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위기 지각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황승배,김동주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중년기(middle-age) 또는 중기경력기(mid-career stage)에 조직구성원들이 경험하는 특수한 스트레스인 ‘중년위기(mid-life crisis)’에 초점을 두고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중년위기가 일과 일 이외의 삶 전반에서 경험하게 되는 포괄적인 스트레스이기 때문에 중년위기의 관리는 일과 삶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에 있어서도 필요조건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위기 지각이 조직유효성 변수 중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으며, 중년위기 지각에 따른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시킬 수 있는 변수로서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중년위기는 정서적 위기감, 자아인식의 변화, 직업적 위기감, 가정적 위기감 등 4개의 하위 차원으로 구성되는 요인들에 의해 지각되는 특별한 스트레스로 규명되었으며, 이러한 중년위기를 지각하는 조직구성원은 조직몰입이 감소하고, 이직의도가 증대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중년위기의 지각에 따른 조직몰입 하락과 이직의도의 증가를 완화하는 조절효과가 있으며, 사회적 지원은 중년위기의 지각에 따른 조직몰입의 하락을 완화하는 조절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중년위기의 개념을 한국의 기업조직에서 적용하여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최고경영자들에게 경영관리의 새로운 변수로서 ‘중년위기’ 문제를 제기하였다. 둘째,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중년기 또는 중기경력기에 있는 종업원들은 기업내에서 사실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간부급이거나 숙련된 기술자라는 점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특별한 스트레스를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환기시켰다. 셋째, 기업조직내에서 종업원들의 중년위기 지각에 따른 조직유효성 하락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의 제고를 위한 노력과 함께 상사에 의한 멘토링 프로그램 제공 등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mid-life crisis experienced the extreme stress by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middle-age or mid-career stage. Managing mid-life crisis will be one of necessary conditions for work and life balance because mid-life crisis is inclusive stress that experience in work and whole lif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mid-life crisi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can buffer the negative consequence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mid-life crisis, it has verified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the mid-life crisis is identified as a particular stress, which consists of four sub-dimensions factors, perceived by a sense of emotional crisis, changes in self-awareness, a sense of crisis in work, and a sense of crisis in family. And it is identified that the employees who perceived these mid-life crisis decreas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creases in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self-efficacy has effect on buffering the decreas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increase in turnover intention, and social support has effect on buffering the decreas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mid-life cri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pplying the conception of mid-life crisis to organization, this study suggest that CEOs take issues of mid-life crisis as a new variable of business management. Second, employees in middle-age or mid-career stage are important managers or skilled workers in compan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CEOs to pay attention to and manage a particular stress that they experience. Third, this study implies that it has to prepare social support of various forms like mentoring program by superior, and to develop programs to intensify self-efficacy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order to buffer decrea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ulting from the perception of mid-life crisis.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신앙 : 종교사회학적, 교회론적 전망에서

        정희완(Hee-Wan Jeong)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1 가톨릭신학 Vol.- No.38

        코로나 사태는 삶의 전방위의 영역에서 도전과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종교와 신앙의 영역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코로나 사태는 가톨릭 신앙생활에도 근본적인 질문과 도전을 야기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를 통해 우리는 코로나 이전의 신앙생활과 사목의 방식이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본당이라는 공간에서 성사와 전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신앙생활과 사목이 봉쇄와 격리의 시간 동안 속수무책으로 제한되는 것을 목격했다. 대면과 접촉의 신앙생활이 비대면과 접속의 신앙생활로 전이되는 과정도 목격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는 전례와 성사, 신자들의 신앙생활, 성직자들의 사목직무, 본당과 교회 공동체의 모습, 등 신앙생활 전반에 대해 다시 성찰하게 한다. 공동체와 함께 하는 미사의 중단은 전례와 성사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온라인 미사와 전례를 둘러싼 신학적 논쟁이 벌어졌다. 온라인을 통한 미사와 전례는 아직 유효성과 정당성을 획득하지 못한다. 그저 잠정적 대안으로서 사용될 뿐이다. 또 한편으로 과연 전례는 누구를 위한, 누가 거행하는 것인가에 대한 뼈아픈 질문이 제기된다. 코로나 사태는 성사와 전례 안에서 평신도의 자리와 역할이 얼마나 빈약한지를 여실히 보여줬다. 코로나 사태는 전례 안에서의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별과 역할의 문제를 다시 수면 위로 오르게 했다. 코로나 사태를 통한 미사 중단의 경험과 기억은 전례의 변화와 쇄신을 요청하는 매개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보면, 신앙생활은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교리와 신앙 공부, 전례와 성사, 생활과 윤리, 기도와 영성영역이다. 코로나 사태는 어쩌면 신앙의 총체성을 회복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인지도 모르겠다. 신앙생활의 무게가 전례와 성사 중심의 교회생활에서 일상생활에서의 영성적 차원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옮겨지고 있음을 발견한다. 신앙생활은 공동체적이어야 하지만, 수동적이고 피동적이 아니라 자율적이고 능동적이어야 한다. 코로나 시대의 특별한 경험들은 사목자들에게도 많은 반성과 성찰을 요청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는 기존의 사목 방식에 대해 점검하고 반성할 기회를 주고 있다. 코로나 시대의 사목은 불러오는 방식이라기보다는 찾아가는 방식이 될 것이다. 사목은 통치와 운영과 관리라기보다는 봉사와 헌신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대형 집회와 대면적 접촉을 제한하는 코로나 사태는 교회 공동체의 모습에 대해 새롭게 성찰하기를 요구한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작은 공동체 운동을 촉진시키는 역설적인 매개체가 될 수도 있다. 전통적인 본당 공동체의 형식만으로는 코로나 시대의 도전에 잘 대응하지 못할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 성직자와 평신도가 함께 공동으로 복음을 전할 수 있는 새로운 중심(power center)을 형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당은 본당 그 자체의 존속과 유지를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선교와 사목과 신앙생활을 위해 있다. 본당의 구성과 운영 방식은 늘 쇄신되어야 한다. 교회가 단순히 다시 시작할 것인지 아니면 새롭게 시작할 것인지는 우리신앙인들에게 달려 있다. 법과 제도의 변화에 앞서 정신과 태도의 변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사목적 회심과 공동합의성의 정신과 태도를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선 새로운 상상과 해석을 시작하자. 우리의 생각과 태도를 먼저 변화 시켜나가자. 최종적인 변화와 쇄신은 언제나 성령의 몫이다. The corona crisis is raising challenges and questions in all areas of life. It is no exception in the realm of religion and faith. The corona crisis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nd challenges even in Catholic life. Through the corona crisis, we discover that the life of faith and the way of pastoral ministry were exposing many problems. We witnessed that the life of faith and pastoral ministry centered on the sacraments and liturgy were limited helplessly during the time of quarantine and lockdown. We are also witnessing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faith life of face-to-face and contact to the life of faith of non-face-to-face and connection. The corona crisis makes us reflect on the whole life of faith, including the liturgy and sacrament, the religious life of believers, the pastoral duties of the clergy, and the shape of the parish and church community. The suspension of public Masses leads to rethinking of the liturgy and sacrament. There was a theological debate over online Mass and liturgy. Online Mass and liturgy have not yet gained validity and legitimacy. It is simply used as a temporary alternative. On the other hand, the painful question arises about who the liturgy is for and who is celebrated. The corona crisis clearly showed how poor the position and role of the laity within the sacraments and liturgy are. The corona crisis brought the issue of the distinction and role of the priest and the laity within the liturgy to the surface again.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suspension of public Masses through the corona crisis may serve as a medium for requesting change and renewal of the liturgy. According to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the life of faith is composed of four areas. Doctrine and faith studies, liturgy and sacraments, social life and ethics, prayer and spirituality. Perhaps the corona crisis is a good opportunity to restore the totality of faith. The weight of the life of faith seems to be shifting from the church life centered on the sacraments and liturgy to the direction where the spiritual dimension in daily life is emphasized. The life of faith should be communal, but not heteronomous and passive, but autonomous and active The special experiences of the corona era are calling for pastors to review and reflect on their duties. The corona crisis gives us an opportunity to examine and reflect on the existing methods of pastoral ministry. Pastoral ministry in the corona era will be a way of visiting rather than calling. It should be borne in mind that pastoral ministry is service and commitment rather than governanc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The corona crisis, which restricts large rallies and face-to-face contact, calls for a new reflection on the shape of the church community. The coronavirus could also be a paradoxical vehicle for promoting small community movements. The traditional parish community form alone will not be able to respond well to the challenges of the corona era. There is a need to form a new type of community, a new power center where the clergy and the laity can jointly proclaim the gospel. The parish is not for the sustainment and maintenance of the parish itself, but always for mission, pastoral care and religious lif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arish must always be renewed. It is up to the faithful whether the church will simply resume or start anew. A change in mind and attitude must be made first before a change in law and system. This is why Pope Francis emphasizes the spirit and attitude of pastoral conversion and synodality. Let s start with a new imagination and interpretation. Let’s change our thoughts and attitudes. Final change and renewal is always up to the Holy Spirit.

      • KCI등재

        중년 남성의 성역할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민정(Kim Minjung),정지현(Jung Jihy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성역할스트레스와 중년의 위기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정서표현양가성이 중년의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년 남성 292명을 대상으로 성역할 스트레스, 중년의 위기감, 정서표현양가성, 정서인식명확성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역할스트레스와 중년의 위기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정서표현양가성과 중년의 위기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역할스트레스가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 중년의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이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표현양가성이 높더라도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 경우에는 성역할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역할스트레스가 많아 정서표현양가성을 매개로 중년의 위기감이 높아질 때, 정서인식명확성을 높여주는 것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성역할 스트레스와 정서표현양가성, 정서인식명확성이 중년 남성의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위기감을 경험하는 중년남성을 위해서 , 우선 내면화된 성역할이 중년남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서표현에 대한 태도와 두려움을 심층적으로 탐색, 자각할 수 있도록 돕고 정서표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며, 중년남성들이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알아차리고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ress and the sense of mid-life crisis middle-aged mal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process that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s the sense of mid-life crisis.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92 middle-aged male on gender role stress, mid-life crisis,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clarity.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PROCESS Macro,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ress and the sense of mid-life crisis.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id-life crisi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motional clarity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process that gender role stress affects the sense of mid-life crisis throu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at is, even if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s high, when the emotional clarity is high, the sense of mid-life crisis decreases. This means that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emotional clarity when the sense of mid-life crisis increases through the medium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due to high gender role str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identified the process in which gender role str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clarity affect the sense of crisis in middle-aged male. Results from this study confirmed that for middle-aged male experiencing a sense of crisis, counsel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internalized gender roles on middle-aged men s lives, help them explore and recognize attitudes and fears of emotional express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수도생활과 중년기 영성

        최혜영(Choi, Hae-You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3 神學展望 Vol.- No.182

        한국의 여성수도자들은 40-5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수도회의 절대 다수가 창립 50년 미만의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한국 여자수도회는 중년기 여정을 걷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중년기 위기의 특징은 정체성의 위기, 신앙의 위기, 사도직의 위기, 건강과 신체 등 외적 위기, 쇠퇴와 죽음에 대한 위기, 정서의 위기, 성(性)과 관계의 위기 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한국의 수도생활이 직면한 도전들은 삼대 서원 안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정결에서는 미성숙한 인간관계, 성적 정체성의 부족, 정서적인 미성숙 등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청빈에서는 주관적인 판단과 상대주의, 물질주의적이고 합리적인 경제관, 재화에 대한 현실감각 부족등이 큰 도전이 되고 있다. 순명에서는 식별 정신, 개인과 공동체 카리스마 사이의 불균형, 리더십의 문제 등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그러나 중년기 위기가 성숙한 인간 발달을 위해 필연적인 과정이듯이 한국의 여자수도회가 경험하고 있는 중년기적 위기의 특성들도 수도생활의 본질적인 가치와 의미를 추구하는 데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중년기 영성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솔직함과 개방의 영성, 회개와 치유의 영성, 육화와 창조의 영성, 통합의 영성 등은 전인적이고 성숙한 삶으로 나아가기 위한 내면화 과정이 될 것이다. The largest portion of Korean Religious Women are in the forty to sixty year-old age range, and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Religious Societies have a short history of under 50 years in Korea. We may say that currently Korean Women’s Religious Societies are experiencing a mid-life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mid-life crisis are a crisis of identity, a crisis of faith, a crisis of apostolate, health and physical crises, the crisis of decay and death, emotional crisis, and a crisis of sexuality and relationships. Also, the challenges which Korean Religious Life faces, appear in the three vows concretely. The problems are immature relationships, sexual identity deficiency and emotional immaturity for the vow of chastity; subjective judgement and relativity, a materialistic and lack of reasonable economic concepts, a lack of realistic monetary sense for the vow of poverty; discerning consciousness, lack of balance between individual charism and communal charism and leadership for the vow of obedience. But, as mid-life crisis is a necessary process for mature human development, the Korean Women’s Religious Societies’ mid-life crisis is thought to be an essential process for pursuing the ultimate value and meaning of religious life. The characteristics of mid-life spirituality, such as a spirituality of honesty and openness a spirituality of repentance and healing; a spirituality of incarnation and creation; a spirituality of integrity will be the internalizing process for proceeding toward a wholistic human and mature life.

      • KCI등재

        중년기 위기감과 삶의 의미에 관한 연구

        배나래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5

        Mid-life is a period of transition and crisis in human developmen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id-life cris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risis of middle age,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individuals, behavioral and social aspects. Jung referred to the middle age as the period of individuation. In other words, it is a process of stabilizing and integrating several individuals with fragmented personalities. The discovery of the meaning in life in middle age relates to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to become a true community member through understanding of others and oneself. The sense of crisis in middle age has a deep correlation with the meaning in life, and the sense of crisis in middle age can be lowered through the meaning of life. However,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meaning in life, adaptation to family and social crises and coping with stress will be important factors. 중년기는 인간발달 과정 중 전환의 시기이며 위기의 시기이다. 중년기 위기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중년기의 위기를 파악하기 위해 개인의 심리적 측면, 행동․사회적 측면의 이해가 요청된다. Jung은 중년기를 개성화 시기라하며, 파편화된 성격의 여러 개체를 안정화시키고 통합하는 과정이라 하였다. 중년기 삶의 의미에 대한 발견은 타인과 자신의 이해를 통해 진정한 공동체 일원이 되는 것이며 실존의 의미와 연결된다. 중년기 위기는 삶의 의미와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삶의 의미를 통해 중년의 위기감을 낮출 수 있다. 다만,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가족 및 사회적 위기상황에 대한 적응, 스트레스 대처 여부가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남북통합 과정의 심리사회적 위기분석 -북한이탈주민의 생애위기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엄태완 ( Tae Wan Eom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1 북한학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생애 전반의 이야기를 수집하고 재구성하면서 남북통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남북주민들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대한 맥락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남한생활 6개월 이상인 9명의 북한이탈주민들이다. 연구결과, 북한 이탈주민들의 생애 과정을 북한생활기, 3국정착기, 남한생활기로 구분하여 일상에서의 심리사회적 위기들을 단계별로 통찰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남북통합과정의 남북주민 위기를 생존위기, 연결위기, 회복위기로 분류하여 남북주민 통합을 위한 전략과 방향에 대한 예비적 탐색을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남북주민들의 일상사적 위기들이 논의 되었으며, 특히 생존적 위협에 노출될 수 있는 저소득층이 다른 계층보다 위기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남북통합의 이슈는 동아시아 전체의 문제이며, 이는 현재 탈북하여 동아시아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인권 담론으로부터 출발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psychosocial crisis of North and South Korean in national unification process of Korea on the basis of analysis of life history of North Korean(NK) defectors. Participants are 9 NK Defectors who have been in South Korea more than 6 months, and the life history method is applied as qualitative methods for research. Following are results. Life histories of NK Defectors are categorized as records of ``life in North Korea``, ``temporarily residence in the third countries`` and ``life in South Korea`` and psychosocial crisis are presented in each step. These life histories are restructured and connected to national unification process of Korea. This research attempts to connect personal experiences to group experiences and present experiences to future experiences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life history of NK defectors. Psycholosocial crisis that may occur in national unification process of Korea are predicted as ``survival crisis``, ``connection crisis``, ``restoration crisis`` through those process. Research result confirms that opportunity and crisis can coincide in social and economically lower class, and crisis occurrences have more possibility in lower class. And the problems of NK defectors are not only for North and South Korea, but also for the entire East Asia. Especially, there is the need to make a discourse about human rights of NK defectors in East Asia as a current issue by the leading of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Quality of Life for Preschool Teachers During the COVID-19 CRISIS

        Guteak Bae,Soonsun Park,Youngmi Jin,Jihye Lee J-INSTITUTE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Crisis & Safety Vol.6 No.3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intended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ensitivity, daily stres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quality of life for the candidates for preschool teacher during the COVID-19 CRISIS. Through which, it is sought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life by reducing the interpersonal sensitivity of the candidates for preschool teachers amidst the spread of the COVID-19, and furthermore, provide assistance for the growth of the candidates for preschool teachers’ professionalism.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79 preschool teacher candidates who are the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which train preschool teachers in Busan and Gyeongnam, who enrolled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and the SPSS statistics pro-gram was utilized to perform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aramete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interpersonal sensitivi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aily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Furthermore, daily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sensitivity, a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while quality of life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extent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daily stress explaining th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for 44.5%. Third, in the relationship of effect of the inter-personal sensitivity on the quality of life, daily stress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Conclusion: Preschool teacher candidates perceived interpersonal sensitivity resulting form negative self con-ceptions, daily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s average or below during the COVID-19 crisis, 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interpersonal sensitivity influences daily stress, quality of lif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ver-all, it is necessary amidst the COVID-19 crisis to expand various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to reduce the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daily stress for preschool teacher candidates and enhance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overall quality of life.

      • KCI등재

        위기사건 경험 노인의 정체성 재구성과정에 관한 생애사적 내러티브 탐구

        황민경(Hwang, Min Gyeng),권효숙(Kwon, Hyo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이 연구의 목적은 부상을 경험한 한 노인이 그 사건을 계기로 삶을 성찰해가는 일련의 과정을 당사자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의미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갑자기 맞닥뜨린 부상이라는 위기상황 속에서 연구 참여자가 어떻게 삶을 회상하고 그 의미를 재구성해 나가는지 구술 및 대화 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자신의 상황을 이해하고 그것을 극복하는 전략을 형성해 나갔으며, 그 과정은 ‘죽기 살기로 살아내기’, ‘서서히 죽어가는 과정’, ‘지나온 삶 돌아보기’, ‘다시 살아내기’로 정의할 수 있다. 노인은 부상을 통해 직면한 신체적 고통과 불가피해진 의존적 생활에 대해 ‘죽기 살기로 살아내기’, 변화된 상황을 상실과 죽음의 과정으로 받아들이는 ‘서서히 죽어가기’, 삶을 통합적으로 재구성하는 ‘지나간 삶 되돌아보기’, 삶에 새로운 의미와 목적을 부여하는 ‘다시 살아내기’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삶을 깊이 통찰하고 새로운 관점을 가지고 삶의 방식을 전환해 나간다. 이 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에 의하면, 노년에 직면하는 육체적·정신적 쇠락, 상실, 단절 등은 생애과정에서 형성된 정체성의 위기를 초래하기도 하는 한편 노년의 위기 상황을 살아나가면서 노년의 정체성을 재형성하게 하는 전환적 계기로 작동하기도 한다. 노인들에게 위기사건과 같은 상실 경험이 삶의 연속성 회복의 계기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차원의 지원과 더불어 삶을 공유하고 소통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는 대화적 관계의 확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me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es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n old woman who has experienced an injury looking back on her life with the incident. For this purpose, I analyzed how participant of the study recalls her lives and reconstruct her meanings in a crisis of sudden injuries based on oral data, dialogue data, and observation data. Participant of the study understood her situation and formed strategies to overcome it, and the process can be defined as “living desperately to die or live,” “slowly dying process,” “looking back on past life,” and “living again.” The elderly take a deep insight into her own lives and change her way of life with a new perspective through the process of ‘living desperately to die or live’ for the physical pain and inevitable dependent life faced through injuries, “slowly dying” that accepts the changed situation as a process of loss and death, “looking back on past life,” that integrally reconstructs life, and “living again” that gives new meaning and purpose to life. According to this study, physical and mental decline, loss, and disconnection facing at old age sometimes lead to a crisis of identity formed in the course of life, while they also work as a turning point to reshape the identity of old age while surviving the crisis of old age. In order for the loss experience, such as a crisis incident to the elderly to act as an opportunity to restore the continuity of life,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conversational relationship that can reconstruct the meaning of life by sharing and communicating life, along with support at the physical level.

      • KCI등재

        학교상담현장에서의 위기유형분류와 기독교 가정교육(사역)적 접근

        박미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0 No.-

        Every youth has gone through the crisis period, and how to undergo this time has made big influence to their entire life. Modern society has offered various crisis environment to obstacle the youths’ development and adaptation.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and help the youths who faced crisis situations with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The researcher proposed the concepts of youth cris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students’ crisis patterns with three categories: family crisis, emotional crisis, and school crisis. Family crisis included communication problems,financial problems, violences, parentless family, and single family problems. Emotional crisis included depression, anxiety, impulse control disorder,and stress. Family and emotional crisis problems are turned up to the school crisis problems. Individual student’s crisis patterns appeared in psychiatric and health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self-inflicted wound, suicide,Internet addiction, and alcoholic and smoking problems. These problems are connected to the societal problems such as ostracism, kleptomaniac,extortion, violence, school maladjustment, ADHD, sexual violence. This research suggested various supporting alternatives to overcome youth students’ three crisis patterns. Affirmative self-esteem, family life educational supporting, local church and social institution supporting, and specialized counseling treatment are proposed to cure the youths’ family,emotional, and school crisis problems. 청소년들은 ‘위기’를 겪게 되는데, 이 위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개개인의 일생에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현대사회는 청소년의 발달과 적응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다양한위기상황이 존재하므로 기독교 교육적 차원에서 위기의 청소년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방안을 모색할 때이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위기청소년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그들의 특징과 문제점을 설명하였다. 현재 학교현장과 교육기관에서 사용되어지는 시스템의 분석을통해 청소년의 위기유형을 분류하는 기준을 분석하였으며 기독교교육을 통한 가정사역적접근을 통해 교회에서 품어야 할 위기청소년의 다양한 지원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생의 위기유형은 크게 세 가지 유형(가정위기, 감정ㆍ정서위기, 학교위기)로 분류된다. 가정위기는 정서대화, 경제문제, 가정폭력, 결손 및 조손가정의 문제들을포함하고 감정ㆍ정서위기는 우울, 불안, 충동조절, 스트레스등의 문제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학교위기로 나타나는데, 학생의 개인적인 위기유형으로 우울, 불안, 자해, 자살등의 정신건강적인 양상들과 인터넷 과몰입, 음주ㆍ흡연의 모습을 보이며, 학생의 사회적인 문제로는 집단 따돌림, 도벽, 금품갈취, 학교폭력, 학교부적응, 품행장애, ADHD, 성폭력 등의 사회적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고 하였다. 청소년의 3가지 위기유형을 극복하기위하여 긍정적 개인요인을 통한 위기지원, 가정사역에서 가정을 통한 위기지원, 교회 및사회기관을 통한 위기지원, 전문상담치료를 통한 위기지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사회 성숙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채경선 ( Kyoung Sun Chae ),정윤주 ( Yoon Ju Jou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21 No.2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life incident stress and psychosocial maturity in a conceptual and empirical way in order to examine theirsignificant effect on midlife crisis, an important phenomenon affecting individuals and society.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social maturity on midlife crisis.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ce in midlife crisis based on demographics and variables was confirmed. Second, it was revealed that midlife crisis, life incident stress, and psychosocial maturity influenced each other.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incident stress was, the greater the midlife crisis became. Fourth, the higher that the level of psychosocial maturity was, the less the severity of the midlife crisis was. Finally, although the life incident stress was high, psychosocial maturity played a moderating role to reduce the severity of the midlife crisis.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psychosocial maturity played a moderating role on the effect that life incident stress had on mid-life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