신질환인 양극성장애에 대한 2000년대 이후 최근 연구들- 행동 활성화 시스템(BAS) 확장모델, 통합적 인지모델, 긍정적 정서장애 모델- 과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의 학제 간 연구를 통해서 양극성장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과 치료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한병철의 『 피로사회』(2010)에서 현대사회의 병리로 문제 삼고 있는 우울증을 양극성 장애의 우울에피소드로 재진단함으로써 양극성 장애가 성과위주의 삶, 자기본위의삶, 쾌락, 행복추구적 삶, 과시적 활동추구적 삶으로 인한 기분기복과 에너지 소진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현대적 정신장애임을 밝힌다. 두 번째로 양극성 장애에대한 한병철의 사회병리학적 접근 및 전통적인 진단, 치료법-정신분석, 인지행동치료, 생물학주의-의 일면성을 지적하면서, 2000년대 이후 양극성 장애에 대한새로운 접근들- 행동 활성화 체계화(BAS)의 확장모델, 통합적 인지모델, 긍정적정서장애 모델 - 과 현상학의 대화를 제안해본다. 특히 현상학의 자기, 대상, 세계구성의 분석방식, 현상학적 방법 - 판단중지, 현상학적 환원 그리고 본질직관 - 과 특히 발생적 현상학적 방법인 헐어내기와 쌓아가기의 방법 그리고 발생적 상호주관성의 현상학에서 밝히고 있는 세 가지 타자경험의 방식-애착, 공감, 소통- 이 양극성 장애의 분석과 치유에서 갖는 함의를 밝힌다. 세 번째로 실제로 2000 년 이후의 연구성과의 장단점을 리처드 라자루스의 “동기→촉발사건→인지적평가→정서적 반응→대처행위”의 순환모델을 준거점으로 삼아 비교 검토한다. 네 번째로 세 가지 모델의 연구성과를 발생적 현상학의 관점에서 세계구성과 대상구성, 인지적-정서적 구성, 실천적 구성으로 통합한다. 다섯 번째로 발생적 현상학의 핵심방법론인 판단중지와 현상학적 환원을 중심으로 치료자와 내담자의관계 속에서 양극성 장애의 세계-대상구성과 인지적-정서적 구성, 실천적 구성의문제와 치료법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양극성 장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과 치료모델의 효과성에 대한 양적, 질적 검증의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현대 인지과학과 고전적 현상학 -그 간극 메우기에 관한 고찰-

        김영진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문화 Vol.0 No.27

        Both cognitive science and phenomenology concern investigations into the nature of cognition. But there is a surprising and perplexing matter between them. That is, although both of them deal with the common topic such as “the nature of cognition and mind”, as far as actual research is concerned, there are hardly mutual communications and cooperations between them. In this problematic situation, so as to uncover the possible communication between cognitive science and phenomenology, we now raise these questions: Is it really possible to connect contemporary cognitive science to the classical Husserlian phenomenology? If so, how is it possible? Among some recent philosophical strategies that aim to resolve this matter, I adopt the view that we can connect the two academic disciplines by means of positing a new alternative form of phenomenology. In this regard I claim that connecting contemporary cognitive science to the classical phenomenology is possible when we (i) clarify, from the perspectives of cognitive science and phenomenology, the concept of phenomenon which has rather several meanings, (ii) lay bare a proper alternative form of phenomenology compatible with cognitive science; and (iii) supplement an additional, methodological apparatus that can combine such alternative phenomenology with the classical phenomenology. If this inquiry is successful, it will make us free from unnecessary misunderstandings and biases on those two disciplines, and provide us with a new basis for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m. 인지과학과 현상학 모두 인지의 본성을 규명하는 일에 관여한다. 그런데 그들 사이에 놀랍고 당혹스러운 문제가 있다. 즉 그 둘 모두 ‘인지와 마음의 본성’이라는 공통 주제를 다루지만 실제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그들 사이에는 상호 대화와 협력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그 두 분야 사이에는 매우 거대한 간극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그 간극을 메우는 일이 가능할까? 만일 그렇다면, 우리는 그 간극을 실제로 어떻게 메워야 하는가?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여러 철학적 전략 중, 필자는 어떤 대안적 현상학을 활용하여 현대 인지과학과 고전적 현상학을 매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여 이 논문에서 필자는, 인지과학과 현상학 사이의 거대한 간극을 메우는 일이 (i) 여러 다양한 의미를 갖는 ‘현상’ 개념을 인지과학과 현상학 각각의 측면에서 명료화하고, (ii) 인지과학과 양립할 수 있는 ‘대안적 현상학’의 이념을 분명히 한 뒤, (iii) 그 대안적 현상학을 ‘특정한 현상학적 원리’를 통하여 고전적 현상학과 이음으로써 가능하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이 논의가 성공적일 경우 우리는 현상학과 인지과학 사이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오해와 편견에서 벗어나 그 둘을 학문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입각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Rombach의 현상학 기반 미술치료에 대한 고찰

        정은주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3

        The purpose of study was to consider art therapy based on Rombach’s phenomenology. To do this, I described Rombach’s phenomenology based o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art therapy, and then dealt with Rombach’s phenomenology-based art therapy. First of all, Rombach’s phenomenology was described based on three philosophical foundations; namely structural ontology, philosophical hermetik and picture philosophy. Then, the following findings were the result of considering Rombach’s phenomenology-based art therapy; was as follows. First, Rombach’s phenomenology-based art therapy is the process of con-creativity with the client, art materials, and therapist. Second, art therap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generated pictures and seeing. Third, art therapy is the process of enlightenment(Erleuchtung). Fourth, art therapy is the four-way relationship between client, imagery, therapist and world(meaning). Fifth, the art therapy process occurs in four stages; that is to say, seeing art materials, meeting with art materials, seeing an art work, and experiencing phenomenological realization. Rombach’s phenomenology which is picture philosophy within Rombach’s phenomenology and the philosophy of con-creativity can therefore be considered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art therapy based on creativity. I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through these the above results. 본 연구는 Rombach의 현상학을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상학과 현상학적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Rombach의 현상학을 기술하고 Rombach의 현상학 기반 미술치료에 대해 논하였다. 먼저, Rombach의 현상학은 세 가지 철학적 단초인 구조존재론, 철학적 헤르메틱, 그림철학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Rombach의 현상학 기반 미술치료에 대해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Rombach의 현상학 기반 미술치료는 첫째, 내담자, 미술매체 그리고 치료자와의 공창조성의 과정이다. 둘째, 자가생성적인 그림과 봄의 관계이다. 셋째, 깨달음의 과정이다. 넷째, 내담자, 이미지, 치료자와 세계(의미)의 4자 관계이다. 다섯째, 미술매체를 봄, 미술매체와의 만남, 미술작품을 봄, 현상학적 깨달음의 4단계이다. 그림철학이며 공창조성의 철학인 Rombach의 현상학은 창조성을 근본으로 한 미술치료의 철학적 배경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과 현상학 논쟁

        이진오(Jin-Oh Lee) 한국현상학회 201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1 No.-

        본 논문에서 필자는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을 중심으로 후설 현상학이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밝히려 했다. 이런 목적에서 필자는 우선 후설의 현상학이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다룬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런 작업을 통해서 필자는 선행연구자들의 주장이나 야스퍼스 자신의 평가와는 달리 후설의 철학적인 현상학이 야스퍼스의 ‘정신병학적인 현상학’과 다양한 차원에서 접점을 지닌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론적 지식이나 개념에 대해서 일단 판단을 유보하고, 탐구대상 자체를 추적하여 그것의 본질적인 성격을 규정하는 것이 현상학적 방법의 핵심이다. 필자는 이 논문의 둘째 단계에서 기존의 연구들이 연구대상 자체의 내용보다는 그것에 대한 이론서들의 평가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필자는 이 연구의 셋째 단계에서 탐구대상인 『정신병리학 총론』의 내용 자체에 주목하면서, 현상학적 방법이 이 저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밝혔다. 여기서 필자는 야스퍼스의 소위 ‘정신병리학적 현상학’은 후설의 철학적 현상학과 방법론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인간론적 차원에서도 접점을 지닌다는 사실을 정신병리학적인 임상사례를 통해서 확인했다. 실존에 주목하는 현상학적 시선이 과학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인간존재의 고유성을 조명할 때, 그것을 ‘실존현상학’이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실존현상학은 인간의 실존을 현상학적인 관점으로 탐구한다. 이때 현상학적 연구는 연구 대상이 되는 개인들이 무엇을 어떻게 경험했는지 경험한 그대로 기술한 후, 그들 경험이 지닌 공통성과 의미를 찾아내려한다. 이 실존현상학은 야스퍼스가 『정신병리학 총론』에서 사례를 다룰 때 사용하는 주요 관점인데, 이 관점은 실존철학뿐만 아니라 후설 현상학에도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마지막 단계에서 필자는 『정신병리학 총론』에 적용된 현상학적인 방법이 환자의 실존현상에 적용됨으로써 일종의 ‘실존현상학적 질병론’이라 부를 수 있는 결과물을 낳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In this paper, I attempt to find out how Husserl’s phenomenology influenced Jaspers’ Psychopathology, focusing on his work General Psychopathology. For this purpose, I first critically examine some previous studies on Husserl’s phenomenology and Jaspers’ psychopathology. And then I proceed to show that Husserl’s philosophical phenomenology, unlike the claims of recent researchers or Jaspers’ own assessment, has contacts with various aspects of Jaspers’ ‘psychopathological phenomenology’. It is at the core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o temporarily hold a judgment on theoretical knowledge or concepts, to trace the inquiry object itself and to define its essential nature. In the second stage of this paper, I try to confirm that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centered on the evaluation of the theoretical texts rather than the contents of the study itself. Based on these results, I note, in the third step of this study, how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are applied to this book,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content of General Psychopathology as a subject of inquiry. Here I find the fact that Jaspers’ so-called ‘psychopathological phenomenology’ has a point of contact not only with Husserl’s philosophical phenomenology and methodology, but also with the humanistic dimensions, via psychopathological clinical cases. When the phenomenological gaze paying attention to existence illuminates the uniqueness of a human existence that can not be grasped scientifically, it can be called “existence phenomenology”. Existentialism explores human existence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In this context, phenomenological research describes what individuals experience and what they experience as they have experiences, and then finds out the commonality and meaning of their experience. Existentialism is the main point of view used by Jaspers in dealing with cases in General Psychopathology. This view confirms that it is heavily dependent on Husserl’s phenomenology as well as existential philosophy. In the final stage of this paper, I show that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pplied to General Psychopathology is also applied to the existential phenomenon of the patient, resulting in the outcome which can be termed ‘existential-phenomenological disease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