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해 다문화 공간에 대한 재인식: ‘무위의 공동체’와 경관분석을 중심으로

        정현일 ( Jeong Hyeon-il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4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1

        이 글은 장-뤽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La communauté désoeuvrée)’와 경관분석을 통해 김해 다문화 공간의 특성과 의미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 먼저 김해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정을 살펴봤다. 고대 금관가야의 수도였던 고도(古都) 김해는 역사 유적, 전통시장, 농지가 어우러진 도시였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김해로 흘러든 이주노동자, 유학생, 결혼이민자는 역사와 전통의 도시 김해에 다문화라는 새로운 특성을 일궈냈다. 김해 다문화 공간의 경관은 자연적ㆍ사회적 경계 내에 영역화되어 있었다. 주거지에서는 이주민이 자신의 민족성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선주민과 공존하고 있었다. 번화가에서는 전통상점, 에스닉 상점, 역사 유적이 섞인 독특하고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이 펼쳐졌다. 이주민은 이곳에서 필요한 물품을 사거나 여가를 즐겼으며, 지인을 만나고 정보를 교환하는 일상을 통해 김해에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했다. 특히 선주민과 이주민의 교류가 일상적으로 펼쳐지는 에스닉 상점가는 평화적 공존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구체적 장소이자 환대의 공간이었다. 마지막으로 무위의 공동체론을 통해 김해 다문화 공간의 함의를 짚어 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 실존은 편위(clinamen)된 존재이자 유한하고 단수적이다. 이러한 인간 실존은 삶을 위해 세계로 외존(exposition)하며 그렇기에 필연적으로 복수성과 공동성을 띤다. 다시 말해 사전적인 규정이나 모종의 동일성, 이념, 표상, 재현과 같은 ‘인위’ 없이도 인간 실존의 양태에 자리한 ‘공동-내-존재’가 무궁무진한 변화를 여는 ‘무위’의 공동체를 도래시킬 수 있다. 김해의 다문화 경관에서 무위와 인위를 읽어낼 수 있다. 김해의 이주민은 단지 자기 삶과 일상을 위해 서로 의존하고 살아갔다. 정책적 지원이나 사전적 규정 없이 일상을 살아가는 ‘공동-내-존재’가 김해 다문화 공간에 생명력과 확장성을 부여했다.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김해 다문화 공간은 선주민과 이주민이 공존하는 독특하고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을 보이면서 ‘가야 시대 고도’의 표상에서 벗어난 새로운 장소성을 빚어냈다. 반면 김해구도심을 범죄의 공간으로 규정하는 관과 언론은 다문화 공간의 자생력을 억압하고 긴장과 혐오의 조건을 구축했으며, 지자체의 다문화 관련 조형물은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에 유기적으로 녹아들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인간 실존으로부터 다문화 공존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김해 다문화 공간에서 조화와 역동성을 읽어냈다. 다문화 공간을 바라보는 또 다른 시선을 제공하는 무위의 공동체는 다중문명의 평화적 공진화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through Jean-Luc Nancy’s Inoperative Community(La communauté désoeuvrée) and landscape analysis. We first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Gimhae was a traditional city with many historical relics from the ancient era, traditional markets, and farmland. However, since the 1980s, migrant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and marriage migrants have been flowing into Gimhae, giving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city a multicultural character. The landscape of Gimhae’s multicultural space was territorialized within natural and social boundaries. In residential areas, migrants coexisted with the native population without revealing their ethnicity. In the downtown area, we found a unique and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with a mix of traditional markets, ethnic markets, and historical sites. Here, migrants went about their daily routine of buying goods, enjoying leisure, meeting acquaintances, and exchanging information. This gave Gimhae a new sense of placeness. Especially in the ethnic markets place, exchanges and daily life between natives and migrants were taking place,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peaceful coexistence and a space of hospitality. Next, we analyzed ‘inoperative’ and ‘artificiality’ in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Even without policy support or prior regulations, the daily lives of migrants in Gimhae gave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its vitality and expansion. The naturally formed Gimhae multicultural space constituted a unique and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where natives and migrants coexist, and created a placeness that deviat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a city of history and 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 authorities and media that characterized Gimhae Old City as a space of crime suppressed the self-generating power of multicultural spaces and created conditions of tension and hatred. The local government’s multicultural sculptures were also not organically integrated into the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In conclusion, this article has shown the possibilities of multicultural spaces, the conditions for overcoming hatred and conflict in multicultural societies,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exploring the peaceful co-evolution of multiple civilizations through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 KCI등재

        김해 다문화 공간에 대한 재인식: ‘무위의 공동체’와 경관분석을 중심으로

        정현일 동양사회사상학회 2024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1

        이 글은 장-뤽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La communauté désoeuvrée)’와 경관분석을 통해 김해 다문화 공간의 특성과 의미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먼저 김해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정을 살펴봤다. 고대 금관가야의 수도였던 고도(古都) 김해는 역사 유적, 전통시장, 농지가 어우러진 도시였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김해로 흘러든 이주노동자, 유학생, 결혼이민자는 역사와 전통의 도시 김해에 다문화라는 새로운 특성을 일궈냈다. 김해 다문화 공간의 경관은 자연적ㆍ사회적 경계 내에 영역화되어 있었다. 주거지에서는 이주민이 자신의 민족성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선주민과 공존하고 있었다. 번화가에서는 전통상점, 에스닉 상점, 역사 유적이 섞인 독특하고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이 펼쳐졌다. 이주민은 이곳에서 필요한 물품을 사거나 여가를 즐겼으며, 지인을 만나고 정보를 교환하는 일상을 통해 김해에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했다. 특히 선주민과 이주민의 교류가 일상적으로 펼쳐지는 에스닉 상점가는 평화적 공존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구체적 장소이자 환대의 공간이었다. 마지막으로 무위의 공동체론을 통해 김해 다문화 공간의 함의를 짚어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 실존은 편위(clinamen)된 존재이자 유한하고 단수적이다. 이러한 인간 실존은 삶을 위해 세계로 외존(exposition)하며 그렇기에 필연적으로 복수성과 공동성을 띤다. 다시 말해 사전적인 규정이나 모종의 동일성, 이념, 표상, 재현과 같은 ‘인위’ 없이도 인간 실존의 양태에 자리한 ‘공동-내-존재’가 무궁무진한 변화를 여는 ‘무위’의 공동체를 도래시킬 수 있다. 김해의 다문화 경관에서 무위와 인위를 읽어낼수 있다. 김해의 이주민은 단지 자기 삶과 일상을 위해 서로 의존하고 살아갔다. 정책적 지원이나 사전적 규정 없이 일상을 살아가는 ‘공동-내존재’가 김해 다문화 공간에 생명력과 확장성을 부여했다.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김해 다문화 공간은 선주민과 이주민이 공존하는 독특하고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을 보이면서 ‘가야 시대 고도’의 표상에서 벗어난 새로운 장소성을 빚어냈다. 반면 김해구 도심을 범죄의 공간으로 규정하는 관과 언론은 다문화 공간의 자생력을 억압하고 긴장과 혐오의 조건을 구축했으며, 지자체의 다문화 관련 조형물은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에 유기적으로 녹아들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인간 실존으로부터 다문화 공존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김해 다문화 공간에서 조화와 역동성을 읽어냈다. 다문화 공간을바라보는 또 다른 시선을 제공하는 무위의 공동체는 다중문명의 평화적공진화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through Jean-Luc Nancy’s Inoperative Community(La communauté désoeuvrée) and landscape analysis. We first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Gimhae was a traditional city with many historical relics from the ancient era, traditional markets, and farmland. However, since the 1980s, migrant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and marriage migrants have been flowing into Gimhae, giving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city a multicultural character. The landscape of Gimhae’s multicultural space was territorialized within natural and social boundaries. In residential areas, migrants coexisted with the native population without revealing their ethnicity. In the downtown area, we found a unique and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with a mix of traditional markets, ethnic markets, and historical sites. Here, migrants went about their daily routine of buying goods, enjoying leisure, meeting acquaintances, and exchanging information. This gave Gimhae a new sense of placeness. Especially in the ethnic markets place, exchanges and daily life between natives and migrants were taking place,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peaceful coexistence and a space of hospitality. Next, we analyzed ‘inoperative’ and ‘artificiality’ in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Even without policy support or prior regulations, the daily lives of migrants in Gimhae gave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its vitality and expansion. The naturally formed Gimhae multicultural space constituted a unique and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where natives and migrants coexist, and created a placeness that deviat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a city of history and 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 authorities and media that characterized Gimhae Old City as a space of crime suppressed the self-generating power of multicultural spaces and created conditions of tension and hatred. The local government’s multicultural sculptures were also not organically integrated into the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In conclusion, this article has shown the possibilities of multicultural spaces, the conditions for overcoming hatred and conflict in multicultural societies,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exploring the peaceful co-evolution of multiple civilizations through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 KCI등재

        미국 다문화교실 교사의 in-between 공간 만들기

        윤갑정 ( Gab Jung Yo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4

        본 연구는 미국의 다문화교실에서 교사들의 교수실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 다문화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4개월 간 미국 위스콘신 주의 매디슨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실 두 곳을 현장참여관찰하고 4명의 교사와 1명의 원장과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다문화교실에서 자신의 문화와 아동의 문화가 만나 서로의 문화적 차이가 교차하고 재배치되며 협상하는 in-between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공간을 만들기 위해 첫째, 마음을 열고 배우기 둘째, 활동에 아동을 초대하고 가르치기 셋째, 여러 사람들과 함께 협의하기 넷째, 교육과정을 디자인하고 실행하기 다섯째, 흥미로운 자기성장의 과정으로 즐기기를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다문화 교사교육에서 교사들이 다문화교실에서 경험하는 갈등과 몸부림은 무엇이며 어떻게 in-between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를 더 고민할 수 있는 내용구성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또는 앞으로 한국의 다문화교실에서 in-between공간이 가지는 의미와 이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다양한 직업들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implications for Korea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through teachers` practices with children in a multicultural classroom of the USA. For the purpose, I observed two classrooms(one preschool and one elementary school in Madison, Wisconsin) for 4 months and had an interview with 4 teachers and a director. The finding was as follows: First, teachers worked for making in-between space where teacher`s culture meet child`s culture and their cultures are crossed, replaced, and negotiated. Second, for making the in-between space, teachers ``learn with open mind``, ``invite children into activities and teach them``, ``discuss with other people(co-worker, specialist parents and so on)``, ``design and manage the curriculum``, and ``they are interested in and enjoy the process``. Thus, the findings were showed tha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need to get contents that what kind of teacher`s challenges and struggles in multicultural classroom, how to make the space, and what they can work in the space. Also, the results implicated that we need continuous study about meaning of the in-between space and diverse practices in the space in a multicultural classroom, South Korea.

      • KCI등재

        이태원지역의 종교공간적 특성과 다문화공간으로의 이해

        박종수(Jongsoo, Park)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3 서울학연구 Vol.- No.51

        This paper begins with a premise that it will help understand better Itaewon as a multicultural space to analyse characteristics of Itaewon as a religious area. The range of Itaewon considered in this study is from Itaewon 1dong and 2dong, Hanman dong to Bokwang dong. The reason why the four areas are put together as Itaewon is because they share cultural characteristics (cultural hybridity) of a multicultural space. The research has focused on religious groups that are registered in Itaewon and six organizations that are in activity such as Sharmanism, Christianity, Catholic, Islam, Buddhism, and Yipjeongkyosunghoi(在家佛敎韓國立正?成會). Itaewon has developed as a multicultural space of various foods, streets, religions according to cultures, languages, and religions that have been brought into by different ethnics groups.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religious organizations has formed a religious area in multicultural space. The formation and enlargement of religious area can be understood to mean that religious organizations are spreading their religious belief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religious map in Itaewon, this papers examines that each religious group enlarges their beliefs by understanding their own religion, other religions, Itaewon as a multicultural area, and immigrants of the area, etc. The characteristics of Itaewon as a multicultural area can be summed up in three points. First, as Itaewon is transformed into a multicultural area, each religious organization spreads their beliefs by strengthening or modifying their religious rituals. Second, there is change in understanding other religions in the area. Third, in comparison to multicultural space of other areas, religious activities in Itaewon are less active towards its immigrants. Th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of Itaewon at the current times can be observed through shops in streets and the central association of Islam. This shows that th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of Itaewon are developed by immigrant labourers rather than immigrant women on marriage. Thus, it is expected that religious groups in Itaewon would focus on immigrant labourers for the enlargement of their beliefs. This kind of response by religious groups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the religious map in Itaewon. This study is only a introductory essay on the issue, and leaves further study in detail for later.

      • KCI등재

        다문화공간에 나타난 지리적 타자성 : 2000년대 다문화소설을 중심으로

        이미림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3 No.-

        다문화적·디아스포라적 상황이 강화되는 현실에서 다문화사회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문화공간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다. 자국민이 기피하는 3D업종이나 성산업, 돌봄노동 영역에 대체된 이주노동자는 공장주변과 노래방, 클럽, 기지촌 등의 일터와 옥탑방, 쪽방, 컨테이너, 돼지축사를 개조한 방, 재개발지역 등에 모여 산다. , 의 배경인 구로구 가리봉동은 ‘옌벤거리’, ‘작은 중국’, ‘조선족 타운’이라는 명칭처럼 조선족 디아스포라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이산생활을 위한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한다. 다문화공간은 낙후하고 지저분하며 위험한 곳으로 소설 결말엔 살인사건이 발생하는 우범지대, 슬럼가, 재개발지로 묘사되고 있다. 의 배경인 이태원은 윤락과 유흥업소가 밀집되어 있으며, 외국인이 많이 모여드는 곳이다. 자신이 머무는 옥탑방과 클럽이 안식처나 휴식처가 되지 못하는 러시아 출신 이주여성인 쏘냐는 애인과 브로커에게 폭행, 금전탈취, 강제섹스를 당하며 고단하고 굴욕적인 이산생활을 한다. 성, 돈, 술, 폭력이 도사린 이곳에서 쏘냐는 성적 욕망의 대상이자 순종적이고 침묵하는 오리엔탈리즘적 아시아 여성으로서 다루기 쉬운 초국적 통제대상으로 취급된다. 《나마스테》 는 공장단지인 부천과 고양시 식사동이 공간적 배경이다. 건강권과 주거권을 침해당하는 이곳 역시 허름하고 악취가 풍겨나며 지저분한 재개발지역이다. 두 편의 소설에서는 네팔과 한국, 높고 성스러운 히말라야 산과 낮은 공장단지를 이분법적으로 묘사하면서 차별적이고 편견으로 가득 찬 우리 사회를 고발한다. 이와 같이 조선족 디아스포라 공동체인 가리봉동과 외국인이 밀집되어 있는 이태원, 서울주변 공단지역의 다문화공간은 지리적 타자성을 표상하고 있다. 또한 다문화공간은 비다문화공간과의 경계긋기가 분명하며 ‘그들’만의 문화와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약한 장소감과 장소상실을 갖는 이주자는 사회구성원(한국인) 되기와 정주에 실패한다. 쓰레기처럼 방치되어 있고 불결하며 위험하고 공포스러운 다문화공간은 우리 사회의 경계 너머에 위치함으로써 진정한 다문화사회의 도래는 요원하다. The reality of reinforcing multicultural and diaspora situations has been witnessing the progress of multiculturization and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spaces. Being located in the areas of 3D jobs, sex business, and caregiving labor avoided by the Korean citizens, immigrant workers live in groups at job sites such as the surroundings of their plants, karaokes, clubs and military campside towns, dwelling arrangements such as rooftop rooms, single rooms, containers, and pig shed-turned rooms, and in redevelopment zones. Indicated by its titles including “Yanbian Street,” “Little China” and “Joseongjok Town,” Garibong-dong of Guro-gu, which is the backdrop of The Love Song of Garibong and The Lamb Skewers of Garibong, forms a network of Joseonjok diaspora and exchanges and shares information for dispersed life. Deteriorated, dirty, and dangerous multicultural spaces are described as crime-ridden districts, slums, and redevelopment zones where homicide takes place at the ends of the novels. The backdrop of Nine Blue Sonyas, Itaewon is full of prostitution and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and attracts a lot of foreigners. Sonya, who is an immigrant Russian lady, cannot find comfort or rest at her rooftop room and club and is subjected to violence, extortion, and forced sex by her boyfriend and broker. She leads such a hard and humiliating life. She is treated as the object of sexual desire and that of transnational control that can be easily handled as an obedient and quiet Asian woman of Orientalism at this place overwhelmed by sex, money, alcohol, and violence. Namaste and The Elephant have their backgrounds at the plant complex of Bucheon and Shiksa-dong, Goyang, respectively. Violating the health and housing rights, those places are located in shabby and dirty redevelopment zones with an odor. The two novels describe Nepal and South Korea as the high sacred Himalayas and the low plant complex, respectively, in a dual fashion, reporting the South Korean society full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e multicultural spaces in Garibong-dong, the community of Joseonjok diaspora, Itaewon with a dense population of foreigners, and industrial complexes near Seoul represent geographical otherness. In addition, multicultural spaces draw a line from non-multicultural spaces and create a culture and space of “their own.” Immigrants with a weak sense of place and loss of place fail to become the members of society(Koreans) and settle down. Dirty, dangerous, and fearful multicultural spaces neglected like garbage are located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society, which makes the advent of true multicultural society a thing of distant future.

      • KCI등재

        다문화성장소설연구

        이미림(Mi Rim Lee)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현대소설연구 Vol.- No.51

        Korean society entered the stage of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rapidly growing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since the 2000s, which predicted the birth of multicultural family. The appearance of second-generation multicultural family in multicultural growth novels to which multicultural otherness has been added after the appearance of a boy throws a topic to the society regarding whether the second generation would be global talents that were well adapted to Korean society and had multicultural and dual language abilities or become the potential factors of social unrest as the lower class or criminals. In The Elephant, Wandeugi, and The Islamic Butcher, the boys aged 13∼18 all have no mother and grow up in a non-educational, unsanitary, and anti-human space. The parents of the boys, whose fathers or mothers are foreigners, speak the pidgin as the language of others and borderline language and live with a confusing dual ego with the Nepali language, Southeast Asian languages, and Islamic culture mixed. Slow or innocent Korean makes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like and funny. In Korean society where English and Korean have the power, those who speak the pidgin or a third-world language fail to acquire the right dual language, being alienated or developing otherness as children, animals, foreigners, and non-Korean nationals. In spite of the poor environment, howeve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do not always become delinquent because of their families with an unconditional and absolute attitude of hospitality. Even though they share no blood and flesh, alternative families are considerate of those adolescents as neighbors and embrace them with an others-oriented attitude. The three multicultural growth novels are different from general growth novels in that they escape from the plot of killing or finding the father and have weak conflicts. The fathers of the boys are handicapped, migrant workers, or Islams, who are the weak and minority of Korean society. They have no wife and exercise no authority or patriarchal power from the beginning. Thus the anger and despair of their children point to the society with discriminating eyes and violent attitudes towards their parents. As the percentag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s and their children reach the school age, multicultural growth novels will continue to be published and call fo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to welcome and embrace them.

      • KCI등재

        제3공간으로 기능하는 디지털 글쓰기 공간에 관한 사례 연구-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중심으로-

        송용창 한국국어교육학회 2023 새국어교육 Vol.- No.137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significance of a digital writing space functioning as a third space by analyzing the case of a multicultural learner. Methods: This study explored the third space theory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Korean education, and analyzed the texts, interview data, and mapping data created by Minsoo(a pseudonym), a learner from a multicultural background, in the digital writing space ‘Jajakjajak’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o determine whether the digital writing space functions as a third space for learners from a multicultural background. Results: The multicultural learner perceived the digital writing space as a space of communication and enjoyment, and through the digital writing space, they expanded the scope of their writing expression and changed their identity by becoming more active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other students in the digital writing space. Conclusion: Digital writing spaces are perceived through the lens of deprivation and can serve as an empowering third space for students who experience marginalization to engage in literacy practice. 목적: 이 연구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제3공간으로 기능하는 디지털 글쓰기 공간의 의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해 제3공간 이론과 이의 국어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다문화 배경 학습자인 민수(가명)가 디지털 글쓰기 공간인 ‘자작자작’에서 작성한 텍스트, 면담 자료, 맵핑(mapping) 자료를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다문화 배경 학습자에게 디지털 글쓰기 공간이 제3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 다문화 배경 학습자는 디지털 글쓰기 공간을 소통과 즐거움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디지털 글쓰기 공간을 통해 자신의 글쓰기 표현 범위를 확장하고 디지털 글쓰기 공간 내에서 다른 학생들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보다 적극적인 모습으로 자신의 정체성(identity)을 변화시키고 있었다. 결론: 디지털 글쓰기 공간은 결핍의 관점에서 인식되며 소외를 경험하는 학생들이 문식 실천(literacy practice)을 할 수 있게 하는 힘을 제공하는 제3공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주공간 개념의 이론적 검토와 접경공간으로의 접근

        박선영(Park, Sun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0 역사문화연구 Vol.74 No.-

        이 글은 초국적 이주로 형성된 이주공간에 대한 국내 선행 연구들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접경공간으로 개념적 전환의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국내 접경연구들의 개념 및 사용방식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초국적 이주로 인해 형성·변형된 공간은 ‘이주공동체가 거주하는 공간, 초국적 사회공간, 다문화공간’ 등의 개념들로 연구되었다. 이주공동체가 거주하는 공간 개념은 이주자 집단을 단일한 국가·민족·종족 집단으로 전제하는 방법론적 민족주의의 오류를 지닌다. 초국적 사회적 공간 개념은 이러한 오류를 수정하고 있으나 이주자들이 생활하는 공간과 기존 거주자들과 교류하여 만들어내는 공간을 내포하지 않는다. 초국적 이주로 인해 형성·변형된 공간에 대한 국내의 중요한 연구를 차지하고 있는 다문화공간 개념은 다문화주의라는 이론적 토대로 인해 한계 갖는다. 다음으로 이주공간을 접경공간으로 개념화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국내 접경연구를 ‘군사적·지리적 경계로서의 접경과 접촉지대로서의 접경 연구’로 나눠살펴보았다. 군사적·지리적 경계로서의 접경지역은 정치적인 경계선인 국경을 사이에 둔 국가들 간의 정치·외교적 상황에 따라서 접경지역 내 대립과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물리적·지리적 공간을 의미한다. 접경을 ‘접촉지대’로 인식하여 지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인간세계의 내적 공간으로서 접경을 바라보는 연구들은 ‘문화횡단’, ‘혼종성’, ‘교차성’, ‘경계사유하기’, ‘경계지대’, ‘문화 접경지대’ 등과 같은 개념들을 통해서 접경공간을 설명하고 있다. 이 글은 프랫의 접촉지대에 착목하여 이주공간을 ‘한 국가 내에 존재한 다양한 민족과 문화들이 조우하고 충돌하며 융화되어가는 공간’이자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조우하고 교류하여 서로 융합하고 공존하는 장’인 접경공간으로 사고할 것을 주장하였다. In this study, the leading domestic studies on migration spaces formed by transnational migration were reviewed and the concept definition and usage of domestic border studi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ceptual transformation into contact zones. The concepts of domestic researches on the space where transnational migrants and native people meet were divided into migrant communities, transnational social field, and multicultural spaces, and the limitations of each concept were considered. The concept of space where migrant communities reside has the fallacy of methodological nationalism, which presupposes immigrant groups as a single national, ethnic, and ethnic group. The concept of transnational social field corrects this error, but does not imply a space for migrants to live in and a space created by interacting with existing residents.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spaces are limited by the theoretical basis of multiculturalism. Next,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ceptualizing migration space as contact zones, I divided the domestic border studies into border studies as military and geographical boundaries and as contact areas. Border areas as military and geographical boundaries refer to physical and geographical spaces where confrontation and interaction exist within the border area depending on political and diplomatic situations between countries that have a political border. Studies that recognize the border as contact zones view the borders as inner spaces of the human world as well as a geographical spaces explain the border spaces through concepts such as transculturation, hybridization, crossing, borderland and cultural border zone. This article argued that the migration space should be considered as contact zones, places where various ethnic groups and cultures present in a country encounter, collide, and merge and coexist with each other, as well as places where various cultures and values meet and exchange.

      • KCI등재

        2000년대 다문화소설 속 노동공간에 나타난 이주노동자의 중층적 타자성과 그 의미

        엄학준 한민족문화학회 2024 한민족문화연구 Vol.85 No.-

        외국인 노동자 문제는 소설,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조명되고 있는 한국 사회의 대표적인 사회 문제 중 하나다. 이 중에서도 소설은 외국인 노동자들의 삶을 다각도로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매체다. 단순히 노동의 문제만이 아니라 차별과 혐오의 문제, 혼혈아의 디아스포라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을 노동 문제와 함께 다루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외국인 노동자 문제를 다루는 소설들 중 다수가 ‘외국인 근로자 고용법’의 제정 이후인 2000년대에 창작되었다는 사실은 이 시기의 외국인 노동자 문제가 다른 시기에 비해 더 노골적으로 존재했었음을 의미할 것이다. 그렇다면 2000년대의 다문화소설들은 외국인 노동자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을까? 장소의 정체성은 그 장소에 소속된 인물 혹은 소속되고자 하는 인물의 행동과 심리를 통해 정의된다, 이는 동일한 공간이더라도 인물에 따라 공간에 대한 인식이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고는 2000년대 다문화소설 속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어떠한 정체성을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러한 정체성이 노동공간을 어떻게 인식하도록 만드는지 혹은 정체성이 노동공간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노동공간은 자본을 우선하는 공간이란 점에서 모든 노동자들을 타자화시키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인들과 달리 외국인 노동자들은 노동공간에서 추가적인 타자화를 겪으며 소외된다. 물리적으로는 자본가에 의해 불법체류자로 전락하여 노동공간을 탈출할 수도, 그렇다고 차별과 억압에 저항할 수도 없는 상태에 놓인다. 한국인 노동자들 또한 일자리를 빼앗기지 않기 위하여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차별을 가하는데, 이로 인해 외국인 노동자들은 최하위계급으로 전락하는 정신적 타자화를 겪기도 한다. 외국인 노동자들은 물리적․정신적 타자화라는 중층적 타자화를 겪으며 인간성․주체성․정체성을 상실한다. 이는 자아실현을 위해, 그리고 불법체류자가 되지 않기 위해 노동공간을 벗어나선 안 된다는 강제적인 정주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노동공간에 귀속되지 않는다면 발생하지 않을 문제라는 점에서 이는 공간이 이주노동자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노동공간이 인종을 계급화하고 외국인을 범죄자로 만들어 착취하는 세뇌의 공간임과 동시에 감옥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The foreign worker problem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ocial problems in Korean society that are being illuminat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novels, dramas, and movies. Among them, novels are a remarkable medium in that they depict the lives of foreign workers from various angles. This is because it deals with not only the problem of labor, but also various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and hatred, and the diaspora of mixed-race children. In this regard, the fact that many of the novels dealing with the problem of foreign workers were created in the 2000s after the enactment of the Foreign Workers Employment Act will mean that the problem of foreign workers in this period existed more openly than in other periods. Then, how do the multicultural novels of the 2000s deal with the problem of foreign workers? The identity of a place is defined through the behavior and psychology of the person who belongs to the place or the person who wants to belong to it. This means that even if it is the same space, the perception of space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s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identity of foreign workers in multicultural novels in the 2000s, and analyzes how such identities make them perceive the labor space or how the identity changes by the labor space. Since the labor space is a space that prioritizes capital,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pace that otherizes all workers. However, unlike Koreans, foreign workers are marginalized through additional otherization in the labor space. Physically, they are reduced to illegal immigrants by capitalists, and they are in a state where they cannot escape the labor space or resist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Korean workers also discriminate against foreign workers in order to avoid losing their jobs, and as a result, foreign workers sometimes experience mental othering, relegating them to the lowest class. Foreign workers experience multi-layered othering and lose their humanity, subjectivity, and identity. This occurs because of forced settlement where people must not leave the labor space for self-actualization and to avoid becoming illegal immigrants. In that it is a problem that would not arise if it were not part of the labor space, it can be seen that space is affecting migrant workers. The labor space is a space of brainwashing that stratifies races and exploits foreigners by turning them into criminals, while also functioning as a prison.

      • 복합형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복합방식 특성과 매개공간 활성화 방안

        장하빈(Jang, Ha-Been),권오정(Kwon, Oh-Jung) 한국주거학회 2020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2 No.2

        The study was conducted in Seoul, where the density of multicultural people and man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re high. Among the centers in question, centers that can be used with other institutions and buildings were defined as compound typ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the cent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function and space. In addition, a mediated spaces divided by function provided a space for users of the center to interact with users of other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tudy, the most frequently combined facilities were welfare facilities, education functional facilities, and cultural functional facilities. In the case of a welfare facility, the target of the facility was large in number in the order of the disabled, the entire age, the elderly, children, teenagers, and infants. The spatial complex aspec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shows that vertical complex has an overwhelming number of cases. Therefore, in this study, plan was suggested to communicate with the center by proposing mediated spaces and programs that can be created in the outer and inner spaces respectively. In addition, a measure was proposed to increase accessibility for users who have difficulty moving around by installing ramps in the access p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