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직접투자 행태가 국내 고용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의 수평적·수직적ODI를 중심으로

        이창우,권선희 통계청 2021 통계연구 Vol.26 No.2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Overseas Direct Investment types of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ies on employment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employment indicators remain somewhat sluggish. The typ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was defined and analyzed as vertical ODI with the purpose of utilizing production factors of the target country and horizontal ODI with the purpose of entering the local market. The total amou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has steadily expanded for about 20 years since the 1990s, when the regulations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were eased, but the behavior has changed. Initially, the vertical ODI exceeded the horizontal ODI, but the total industrial value in 2005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2007, the two behaviors reversed.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se two investment types is gradually widening,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overseas direct invest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vertical ODI disappeared after 2 years, but horizontal ODI was only affected by the current year. It can be seen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has a short-term effect on employment. However, since the absolute amount of the influenc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domestic employment is not large, the government is not only considering the negative effe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employment, but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by considering various aspects. It has the implication that it needs to be approached. 본 연구에서는 고용지표가 다소 부진한 흐름이 유지되는 현 상황에서 국내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ODI; Overseas Direct Investment) 유형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직접투자 유형을 투자 대상국의 생산요소 활용 목적을 가진 수직적 ODI와 현지 시장 진출 목적인을 가진 수평적 ODI로 정의하였다.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규제가 완화된 1990년대 이후 약 20년 동안 해외직접투자 총액은 꾸준히 확대되었으나, 그 행태는 변화하였다. 초기에는 수직적 ODI가 수평적 ODI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전체 산업 총액은 2005년, 제조업은 2007년을 기점으로 두 행태는 역전되었다. 또한 이러한 두 투자유형의 격차는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향후 이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증분석 결과 해외직접투자는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직적 ODI는 2년 후 부터 그 효과가 사라지는 반면에 수평적 ODI는 당해 연도만 영향을 받아 단기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해외직접투자가 국내 고용에 미치는 영향력의 절대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정부는 해외직접투자가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닌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국내 제조업의 효율성 제고의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함의를 갖는다.

      • SCOPUSSCIEKCI등재

        수직피개의 결정요인과 수직피개 심도지수(ODI)의 상호관계

        양상덕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전치부 수직피개(overhite)는 하악평면, 구개평면 또한 AB 평면의 경사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이 구명되었으며, ODI(overbite depth indicator)는 overbite의 세 결정요인이라 할 수 있는 FMA, PPA, FABA의 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E라서 ODI와 세 결정요인들과 상호관계를 기하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관계계수를 산출하였다. ODI 정상수치를 나타내는 관계식에 산출된 관계계수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ODI norm = 85˚-0.5PMA-(1.08-0.01 FMA)(FABA-81˚)라는 식이 도출된다. 이는 ODI 정상수치는 절대적 개념이 아니라 개개인의 골격형태에 의해 결정되는 상대적 개념으로 파악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렇게 산출한 ODI 정상수치 (Individualized ODI norm)개념의 임상적 적용과 진단학적 의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The concept of denture frame,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 of the dentitions are ultimately related to a skeletal configuration, leads to postulate that the vertical overbite will be determined by the jaw rotations and anteroposterior jaw relationship. Also, ODI is analyzed to be composed of the determinant factors of overbite such as FMA, PPA and FABA. From the geometric analyses of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ODI and the overbite determinants, the following formula can be induced : ODI norm = 85˚-0.5PMA-(1.08-0.01 FMA)(FABA-81˚). This formula indicates that the norm of ODI is not constant value but variable on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keletal fram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formula to the various clinical cases, it is proved that the new concept, relativity of the ODI norm, is very diagnostically useful.

      • KCI등재

        해외직접투자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권선희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2 유라시아연구 Vol.19 No.2

        해외직접투자는 수출을 대체하여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와 해외시장 확대와 생산 효율성 향상으로 기업의 성장이 촉진되어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긍정적인 견해가상존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직접투자와 국내 고용과의 관계를 실증분석하는 데 있다. 해외직접투자의 증가는 생산 및 수출, 고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로 최근 들어 수평적 투자의 확대로 부정적인 효과가 수반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직접투자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2002년부터 2020년까지의 한국수출입은행의 해외투자통계DB를 활용하여 산업별 행태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과 양국 간의 요소집약도의 차이를 활용하는 수직적 ODI와 현지시장으로의 진출을 목적으로 하는 수평적 ODI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해외직접투자와 고용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노동수요함수를 기반으로 모형을 설정하여 임금, 환율, 생산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추정하고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임금의 상승은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산의 증가는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환율은 고용에 음의 관계를 보였지만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해외직접투자의 경우 서비스업에서는 시차를 두고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다가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제조업은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데 당해 연도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크며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산업을 대상으로 해외직접투자를 행태별로 구분하여 수평적 ODI와 수직적 ODI로 추정한결과, 두 행태 모두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계수값을 비교해 볼 때 수평적 ODI가 수직적 ODI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02년에는 수직적 ODI가 수평적 ODI 를 상회하였으나 그 후 역전되어 수평적 ODI와 수직적 ODI의 격차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 배경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산업별 행태별로 분석한 결과 서비스산업에서는 수평적 ODI는 당해 연도와 1년 후에는 유의한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2년 후부터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직적 ODI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명확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제조업은 서비스업과는 다르게 수직적, 수평적 ODI 모두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시장으로 진출하거나 무역의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투자하는 수평적 ODI는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미미하거나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저임금 노동력 활용을 위해 개도국에 투자하는 수직적 ODI는 국내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해외직접투자의 특징을 고려하여 산업별 정책을 세심하게 설계할 필요가있다. 또한, 제조업의 경우 산업공동화를 방지하기 위한 리쇼어링 기업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하여 국내 복귀 지원을 현실화하는 방안이 이루어 ...

      • KCI등재

        중국식 국가자본주의와 해외직접투자

        이종철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5 중소연구 Vol.39 No.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inese outward direct investment (ODI) through the lens of the Chinese style state capitalism. The central State-owned enterprises (SOEs, yangqi), which is affiliated with and controlled by the powerful institutional apparatus, State Assets Supervision and Administration Commission (SASAC), and the centrally controlled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the China Investment Corporation (CIC), the Central Huijin Investment, and the big state-owned commercial banks form the core policy instruments of the Chinese style state capitalism. The core policy instruments are controlled by the Communist Party through the right of personnel management given to the organization department of the Party. We find that the Chinese ODI has been dominated by the central SOEs, although the share of the central SOEs’ ODI has recently been decreased. If we include both the ODI of the centrally controlled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local SOEs into the central SOEs' together, the share of the ODI attributable to the state units accounts for two-third of the total Chinese ODI. The behavior of the central SOEs related to the Chinese ODI has been driven by the resource-seeking motivation. The Chinese style ODI, which reflects the party-state system of China and rests heavily on the state units such as the central SOEs and the centrally controlled financial institutions, could have aggravated the monopolistic or oligopolistic structure of industry and financial sectors which are dominated already by the state units. As long as China maintain and sustain the existing system of the party-state system in which the party-state and the state units work together as one, the Chinese style ODI pattern could not be changed in the near future. 이 논문은 중국의 해외투자를 중국식 국가자본주의 시각에서 분석하는 데 그목적이 있다. 중국식 국가자본주의 체제의 핵심 정책수단은 중앙기업과 중앙관리금융기관이다. 중앙기업과 중앙관리 금융기관은 당 중앙조직부의 인사권을 통해당에 의해 통제된다. 이 논문의 분석결과 당-국가체제의 핵심인 중앙기업에 의한해외투자는 최근 그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해외투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관리 금융기관과 지방 국유기업을 포함할 경우 국유단위에 의한 해외투자가 해외투자의 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기업은주로 석유에너지 및 광물자원에 투자함으로써 중국의 경제발전에 필요한 국가적자원수요에 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중국 해외투자의결정요인을 자원추구 이외에도 시장추구, 기술추구, 전략자산 추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논문의 분석결과 중앙기업의 해외투자 동기는 거의 전적으로 자원추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앙기업과 중앙관리 금융기관 등 국유단위중심의 해외투자는 국내에 형성된 국유단위 위주의 독과점적 산업·금융구조를 더욱 강화시켜 경쟁적 산업·금융구조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국유단위 중심의 해외투자는 중국의 해외투자 이면에 당-국가의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의구심을 가지게 함으로써 민간기업의 해외진출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중국은국유단위 중심의 해외투자가 갖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당-국가 체제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향후 중국의 해외투자과정에서 민간기업의 비중이 증가하더라도, 당-국가의 정치적 의지에 부응하는 핵심적인 역할은 중앙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국유단위가 담당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KCI등재

        한·일 해외직접투자의 지역별 결정요인 비교분석

        김순섭,김성기,강한균 한일경상학회 2010 韓日經商論集 Vol.46 No.-

        We may have a question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ODIs is competitive or not all in the worldwide areas. This study was analyzed to find that Korean and Japanese ODIs are competitive each other by the area.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ocation choice determinants of Korean and Japanese Overseas Direct Investment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Asian's share of total amount of Korean accumulate ODI(1974∼2008) is about 50% and that of Japanese accumulate ODI(1965∼2008) is 20%, respectively. But the slope of Japanese trend line was positive since 1985. Accoooing to the slope of Korean ODI's trend lines, Asia, Southern America and Europe have positive slopes. On the contrary, Japanese linear regression curve has only positive slopes in northern America and Europe. Second, empirical tests of Error Correction Model show that GDP was a long-term determinant variable of Korean and Japanese ODIs in all the areas except Southern America. GDP was only a short-term determinant variable of Korean and Japanese ODIs in Europe. Finally, It is expected that Korean and Japanese ODIs will compete both in Europe and Asia. And particularly,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giving incentives to Korean companies who will launch in Europe. Korean companies should make use of every opportunity due to Korea-EU FTA treaty.

      • KCI등재

        중국의 대아세안 해외직접투자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남대엽 현대중국학회 2020 現代中國硏究 Vol.22 No.2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China’s ODI into ASEAN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ODI on exports. In particular, the empirical analysis divided exports into total exports and intermediate good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vertical ODI. In addition, this paper divided ASEAN into ASEAN-5 and CLMV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ODI on exports. First of all, China’s ODI in ASEAN had a positive impact(complementation) on total exports and intermediate goods. However, for ASEAN as a who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act of ODI between total and intermediate goods exports. Second, as a result of region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ina’s ODI has a greater impact on CLMV countries compared to ASEAN-5, and ODI to CLMV has a greater impact on intermediate goods compared to total exports. 본 논문은 중국의 대아세안 해외직접투자의 특징과 구조를 살펴보고 해외직접투자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 분석했다. 특히, 실증분석에 서는 수직적 해외직접투자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수출을 총수출과 중 간재로 구분했다. 그리고 대상국가의 지역간 경제발전 수준 차이를 고려 해, 선발국가(ASEAN-5)와 후발국가(CLMV)로 나누어 해외직접투자가 수 출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했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중국의 대아세안 해외직접투자는 총수출 및 중간재 수 출에 긍정적인 영향(보완성)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세안 전체를 대상으로는 총수출과 중간재 수출 사이에 해외직접투자가 미치는 영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 다음 지역을 구분해 분석한 결과,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ASEAN-5 대비 CLMV 국가들에 더 욱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대CLMV 해외직접투자는 총수출 대비 중간 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폼롤러와 리커버링을 이용한 자가근막이완에 따른 흉추 가동성, 요통 그리고 삶의 질 변화

        이유나,최현수,이태현,이성노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3개월 이상 만성 허리통증을 겪고 있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폼롤러와 리커버링을 이용한 자가근 막이완 운동이 사무직 근로자의 통증 해소 및 흉추 유연성 및 가동성 회복과 기능향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및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폼롤러 그룹(13명), 리커버링 그룹(13명)으로 나누어 VAS, ODI, 삶의 질, 흉추 가동 성(ROM), 유연성을 측정 및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VAS, ODI는 운동 기간이 증가할수록 리커버링과 폼롤러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삶의 질은 운동 기간이 증가할수록 리커버링과 폼롤러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절가동범위 측정에서 Thoracic flexion, Thoracic rotation(L, R), 유연성 은 운동 기간이 증가할수록 리커버링과 폼롤러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만성 허리 통증이 있는 사무직 근로자에게 소도구인 폼롤러와 리커버링을 이용해 자가근막이완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허리통증과 흉추 관절 가동범위 향상 및 기능적 요통 장애의 감소에 폼롤러와 리커버링 모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흉추 가동성범위 향상에는 통증유발점와 속근육을 자극⋅이완 시키는 리커버링이 폼롤러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 나 소도구 이용에서 리커버링의 활용을 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exercise of self-fascia relaxation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using foam roller and recovering to relieve pain, restore thoracic spine flexibility and mobility, and enhance the function in office workers suffering from chronic back pain for more than 3 months. We divided groups into two, one using foam roller(13 subjects), and the other using recovering(13 subjects), measured and analyzed VAS, ODI, quality of life, thoracic spine mobility(ROM), flexibility, and drew several conclusions. First, VAS, ODI all decreased meaningfully in both recovering and foam rolle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xercise period. Second, quality of life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recovering and foam roller as exercise period rises. Third, on measurement in joint range of motion, as exercise period increases, Thoracic flexion, Thoraic rotation(L, R), flexibility all increased tangibly in both recovering and foam roller. To sum up our research conclusions, when we apply the self-fascia relaxation using foam roller and recovering to office working suffering chronic back pain, they all show positive effects on back pain, thoracic spine mobility improvement and decrease of functional waist pain disabilities. Also, in improving thoracic spine mobility, recovering shows better result than foam roller in stimulating and releasing trigger point and fast muscle, so it would be reasonable to use more recovering in implementation of props.

      • KCI등재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중국 내부 요인을 중심으로

        한병섭,김병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08 국제경영리뷰 Vol.12 No.1

        세계 최대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처로만 인식되던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급증은 학문적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중국의 대외직접투자에 대한 자료 부족 등으로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대부분의 연구들이 2차 자료를 바탕으로 한 현상 설명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식적인 2차 자료를 바탕으로 중국의 대외투자를 발생시키는 결정요인을 계량모형을 통해 실증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금액이며, 분석대상기간은 1980년부터 2005년 말까지이다. 중국 내부요인을 중심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몇 가지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먼저 내수시장의 포화 정도를 나타내는 공업생산액 증가율과 대외투자 유출 간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포화상태에 접어든 내수시장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장을 찾기 위해 대외투자를 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중국의 대외투자 자유화 정책인 走出去 정책의 추진과 대외투자 유출 간 정의 관계가 나타나, 투자제도의 자유화 요인이 대외투자 유출을 유발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중국의 외환보유고 정도와 대외투자 유출 간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풍부해진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중국기업의 대외직접투자를 적극 독려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천연자원 확보 동기와 환율요인 등은 아무런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by Chinese multinational enterprise over the period 1980 to 2005. Until now, understanding of the rise in Chinese outward direct investment remains very incomplete. One reason is the paucity of sufficiently disaggregated data to permit formal analysis of the forces shaping Chinese ODI. The result has been a preponderance of descriptive research on FDI trends coupled with in-depth case studies on a small number of Chinese MNEs. We test our hypotheses using official Chinese ODI data collected between 1980 to 2005. We find Chinese ODI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 level of foreign reserve and industrial output. Also Chinese ODI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accelerated outward investment liberalisation of China. With respect to further work,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ing Chinese ODI, it is important that formal empirical analysis takes full account of firm-level characteristics. From a company level perspective, one reason for the continuing trend of growing Chinese ODI is largely related increasing ownership advantages and the associate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due to upgraded industry structure, increased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strategy.

      • KCI등재

        요천추부의 정렬과 설문을 통한 요통 자각도의 상호 연관성에 관한 연구

        이동은 ( Dong Eun Lee ),김형길 ( Hyung Kil Kim ),조웅희 ( Woong Hee Cho ),박원형 ( Won Hyung Park ),차윤엽 ( Yun Yeop Cha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11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1 No.1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Oswestry low-back pain disability index(ODI), Roland-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RMD), visual analogue scale(VAS), lumbar lordosis angle(LLA), Cobb`s angle and Ferguson`s angle(FA). Methods: We measured LLA, Cobb`s angle, and FA of 42 students. Then we researched ODI, RMD and VAS of all students, and analyzed correlations coefficient among all of them. Results: 1.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VAS, RMD, ODI. 2.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DI and Cobb`s angle.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LA, FA, Cobb`s angle and VAS. 4.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LLA, FA, Cobb`s angle and RMD. Conclusions: According to abov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umbosacral balance and low back pain except between ODI and Cobb`s angl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RMD, ODI and VAS.

      • Determinants Influencing Korean Agri-Food Companies’ Modes of Overseas Market Entry

        김진규,윤준모 한국무역학회 2024 Journal of Korea trade Vol.28 No.2

        Purpose - Faced with the constraints of a limited domestic market, the Korean agri-food industry necessitates regional diversific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offshoring production subsidiaries. This study tests the validity of Root’s model of the determinants of offshoring and sequential entry to overseas markets on Korean agri-food companies’ offshoring of production subsidiaries. Design/Methodology – This study employs the convergent mixed-methods research design, where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re conducted, then compared, before interpreting the data affecting Korean agri-food outward direct investment (ODI). Methodologically, based on Korean agri-food manufacturing company ODI data from the KOTRA, a survey was conduct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selection of production subsidiaries for ODI. Findings – Though Korean agri-food companies also consider Root’s external factors when selecting overseas entry methods, the sequential entry route and selection model, factors theorized to influence Root’s overseas market entry method,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stead, they tailor their market entry approach based on the type of investment and the operating objectives of the local subsidiary. This is attributed to Korean agri-food companies’ deviation from sequential entry routes when entering markets through ODI, as well as the determination of the form and type of investment of these overseas subsidiar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ir operations. Originality/value -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by employing a convergent mixed-methods design, which combin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ODI market entry by Korean agri-food companies. Furthermore, it evaluates Root’s market entry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agri-food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