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대 학생들을 위한 위안의 글쓰기 방안 연구 - 우리학교 장점 소개하기

        윤정안,장윤준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4 No.3

        이 글은 '우리학교 장점 소개하기' 글쓰기를 통해 지방대 학생들의 자존감 향상을 위해 기획되었다. 글쓰기 수업에서 자기 성찰 글쓰기를 도입하여 학생들에게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고, 현재의 자신에게 자존감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한국의 대학은 서열화되어 있어, 지방대 학생들은 패배자로 인식되곤 한다. 이에 따라 지방대 학생들은 학습 의욕을 잃는 경우가 많다. '우리학교 장점 소개하기' 글쓰기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다니는 대학의 장점을 이해시키는 데 초점을 둔다. 이는 일종의 위안과 치유의 글쓰기로 볼 수 있다. 우리학교 장점 소개하기는 학술적 글쓰기 연습의 일환으로 기획되었으며, 3단 구성의 5단락 글쓰기로 진행된다. 학생들에게 작성 요령을 가르치고 함께 예상 독자를 분석한다. 이 글쓰기에서는 학생들과 함께 학교의 장점을 공유하는 과정이 필수이다. 분량이 적은 만큼 장점을 카테고리화시켜서 제시하며, 자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도록 요구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다니는 학교가 제법 괜찮은 학교임을 이해하게 된다. 그렇다면 학생들은 학교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게 되며, 학습 의욕을 갖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교수자에게도 의욕을 가진 학생들과 마주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이 글쓰기를 진행한 후 수업 평가를 통해서 학교 선택에 대한 이유를 떠올리며 자부심을 느끼는 사례가 있기도 했다. 지방대는 지역의 산업은 물론이거니와 지역문화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교육기관이다. 그러므로 지방대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대학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우리학교 장점 소개하기’ 글쓰기가 지방대 학생들의 자존감과 학습 의욕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been devised to enhance the self-esteem of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and promote their enthusiasm for learning through the process of writing titled "Introducing Our School's Advantages." It is part of an initiative to incorporate self-reflective writing into the curriculum, allowing students to introspect and develop self-esteem in their current academic pursuits. In South Korea, universities are often ranked, and as a result,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can sometimes be unfairly stigmatized as underachievers. Consequently, many students lose their motivation to learn. "Introducing Our School's Advantages" focuses on helping students understand the merits of the university they attend. It can be seen as a form of consolatory and therapeutic writing. The project is fundamentally designed as an exercise in academic writing, following a three-part structure with five paragraphs. Students are provided with guidelines for writing and engage in an analysis of their expected audience. In this writing task, it is essential for students to collaborate in sharing the strengths of their university. Given the limited length, the advantages are categorized and presented, and students are encouraged to provide concrete evidence.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ome to realize that the university they attend is indeed a reputable institution. As a result, students develop a sense of pride in their university and regain their enthusiasm for learning, allowing them to plan for their future with renewed vigor. This also means that educators encounter students who are eager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ir studies. In fact, there have been cases where students, after completing this writing task, reflected on their reasons for choosing their school and felt a sense of pride, as confirmed through course evaluations. Local universities are vital for the sustainability and development of local industries and culture. To achieve this,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need to take pride in their academic institutions. "Introducing Our School's Advantages" aspires to contribute to this process.

      • KCI등재

        지방대학 대학생의 진로문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정지애,이제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2

        Our society is faced with uncertainty changes that no one can predict due to the 4th industry, aging, low growth, and low fertility. This social chang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ork' in individual life, and career preparation and selection has expanded to the whole life perspective, not just one time. Especially,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before social debut is extended to career education subject to college student, and emphasizes career education at university. However,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reform, which is an existing university diagnosis evaluation, focused on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by the quantitative evaluation based on the employment rate and failed to consider the problems of the local universities due to the university ranking. These problems acted as career barriers, which are external and social constraints for local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concentrated on local college students by credentialism, university ranking, and labor market discrimination practices. The negative perception of local universities suggests that they have various career problems because they have a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local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promoting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of local college students by studying research trends of career problem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50 domestic researches published from 2000 to 2017 were analyzed based on the major factors (year, subject, method), career problems, regional an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related papers increased year by year, which was composed of the journals. The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students (73%), graduates (13%), and research methods were mainly quantitative studies (62%). The subject of career problems were educational problem(34.4%), and career developmental problem(30%). By regional groups, Chungnam (14.0%), Jeonbuk (10.4%), Chungbuk(9.4%), Busan (8.4%) and Gyeongnam (8.3%). It is classified five career problems by Anderson and Niles (1995). Finally, researches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re composed of result variable (35.2%), contextual variables (34.6%), individual variables (22.1%) and cognitive variables (8.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main conclusions and discussions related to the career problems of local college students. 우리 사회는 4차 산업, 고령화, 저성장, 저출산 등으로 인하여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불확실성의 변화 속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는 개인의 생애에서 ‘일’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진로준비와 선택이 일회적이 아닌 전생애 관점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사회 진출 전 진로교육 필요성은 진로교육 대상을 대학생까지 확대하여 대학에서의 진로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대학진단평가인 구조개혁 평가는 취업률에 의한 양적평가로 정원감축에만 초점화되어 대학 서열화로 인한 지역 대학의 문제점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지방대학생에게 외적·사회적 제약인 진로장벽으로 작용하여 학력주의, 대학서열화, 노동시장 차별 관행 등에 의하여 지방대학생에게 집중되었다. 지방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지방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다양한 진로문제를 안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지방대학생들의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과 지도를 촉진하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50편의 국내 연구물을 대상으로 기초현황(연도, 대상, 방법), 진로문제, 지역, 사회인지진로이론 주요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련 논문은 해마다 증가하였으나 학술지 논문으로 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재학생(73%)에 집중되어 졸업생(13%) 연구가 소수로 이루어졌고, 연구방법도 양적연구(62%)로 주로 이루어졌다. 진로문제 주제는 교육과 관련된 문제(34.4%), 진로발달 관련 진로문제(30.0%)로 이루어졌고, 지역별로 충남(14.0%), 전북(10.4%), 충북(9.4%), 부산(8.4%), 경남(8.3%)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Anderson과 Niles(1995)의 5가지 진로문제로 분류되어졌다. 마지막으로 사회인지진로이론 주요구인 연구현황은 결과변인(35.3%), 맥락변인(34.6%), 개인변인(22.1%), 인지변인(8.1%)으로 나타났다. 이후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지방대학생 진로문제에 관련하여 주요 결론 및 논의를 다루었다.

      • KCI등재

        지방대 학생의 취업장벽인식수준 및 관련변인분석: C대학을 중심으로

        김민순,정영애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barriers to local university students finding employme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in finding employment barriers, to discover the factors influencing finding employment barriers, and to explore the channels that affect finding employment barrier awarenes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630 participants (307 male students, 323 female students) who took First year courses at C university located in Changwon city, Gyeongnam. The research tools were job barrier measure, personal background measure, finding employment mentality measure,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on finding employment measu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7.0 and AMOS 16.0.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entire level of finding employment barriers appeared to be perceived a little lower than the usual; the education on finding employment and the lack of experience for finding employment appeared higher than the usual result. In the area of personal variables affecting finding employment barrier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wareness than the male students, non-engineering students showed higher awareness than the engineering students, and the low-income and the low-credit students showed higher awareness than the high-income and the high-credit students. With regard to the psychological variables on finding employment, the female students, the high-salary students, and the high-credit students showed high in finding employment efficacy. In addition, the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 aspiration than the male students. The finding employment barriers perceived by the C stude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inding employment efficacy, job non-determination, class credits, education on finding employment, and family incom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university students' finding employment barriers and the related variables, there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 among finding employment efficacy, job pendency, class credits, education on finding employment, and family income. For the causality model between the whole local university students' finding employment barrier and related variables, the channels of the education on finding employment appeared meaningful to the finding employment mentality variable: the channel of finding employment mentality variable appeared meaningful to the finding employment barrier. 본 연구는 지방대 학생들이 인식하는 취업장벽 수준을 측정하고, 여러 취업장벽 요인 중 어떤 요인에서 취업장벽을 더 느끼는지, 취업장벽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떤 경로를 통해 취업장벽 인식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경남 창원시에 위치한 C대학교 재학중인 학생 중 교양강좌 수강학생 총 630명(남학생 307명, 여학생 3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취업장벽척도, 개인배경척도, 취업관련심리척도, 취업관련교육경험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7.0, AMOS 16.0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업장벽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취업관련교육, 취업관련 경험부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취업장벽인식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비공과계열 학생들이 공과계열 학생보다, 가정소득 및 학점이 낮은 학생들일수록 취업장벽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취업관련 심리적 변인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가정소득, 학점이 높을수록 구직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포부 또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미결정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가정소득이 낮은 학생일수록 직업결정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대 학생이 인식하는 취업장벽은 구직효능감, 직업미결정, 학점, 취업관련교육, 가구소득에서만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방대 학생들의 취업장벽과 관련변인간의 인과모형에서는 취업관련교육경험이 취업관련심리변인으로, 취업관련심리변인이 취업장벽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지역 대학생들의 지역뉴스 이용 과정과 유형: 지역뉴스를 집중 이용한 대학생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강주현,김소현 한국방송학회 2023 한국방송학보 Vol.3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and type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using local news. Local college students did not have easy access to local news. Because the media mainly used by these generations moved from television to smartphones and digital platforms. But local media did not provide accessibility in these media environments. In addition, as their locality has faded compared to the past generation, they did not use local news. And they had a prejudice against local news. However, after experiencing and observing local news, their perception of local news has changed. They thought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local news would be helpful to them. As for the quality of local news, compared to national news, only the subjects and categories covered were different, but they did not feel a big difference.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local news was essential to the region. The news use type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were classified as ‘social level approach type’, ‘administrative boundary approach type’, ‘interest-oriented approach type’, and ‘indifference type’. In order for local university students to use local news, this study suggests easy access to local news, provision of socially universal content and content closely related to the local, and opening of local journalism courses at local universities.

      • KCI등재

        지역대학신문의 정체성 : 누가 참여하고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김은규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지역과 세계 Vol.47 No.4

        이 연구는 지역대학의 위기와 대학언론의 위기라는 중층적 위기 속에서 지역대학신문의 역할과 위상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4년제 국립, 종립, 사립대학의 유형을 구분하여 대학신문 발행 현황, 참여 필자, 내용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첫째 지역대학신문 제작환경은 대학 유형과 규모에 따라 밀접한 상관성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대학 유형 보다는 대학 규모의 차이에 기인하는 요소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필자(참여 주체) 분석은 지역대학신문이 학내구성원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기에 대책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학생기자를 제외한 재학생들의 참여는 그 비율이 매우 낮았다. 셋째, 내용분석은 지역대학신문이 대학사회의 비판적 공론장 기능을 수행하기 보다는 홍보지, 소식지로 기능 하는 경향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특히 국립대학 보다 지역 사립대학에서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넷 째, 지역대학신문은 저널리즘적 기능은 쇠퇴하고 있지만, 비평적이고 학술적인 논의를 제공하면서 그래도 여 전히 대학공동체에 필요한 긍정적 기능을 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지역대학신문이 변화된 사회 환경, 대학 환경, 미디어 환경 속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고민과 점검이 필요한 상황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 the role and position of local university newspapers. For the research aim, this study analyzed the publication status, author, and content of above three local university newspapers published in 202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 of local university newspaper is correla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university. Second, local university newspapers are not drawing university members' participation, so need an appropriate countermeasure. Third, local university newspaper tends to function as a university PR paper rather than performing the critical public sphere. This is particularly stronger in private local university newspaper. Fourth, local university newspapers still had a positive function. Although the journalism function is gradually declining, efforts to provide critical and academic discussions are still ongoing. The results suggest that local university newspapers need to check what direction to go in the changing social, university, and media environment.

      • KCI등재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장벽과 지역내 정착의도의 이중매개효과

        노윤진,박희현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소멸 시대에 지역경제의 주축인 지방대학과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지방대학생의 지역내 정착 의도를 증진시키고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진로 장벽과 지역 내 정착 의도가 이중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수도권 소재 대학생 43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 장벽, 진로 장벽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다른 변인 간의 관계에서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 장벽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지역내 정착 의도는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진로 장벽과 지역내 정착 의도는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지방대학생을 위한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의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local universities, which are the main axis of the local economy,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era of regional extinction, to enhance the intention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to settle in the region and to find way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test whether career barriers and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data from 432 college students located in non-metropolitan areas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career barriers and life satisfa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other variables. Second, career barriers were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college students. Third, the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university students. Fourth, career barriers and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were found to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basic data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 intervention measures in the counseling and education scene for local university student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수도권과 지방대학 공학계열 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비교

        배상훈,라은종,홍지인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location of universities influences engineering students’ engagement and to what extent the impact of university location differs by a student’s characteristics in student engagement. Student engagement consists of four themes and 10 indicators: academic challenge (higher-order learning, reflective and integrative learning, and learning strategies), learning with peers (collabo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with diverse others), experiences with faculty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effective teaching practices), and campus environment (relationship with peers, relationship with faculty and staff, and supportive environment). Utiliz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9,417 engineering students at 81 universities, this study employ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level model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 that whereas engineering students in local universities a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student-faculty interactio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y are less likely to be involved in discussion with diverse others. The results further reveal distinctly different patter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universities and student engagement by a studen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student engagement that is associated with a student’s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a different approach is needed considering different university locations and a student’s characteristic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소재지에 따라 공학계열 학생들의 학습참여가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 이러한 관계가 학생의 특성(성별, 학년, 고교성적, 가계소득)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학습참여는 학생이 높은 학업성과와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학습 동기를 가지며, 학습 활동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학습참여는 4개 영역 10개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업적 도전(고차원 학습경험, 반성적․통합적 학습경험, 학습전략), 교우와 학습(능동적․협동적 학습태도, 다양한 그룹과 토론경험), 교수와 경험(교수-학생 상호작용, 효과적인 교수), 대학 환경(교우와 관계, 교직원과 관계, 지원적 대학 환경). 미국 NSSE(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진단 도구를 한국 대학의 맥락에 맞게 수정․보완한 한국형 학습참여 진단도구(K-NSSE)를 활용하였다. 국내 81개 4년제 대학 9,417명을 대상으로 t-test를 통해 집단(성별, 학년별) 간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개인과 대학 수준을 포함한 자료 구조를 고려하여 다층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지방대학 공학계열 학생들은 수도권 대학 집단과 비교하여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높은 반면, 다양한 집단과의 토론 경험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참여에 대한 대학 소재지의 영향은 학생의 특성(성별, 학년 및 가계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 집단에서 능동적․협동적 학습경험에 대한 지방대학의 효과가 보다 크게 나타난 반면, 효과적인 교수활동에 대한 지방대학의 영향은 고학년일수록 줄어들었고, 지원적 대학 환경에 대한 지방대학의 영향이 고소득층 학생일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대학 소재지별, 학생 특성별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련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 지방캠퍼스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S대학교 C지방캠퍼스 신입생들을 중심으로 -

        송지은,이광호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undamental meanings of the role of a ‘local campus’considering the preparedness for college admissions, choices of colleges, and the precess of college life adjustments, for students at a local campus of a college that has a main campus in Seoul. For this study, nine students (4 male and 5 female students) were chosen from a C local campus of S university, which has a main campus in Seoul, and a phenomenological method derived from Giorgi is used to analyze students’ experiences. The result has shown four different main topics, 12 sub-topics, and 34 meaning units. The followings are main topics and sub-topics elicited: <College admission and choices: preparedness for college entrances>, <college life and independence: college life adjustments, the meaning of college events, comparison with military units, “Do it myself”>, <What “local campus” means to me: discriminations and differences with main campuses, low self-esteem stemmed from local campuses, dissatisfaction with the school, distinguished self-confidence and side-effects>, <Living on a local campus: departments and schools that I want to leave from, these are what I want>. Based on this result, this paper analyzes implications of students’ life adjustment at a local campus of a college that has a main campus in Seoul.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에 본교가 있는 대학의 지방캠퍼스(‘분교’)에 입학한 학생들의 입시준비와 대학결정 과정 및 대학생활적응의 본질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S대학교의 C지방캠퍼스 재학생 9명(남 4명, 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종단위로는 총 4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고 그에 대한 하위 주제로 12개가, 의미단위로는 34개가 도출되었다. 본질적 주제와 하위 주제는 <입시 그리고 선택: 입시 준비, 대학 선택>, <대학생활과 홀로서기: 캠퍼스 적응기, 학교행사의 의미, 여기가 군대인지, 내 쓸 것은 내 스스로>, <내게 ‘지방캠퍼스’라는 건: 본캠과의 차별과 차이, 지방캠에 대한 낮은 자존감, 학교에 대한 불만, 차별화된 자부심과 부작용>, <지방캠퍼스생으로 살아가기: 떠나고 싶은 학과 그리고 학교, 여기서 내가 원하는 것들>이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서울에 본교가 있는 지방캠퍼스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English Communication Anxiety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Sang-Ho Han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5 영어교육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nglish communication anxieties of Korean students attending a local university. A survey of communication anxieties consisting of 15 items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English classes at a local university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in the spring semester of the 2014 academic year. Three hundred and sevent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ir level of English communication anxieties were computed. Then a comparison was made among subgroups in terms of the respondents’ gender, school year, and the proficiency level.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students enrolled at the local university did not have a high level of English communication anxiety. It was also found that male students showed less anxiety than female students while the students’ year of school was not related to their level of anxiety.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the lower the exhibited level of English communication anxiety, which implies that the students’ scholastic aptitude affects their communication anxiety.

      • KCI등재

        English Communication Anxiety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한상호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5 영어교육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nglish communication anxieties of Korean students attending a local university. A survey of communication anxieties consisting of 15 items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English classes at a local university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in the spring semester of the 2014 academic year. Three hundred and sevent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ir level of English communication anxieties were computed. Then a comparison was made among subgroups in terms of the respondents’ gender, school year, and the proficiency level.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students enrolled at the local university did not have a high level of English communication anxiety. It was also found that male students showed less anxiety than female students while the students’ year of school was not related to their level of anxiety.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the lower the exhibited level of English communication anxiety, which implies that the students’ scholastic aptitude affects their communication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