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한말 미국 유학 지식인의 서구 "사회과학" 수용과 현실 인식

        정병준 ( Byung Joon Jung ) 이화사학연구소 2012 梨花史學硏究 Vol.0 No.44

        The Korean`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started in 1883 and hit its peak from 1902 to 1910 when the Korean immigration to the U.S. was flourished. Yu Kil Chun was the first Korean student studying in the U.S. In 1884, after the failure of the Reformist Revolution, eight Korean politicians went to U.S. to study and find refuge. Pom Kwang Suh, Philip Jaison, and Penn Su graduated U.S. colleges and settled in the U.S. mainland. Pom Kwang Suh and Philip Jaison were the pioneers and the first Korean-Americans. From 1894 to 1895, Korean students sent by Korean government to Japan went to U.S, and studied at the Howard College. Chi Ho Yoo, Kiu Beung Surh, Chong Ki Ye, and Young Kyu Park went to the U.S. by themselves. According to the Korean documents and the U.S. newspapers, more than 80 to 100 persons went to the U.S. for studying from 1883 to 1910. The Korean elites studying in the U.S. partially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 social science to Korea. At that time, the concept of social science was mingled and the department of social science was not settled down. In general, the social science was introduced to Korea as a state science based on international laws and focused on promoting the nation`s spirit. The most powerful group that influenced in introducing social science to Korea was Koreans studying in Japan, because they were the majority in number as well as the influence of Japan was critical at that time. Yu Kil Chun and Philip Jaison introduced Anglo-American laws to Korea, but their activities were not academic one but part of enlightenment campaign. Yu Kil Chun also wrote "Notes on Neutrality"(1885), "Writings on Experience of Western States"(1895), and "Politics". He became the most important writer and pioneer on the part of state science and political science. Syngman Rhee wrote "Independence Spirit"(1910) during his imprisonment period. Yu Kil Chun and Yeo Byung Hyun wrote several articles on economics and focused on self-rehabilitation movement. The Korean elites studying in the U.S. embraced the westernized civilization concept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studying abroad. They ha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s well as racism all-prevailing at that time. They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state but they focused on the racial conflict between white and yellow. Their foreign policy was neutralization diplomacy and political reform focusing on enlightenment campaign. The rehabilitation of industry and mass education were the core of the enlightenment campaign. Daehanjakanghoe and Daehanhyuphoe were the major enlightenment campaign organizations in which the Korean elites studying in the U.S. participated after the 1905 period. The Korean elites studying in the U.S. played diverse roles in political and social parts. The politician who participated in the Reformist Revolution of 1884 served as ministers after they returned to Korea. Kiu Beung Surh, Chong Ki Ye, and Yun Chung Kim served as directors of bureaus during King Kojong`s reform period. Kye Pil Ye, Yeo Byung Hyun, and Young Kyu Park served as county governors.

      • KCI등재후보

        미국이주 한인들의 문화적응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임지선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7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of Korean immigrants’ acculturation in the United States. Narrative inquiry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Seven Korean immigrants were selected by using criterion-based selection and provided with their experiences and stories of acculturation. The entire data collection period was about 12 months from September 2014 to August 2015.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 recorded in-depth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 addition to the interviews, other unofficial communications with the participants, such as e-mails, telephone calls, text messages were also analyzed. The participants’ stories were coded narratively by adding time and space, person, and events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o the flow of the stories under the main research theme of Korean immigrants’ acculturation in the United States. After the stories were coded, each participant’s story was restructur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shared by the participants was found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narrative stories. The meaning of the acculturation in each participant’s story was expressed through the metaphor of “desert.” In this study, “desert” is used as a metaphor for the Korean immigrants’ acculturation process. Experience of the Korean immigrants’ acculturation process, which is likened to “desert,” is “brightness of the desert” and it also means “darkness of the desert.” This study provides more vivid and rich materials to understand Korean immigrants’ acculturation process from their perspective. This study would also extend the understanding relating to the meaning of Korean immigrants’ acculturation process in the United States.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이주 한인들의 문화적응의 의미를 깊이 있게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 추출 방법에 의하여 미국이주 한인 7명을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9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약 12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를 내러티브적으로 코딩하고 주제를 전개하였다. 미국이주 한인들의 문화적응의 의미는 ‘사막’으로 은유되었다. 미국이주 한인들의문화적응 경험은 ‘설레는 여정의 시작’이자 ‘새로운 곳에서의 당찬 포부’를 의미하는 동시에, 사막에서의 낯선 여정이 이어지면서 드러나는 ‘끝이 보이지 않는 고립감’과 ‘생존을 위한 투쟁’, 그리고 ‘계속되는 도전’ 등의 ‘험난한 사막의 실체’를 함께 담아내고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미국이주 한인들의 관점에서 그들의 문화적응 삶에 대하여이해하는데 보다 생생하고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각기 다른 모습으로 미국문화에 적응해가는 미국이주 한인들의 이야기와 문화적응의 의미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살펴본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미국이주 한인들의 문화적응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 뉴욕시와 뉴저지 지역 사례 연구

        성용은(Sung, Yong E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6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실증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조사를 위해서 미국내 한인 성매매 여성, 성 구매 남성, 여성인권 NGO 직원 및 현지 경찰, 학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뉴욕시와 뉴저지 지역에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일반 성매매 여성의 평균 연령(32.4세)은 인신매매 관련 피해여성의 평균 연령(36.6세)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80% 이상의 여성이 전문대학교 이상을 졸업하고, 70% 이상이 한국 국적을 소지하고 있었다. 둘째, 성매매 여성의 일부는 한국에서의 빚을 갚기 위해 입국비용까지도 빚을 내어 미국으로 입국한 경우도 있었으며, 학생신분의 비자(F-1)를 발급받아서 유흥업소에 종사 하면서 성매매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셋째, 대체로 친구나 지인에 의한 네트워크와 인터넷 성매매 구인사이트에 의해 성매매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성매매 여성은 하루 약 10-11시간 일을 하며, 열악한 업무환경에 처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미국 비자면제프로그램이 시행된 이후 한국 여성의 미국 성산업 유입이 더욱 용이해지고 있었다. 마지 막으로 미국 내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과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to provide a policy impl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using methods of interview investigation with Korean prostitute, Korean Men who payed sex, staffs of Women Rights NGO and police officers, and academia professionals in New York City Metropolitan and New Jersey. The findings show that: 1) the average age of prostitute was 31.4 years old and the average age of sexual exploitation of Women was 36.6 years old; over 80% of prostitute finished a college level education; over 70% of prostitute have a Korean citizen; 2) some prostitute came to the United States for paying their debt; the numbers of prostitute hold a student visa (F-1) status in order to work in the Sex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3) majority of prostitute was recruited by friends and/or acquaintance and by online advertising for recruiting the sex worker; 4) the average duty hours of prostitute was 10-11 hours and they was under a poor work environment; 5) Visa Waiver Program have facilitated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Lastly, the study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a discussion of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 KCI등재

        미국과 독일의 대안교육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대안교육에 대한 시사점 도출: 법, 재정, 학력 인정을 중심으로

        유은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overseas alternative education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s in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To this end, the U.S. and Germany, two countries that had a profound impact on education in Korea are selected for comparison.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in various aspects such as background, law, finance, and academic recognition. Findings demonstrate that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is considered to be an attempt to give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are at risk of discontinuing their studies a chance to continue their studies. It is found that various forms of alternative education are recognized to emphasize the autonomy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Germany ensures equity in education by managing and supervising the quality of alternativ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obligation to attend school is stipulated by law, so education in the form of home schooling is not allowed at all. Based on the comparison of alternative educ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the study reveals that thos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re also remarkable in various aspects of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It draw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 in terms of its meaning, law, finance, and academic recognition.

      • KCI등재

        제국의 제언과 내면화된 오리엔탈리즘

        송명진(Song, Myung-jin)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6 No.-

        본 연구는 미국 유학생 잡지 『우라키』에 게재된 서양인의 제언을 분석하여 미국 유학생의 내면화된 오리엔탈리즘을 규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우라키』소재 소설의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우라키』에 제국의 제언으로 규정할 만한 논설은 총 7편이었다. 이 논설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는 ‘조선의 정체성’과 관련된 것이었다. 제국은 문명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야만으로 규정될 수 있는 타자를 필요로 했다. 조선에게 요구된 정체성은 곧 그들을 위한 타자로서의 정체성이었다. 둘째, 발전의 논리와 관련된 것이었다. 조선의 발전을 주장하는 논의의 대부분은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옹호를 함축하고 있었다. 즉, 일본의 식민 정책에 의해 조선이 발전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발전으로 인해 누릴 수 있는 혜택에서 조선은 소외되어 있었다. 따라서 『우라키』에 게재된 제국의 제언은 대부분 제국 스스로를 위한 것일뿐, 식민지 조선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 제국의 제언 속에 내포되어 있는 오리엔탈리즘은 『우라키』소재 소설에서도 드러났다. 장성욱의 모르는 나라로! 와 구름의 밧가운데집 은 각각 “부녀간의 사랑”과 “결혼한 여성의 불륜”이라는 파격적인 사랑을 형상화했다. 그러나 이들 사랑을 대하는 문명과 야만의 태도는 달랐다. 즉, “부녀간의 사랑”을 배제하는 문명과 “결혼한 여성의 불륜”을 허용하는 조선을 대비시킴으로써, 이 소설들은 조선에 대한 내면화된 오리엔탈리즘을 서사화했다. 미국 유학생들이 편찬한 우라키라는 잡지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그동안 간과되었던『우라키』를 오리엔탈리즘적 관점에서 고찰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This paper did a research on the internalized orientalism of Korean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uggestions of the West in the Uraki(The Rocky) . Based on this, this paper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ctions in the Uraki(The Rocky). The suggestions of the West in the Uraki(The Rocky) were all seven.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of these proposals. The first was related to “the identify of Korea”. The Second was related to the logic of development. However their suggestions were not for colonial Korea but for empire. The orientalism implied in the suggestions of empire also appeared in the fictions in the Uraki(The Rocky) . Some works have portrayed taboo love. But the love forbidden by civilization was possible in Korea. Through this way, Korea was defined as undeveloped. The Uraki(The Rocky) written by Korean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was not discussed much.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discussing Uraki(The Rocky) in terms of orientalism.

      • KCI등재

        19세기 말 20세기 초중반 미국유학생의 유학 배경과 졸업 후 활동 -미주 내 학교와 지역을 중심으로-

        장경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5

        This thesis compiled a list of students studying abroa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and mid-20th centuries, and examined their background and post-graduation activities by associating them with schools and regions. Not only mission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princes, doctors, and bankers from various backgrounds. Before 1919, they studied mainly at certain universities with the help of missionaries, and after that, they were able to go to America with the help of the The Korean Student Federation of North America(북미대한인유학생총회) and the Korean society in America(미주한인사회), but the number of Korean students dropped sharply in 1932 due to the financial crisis. According to the overall statistics on Korean students, Northwestern University, Michigan University, and Chicago University had the largest number of areas where international students went through.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seen as "the concentration of overseas students in the east," but in fact, there were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students in the middle and many in the west. However, such a theory was established because those who held key posts in Korea after returning to Korea were concentrated on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eastern part of the country, such as Columbia University and New York University. In addition, most of the graduates of universities in the western region remained in the U.S. to participate in World War II or support U.S Army, and after Korean independence, they either got a job in the U.S. or engaged in business. 본 논문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중반까지의 미국유학생 명단과 도미배경, 졸업 후 활동 등을 학교 및 지역과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미션스쿨 학생, 고학생, 왕자, 의사, 은행원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직업을 가진 이들은 각자의 배경을 가지고 도미했다. 미국유학생들은 1919년 이전까지는 주로 선교사들의 도움으로 특정대학을 중심으로 도미했고, 그 이후에는 미션스쿨 출신들이 북미대한인유학생총회와 미주한인사회의 도움으로 도미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32년 재정 위기가 닥치자 유학생이 급감했다. 유학생 전체 통계를 내보면 노스웨스턴대학, 미시건대학, 시카고대학 등 중부지역에 가장 많이 유학생이 거쳐 갔다.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유학생이 동부에 집중된 것’으로 봤는데, 본 연구에서는 유학생은 ‘동부에서 뿐만 아니라 중부에 가장 많았고, 서부에도 많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 되었다. 다만, 귀국 이후 한국에서 요직을 담당한 이들이 컬럼비아대학, 뉴욕대학 등 동부지역 유학생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통설이 자리 잡게 된 것이었다. 중부 지역 소재 학교를 거친 이들은 의학 전공자, 미션스쿨 교수 등이 다수를 차지하였고, 동부 지역을 거친 이들은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 요직에 진출한 이들이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동부 지역의 컬럼비아 대학을 졸업한 이들이 그러하다. 남부 지역은 주로 타 지역으로 옮겨가는 경우가 확인이 되며, 서부 지역과 하와이에서는 그 지역의 학교를 나오고 다른 지역의 학교로 진출하는 비율이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을 뿐만 아니라 해방 이후 정계에 진출한 이들이 거의 없었다. 귀국한 이들은 대부분 교수직에 취임하였지만, 정계에 진출한 이들도 많았다. 이들의 전공별 동향을 살펴보면 정치, 법학을 전공한 이들이 다수 정계에 진출한 가운데, 경제‧경영을 전공한 이들 중에서 정계에 진출한 이 또한 다수를 차지했다. 특히 컬럼비아 등 동부 지역 출신들은 해방 이후에, 노스웨스턴 등 중부 지역 출신들은 제1공화국 시기에 요직에 진출하였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귀국하지 않고 미국에 남은 이들은 대부분 서부지역 대학을 거쳐 간 이들이다. 서부지역을 거친 유학생은 대부분 귀국하지 않고 미주에 남아서 그 지역에서 독립운동 혹은 목회 활동을 했다. 이들은 대부분 미국에 남아 제2차 세계대전에 직접 참여하거나 후방에서 지원하는 등 독립운동을 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미국에서 취직하거나 사업에 종사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재조선 선교사 Miss Nellie B. Rankin의 전주 정착과 조선살이

        김명숙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90 No.-

        본고는 1907년 미국 남장로교회 선교사로 전주에 파견된 Miss Nellie B. Rankin(羅恩希: 1879-1911)이 고향의 가족 및 친구들에게 보낸 편지를 분석하여, 조선을 지극히 사랑하였던 여선교사의 전주 정착과 이후 선교사로서 조선에서의 삶을 미시사·생활사의 관점에서 살펴 본 것이다. 랭킨은 조지아주 Savannah의 Independent Presbyterian Church 장로의 딸로 태어나 Agnes Scott 대학을 졸업한 기독교 가문 출신의 선교사였다. 그러나 그녀의 부모는 딸의 조선 선교사 파견을 강력히 반대하였는데, 이는 중산층의 삶을 추구했던 그녀의 부모가 딸이 선교사로서 살기를 바라지 않은데다가, 당시 조선은 미국인들에게 청일·러일전쟁을 겪은 매우 위험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부모의 반대를 극복하고 1907년 2월 13일 전주에 도착한 랭킨은 성곽도시 전주의 역사적 배경과 함께 아름다운 자연에 매료되어 전원생활을 즐기면서 조선에 빠르게 적응하였다. 도착 한 지 1주일 후부터 시작된 조선어 공부 역시 어려운 문법과 존대어·평어·하대어의 구분으로 쉽지 않았으나, 그녀의 교육선교에의 열망은 다른 선교사에 비해 빠른 속도로 조선어를 습득하도록 한 동력이 되었다. 28살에 조선에 온 Miss 랭킨은 30살을 넘기면서 스스로 ‘노처녀’임을 인정하며, 당시 조선에 온 선교사의 2/3가 여성선교사인 상황에서 미혼인 여선교사들의 결혼이 쉽지 않은 현실을 슬퍼하는 내면세계를 어머니와 남동생 Will에게 토로하기도 한다. 랭킨은 전주의 여성교육과 전도에 헌신하면서 교육선교사로서 정체성을 확립해나간다. 그녀는 여성교육에의 강한 열망으로 1910년 기전여학교에 서양식 교사(校舍)를 신축하고 고등과정을 개설하여 전주 여성교육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외에 랭킨은 주로 여성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성경학교나 농촌교회여성 강좌, 초급반 주일학교를 운영하며 전도활동에도 힘을 기울였다. 특히 기독교 신자가 아닌 가정의 어린 부랑아를 대상으로 주일학교를 개설하여 불신자(不信者)를 대상으로 선교의 영역을 넓히고 선도하였다. 랭킨은 4년 6개월(1907.2.13.-1911.8.13.) 동안 재조선 선교사로 사역하면서 조선이 일제로부터 국권을 침탈당하는 과정을 현지에서 직접 목도하였다. 랭킨은 고종 강제퇴위와 궁궐 유폐 등 일제의 만행을 놀라울 정도로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으며, 일본을 지구상에서 가장 ‘파렴치한 민족’이라고 비난하였다. 나아가 그는 미국의 가족·친구들에게 왜곡 전달된 조선의 사정이나 일본과의 관계를 상세히 설명하여 수정 할 정도로 조선을 사랑했던 지한파(知韓派) 지식인으로 정치의식이 성장하였다. 조선에 선교사로 온 것을 단 한 번도 후회해 본적이 없을 만큼 조선을 사랑하고 교육선교사로서 여성교육과 선교에 혼신을 다한 그녀의 삶과 이상이 한국 선교사에서 의미 있게 기억되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examined educational mission activities of Miss Nellie B. Rankin who was sent to Jeonju as a female missionary of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in 1907 and loved the Joseon Dynasty very much and her life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micro-historical viewpoint based on her letters to her families and friends in her hometown. Rankin was born a daughter of an elder of Independent Presbyterian Church in Savannah, Georgia. She was from the Christianity family and graduated from Agnes Scott College. However, her parents strictly opposed her dispatch of missionary to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y thought it was the non-civilized backward nation and was very dangerous after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Rankin who arrived at Jeonju on February 13, 1970 after overcoming parental disapproval enjoyed country life and adapted herself to the Joseon Dynasty quickly being fascinated by historical background of Jeonju, the walled city and the beautiful nature. She started studying Korean from the day after her arrival. She had difficulties in difficult grammar and classifying words into terms of respect and normal words. Her desire for educational mission became a force for learning Korean more quickly than other missionaries. Miss Rankin who had visited Korea when she was 28 years old admitted that she was 'a maiden lady' when she was 30 years old. She expressed her feelings about her inner world to her mother and Will, her younger brother. She was sad about the reality that it was difficult for female single missionaries to get married in the situation that 2/3 of the missionaries who visited Korea was the women. However, Rankin established her identity as the educational missionary devoting herself to the education and mission of women in Jeonju. Her strong desire for the education of women was realized by establishing a new Western school building (校舍) and opening an advanced course in Jeonju Gigeon School for Girls(紀全女學校) in 1910. In addition, she focused on evangelical preaching by establishing 'Sunday School for Girls' for girls in the families that were not Christians. Rankin directly witnessed the process that Japan dispossed the Joseon Dynasty of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carrying out the ministry as the missionary in Korea from 1907 to 1911. Rankin surprisingly and exactly understood brutality of the Japanese Empire including the fact that Imperial Japan forced Emperor Gojong to abdicate the throne and he was confined in a palace. And she criticized Japan saying that it is the most shameless race on the earth. Furthermore, she grew as the intellectual of the pro-Korean group (知韓派) who loved the Joseon Dynasty as she explained the Joseon Dynasty's situations that were distorted and delivered to the world and its relationship with Japan to her families and friends in U.S. and her political awareness also did. The researcher hopes people will remember that her life and spirit to love the Joseon Dynasty as she never regretted visiting Korea as the missionary and do her best to educating women and go on missions to them as the educational missionary are meaningful.

      • KCI등재

        해방이후 ‘국비 미국유학생’의 탄생

        윤종문(Yoon, Jong Mun)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1

        해방이후 최초의 국비 미국유학생이 등장했다. 점령 직후부터 1948년 6월까지 주한미군 당국자들은 미 연방정부를 대상으로 다수 한국 학생들의 미국유학을 요구했다. 그들의 줄기찬 요구는 관철될 수 없었다. 한국의 ‘전략적 가치’가 낮다고 판단한 연방정부와 의회는 관련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 주한 미군 당국자들의 요구를 마냥 무시할 수 없었던 전쟁부는 1947년 4월 한국에서 교육재건 방안을 조사하고 돌아온 ‘對韓 교육 · 공보 조사사절단’의 권고를 받아들였다. 이들은 엄격한 기준으로 선정한 소수의 한국인 학생들을 미국에 유학시킬 것을 권고했다. 전쟁부는 한국인 35명을 선정하여 미국 고등교육기관에 입학시키기로 결론 내렸다. 전쟁부는 점령지역구제자금 가운데 일부를 학생들의 여비로 지불하고, 한국정부가 소유한 외화에서 16만 불을 학비와 생활비 등에 사용하기로 했다. 1948년 6월 30일부터 1949년 7월까지 유학생 35명 선정 작업은 ‘장학위원회’와 ‘미국유학 · 연수위원회’가 맡았다. 선정된 인사들의 학교배치 작업은 국제교육협회가 몫이었다. 정부자금과 기관을 통해서 처음으로 유학생을 선정하는 과정은 혼란의 연속이었다. 그 결과 당초 선정되었던 인사들 중 일부는 전혀 다른 인사들로 교체되는 일도 일어났다. 비록 혼란은 있었지만, 이때 선정된 인사들은 수학 후 한국에 돌아와 교육 및 경제발전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했다. The first Korean Government Sponsored Students in the U.S. has appeared since V-J Day. The headquarters of United States Army in Korea called on U.S. Government to study Korean student in the U.S. from October, 1945 to June, 1948, but this project had could not put into practice because of federal budget shortfall. War Department accepted USAMGIK’s demand and Educational and Informational Survey Mission to Korea’s recommend. War Department came to conclusion that 35 Korean students send to U.S. Higher Education Institute. U.S. Government decided to cover the travel expenses with GARIOA funds, tuition and living expenses of 35 Korean students with foreign currency owned by the Republic of Korea. The Scholarship Committee and The Korean Committee on Study and Training in the United States in charge of the selection of 35 Korean Government Sponsored Students in the U.S. from June 30, 1948 to July 1949.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in charge of educational institute arrangement of 35 Korean students. Korean Government Sponsored Student’s selection work was first, it was serious of confusion. As a result, some of first selected students had replaced by completely different students. Although there was confusion, selected Korean Government Sponsored Students after studying in U.S. had played a pivotal role in education and economic rehabilit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