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기업의 부채자금조달 적정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현대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1990년부터 2009년 사이의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기업들의 자본구조를 조명하였다. 이때 이용된 변수는 총부채비율, 유동부채비율, 비유동부채비율 등으로 이러한 변수들과 관련한 부채자금조달이 적정하였는지 등에 대하여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노력에 따라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부채비율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과 이때 총부채비율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재고자산회전율이 클수록 강할 것이라는 예측은 분석결과,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지 않아 각각 기각되었다. 이것은 절충이론 입장에서 볼 때 그동안 우리나라 기업들이 조사기간 동안에 평균적으로 적절한 총부채조달을 구현하지 못하였음을 나타내 준다. 둘째, 유동부채비율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정은 검증 결과 유의한 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받아드려 졌고, 유동부채비율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매출액 대비 재고자산회전율이 클수록 강할 것이라는 추정은 가설대로 정(+)의 방향에서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국내 기업들이 조사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적절한 수준의 유동부채의 이용을 구현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매출이 활성화되는 상황의 경우에 있어서는 평균적으로 유동부채의 이용을 적정하게 하였음을 나타낸다. 셋째, 비유동부채비율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정은 분석 결과 유의한 수 준에서 받아드려졌으나 비유동부채비율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재고자산회전율이 클수록 강할 것이라는 추정은 유의한 수준에서 부(-)의 방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보다 바람직한 경영성과를 위해서는 적절한 비유동부채의 조달이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기간 동안 국내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비유동부채의 이용이 적정하게 이루어 졌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매출 활성화 상황의 경우에 있어서 국내 기업들은 조사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비유동부채의 이용이 부적절하였음을 나타내 준다. 한편, 상기 분석에는 공선성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어 이를 감안하여 추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결과 유동부채는 유의한 수준에서 경영성과에 부(-)의 방향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조사기간 동안 우리나라 기업이 평균적으로 유동부채 이용의 적절성을 확보하지 못함을 다시 확인한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the Consideration of Optimal Raise Funds by Debt in Korean companies. Data which are used can be collected from 1990 to 2009 at Ecos and KIS-Value for the study. Debt Ratios, which are used in data are total debt ratios, current debt ratios, non-current debt ratios, and the others Inventory turnover as a turnover ratio. Meanwhile, The results of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otal debt ratios have no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and also inventory turnover which are multiplied total debt ratios as a moderating variable have no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It shows us that Korea companies have not realization optimal capital structure on aspect by trade off theory. Second, though current debt ratios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inventory turnover which are multiplied current debt ratios as a moderating variable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It shows us that current debt which are used as a unreasonable variable have unprofitable performance during the a period of research but current debt which used reasonable variable can be profitable performance when a booming stage. therefore It needs careful attitude. Third, though non-current debt ratio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inventory turnover which are multiplied non-current debt ratios as a moderating variable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It shows us that need reasonable using non-current debt but It is not needing unreasonable using non-current debt for desirable Management performance. and It show us that It can not be profitable by active use non-current debt when a booming stage. meanwhile, we can have a lastly conclusion by addition analysis. that is to get always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by current debt ratios during the a period of research.

      • KCI등재

        국내기업 자본조달 행태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성 고찰

        신현대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1994년부터 2013년 사이의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기업들의 자본조달 행태의 적정성을 조명하 였다. 이때 이용된 변수로는 주당순이익, 자기자본비율, 총부채비율, 유동부채비율, 비유동부채비율, 재고자 산회전율 등이었으며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부채비율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과 이때 총부채비율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 치는 정도는 재고자산회전율이 클수록 강할 것이라는 예측은 분석결과,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지 않아 각각 기 각되었다. 이것은 본 연구 자료 분석 상으로는 조사기간 동안 우리나라 기업들이 평균적으로 적절한 총부채의 자본조달을 구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둘째, 유동부채비율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은 검증 결과 유의한 수준에서 반대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받아드려졌으나, 이것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매출액 대비 재고자 산회전율이 클수록 강할 것이라는 예측은 가설대로 정(+)의 방향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받아들여졌다. 이것은 국내 기업들이 조사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적절한 수준의 유동부채 조달을 구현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의미하 는 한편, 매출이 활성화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유동부채의 조달을 평균적으로 적정하게 하였음을 나타낸다. 셋째, 비유동부채비율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은 분석 결과 유의한 수준을 보이지 않아 기각되었으나 비유동부채비율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재고자산회전율이 클수록 강할 것이 라는 예측은 유의한 수준에서 부(-)의 방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보다 바람직한 경영성과를 위해서는 적절한 비유동부채의 조달이 요구되는 것으로 본 자료 분석 상 조사기간 동안 국내 기업들의 비유동부채 조달의 적부 를 평균적으로 판단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때 매출 활성화 상황의 경우에 있어서는 국내 기업들의 비유동부채 조달은 조사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적절하지 못하였음을 또한 나타내 준다. 넷째, 자기자본비율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정은 유의한 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나 반대의 결과를 나타냈고 자기자본비율이 경영성과에 영항을 미치는 정도는 재고자산회전 율이 클수록 강할 것이라는 추정은 기각되었다. 이것은 국내기업의 자기자본조달이 평균적으로 적정하지 않 았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며 매출이 활성화 될 때에는 본 자료 분석 상 그 적부의 판단이 어려움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the Consideration of Optimal Raise Funds in Korean companies. Data which are used can be collected from 1994 to 2013 at Ecos and KIS-Value for the study. Fund Raising Ratio, which are used in data are equity ratio, total debt ratios, current debt ratios, non- current debt ratios, and the others Inventory turnover as a turnover ratio. Meanwhile, The results of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otal debt ratios have not significant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and also inventory turnover which are multiplied total debt ratios as a moderating variable have not significant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Second, though current debt ratios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and Inventory turnover which are multiplied current debt ratios as a moderating variable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Third, though non-current debt ratios have not significant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Inventory turnover which are multiplied non- current debt ratios as a moderating variable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Fourth, though equity ratios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and Inventory turnover which are multiplied equity ratio as a moderating variable have not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companies.

      • KCI등재

        시장성과가 경영자교체에 미치는 영향

        이해영,신범철,신지숙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2

        There have been voluminous prior studies which have analyzed the corporate accounting performance as a major factor of CEO turnover, but there are lacks of the studies on the effect of corporate market performance on CEO turnover in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CEO turnover on corporate market performance in Korea Stock Market. The corporate market performance is measured by the annual rate of return and market value to book value ratio. This paper uses unbalanced panel data for listed companies in the Korea Stock Exchange, both KOSPI and KOSDAQ markets over the period from 2000 to 2012.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mploys the 2 Stage RE(random-effect) panel probit model to control for endogeneity of market and market performance variables. The majo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decrease in the annual rate of return and market value to book value ratio is found to lead to an increase in the CEO turnover probability significantly. This implies that the higher the market performance are the less the CEO turnover probability. Second, an increase in the equity ratio of the foreign investors is found to lead to a decrease in the CEO turnover probability significantly. But an increase in the equity ratio of the largest shareholder is not found to lead to a decrease in the CEO turnover probability significantly. Third, both the sales growth rate and stock return volatility a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the probability of the CEO turnover, but the debt ratio is not. This results means that the more growth firm and the larger risk firm is the less the CEO turnover probability. Fourth, annual rate of return and market value to book value ratio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CEO turnover probability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whereas only annual rate of retur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in the large firms. In the large firms market to book value ratio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EO turnover probability. Fifth, the increased market value to book value ratio over last year has a moderating effect of the lower CEO turnover probability in a relation between the MB ratio and the CEO turnover. But the increased annual rate of return over last year has no a moderating effect of it. Finally, the increased stock volatility over last year has no a moderating effect of the lower CEO turnover probability in a all sized firm. There are some caveats, however, in our study to be mentioned. The types of the CEO turnover, either voluntary or disciplinary, can differently affect firm performance. Furthermore, the effects of CEO turnover on corporate performance could be determined by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number of CEOs. In the future study, effects of a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CEOs, and industry structure should be considered. Also, the integrated analysis on the accounting performance and market performance effect of CEO turnover will need to go on.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불균형 패널자료와 시장성과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한 2단계 임의효과 패널 프로빗 모형을 활용하여 기업의 시장성과가 경영자교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기업의 시장성과는 주식수익률과 MB비율로 측정하였으며, 표본은 200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의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금융업을 제외한 모든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시장성과인 주식수익률과 MB비율이 낮을수록 경영자교체확률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대주주지분율은 경영자교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외국인투자자지분율은 경영자교체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매출액성장률과 주가변동성이 높을수록 경영자교체확률은 유의하게 높아지나, 부채비율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표본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분류하여 재추정한 결과, 중소기업에서는 주식수익률과 MB비율이 높을수록 경영자교체 확률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대기업에서는 주식수익률이 높을수록 경영자교체 확률은 유의하게 낮아지나 MB비율은 높을수록 경영자교체확률도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기업의 경우 소유구조 변수 중 외국인투자지분율만 경영교체에 유의하게 음(-)의 영향을 미치나 중소기업은 최대주주지분율과 외국인투자자지분율 모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기업은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중소기업은 주가변동성이 높을수록 경영자교체확률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시장성과와 경영자교체와의 관계에 있어서 MB비율의 향상은 경영자교체 가능성을 더욱 낮춰주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주식수익률의 향상은 주식수익률과 경영자교체간의 관계에 있어서 경영자교체 가능성을 조절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기업의 시장성과와 경영자교체간의 관계에 있어서 주가변동성, 즉 기업위험의 확대는 경영자교체 가능성을 조절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출연금비율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주현,조상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9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9 No.2

        [Purpose]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contribution ratio affects the performance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overnment decreased the contribution ratio for efficiency, so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 [Methodology] We used the multiple regression with 19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from 2011 to 2015. We divided the performance into academic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articles. [Finding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ribution ratio is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Especially, in the SCI articles the results are significant, but it is not significant in the domestic articles. Second, the higher contribution ratio, the higher the economic performance in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mplications] These empirical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that in the circumstances of a higher percentage of contributions from the total budget, researchers could focus their energy to the original goal and the performance could be increased. But in the lower percentage of contribution ratio, researchers should make an effort for an outside project, so they cannot concentrate on their own project.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the claim that the ratio of contributions from the stable budget should be increased in the total budget of the institutes to increase the original performance of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연구목적] 본 논문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기을 상으로 체 산에서 출연 이 차지하는 비율이 연구기의 성과에 미치는 향을 실증으로 분석한다. 연 구기을 효율으로 운하도록 유도하기 하여 체 산 일부를 외부과제 수주 등 경쟁산으로 확보하도록 한 정책이 연구기의 성과에 미치는 향을 검 증한다. [연구방법]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기 19개를 상으로 출연비율이 연구기의 성과에 미치는 향을 실증분석하며, 연구기의 성과를 각각 학문성과와 경제성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연구결과]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 산 출연이 차지하는 비 율이 높을수록 학문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국내논문 수 보다는 국 외논문 수에서 유의인 성과를 나타냈다. 둘째, 높은 출연비율은 특허출원 수 기술이 계약체결 수로 측정한 경제성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 문성과의 경우에는 모든 분야의 기들이 출연비율과 양(+)의 련성을 보 으나 경제성과의 경우에는 기기술 분야에 속한 기들에서만 출연비율과 양 (+)의 련성을 나타냈다. [연구의 시사점]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기의 연구자들이 매년 기의 산을 확 보하기 하여 본연의 업무 보다는 연구과제 수주활동에 내몰리고 있는 상황에서, 안정으로 확보되는 출연의 비을 높임으로써 정부출연기의 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실증으로 분석하다는 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본적 분석변수의 경영성과 및 시장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민춘식(Min Chun-Sik),김성민(Kim Seong-Mi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2 국제회계연구 Vol.0 No.42

        본 연구는 내재가치 산출과 관련한 기존연구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다양한 재무비율(기본적 분석변수) 패널자료를 적용하여, 이들이 미래 현금흐름 추정과 관련된 경영성과(이익, 총자산순이익률)와 기대수익률 추정과 관련된 시장성과(할인율, 시가총액 증가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자산순이익률에 대해 당해연도 및 직전연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 분석변수는 자기자본비율, 총자산회전율, 매출액순이익률, 자기자본증가율, 주가순자산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가총액증가율에 대해 당해연도 및 직전연도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 분석변수는 금융비용부담률, 매출액순이익률, 자기자본증가율, 주가순자산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자산순이익률과 시가총액증가율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 분석변수는 매출액순이익률, 자기자본증가율, 주가순자산비율 등이었다. 한편, 총자산순이익률과 시가총액증가율에 대해 각각 당해연도와 직전연도의 기본적 분석변수들을 이용한 예측이 가능한 지를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자산순이익률에 대해 각각 당해연도와 직전연도의 기본적 분석변수를 이용한 예측정확성의 측정 결과에 있어, 총자산순이익률 실제치의 누적평균값과 예측치의 누적평균값을 이용하여 측정한 MAPFE의 경우 당해연도 자료를 이용하였을 경우 10.2%, 직전연도 자료를 이용하였을 경우 29.5%라는 낮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시가총액증가율에 대해 각각 당해연도와 직전연도의 기본적 분석변수를 이용한 예측정확성의 측정 결과에 있어, 시가총액증가율 실제치의 누적평균값과 예측치의 누적평균값을 이용하여 측정한 MAPFE가 당해연도 자료를 이용하였을 경우 15.6%, 직전연도 자료를 이용하였을 경우 39.5%라는 값을 보여 상당한 정도의 예측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xisting studies for calculating the intrinsic value, this study adopted the panel data analysis of various financial ratios (fundamental analysis variables) and demonstrated that how these panel data impact on corporate performance which is one of major concern in the estimation of future cash flows (earnings) and on market performance which is one of major concern in the estimation of the expected rate of return(rate of discoun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turn on total assets (ROA, corporate performance) i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current and the previous year's equity-to-total capital, total assets turnover, net income to sales ratio, owner's equity growth rate, price to book-value ratio. Second, the market capitalization growth rate (RET, market performance) i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current and the previous year's financial expenses to sales ratio, net income to sales ratio, owner's equity growth rate, price to book-value ratio. Third, net income to sales ratio, owner's equity growth rate, price to book-value ratio impact significantly on both ROA and RET. And we also tested that whether ROA and RET can be forecasted by the current and the previous year's financial ratios or not. MAPFE of ROA calculated by using the cumulative average value of actual ROA and the cumulative average value of forecast ROA, is 10.2% when using the current year's financial ratios, and is 29.5% when using the previous year's financial ratios. These show favorable result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financial analysts' accuracy. And MAPFE of RET calculated by using the cumulative average value of actual RET and the cumulative average value of forecast RET, is 15.6% when using the current year's financial ratios, and is 39.5% when using the previous year's financial ratios, so we expect that there will be a considerable forecast power.

      • KCI등재
      • KCI등재

        외식기업 재무비율지표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시중 관광경영학회 2019 관광경영연구 Vol.91 No.-

        This study aim to estimate effects of 9 financial ratio Indicators which include ‘growth Indicators’, ‘activity Indicators’ and ‘stability Indicators’ toward to 5 profitability indicators. The sample data collected from year 2017 financial ratios of food service industry in Korea and analyse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of testing, current ratio’ and ‘debt ratio’ of stability Indicators are affected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profitability ratios’. There is significant ‘current ratio’ when analyzing indicators which are ‘operating income to sales’ and ‘net income to sales’, whereas ‘debt ratio’ has meaningful ratio to profitability Indicators by ‘operating income to sales’, ‘cash flows from operating activities’ and ‘net income to stockholders’ equity’. ‘Growth rate of operating income’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5 financial ratios of profitability Indicators. Similarly, ‘growth rate of sales‘ affect ’cash flows from operating activities’, while growth rate of total assets and growth rate of net income are not affected by all ratios to profitability Indicators. On the other hand, activity Indicators exclude ‘total assets turnover’ has no relationship with all profitability Indicators. ‘Total assets turnover’ effected on cash flows from operating activities

      • SCIESCOPUSKCI등재

        Optimal Threonine:Lysine Ratio for Growing Pigs of Different Sexes

        Chang, W.H.,Lee, J.H.,Heo, K.N.,Paik, I.K.,Han, In K. Asian Australasian Association of Animal Productio 2000 Animal Bioscience Vol.13 No.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onine:lysine ratios on growth performance,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urea nitrogen (BUN) concentration, and to estimate the optimal threonine:lysine ratios for growing barrows and gilts. A total of 150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16.75{\pm}0.42kg$ average body weight, 75 barrows and 75 gilts) was randomly allotted into six treatments in a $2{\times}3$ factorial design. Six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1.12% lysine for barrows and 1.33% lysine for gilts with three threonine:lysine ratios (50, 60 and 70%) for both barrows and gilts.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16 to 56 kg body weight),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sex and dietary threonine:lysine ratio in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conversion rate (FCR). Between sexes, there was a clear sex-effect showing better growth performance of barrows. Barrows consumed more feed (p<0.01) and grew faster (p<0.01) than gilts. For barrows, there was a trend to improved ADG and FCR with increasing threonine:lysine ratio. For gilts, there was a trend to improved ADG and FCR up to threonine:lysine ratio of 60%, but not significant.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sex and threonine:lysine ratio in nutrient digestibilities of growing pigs except for crude ash (CA). Between sexes, there were differences in nutrient digestibilities, except for calcium for which gilts showed higher a digestibility (p<0.01). Among dietary threonine:lysine ratio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nutrient digestibilities. Mean values of essential amino acids (EAA), non-essential amino acids (NEAA) and total amino acids (TAA) digestibilities were not affected by sex and dietary threonine:lysine ratio. There was no evidence of an interaction between sexes and dietary threonine:lysine ratio. Between sexes, total BUN concentration was lower in gilts than barrows (p<0.05). It was concluded that a 70 and 60% dietary threonine:lysine ratio for barrows (1.12% lysine) and gilts (1.33% lysine) tended to result in better growth performances and nutrient utilization and lower BUN concentration than other threonine:lysine ratios.

      • KCI등재

        Evaluation of CSR in South Korean Market with Indices on KRX

        송동섭,홍수희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1

        This study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KOSPI 200 Index that represents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South Korean market with KRX SRI index, KRX SRI-Eco index, KRX SRI Governance index and KRX Green, announced in South Korea. For performance evaluation, the performances of the indic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risk-adjusted returns such as Sharpe Ratio, Treynor ratio and Jensen’s alpha, etc. As for research results, first, regarding the hypothesis that the performance of SRI index would be higher than the average performance in the market, Hypothesis 1-2 which financial performance of KRX-SRI Eco would be higher than the market average, only was partially adopted, and KRX SRI showed almost similar performance to the average performance in the market. Second, KRX SRI-Governance and KRX Green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market average, and especially, KRX Green showed noticeably low performance. Like this, since various indices related to SRI showed conflicting results as compared to the average performance in the market, it could not be considered that in South Korea, SRI had a high correlation with financial performance. In South Korea, the investors’ awareness of SRI is still not high, and not many data for an empirical analysis have been accumulated. In the future, if a more sophisticated methodology is used and the performances of individual companies included in the index are analyzed, better results would come out.

      • KCI등재

        비섬유탄수화물과 반추위분해단백질의 다른 비율이 In Vitro 발효와 젖소의 산유성적에 미치는 영향

        서인준,이도형,이성훈,Seo, I.J.,Lee, D.H.,Lee, S.H. 한국축산학회 2005 한국축산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는 비섬유탄수화물(NFC)과 반추위분 해단백질(RDP)을 젖소사료에 다양하게 배합하여 NFC : RDP의 비율을 3.5, 3.0 및 2.5로 다양하게 조정하였을 때, in vitro 발효성상 및 젖소의 산유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적정 NFC : RDP비율을 결정하고자 실시하였다. In vitro 발효시험은 반추위 cannulae가 장착된 Holstein 젖소로부터 반추위액을 얻어 3, 6, 9, 12시간 동 안 배양하였다. 반추위내 pH는 NFC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고, 암모 니아질소농도는 배양 6시간까지 처리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9시간과 12 시간에서는 NFC : RDP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휘발성지방산생산 량은 acetate 및 propionate농도가 발효 3시간에 NFC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 으나(P < 0.05), 나머지 시간대에서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Valerate 및 A : P비율은 NFC : RDP비율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고, iso- acids 및 총 휘발성지방산은 전반적으로 NFC함 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 < 0.05), 3.0비율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 < 0.01). 한편, 사양시험은 18 두의 착유우를 공시하여 처리구당 6 두씩 배치하여 총 24주간 실시하였 다. 건물 및 에너지섭취량은 NFC : RDP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 0.01), 섬 유소섭취량은 NFC : RDP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P < 0.01). 산유량은 3.5(32.7 kg)비율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유지방율은 3.0(3.79 %) 및 2.5(3.79 %)비율구가 3.5(3.48 %)비율구보다 유의하 게 높았고(P < 0.05), 유지방생산량은 처리구간 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단백질과 무지 고형분은 NFC : RDP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 적으로 증가하였다(P < 0.01). 그러나 우유중 요소태질소농도는 NFC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 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료내 증가하는 수준의 NFC는 반추위발효, 질소이용효율 및 산유량을 향상시켰고, 사료중 NFC : RDP비율이 3.0이상일 때 반추위발효뿐만 아니라 산유성적이 최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different ratios (3.5, 3.0 and 2.5) of nonfibrous carbohydrate (NFC) to ruminally degradable protein (RDP) on in vitro fermentation and lactation performance of dairy cows and optimum ratio of NFC to RDP in dairy rations. In vitro trial was conducted up to 12 hr with ruminal fluidtaken from ruminally cannulated Holstein cows. The level of dietary NFC did not affect ruminal pH. The ammonia-N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until 6 hr incubation,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P < 0.05) decreased as the ratio of dietary NFC to RDP increased on 9 and 12 hr incubation. For volatile fatty acids, concentrations of both acetate and propionate were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on 3 hr incubation as dietary NFC contents of treatments increased, in other incubation times, the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Valerate and A:P ratio were not affected by the ratio of NFC to RDP. Isoacids and total VFAs were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NFC contents and their values were highest in the treatment of 3.0 ratio. Meanwhile, for in vivo trial, 18 Holstein lactating cows were allotted to treatments in three groups of 6 cows. They were employed for 24 weeks to investigate nutrient intakes, and milk yield and composition according to different ratios of dietary NFC to RDP. Intakes of dry matter and energy were significantly (P < 0.01) increased, but NDF intake was significantly (P < 0.01) decreased as the ratio of dietary NFC to RDP increased. Milk yield for the ratio of 3.5 (32.7 kg)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Milk fat (%)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for the treatments of 3.0 (3.79 %) and 2.5 (3.79 %) than that (3.48 %) for the ratio of 3.5, but milk fat yield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Contents and yields for milk protein and solids-not fat were linearly (P < 0.01) increased as the ratio of dietary NFC to RDP increased. However, milk urea nitroge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P < 0.05) de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NFC level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ing level of NFC in the diet of dairy cows enhanced ruminal fermentation, N utilization and milk production and suggested that maximal fermentation and lactation performance were achieved when the dietary ratio of NFC to RDP was more than 3.0 in dairy 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