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박 발전기관용 SCR 촉매의 셀 밀도차에 따른 NOx 저감 특성

        임경선,임명환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7

        Th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is known as a very efficient method to reduce nitrogen oxides (NOx) and the catalyst performs reduction from nitrogen oxides (NOx) to nitrogen (N2) and water vapor (H2O). The catalyst, which is one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the nitrogen oxide (NOx) ruduction method, is known to increase catalyst efficiency as cell density increases. In this study, th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nitrogen oxides (NOx) under various engine loads investigated. A 100CPSI(60Cell) catalysts was studied through a laboratory-sized simulating device that can simulate the exhaust gas conditions from the power generation engine installed in the training ship SEGERO. The effect of 100CPSI(60Cell) cell density was compared with that of 25.8CPSI(30Cell) cell density that already had NOx reduction data from the SCR manufacturing. The experimental catalysts were honeycomb type and its compositions and materials of V2O5-WO3-TiO2 were retained, with only change on cell density. As a result, the NOx concentration reduction rate from 100CPSI(60Cell) catalyst was 88.5%, and IMO specific NOx emission was 0.99g/kwh satisfying the IMO Tier III NOx emission requirement. The NOx concentration reduction rate from 25.8CPSI(30Cell) was 78%, and IMO specific NOx emission was 2.00g/kwh. Comparing the NOx concentration reduction rate and emission of 100CPSI(60Cell) and 25.8CPSI(30Cell) catalysts, notably, the NOx concentration reduction rate of 100CPSI(60Cell) catalyst was 10.5% higher and its IMO specific NOx emission was about twice less than that of the 25.8CPSI(30Cell) catalysts. Therefore, an efficient NOx reduction effect can be expected by increasing the cell density of catalysts. In other words, effects to production cost reduction, efficient arrangement of engine room and cargo space can be estimated from the reduced catalyst volume. 선택적 촉매 환원법(SCR)은 질소산화물(NOx)을 저감하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생된 질소산화물(NOx)을 질소(N2)와 수증기(H2O)로 환원시키는데 촉매 작용을 한다. 질소산화물(NOx) 저감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인 촉매는 셀 밀도가 증가하면 촉매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습선 세계로호에 설치되어 있는 발전 기관의 배기가스 조건을 모사한 실험장치를 통하여 100CPSI(60Cell)촉매의 부하에 따른 질소산화물(NOx) 저감 성능을 확인하고 세계로호에 설치되어 있는 25.8CPSI(30Cell) 촉매의 기존 연구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셀 밀도가 질소산화물(NOx)의 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험용 촉매는 셀 밀도만 변화를 주었고 형태는 벌집형(honeycomb), 조성물질은 V2O5-WO3-TiO2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100CPSI(60Cell) 촉매의 질소산화물(NOx) 농도 저감율은 평균적으로 88.5%이며 IMO specific NOx 배출량은 0.99g/kwh로 IMO Tier III NOx 배출기준을 만족하였다. 25.8CPSI(30Cell) 촉매의 경우, 질소산화물(NOx) 농도 저감율은 78%, IMO specific NOx 배출량은 2.00g/kwh 이었다 두 촉매의 NOx 농도 저감율과 IMO specific NOx 배출량을 비교하였을 때, 100CPSI(60Cell)촉매가 25.8CPSI(30Cell) 촉매보다, NOx 농도 저감율은 10.5% 높고 IMO specific NOx 배출량은 약 2배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촉매의 셀 밀도를 높임으로써 효율적인 탈질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실선 테스트를 통하여 검증한다면 촉매의 부피 저감을 통한 제작 비용을 줄이고 협소한 선박 기관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실용적인 자료로서 기대된다.

      • KCI등재

        광양만권 산업체의 질소산화물 저감기술 적용성 연구

        정경환 ( Kyong-hwan Chung ),고태석 ( Tae-suck Koh ),장덕례 ( Duck-rye Chang ),윤형선 ( Hyung-sun Yoon ),정승원 ( Seung-won Jeong ),정민철 ( Min-chul Chung ),안호근 ( Ho-geun Ahn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6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7 No.2

        대기환경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광양만권의 산업체에 대한 질소산화물 저감기술 적용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질소산화물 저감기술에 대한 효율성, 경제성 그리고 저감기술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가장 효율적인 질소산화물 저감기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광양만권 산업체가 적용하고 있는 질소산화물 저감기술은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많을 경우 선택적 촉매환원법이나 선택적 무촉매환원법을 적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100톤/년 이하인 공정에는 저NOx 버너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광양만권 대기환경개선 실천계획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질소산화물 발생량이 100톤/년 이상인 공정에는 선택적 촉매환원법을 적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application of reduction technology for nitrogen oxide was studied to the industries located in Gwangyang-bay area. The efficiency, strength and weakness, and economics for equipment and operation about the technology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the most efficient reduction technology on Gwangyang-bay area. The low NOx burner was useful to the industries emit low concentration of nitrogen oxide compound below 100 ton/year. It is certified that th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process has to be applied to the industries which emit a large amount of nitrogen oxide compound more than 100 ton/year to accomplish the action plan for improvement of air pollution on Gwangyang-bay area.

      • KCI등재

        공기 다단 연소 기법 적용에 따른 미연탄소분 및 질소산화물 배출특성

        김정우(Jeong Woo Kim),임호(Ho Lim),고영건(Young Gun Go),전충환(Chung Hwan Jeon) 대한기계학회 2016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석탄 입자 연소 시 공기 다단 연소 적용에 따른 UBC(Unburned Carbon) 및 질소 산화물(NOx) 배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기 다단 연소가 가능한 2단 하향 분류층 반응기(Two Staged Drop Tube Furnace, Two Staged DTF)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아역청탄(Tanito)의 단일 및 다단 연소 실험을 진행하여 UBC 및 NOx 배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일 연소 조건에서 온도 및 공기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UBC 함량이 감소했지만 NOx의 농도는 증가했다. 특히 과농 연료 연소 영역에서 NOx 저감 반응이 일어났으며, 이때 반응 온도가 증가할수록 NOx 저감 반응이 활성화 될 뿐아니라 UBC는 감소되었다. 공기 다단 연소 실험의 경우 석탄 입자의 UBC 증가량에 비해 높은 NOx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unburned carbon (UBC) and NOx emissions for pulverized coal when air staging combustion is applied. A two-staged drop tube furnace capable of applying air staging combustion was designed and installed. The combustion of sub-bituminous (Tanito) has been investigated. UBC and the NOx concentration were measured under various temperatures and stoichiometric ratios in unstaged and staged combustion. As a result, UBC decreased and the NOx concentrat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stoichiometric ratio and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NOx reduction mechanism was activated when the temperature in the fuel rich zone increased. Both UBC and the NOx concentration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in the fuel rich zone. A high NOx reduction effect was obtained, compared to the UBC increase, when the air staging technique was applied.

      • KCI등재

        Off-cycle에서 Euro 6a 및 6b 규제 만족 디젤 자동차의 NOx 배출 특성

        김성우,임재혁,김기호 한국동력기계공학회 2017 동력시스템공학회지 Vol.21 No.6

        주요 국가들은 디젤 승용차의 질소산화물 규제를 강화해오고 있다. 유럽의 경우 2000년 이후 6.25배 강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기 중 질소산화물 농도는 질소산화물 규제와 비례적으로 감소되지 않았다. 더욱이, 일부 제작사들은 임의설정장치를 이용하여 규제를 만족한 사실이 발각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유로 실질적인 질소산화물 배출량 감소를 위하여 한국과 유럽연합은 승용 디젤자동차에 대한 실도로 배출가스 시험법과 규제 법안을 도입하였고 2017년부터 적용중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이동식배출가스 측정장치(PEMS)를 임의설정장치 적발에 사용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실도로 배출가스 규제의 국내 연착륙을 위하여 Euro 6a 및 b 규제를 만족하고 LNT/SCR을 장착한 4대의 디젤 승용차를 환경챔버 및 차대동력계를 이용하여 배출가스 인증모드(NEDC 및 WLTP @23℃)뿐만 아니라 그 외 모드조건(FTP 및 US06, HWFET, CADC)과 온도조건(-7℃ 및 14℃)에서 배출가스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SCR 장치를 장착한 차량 역시 LNT장착 차량보다 적은 질소산화물을 배출하였지만 대기온과 시험모드에 따른 엔진부하가 시험대상 차량의 질소산화물 배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위 차량과 동일한 차량으로 실제도로 배출가스를 측정한 논문의 결과와 본 논문의 결과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실도로 배출가스 시험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질소산화물 대기배출부과금제도의 평가와 개선 방향

        노상환 한국환경정책학회 2019 環境政策 Vol.27 No.1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industrial NOx air emission charges in Korea on the basis of feasibility, equity, and effectiveness. In terms of feasibility, the new air emission charge system in Korea must introduce the refund mechanism. The refund should be distributed back to the companies emitting NOx in relation to the average amount of NOx emitted by the specific industries. The refund mechanism is presumably possible to include in the charge system, politically feasible, and equitable. Next, the system emission rates should be equivalent between the related pollutants NOx and SOx because particulate matter (PM) is affected similarly by SOx and NOx. Finally, NOx emissions are to be monitored and enforced by standard measurement methods in order for the system to be effective. All industries should be obliged to fill out a form regarding their NOx emissions by TeleMetering Systems (TMS), by a measurement agency contract, or by self-measurement. At the same time, these changes will need various support systems, (e.g., tax, financial, and technology), to improve monitoring and enforcement. 본 연구는 질소산화물(NOx) 대기배출부과금제도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운용되기 위해서 수용 가능성, 형평성, 집행의 효율성 측면에서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2020년부터 시행될 NOx 대기배출부과금제도가 수용 가능하면서 형평성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환급제도(refund mechanism)를 도입하여야 한다. 환급제도는 NOx를 평균 이상으로 배출하는 기업에는 부과금을 부과하고, 평균 이하로 배출하는 기업에는 환급하여 높은 부과단가에도 정치적으로 수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산업 간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배출부과금제도에 적용되는 오염물질 간 형평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NOx 대기배출부과금제도의 도입 목적은 미세먼지 저감인데 비슷한 영향을 주는 NOx와 SOx의 부과단가가 조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NOx 대기배출부과금제도로 집행되기 위해서 굴뚝자동측정기기를통해 연속으로 측정되거나 신뢰성 있는 측정대행기관을 육성하여야 하며,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자가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NOx를 배출하는 사업장에 굴뚝자동측정기기 설치를 확대하기 위해 세제, 금융 및 기술지원 정책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 SCOPUSKCI등재

        승용 디젤 기관에서 Passive LNT-SCR 시스템의 NOx 저감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승원(Seung Won Park),박기영(Gi Young Park),이성욱(Seang Wock Lee) 대한기계학회 201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2 No.6

        디젤엔진은 EURO-6 및 EURO-6 이후 배출가스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질소산화물의 배출특성상 De-NOx 시스템을 필수적으로 도입해야한다. LNT 시스템은 배출가스의 NOx를 흡장하여 환원 시키는 시스템으로 흡장된 NOx는 산소가 부족한 재생과정에서 저감된다. LNT는 환원제를 연료로 사용하여 재생을 하지만 NOx와 NH3가 반응을 못해 슬립(slip)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SCR 시스템은 HC-SCR과 Urea-SCR로 나누어지며 Urea-SCR의 NOx 저감율은 반응온도가 충분한 경우, 100%에 가까운 성능을 보이며 이때 환원제로 NH3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를 접목한 passive LNT-SCR 적용 엔진에서 기관 회전수 및 부하에 따른 실험을 통하여 EURO-6 규제치와 NOx 저감율을 극대화하면서 재생시 발생하는 fuel penalty를 최소화하는 passive LNT-SCR 시스템의 최적화를 목적으로 한다. A De-NOx system is introduced essentially to satisfy the emissions standard of EURO-6 and Post-EURO-6 because the diesel engine has the drawback of emitting nitrogen oxides. An LNT system uses only fuel in the regeneration, but has drawbacks of both NOx and NH3 slip. The NOx reduction efficiency of the Urea-SCR system is close to 100% theoretically when the catalyst temperature is sufficiently high. Continuously supplying a NH3 as a reducing agent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a passive LNT-SCR system by enhancing the reduction of NOx in the system and load,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trategy for controlling the passive LNT-SCR system to satisfy the exhaust gas regulations of EURO-6 and Post-EURO-6.

      • KCI등재

        광촉매(TiO2) 블록에 의한 대기 중 질소산화물 저감량 추정에 관한 연구

        윤일호,이경빈,김진식,김신도 한국도시환경학회 2017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7 No.4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development to control air pollutants emitted from automobile sources is increasing. Seoul is expected to be the most affect by automobile sources. Therefore, the management of NOX emitted from automobile sources is neede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duce NOX using photocatalyst (TiO2). However, studies on the concentration level in the ambient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reduction effect of TiO2 on NOX concentration in ambient. First, the pollution degree and UV intensity of NOX in Seoul were investigated. The NOX reduction experiment of TiO2 reflecting this. As a result, the estimation equation of the reaction rate constant according to the initial NOX concentration, the UV intensity, and the equation for estimating the NOX reduction amount by TiO2 were derived. 도시의 대기오염물질 중 도로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기여도가 크기 때문에 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제어에 관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도로이동오염원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의 경우, 도로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NOX의 관리가 필요하다. 그동안 광촉매(TiO2)를 이용하여 NOX를 저감하는 많은 선행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주로 고농도의 실험조건에서 이루어졌고, 대기 중의 농도 수준에서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기 중의 NOX 농도를 대상으로 TiO2의 저감 효과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초기 NOX 농도와 UV 세기에 따라TiO2의 효과가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기 NOX 농도와 UV 세기에 따른 NOX 저감량 추정식은 다음과 같다.

      • KCI등재

        고형연료제품 사용시설에서의 SNCR의 운전조건에 따른 NOx 배출특성

        서제우(Je-Woo Seo),김영희(Younghee Kim) 한국청정기술학회 2021 청정기술 Vol.27 No.4

        본 연구결과에서 연소로 내 온도가 848.27 ~ 1,026.80 ℃ 범위로써 평균 976.61 ℃으로 나타났으며, 온도증가에 따라 NOx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요소 사용량은 291.00 ~ 693.00 kg d<SUP>-1</SUP>로 평균 542.34 kg d<SUP>-1</SUP>로 나타났으며, 요소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NOx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체류시간이 3.38 ~ 9.17 s로 평균 약 5.22 s로써 설계시 고려한 2 s이내 보다 약 2.61 배 크게 나타났다. 이는 SRF 투입량 허가조건인 1,950 kg h<SUP>-1</SUP> 대비 평균 SRF 투입량이 약 55.71%인 1,086 kg h<SUP>-1</SUP>로써 연소실 면적은 일정하나 SRF 연소량의 감소에 따라 배가스량 감소에 따른 체류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O₂/CO 비는 847.05 ~ 14,877.34로 평균 3,111.30으로 나타났고, O₂/CO 비 증가에 따라 NOx 농도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온도증가와 O₂/CO 비의 증가에 공기 중 질소 성분과의 연소반응이 증가하여 NOx 농도가 다소 증가하였으며, 요소 투입량 증가와 체류시간이 증가할수록 배가스의 NOx와의 반응량이 증가하여 처리 후의 NOx 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TMS 자료에 의한 굴뚝 출구에서의 NOx 농도는 7.88 ~ 34.02 ppm으로 평균 19.92 ppm으로써 배출허용기준 60 ppm 이내로 배출되었다. NOx 배출계수는 1.058 ~ 1.795 kg ton<SUP>-1</SUP>으로써 평균 1.450 kg ton<SUP>-1</SUP>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NOx 배출계수는 기타 고체연료인 최대 배출계수 5.830 kg ton<SUP>-1</SUP> 약 24.87%로 나타났으며, 기타 합성수지류와 기타 사업장폐기물의 배출계수인 1.817 kg ton<SUP>-1</SUP>, 3.322 kg ton<SUP>-1</SUP> 대비 각각 79.80%, 43.65%로 나타났다. 기 유사 연구결과인 NIER 고시(2005-9)의 RDF 배출계수인 1.400 kg ton<SUP>-1</SUP>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최대로 나타난 SRF의 경우인 배출계수 13.210 kg ton<SUP>-1</SUP>에 비해 약 10.98%로 나타났다. 따라서 NOx의 배출계수는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bustor temperature ranged from 848.27 to 1,026.80 ℃, averaging about 976.61 ℃, and the NOx concentration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urea usage ranged from 291.00 to 693.00 kg d<SUP>-1</SUP>, averaging about 542.34 kg d<SUP>-1</SUP>, and the NOx concentration decreased as the urea usage increased. Residence time was about 3.38 to 9.17 s, averaging about 5.22 s, about 2.61 times larger than the 2 s of the design details. This is 1,086 kg h<SUP>-1</SUP>, averaging about 55.71%, compared to the 1,950 kg h<SUP>-1</SUP> SRF input permission standard. The combustion chamber area is constant, but the residence time is shown to increase with the decrease of exhaust gas. The O₂/CO ratio was 847.05 to 14,877.34, averaging about 3,111.30, and the NOx concentration slightly increased as the O₂/CO ratio increased. As the combustor temperature and O₂/CO ratio increased, the combustion reaction with nitrogen in the air increased and the NOx concentration slightly increased. As the urea usage and residence time increased, the NOx concentration decreased slightly with an increase in reactivity with NOx. The NOx concentration at the stack ranged from 7.88 to 34.02 ppm with an average of 19.92 ppm, and was discharged within the 60 ppm emission limit value. The NOhx emission factor was 1.058 to 1.795 kg ton<SUP>-1</SUP>, averaging about 1.450 kg ton<SUP>-1</SUP>. This value was about 24.87% of the maximum emission factor of 5.830 kg ton<SUP>-1</SUP> of other solid fuels. Other synthetic resins and industrial wastes were 79.80% and 43.65% compared to 1.817 kg ton<SUP>-1</SUP> and 3.322 kg ton<SUP>-1</SUP>, respectively. This value was similar to 1.400 kg ton<SUP>-1</SUP> of RDF in the NIER notice (2005-9), 10.98% compared to the maximum SRF of 13.210 kg ton<SUP>-1</SUP>. Therefore, the NOx emission factor had a large deviation.

      • KCI우수등재

        광촉매 페인트와 UV 램프의 NOx(질소산화물) 농도 변화 Mock-up 실험

        송용우,김민영,김미연,박진철 대한설비공학회 2019 설비공학 논문집 Vol.31 No.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nitrogen oxide reduct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precursor of Particulate Matter in paint containing TiO2 (Titanic Oxide) photocatalyst. For photochemical reaction, A mock-up experiment using UV lamp was performed. TiO2 photocatalytic paint was applied to plaster board, which is a typical indoor finishing material.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oxide was confirmed by changing UV lamp ON/OFF and UV lamp luminanc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 reduction of TiO2 photocatalysts was changed based on the amount of light 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oxides by photochemical reaction. However, there was no proportional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oxides as the amount of light increased. 본 연구는 미세먼지의 2차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TiO2를 혼합한 광촉매 페인트와 UV 램프에 따른 NOx 농도 변화를 Mock-up 실험을 통해 실시한 것으로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화티탄(TiO2)을 활용한 광촉매는 자외선과의 광반응을 통하여 2차 오염물질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내인 경우 자외선 도입이 어렵고 광원도 약하여 지금까지 사용이 쉽지 않은 형편이었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대표적인 건축 자재 중 페인트에 광촉매를 혼합한 재료가 NOx 농도를 감소한다고 하는데 아직까지 검증되지 않은 상황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Mock up 실험을 통하여 광촉매 페인트가 도포된 밀폐된 실내에서 UV 램프 ON/OFF에 따른 NOx 농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 UV램프 ON 상태가 OFF 상태에 비해 약 11.87%(3회 평균 값) 정도 NOx 농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광촉매 페인트가 도포된 벽면에 UV 램프 광량크기를 2배, 4배, 6배로 증가하면서 질소산화물(NOx) 농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광량의 증가에 따라 NOx 농도 저감이 비례하진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UV 램프의 광량이 약 0.25 mW/cm2보다 2배인 0.5 mW/cm2에서 가장 높은 절감율(3회 평균 18.6%)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마찬가지로 광촉매 페인트에서 UV 램프가동시(ON)에 램프비가동시(OFF) 보다 질소산화물(NOx) 농도는 15.44%~18.60% 저감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광촉매페인트의 면적과 UV 램프 광량의 크기에 따른 질소산화물(NOx) 농도 변화에 대한 세부 후속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TiO2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 특성 평가

        박준규,임희아,박영구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2

        대기오염물질 중 미세먼지는 심각한 사회적 환경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미세먼지의 원인 물질 중 하나인 질소산화물(NOx)은 석탄화력발전소의 연소공정에서 주로 발생하므로 효율적인 NOx 제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적 촉매 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을 이용한 NOx 제거에서 TiO2 광촉매의 NO 제거효율을 연구하였다. NO 제거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발열제가 내장된 Al2O3 기판 표면에 TiO2 촉매와 인산염의 접착 바인더를 혼합하여 도포한 후 제조된 기판을 열처리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온도에 따른 촉매의 NO 제거효율을 평가하였고,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위하여 XRD, SEM, TG-DTA, BET 분석을 수행하였다. NOx 제거 효율은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250℃∼500℃) 로 20분에서 제거효율은 58.7%∼65.9%이며, 30분에서 63.7%∼66.0%로 나타났다. 질소산화물 제거용 SCR로 사용되는 TiO2는 300℃가 제거효율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Fine dust in air pollutants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environmental problems. Most of the NOx is generated in a combustion process such as that of a coal-fired power plant, and therefore efficient elimination of the NOx from the coal-fired power plants is need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moval efficiency of using TiO2, a photocatalyst, to remove NOx by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To evaluate the NOx removal efficiency, TiO2 catalyst and phosphate binder were mixed on the surface of the Al2O3 substrate with the exothermic agent, and the substrate was heat–treated. The NOx removal efficiency of the catalyst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XRD, SEM, TG-DTA and BET analyz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catalysts. NOx removal efficiency was 58.7%∼65.9% at 20min, 63.7∼66.0% at 30min with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time(250℃∼500℃). The TiO2 used in the SCR for NOx removal is judged to have the most efficient removal efficiency at 3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