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역 콘텐츠를 이용한 OSMU 교육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이승환(Seungwhan Le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1

        OSMU가 미디어 산업의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지만 정작 어떻게 전문 인력을 교육해야 할지에 대한 대응은 미흡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OSMU를 바라보는 두 개의 큰 흐름인 경제적 시각과 스토리텔링적 시각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학 차원의 새로운 OSMU형 교육모델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OSMU 교육 프로그램은 미디어위키를 이용하여 협업으로 지역 콘텐츠를 생산하도록 한다. 이후 만들어진 콘텐츠를 미디어위키, 스마트폰용 앱, 웹디자인과 멀티미디어형 e-매거진의 소스로 활용하고, 출판과 신문 등의 멀티소스로 활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디지털콘텐츠전공이 있는 지역의 한 대학에서 새로운 교육모델을 실제 OSMU 교육에 적용한 결과 큰 무리없이 진행될 수 있었다. 먼저 미디어위키는 교수와 학생들이 협업으로 지역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효과적이었고 그 자체로 온라인 위키 서비스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용 스마트폰 앱은 T스토어를 통해 공식 출시되어 높은 이용자 평점을 받고 있다. 또 개발된 지역 콘텐츠을 활용한 실제적인 웹 디자인이 이루어졌다. 한편 출판을 위한 과정의 과도기로 지역 콘텐츠는 각종 신문의 연재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지역 콘텐츠는 향후 멀티미디어형 e-매거진과 책의 형태로 출판될 예정이다. 콘텐츠의 개발과 동시에 멀티유스 전략을 실행하는 것은 단기간에 성과물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이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성취감은 소중한 교육적 효과로써 앞으로 더욱 적극적인 참여를 유인하는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교육 프로그램은 향후 더 발전하여 대학 레벨에서 콘텐츠와 미디어 실무 제작능력 배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경험과 보다 교육학적 이론에 바탕을 둔 발전된 정규 OSMU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OSMU is now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words in the media industry. However, how to educate future media workers who can design and implement OSMU is an unsolved problem to media educator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wo perspectives of OSMU, namely economic perspective and storytelling perspective, this study propose a new OSMU education model for college students. Beginning with creating local content using MediaWiki, this model consists of five phases of media windowing, including MediaWiki, smartphone application, Web design, multimedia e-magazine for tablet PC, and publication. A Chuncheon-based university has been experimenting with this new OSMU education program. MediaWiki has played important role for creating local content collaboratively. All That Chuncheon application is now on service via SKT Tstore and Chuncheon Web pages has been designed successfully. Multimedia e-magazine and book publication is under preparation. The experiment has been successful so far, mainly due to the strategic choice of local content as the source of following media window. Also students have been strongly motivated for participating in this OSMU program.

      • KCI등재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 연구

        김영재(Kim, Young Ja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8

        본 연구는 OSMU를 문화콘텐츠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일련의 마케팅 활동으로 파악하고, 브랜드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브랜드 자산관리의 전략적 틀을 적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의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문화콘텐츠와 관련하여 소비자가 떠올리는 강력하고 호의적인 연상은 콘텐츠의 높은 브랜드 자산 가치를 구축하는데, 이를 위해 저작권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고, 이를 OSMU 전략의 수립과 집행의 근간으로 삼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전략 모델에 따르면, 콘텐츠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1)다양한 창구를 통해 콘텐츠를 노출시킴에 있어서 필요한 창구화 의사결정, 2)원천 콘텐츠를 어떤 장르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르 전환에 있어서 어떤 요소가 유지, 강화되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장르전환 의사 결정, 3)상품화 대상 선정, 상품화 활용 요소 및 상품화 디자인과 관련한 상품화 의사 결정 등 다양한 OSMU 의사 결정의 기준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경로의 소비자 접촉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조율하고 통합하며, 브랜드 자산의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콘텐츠의 장기적인 부가가치 극대화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되는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첫째, OSMU를 일련의 과정으로 파악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조망함으로써 OSMU 논의의 폭을 넓히고 있다. 둘째, 창구화, 장르전환, 상품화 등 다양한 OSMU 활동을 통합하고 조율할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셋째, 전략의 초점을 원천 콘텐츠 (One Source)의 부가가치 극대화에 맞춤으로써, 멀티 유즈 (Multi Use) 결과인 장르 전환된 콘텐츠 또는 관련 상품을 위한 전략과의 혼란을 배제하였다. 넷째, OSMU 실행과정에서 저작권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의사결정을 파악하고, 그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OSMU 주체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콘텐츠의 내용 이외에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논의의 대상에 포함시킴으로써, 콘텐츠 향유자뿐 아니라 미래의 잠재고객을 콘텐츠의 장기적 부가가치 창출원으로 인식하였다. This article is to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One Source Multi Use (OSMU) strategic model of culture content. In this study, OSMU is defined as a series of marketing activities to increase the value created by culture content. The framework of brand equity strategy is applied to develop the strategic model of OSMU, as both share the same goal - maximization of long term value created by brand or culture content. This article suggests the brand identity-based OSMU strategic model, in which the brand identity of culture content guides, integrates, and coordinates every decision-making of OSMU activities. For the maximization of brand equity value of culture content, the copyright holder of original content should decide the content"s brand identity, which should provide the criteria of all decision makings regarding window strategy, adaptation of content to other genre, and merchandising. This brand identity-based OSMU strategic model can not only contribute to the sales of OSMU content, but also the creation of high equity culture content in the long run. Also, the model allows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content"s brand equity, which can be used for the strategic adjustment for the sake of long term value of the content.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y on OSMU and expected to invigorate the further discussion on OSMU in several points. First, it broadens the scope of OSMU discussion as it views OSMU as a series of process including feedback. Second, this study points out the need for integration and coordination of various OSMU activites. Third, the strategic focus is laid on the value maximization of the original content, not "multi used" content. Fourth, the suggested model emphasize the strategic role of copyright holder who takes the charge of the content brand management. Fifth, the model requires discussion on the components of marketing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content itself, which means the model includes the prospects, not only the content consumers, as the major future source for value creation.

      • KCI등재

        만화 OSMU 진화확장모델 연구

        이승진(Seung Jin LEE)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2

        윤태호 작가가 취재에만 3년이라는 시간을 투자하며 만든 <미생>은 샐러리맨의 교과서라 불리우며 웹툰 누적 조회 수 10억회, 한 주 클릭 수 800만 건에 달하고, 고정 독자는 40만∼50만 명 수준으로, 단행본 누적판매 부수 200만부를 넘긴 2014년 최고의 콘텐츠로 꼽히고 있다. 이승진은 원작 웹툰을 활용한 연계콘텐츠의 성공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객관적으로 설정한 표준화된 수량적 종합 수치인 ‘웹툰 연계지수’를 개발하였다. <미생>의 ‘원작활용 가치측정 종합지수’를 종합해보면 ‘시각적 요소 4.11’, 문학적 요소 ‘4.47’로 총 8.58(10점 만점)로 측정 되었다. 기존에 조사되었던 <이끼> 7.68, <이웃사람> 7.56, <전설의 주먹> 6.6, <더 파이브> 5.18 보다 높은 수치를 <미생>이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미생>은 기존에 보여주었던 만화 원작의 매체전환과는 차별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 OSMU에서는 원작 웹툰에서 여러 작품으로 파생이 되고 이에 피드백작용이 일어나는 구조를 보였다. 하지만, <미생>은 원작 웹툰에서 유료 웹툰, 단행본, 모바일 영화, 애니메이션, 드라마로 OSMU(1)를 이루었으며, 드라마의 성공으로 또다시 웹툰, 패러디 드라마, 간접광고, 드라마 주인공들의 광고모델, OST 등으로 2중적인, 확장된 OSMU(2) 구조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드라마의 성공은 유료웹툰 활성화, 단행본의 판매 증가 등의 피드백을 주었으며 이 모든 것들로 인하여 <미생>은 시즌2를 제작하게 되었다. 시즌2의 연재는 또 다시 OSMU(3) 구조를 이룰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즉, 한 원작에서 생성된 OSMU는 또다시 OSMU를 양산시키는 새로운 진화확장된 구조를 보이게 될 것이다. Misaeng called a textbook for salaried men, created by Yun, Tae Ho after three years of collecting materials is considered as the best contents of 2014 owing to its amazing records such as a billion accumulated hits on the webtoon, 3million clicks per week, around 400,000-500,000 regular readers, 2million books sold, and also recording the highest viewer ratings(10.3%) since its first broadcasting in October 2014 as a drama of tvN. Regarding the ‘general index of measuring values of using the original <Misaeng>’, its total score was 8.58(perfect “10”) as the visual element was ‘4.11’ and literary element was ‘4.47’. <Misaeng> is showing higher value than the existing works such as <Moss(7.68)>, <The Neighbors(7.56)>, <Fist of Legend(6.6)>, and <The Five(5.18)>. Such <Misaeng> shows an aspect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reformatting of cartoon originals. In the existing OSMU, various works were derived from an original webtoon with the structure of feedback actions. However, <Misaeng> showed not only OSMU(1) from the original webtoon to pay webtoon, books, mobile movie, animation and drama, but also double-expanded OSMU(2) like webtoon, parody drama, indirect advertising, drama main characters" casting as advertising models and OST after the success in drama. Moreover, the success in the drama not only brought the vitalization of pay webtoon and the increase of selling books, but also caused the production of the season 2. The serialization of the season 2 is expected to form the OSMU(3) structure again. In other words, the OSMU generated from an original creates another OSMU again, which is the new evolved/expanded structure.

      • KCI등재

        그림책의 OSMU(One Source Multi Use) 성공 사례

        황순선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4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5 No.40

        문화콘텐츠로서 그림책은 오랜 역사와 자국의 문화를 담고 있으며 현재는 롱셀러 캐릭터 등 OSMU로 산업화 하였다. 예로 ‘피터 래빗’, ‘위니 더 푸우’, ‘무민’ 등은 그림책의 원 소스로 성공하여 캐릭터 산업뿐 아니라 테마 파크나 박물관 등으로 공간까지 라이선싱이 성공적으로 확대되었다. 연구목적은 정부의 콘텐츠 산업 지원이 캐릭터, 만화, 애니메이션 등에 집중된 것을 넘어서서 국내 그림책의 작가 지원에 대한 당위성을 국내외 그림책의 OSMU 성공사례를 통하여 증명하고자 하는 데 있다. 국내 그림책의 OSMU는 가능한가? 를 연구문제로 기초연구는 국내외 콘텐츠와 그림책시장 현황 및 성공한 OSMU의 국내외 그림책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그림책의 OSMU 성공사례 조건으로 그림책의 캐릭터사업, 애니메이션, 뮤지컬, 음악, 게임과 박 물관 등 최소 6개 이상의 콘텐츠로 개발된 그림책 5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부적 분석은 그림책의 캐릭 터와 스토리 구조 및 OSMU를 중심으로 분석조건에 맞추어 연구했다. 외국 그림책의 OSMU 사업에 비하여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그림책 ‘구름빵’과 ‘둘리’의 성공은 국내 그림책 시장, 그림책 작가에게 희망적이며 정부의 관련 콘텐츠 지원정책에도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Picture books, as cultural contents, have reflected the nation’s long history and culture, while having developed into the industry of OSMU through long-seller characters. For example, Peter Rabbit, Winnie the Pooh and Moomin have made a successful licensing in the character industry, theme parks and museums based on their original picture book.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the appropriateness of support for domestic picture book artists, well beyond the current government’s support for the contents industry being mainly focused on animations. The successful cases of OSMU identifi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icture books will be provided. The research asks the question of ‘Is OSMU of domestic picture books possible?’, and looks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nts; current situation of picture book market;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picture books of OSMU that have been successful. As a methodology, the researcher had a look at five picture books that had been developed within more than six contents,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conditions of success for OSMU of picture books. Detailed analysis has been preceded in relation to characters, structure of stories and OSMU of picture books. Korea has relatively shorter history of OSMU business in comparison to that of international context, however the prospects seems positive for the domestic picture book market and artists, considering the success of Grumpang and Duli; which is also suggestive for the government’s policy on contents support.

      • KCI등재

        웹툰 OSMU의 방향성과 전략 연구

        한혜경(Hye Kyung Han)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3

        웹툰의 OSMU(One Source Multi Use)는 최근 콘텐츠 산업에서 가장 각광받는 주제다. 최근 웹툰의 OSMU 경향은 주로 영화나 드라마, 공연 등의 스토리 소스 차원의 활용이 주를 이룬다. 플랫폼사와 대형 문화콘텐츠기업 등 많은 기업들이 이런 이유에서 웹툰의 OSMU에 관심이 높다. 하지만 단순히 소스차원에서 활용되는데 그치지 않고 웹툰의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방향성과 전략을 가지고 OSMU에 접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영화나 드라마, 공연 등으로 전환되는 스토리 중심의 서사형 장편 웹툰과 달리, 에피소드형 웹툰으로 출판만화, 어린이용 출판만화, 웹투니메이션, TV애니메이션, 게임(소셜게임, 모바일게임)으로의 전환과 캐릭터 비즈니스 모델까지 성공적으로 구축한 <와라! 편의점>은 웹툰의 OSMU의 방향성과 전략을 연구하기에 좋은 사례다. <와라! 편의점>은 배경공간인 ‘편의점’의 특성을 캐릭터와 결합해 OSMU를 진행했다. 캐릭터와 상호보완적 관계인 배경공간까지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상정하고 그 맥락을 고려한 장르 전환과 상품화를 꾸준히 진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원작의 브랜드 가치를 강화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탄탄하게 서사를 구축하는 것만큼이나 기획단계에서 캐릭터들이 활동하는 특별한 배경공간을 상정하고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은 중요하다. 배경공간의 특성을 살린 장르 전환이나 상품화가 적극적으로 진행될 경우, 서사나 캐릭터만으로 OSMU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한계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더 나은 웹툰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웹툰 OSMU에서 창출된 수익은 오롯이 웹툰 산업으로 귀속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창작자 진영이 OSMU를 주도함이 바람직하다. <와라! 편의점>의 사례처럼, 각기 다른 영역의 전문가들과 컨소시움 형태의 제작시스템을 구축해 OSMU를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Osmu(One Source Multi Use) of Webtoon is recently a popular main topic of the current contents industry. Many Companies which offer platforms or Contents are interested in Webtoon"s OSMU hugely. They have managed webtoons for a level of the source of story with making movies and Drama.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make some money from purchasing webtoons’ contents, but it is still small. Therefore, for increasing webtoon artists, aka webtoonists,’ income, it is mandatory to consider how their works’ can bring the money onto them out of the second route of them. Generally, we have recreated lots of "story-centered" webtoons into movies, dramas, or performances so far. However, as for 〈Welcome to Convenience Store〉, it is a great example to show how they could lead the success by changing Webtoon to the published cartoons, published cartoons for kids, Webtoonimation, Animations on TV programs, Games(for social media and mobile phones) and its character business models. With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t and then, forwardly it values to study for the result to develop the Webtoon OSMU industry in the future. 〈Welcome to Convenience Store〉proceeded it"s OSMU in combing the features of a background space(convenience Store) and its main characters. Through this way of OSMU(windowing, genre adaption and commercialization), the Brand Value of webtoon is getting develop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genre and commercialization fitting to the context that the background has and when that kind of OSMU is ongoing, people will pay more attention. It will be very important not only to create the narrative well, but also to give the meaning of symbolization to the background. If using the specificity of background space in genre adaption and commercialization, the risk can decrease. If you want to make the chance to precede OSMU, it is good to try to build the system as a consortium with experts from different areas, as if we saw the result from 〈Welcome to Convenience Store: The Animation〉. As the webtoon"s OSMU is the entry of the other genre’s business market, webtoon should be considered OSMU from the planning stage and have to develop some attractive components that would be a brand identity. Until now, if we have focused on establishing remarkable characters and building up the narrative, from now on, it is time to more study about some specific background, in my opinion.

      • One Source Multi Use를 활용한 이순신 문화콘텐츠산업화 전략

        유연호(Yu. Yon Ho)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9

        구술과 문자 중심의 스토리텔링에서 디지털 미디어 중심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으로 변화하면서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산업이 더욱더 발전하고 있다. OSMU전략의 핵심은 문화원형의 발굴과 스토리텔링에 의한 문화콘텐츠가 OSMU로 문화콘텐츠산업으로 발전하여야 한다. OSMU는 TV방송, 게임, 음악/음반, 영화, 애니메이션, 모바일, 출판, 출판만화, 캐릭터상품, 교육프로그램, 테마파크, 관광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의 문화콘텐츠산업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창구효과를 통해 무한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은 환경친화적이며 유비쿼터스시대의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문화산업이다. 이순신의 OSMU 문화콘텐 츠산업화를 위해서는 <그림 5>와 같이 문화원형으로서 이순신을 디지털 스토리텔링하고 산발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콘텐츠를 통합하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이순신의 OSMU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산업화를 위한 전략은 ① 이순신을 중심으로한 전국적 규모의 문화원형은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② IT와의 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③ 오감을 만족하는 체험형 에듀테인먼트가 되어야 한다. ④ 방송영상미디어와 모바일 미디어에서 방송될 수 있는 문화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⑤ 창구효과를 염두에 OSMU 기획이 필요하다. ⑥ 전략적 제휴마케팅을 추진하여 자연스럽게 다양한 기업들이 문화콘텐츠 개발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⑦ 놀고, 먹고 마시고, 쇼핑하는 소비자행동에 집중하고, 체류시간을 확대하기 위한 숙박시설과 연계시켜야 한다. ⑧ 이순신 문화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차별화와 이벤트 프로그램의 개발이 되어야 한다. As oral-and literate-based storytelling is shifting into digital-and media-based storytelling, one source multi use(OSMU) strategy is widely being accepted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essence of the OSMU strategy is that cultural contents produced by cultural prototype finding and storytelling should develop through OSMU strategy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OSMU can be applied in various cultural content industry areas such as TV broadcasting, game, music/record, films, animation, mobile, publication, cartoon, character goods, educational program, theme park, and tourism and create unlimited added value through window effect.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is eco-friendly and improves the quality of human lives in the age of ubiquitous computing. In order to develop Yi, Sun-shin into cultural content through OSMU strategy, a prototype, Yi Sun-shin should be transformed through storytelling as described in figure5. Then, a systematic and continuous strategy should be applied to integrate contents being created sporadically. The strategy to develop Yi Sun-shin into cultural content through utilizing OSMU can be described as follows: ① A Yi Sunshin-based nationwide cultural prototype should be transformed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② It should incorporate with information technology; ③ It should become an experiential edutainment that fully satisfies the customer; ④ Cultural contents which can be broadcasted through broadcasting media and mobile media should be developed; ⑤ OSMU plan should be devised with the consideration of window effect; ⑥ Strategic affiliate marketing should be promoted to allow various companies to natural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⑦ Consumer behaviors such as playing, eating, drinking and shopping should be observed carefully. And, Yi Sun-shin content should be connected with accommodation facilities to extend consumers stay; ⑧The characteristics and distinctiveness of Yi Sun-shin cultural content and event programs involving the content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패션산업에서의 OSMU 발전방식의 활용 연구

        강혜승(주저자) ( Hae Seung Ka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5 No.-

        21세기 패션산업과 IT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화는 밀접하게 융합되며 급변되고 있다. 패션산업은 사회의 전반적인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다양성에 중요관점을 두고 있으며, 다양한 장르에서 응용되면서 고부가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최근의 경향을 보면 OSMU를 이용하여 수익창출에 주력하는 동시에 패션산업을 타영역간의 협업활동을 통한 OSMU전략 수립과 실행으로 다원화를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산업에서 원천소스가 되는 텍스타일 디자인이 능동적으로 모든 라이프 스타일 제품군에 OSMU로 진행된 브랜드 4개의 전개방식과 실제적 활용사례를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표적인 브랜드 소수소우, 마리메코, 캐스키드슨, 로라애슐리의 OSMU 의 발전빙식에 의한 성공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패션산업의 다원화에 의한 활성화 방안의 현 위치를 파악하였다. 이에 대표적인 브랜드 소우소우, 마리메코, 캐스키드슨, 로라애슐리의 OSMU의 전개방식에 의한 성공사례를 분석하였다. OSMU의 발전방식을 따라서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OSMU의 성공적인 사례를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의 지속성장 가능한 패션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실질적인 필요성을 개진하고자 한다. The fashion industry of the 21st century and the digital contents based on the IT have been closely fusing and rapidly changing. The fashion industry has been having the important viewpoint on the diversity in order to enhance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the society. And, while being applied to the diverse genre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strengthened towards creating the high added values. If we take a look at the recent tendencies, the concentration has been on the creation of the profits by using the OSMU. And, at the same time, the diversific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has been pursued through the formulation and the execution of the OSMU strategies through the cooperative activities with the other domains.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methods of the dynamic unfolding of the 4 brands with regard to which the OSMU had been proceeded with for all the lifestyle product groups in relation to the textile designs which become the original source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actual case examples of the utilizations. This study analyzes examples of representative brands such as Sou Sou, Marimekko, Cath Kidson, Laura Ashley. Also, it is intended to grasp the present position of the invigoration plans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Accordingly, the effects of the expectations of this research intends to state the actual need for settling down as a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in the diverse aspects through the successful case examples of the OSMU``s.

      • KCI등재

        OSMU의 진화 경로: 한국과 중국의 웹소설과 웹툰을 중심으로

        왕이소(Yiyao Wang),신형덕(Hyung-Deok Sh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2

        본 연구는 직접 경험하지 않고는 그 가치를 예측하기 힘든 경험재의 속성을 갖고 있는 문화 콘텐츠의 활용 방식을 보여주는 OSMU(One Source Multi Use)가 원작의 장르에 따라 상이하게 전개되는 현상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는 원작의 형태를 웹소설과 웹툰으로 구분하여 각 경우에 있어서의 OSMU의 진화 경로에 대해 조사하고, 또한 이러한 경로를 한국과 중국 사례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에서 1999-2012년에 발표된 웹소설 및 웹툰 형태의 콘텐츠를 각각 4개씩 선정하여 원작의 형태에 따라 OSMU 진행 방식이 스토리 활용방식과 캐릭터 활용방식에 있어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웹소설이 원작인 경우 웹툰에 비해 제한 없이 다른 형태의 콘텐츠로 활용이 되었던 것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 결과는 이미지를 동반하지 않는 소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상력이 다른 형태의 콘텐츠로 활용되는 것에 더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와 캐릭터 활용방식에 있어서도 한국에서는 두 방식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던 반면에 중국에서는 동시대에 병행되었다는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if cultural contents that are characterized by experience goods have different types of One Source Multi Use (OSMU) phenomena. This study classified original works into web-novels and webtoons, and studied how OSMU evolution paths can be different between the two types of originals.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Korean and Chinese examples. Using eight original works created between 1999 and 2012, which were later used for OSMU, this study investigated how web-novels and webtoons took different OSMU evolution paths in Korea and China.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web-novels are more actively used in different formats than webtoons, probably because web-novels can more easily stimulate people"s imaginations. In addition, Korea was found to use story-centered OSMU before character-centered OSMU, whereas China showed both types of OSMU simultaneously.

      • KCI등재

        지역 설화를 활용한 OSMU 전략 분석 -장성군『홍길동』테마파크와 곡성군『심청』테마파크를 중심으로-

        배수빈(Su-Bin Ba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는 지자체 OSMU 전략의 문화 · 사회적 가치와 이념, 지역 경제적 목표 등을 고려하면서 전략적 ·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를 위해 OSMU의 개념과 특징, 국내외 성공 사례 등을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전남 장성군의 홍길동 테마파크와 전남 곡성군의 심청 테마파크를 분석 대상 사례로 선정하여 OSMU의 세부 전략, 개발 결과 및 성과 등을 분석 ·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홍길동 테마파크와 심청 테마파크는 지자체 OSMU 전략의 핵심인 지역성, 공공성을 중시한 합리적, 당위적 선택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둘째, 홍길동 테마파크가 보다 안정적, 성공적인 성과를 거둔 반면, 심청테마파크는 원천 콘텐츠의 우수성과 가치 있는 목표를 살리지 못한 채 수익성, 경제성 면에서 고전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자체 OSMU 전략의 공공성과 수익성, 이념성과 실효성, 당위성과 경제성 등을 조화롭게 충족하면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모색, 연구, 성찰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strategic and effective utilization plans and suggest desirable development plans, taking into account the cultural and social values and ideologies of the local governments OSMU strategy and regional economic goals. To this e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SMU,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ccess cas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detailed strategies, development results and achievements of Hong Gil-dong theme park in Jangseong-gun, and Simcheong theme park in Gokseong-gun.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ong Gil-dong theme park and the Simcheong theme park were rational and justifiable choices that emphasized locality and publicity, the core of the local governments OSMU strateg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while Hong Gil-dong theme park achieved more stable and successful results, Simcheong theme park had poor achievement without utilizing the excellence and valuable goals of the original content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harmoniously satisfying the publicity and profitability, ideology and effectiveness, justification and economics of OSMU strategies of local governments, various research, reflection and work must be continuously carried out.

      • KCI등재

        박범신 소설『은교』의 욕망 구조와 서사 전략

        김명석 ( Myung-seok Kim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0

        박범신의 블로그 연재소설『살인 당나귀』는 종이책 소설『은교』로 개명되어 출간된 후, 뒤이어 정지우 감독에 의해 영화 < 은교 >로 각색된다. 한 편의 소설이 인터넷 매체에서 출발하여, 종이책, 영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용되었다는 점, 처음에는 네티즌 독자들이 누구나 인터넷에서 자유롭게 읽던 소설이 출판, 영화 등 문화산업을 통해 상품으로 개발, 판매되었다는 점에서 OSMU의 사례로 연구할 만하다. 문학적 관점에서 OSMU란 생산자와 매체를 달리한 ‘다시 읽기/쓰기’이다. Ⅱ장에서는 ‘은교’ 서사의 원천 소스인『살인 당나귀』를 분석하여 내화인 ‘시인의 노트’와 ‘작가 서지우의 일기’라는 비밀문서를 읽고 진실을 찾아가는 외화 화자 오변호사의 독서 과정이 소설이 되는 서사구조의 특성을 살폈다. 텍스트의 바깥에서는 독자들의 댓글 쓰기를 통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일종의 변형된 액자소설로서 블로그공간의 특성을 반영한다. Ⅲ장에서는 르네 지라르의 삼각형 욕망 이론을 기반으로 소설『은교』의 욕망 구조를 분석했다. OSMU에서 매체 전환과 재생산이 필수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문학의 세계에서는 OSMU란 결국 다시 읽기이다. 작품에서 이적요는 은교를 읽고, 제자 서지우를 읽고, 늙어 소멸해가는 스스로를 다시 읽듯이, 반대로 서지우가 스승 이적요와 은교를 읽듯이, 그리고 은교가 이적요와 서지우를 읽듯이, 마지막으로 오변호사가 세 사람을 읽듯이, 결국 소설은 사람 읽기이다. 이와 같이 박범신이 박범신을 다시 읽고(쓰고), 정지우가 박범신을 다시 읽고(쓰고), 독자와 관객이 그것을 읽는다. OSMU 서사의 본질은 하나의 스토리가 다시 읽기를 통해 끝없이 재생산되는 것이다. 이야기는 이야기를 낳고, 그 이야기는 다시 새로운 이야기를 낳고, 여러 개의 판본이 존재하며 이전의 이야기를 거역하면서 결국은 하나의 이야기를 형성한다. OSMU는 상호텍스트성 속에서 ‘다시 읽기/쓰기’를 통해 커다란 하나의 이야기로 존재한다. This Study aims to that the meaning of original novel Eungyo changed when it was made into a movie. The Writer Park Bum-shin’s Blog novel "Murder donkey" After the first series in 2010, was published as a paperback novel, it is renamed "Eun-Gyo". Following the adaptation of the novel by director Jung Ji-woo is born the movie "Eun-Gyo”. And one novels from Internet media, the point that transformation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a paper book, movie, first, in that it was the surfers readers ildeon anyone freely in the Internet novel publishing, developing, selling products through film and cultural industries It deserves to be studied as a case of OSMU. The definition of literary OSMU is narrowed to say a "read / write again. ``Producers and other media. The study we compared the narrative strategy of novel "Eun-Gyo" through the triangular theory of Rene Girard and desires of movie "Eun-Gyo”. Reproduction and media conversion in the OSMU but essential, as is read in the literary world is finally back OSMU. As Seojiwoo reads the Teacher Lee Geok-yo and Eun-Gyo, Jung Ji-woo re-read (and write) Park Bum-shi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t is the essence of the narrative in OSMU endlessly reproduced through one story to read it again. The story is the father of the story, the story re-birth to a new story, and there are several editions, while against the previous story eventually form a single story. OSMU exist in intertextuality as big a story through the "read / write a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