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金現感虎(금현감호)>와『太平廣記(태평광기)』 소재 虎女(호녀) 이야기의 비교 고찰

        덩위첸 ( Yuchen Deng )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4 동방문학비교연구 Vol.2 No.-

        <김현감호>는 호랑이 처녀가 인간으로 변신하여 사람과 사랑을 나눈 후, 죽음으로써 사랑하는 사람의 立身揚名을 돕는다는 奇異한 이야기이다. 일연이 삼국유사 에서 <金現感虎>의 虎女와 唐 傳奇 <申屠澄>에 나타난 虎女를 비교 하며 그녀의 犧牲을 칭찬하는 讚을 붙였기 때문에, <김현감호>의 연구는 항상 <신도징>과 함께 언급되어 왔다. 이때 <신도징>은 일연의 삼국유사 에서만 언급되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김현감호>의 요약문을 수록한 대동운부군옥 에 <신도징>이 같이 수록되지 않았다는 것은 일연이 <신도징>을 수록한 특별한 用意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신도징>과의 비교를 통해 <김현감호>의 장르적 성격을 파악한 연구는 집적되어 있지만, 두 작품의 親緣性이 무엇인지, 일연이 <신도징>을 특별히 수록한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작품을 이해하기에 앞서 편찬자의 의도부터 파악하여야만 한다는 인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한다. 일연이 <김현감호>에 덧붙여 <신도징>을 제시한 것을 감안해 볼 때, 그가 태평광기를 읽었다는 사실은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태평광기 권426~권 433에는 호랑이에 관한 이야기 총 80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변신모티프를 가진 이야기는 모두 29편인데, 특히 <김현감호>처럼 호랑이가 여자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인간 남자와 관계를 맺은 이야기는 <袁雙>, <天寶選人>, <申屠澄>, <崔韜> 총 4편이다. 이처럼 태평광기 소재 호녀 이야기가 총 4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연은 <신도징>만 골라서 삼국유사 에 실었다. 이를 통 해 분명히 일연의 편찬의도가 담겨 있으리라 추정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아무도 그에 대해서 관심을 갖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신도징>에 한하지 않고 태평광기 소재 4편의 호녀 이야기와 함께, 이들의 서사 구조를 비교함으로써 <김현감호>와의 영향관계를 밝히고, 나아가 일연의 편찬의도를 살폈다. 태평광기 소재 호녀 이야기 구조와의 비교를 통해, <김현감호>의 호녀는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과정을 서사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일연은 호녀의이야기를 서사화하는 과정에서 첫째, 호녀의 人間性과 獸性을 내세웠으며, 둘째, 호녀와 인간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에 의탁해 서술하는 傳奇的 기법을 사용 하였는데, 이를 <김현감호>와 태평광기 의 영향관계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김현감호>는 태평광기 소재 호녀 이야기의 구조를 이어가면서도 변이양상을 보이며 호녀의 형상을 통해 독자성을 충분히 드러내고 있다. 호녀는 자발적인 희생으로 모두를 이롭게 하였으므로 신성화되었는데 이것은 일연의 불교적 편찬의도와 민간 신앙에 의해 가능해진 것이다. The Kimhyungamho is a odd story that a tiger woman turn into a person who Kimhyun loves with, She brings him his success as her sacrifice. Ilyeon who wrote the Samgukyusa referred the reader to Sindojing``s tiger woman in Tang Dinasty, so he complimented Kimhyungamho``s tiger woman on her character of animals. Therefore, an erstwhile Kimhyungamho``s opinion has been always noticed in Sindojing together. Thus I think the Sindojing is referred for only Ilyeon in Samgukyusa which is remarkable. Because there was Kimhyungamho``s abstract but was no Sindojing``s story in Daedongunbugunok, Ilyeon``s mention maybe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is point which referred Sindojing together. Whereas if you look at it, a previous study has converged discussion about genre compared with Sindojing. In other words, there is no study that don``t know what it is about affinity between two works, and about intention which of Ilyeon especially referred Sindojing. Therefore, this thesis analysis that Ilyeon, who is compiler, make intention. When I consider that Ilyeon suggested Sindojing in together Kimhyungamho, the fact that he had read Taepyeongkwangki is persuasive. The stories of tiger contain a number of eighty pieces in Taepyeongkwangki. Among theses is twenty-nine pieces about transformation motives. Furthermore, like Kimhyungamho stories that a tiger turn into a person who loves a man is four pieces, Wonssang, Chunbosunin, Sindojing, Choido. Though there is four pieces of tiger woman stories in Taepyeongkwangki, Ilyeon choose only Sindojing included in Samgukyusa. So through this fact, in spite of the assumed compiler of making intention, no one really has concerned itself with previous study. Accordingly, this thesis aims to determine effect relationship by comparison of story structure chosen on four pieces of tiger woman stories in Taepyungkwangki, and in company with Ilyeon of making intention. By comparing structure of tiger woman stories in Taepyungkwangki, tiger woman in Kimhyungamho shows description that she find out identity of herself. Narrating the process in tiger woman story, Ilyeon has the First, putting up humanity and character of animals of a tiger woman. Second, showing the love story of a tiger woman and a person in effect relationship of Kimhyungamho and Taepyungkwangki, he recognize to make use of novel technique. The Kimhyungamho tends to keep the structure of tiger woman stories in Taepyungkwangki, but at the same time to have variation patterns, and to show the unique form of a tiger woman. Because of advancing everyone as sacrifice of tiger woman, she becomes holy. This reason makes Ilyeon possible for making intention about idea of Buddhism and folk religion.

      • KCI등재

        「김현감호」에 나타난 인정과 환대

        이금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人文硏究 Vol.0 No.106

        본고에서는 삼국유사 에 나오는 「김현감호」를 이항 대립의 구조로 설명하고, 그 심층적 의미를 이해한 뒤 지금 여기서의 자기 이해라는 관점에서 해석해 보았다. 「김현감호」를 서로 다른 이질적인 세계의 충돌과 그에 대응하는 삶의 자세를 보여주는 텍스트로 보고, 인정과 살림 여부의 이항 대립 구조로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이질적 존재가 만나 살림(+)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존재 자체에 대한 인정(+)이 필요하고, 이런 인정과 환대는 세상을 바꾸는 부드러운 힘이 된다. 「김현감호」에서 보이는 타자에 대한 인정과 환대는 스스로 경계를 넘고 자신의 삶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자만이 보여줄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호랑이 아가씨의 죽음은 호랑이와 왕이라는 적대관계를 바꾸기 위한 주체의 숭고한 선택이고, 생명의 사멸성을 극복하는 위대한 행위라 할 수 있다. 「김현감호」에서 보여주는 인정과 환대의 태도는 노마드적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도 꼭 필요한 삶의 자세이다. In this paper, “KimHyungamho” in “Samgukyusa” was explained as a structure of binary confrontation, understood its deep meaning, and interpret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self-understanding here. Considering “KimHyungamho” as showing the conflict of different heterogeneous worlds and the attitude of life corresponding to it, the text was analyzed with a binary confrontation structure of recognition and living. In order for heterogeneous beings to meet and make a living(+), recognition of the existence itself is necessary above all else. The recognition and hospitality of the other in “KimHyungamho” can only be shown by those who cross the boundaries and reflect on their lives. In that sense, the death of the tiger girl is the sublime choice of the subject to change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tiger and the king, and it can be said to be a great act of overcoming the apocalyptic nature of life. The attitude of recognition and hospitality shown in “KimHyungamho” is an essential attitude of life even for modern people living as Nomad strangers.

      • KCI등재

        「김현감호」에 나타난 虎女의 상징에 대한 의미와 재해석

        김종대(Kim Jongdae)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0 No.-

        「김현감호」의 주제는 인간인 남자와 호랑이인 여자와의 사랑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호랑이의 희생을 통한 호원사연기설화로서 정착하였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여기서 주된 논의 대상은 호랑이 여자인 虎女의 상징에 대한 것이다. 호녀라는 의미를 통해서 산신적 존재로 이해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高麗世系>의 기록인 호경장군과 여산신이었던 호랑이를 근거로 삼은 결과였다. 하지만 김현과 사랑에 빠진 호녀의 희생은 김현을 위한 것이기 보다는 호랑이인 오라버니의 징치를 대신한 결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이러한 사정은 숫호랑이에 주목하지 않고, 주로 김현과의 사랑과 호원사 창건과 관련한 내용에 더 의미를 부여하였다. 무엇보다도 이런 사정으로 끌고 간 이유는 「김현감호」의 말미에 달아놓은 「신도징」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보인다. 그러나 「신도징」을 제시한 것은 「김현감호」식의 의미를 추출하기 보다는 불교의 포교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 일연의 『삼국유사』 집필전략 때문이다. 「신도징」의 경우 제자와 스승과의 관계로 제시되어 있어 「김현감호」식의 맥락과는 전혀 무관한 면모를 갖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김현감호」의 호녀는 산신적 속성보다는 당대의 표현 흐름으로 볼 수 있는 異物交婚적 속성으로서의 동물계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다. 이러한 사정은 작제건의 부인인 저민의나 강감찬의 모친으로 등장한 여우들의 표현이 이루어지는 당대의 문화적 특징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아진다. 저민의나 狐母의 경우 그들의 역할을 마친 후에 다시 동물계로 귀환한다. 즉 인간계에 남지 못하고 자신의 세계로 다시 회귀할 수밖에 없는 것이 바로 당시의 이물교혼적 표현방식이었기 때문이다. 「김현감호」의 虎女의 경우에는 죽음이라는 장치를 사용하기는 했어도 인간계로 편입되지 못하고 동물계에 잔존한 결과를 보여준다. 특히 자신의 희생은 김현의 출세를 위한 것이라는 표면적인 표현이 있기는 하나, 실제로는 자신의 세계인 호랑이계를 존속시키기 위한 의도가 더 강했다는 것을 읽을 수 있었다. 그런 관점에서 호녀는 산신적인 존재물이기 보다는 이물교혼적 속성을 지닌 존재로서 이해하는 것이 더 유의미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ce of the Honyeo (the tiger that turns into a woman) in Kimhyungamho (a folk tale of Kim Hyun who married a tiger woman in the Silla dynasty). Until today, the Honyeo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symbol of the tiger or mountain deity. However, I would like to propose the view that the focus is on Imulgyohon (marriage between man and animal). When connected with the cultural attributes of the time, it makes more sense when the Honyeo is explained with a view of Imulgyohon rather than as the symbol of the tiger or mountain deity. In previous research, the Honyeo was considered to be a special figure that was connected with the mountain deity. Thus, it was believed that this kind of tale showed the transition to Buddhism from folk beliefs. However, the Honyeo is different from the mountain deities in terms of its behavior and purpose. In many stories, they appeared before the king or noblemen and expressed concern about the comfort of the country. However, in the story of Kimhyungamho, the Honyeo is closer to the Buddhist propagation. At that time, the concept of Imulgyohon was widely used in order to disseminate Buddhism. The Honyeo was not incorporated into the human world, and they could not escape their world even through death. There are several examples in folktales that show Honyeo who could not be incorporated into the human world. Along with this, Ilyeon’s (a Buddhist monk as well as a writer) writing strategy is clear in his writing of Samgukyusa, considering the sky’s will to rule the Tigers. For example, a male tiger that represented the Honyeo’s older brother was punished by the sky because of his misbehavior. This shows the victory of Buddhism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Buddhism and folk beliefs. The Honyeo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spread Buddhism. It becomes clearer when the Honyeo returned to the animal world after death. The Honyeo had femininity, but she could not reach to the god’s position. To conclude, the Honyeo was used for disseminating Buddhism, and the concept of Imulgyohon made the Honyeo’s character more distinctive.

      • KCI등재

        호랑이처녀의 변신과 희생에 나타난 대칭적 사고 고찰 -『삼국유사』의 < 김현감호 >를 중심으로-

        김정은 ( Jeong-eun Kim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2 No.-

        본 논문에서는 『삼국유사』의 <김현감호>에 나오는 두 호랑이처녀의 이야기를 출세담 혹은 보은담으로 해석하는 것을 넘어서기 위해, 나카자와 신이치의 ‘대칭적 사고’를 바탕으로 변신과 희생의 의미를 재해석해 보았다. <김현감호>의 두 이야기는 인간적인삶을 동경하는 호랑이처녀의 이야기로 인간과 동물의 교감이 이루어지는 이야기이다. 인간과 동물을 동등하게 생각하는 신화적 발상인 대칭적 사고로 보았을 때 호랑이처녀의 행위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했다. 대칭적 사고를 통해 인간과 동물은 자유롭게 교류한다. 그 교류의 중심에 변신이 있다. 인간의 삶을 동경하는 호랑이들은 처녀로 변신한다. 그러나 진정한 인간으로 변하기 위해 혹은 인간으로 계속 살기 위해서는 감정적 유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김현의호랑이는 김현을 통해 인간과 교감을 나누고자 했지만, 호랑이 삶에 충실한 오라버니들이 축생의 삶을 각인시킨다. 결국 김현의 호랑이처녀는 일시적인 변신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음을 깨닫는다. 신도징의 호녀는 이와 다르게 신도징과 부부의 정으로 단란한 사람의 삶을 사는데 성공하지만, 이전에 자신을 지배했던 산림의 삶을 그리워함으로써, 사람의 삶을 동경했던 자신과 갈등을 한다. 요컨대 이들의 변신을 통해 존재의 변화가 없는 완전한 변신은 있을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호랑이처녀는 변신만으로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허물어트릴 수 없다는 것을 알았기에 다섯 가지 의로움을 말하며 자신을 희생한다. 대칭적 사고는 홀로 존재할 수 없고, 하나만이 우세하지 않은 상호간에 연관성을 고찰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 연관성이 있기에 호랑이처녀의 희생은 무한의 가치를 만들어내게 된 것으로 보았다. 호랑이처녀가 진정으로 욕망했던 것이 김현의 출세였고 교환의 등가가치였다면, 이처럼 많은 명령, 소원, 경사, 복, 기쁨이 한 번에 쏟아져 나올 수는 없다. 특히 ‘소원’이라는 대목에서 지고성(至高性)을 보게 해 더 많은 가치를 형성하게 한다. 호랑이처녀의 행위는 한계가 있는 세계를 무너뜨려 새로운 무한의 영역을 사람들이 보게 하는 진정한 의미의 대칭적 사고라 할 수 있겠다. This manuscript reinterpreted meaning of transformation and sacrifice based on Nakazawa Shinichi’s symmetric thought to transgress interpretation of “Kimhyungamho”’s story of two tiger girls in 『samkungnyusa』as an up-from-the-bottom story or a return the favour story. “Kimhyungamho”’s two story is the tiger girls’s story who admire humane life and is the story humans is in communion with animals. The two story is a different story but I considered the meaning of the tiger girls’s actions in applying the symmetric thought that to treat humans and animals equally. Humans interact freely with an animals through the symmetric thought. There is transformation in the center of the exchange. The tigers which admire humane life changed into a girls. However, it has formed a emotional bond between them to change into a real human being or continue to live as a human being. In short, their transformation is a progressive show perfect transformation does not exist without a change in being. The tiger girl who knew she was not able to break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animals for transformation is make sacrifices with five righteous virtue. The symmetric thought make people consider mutual association doesn’t exist alone and isn’t just superior only one. With this interconnection, the tiger girl’s sacrifice is producing a infinite value. If it was Kimhyun’s successful career and countervalue of exchange what the tiger girl truly wanted, it can not be poured out so many command, happy occasion, good fortune, pleasure. Especially, in this respect ‘wish’, it is more have formed value thorough the eagerness of pure-giving. The tiger girl’s actions is the pure-giving in the true meaning which others can view new illimitable field by break down bounded world.

      • KCI등재

        <김현감호>에 나타난 호녀와 김현의 상호 인정 관계에 대한 고찰

        조하연 ( Cho Hayou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2 고전문학과 교육 Vol.23 No.-

        이 글은 일연의 『三國遺事』의 ‘感通’편에 등장하는 <金現感虎>를 인간의 사회적 삶에서 필수적인 요소인 ‘상호 인정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이야기가 인간과 짐승의 경계에서 고민하던 虎女가 인간의 세계에서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되어 있다고 볼 때, 호녀가 인간인 김현과 어떤 상호작용을 나누었는가를 상세히 고찰함으로써 호녀의 삶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가 가능하며, 오늘날 우리의 인간관계에 대해서도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출발점이다. 김현과의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볼 때 호녀의 삶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사회적 삶을 위해 필수적인 인정을 획득해 가는 과정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호녀와 김현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하는 인정을 호네트의 이론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호녀와 김현 사이에는 정서적 일치에 근거한 사랑, 도덕성에 대한 인지적 존중, 사회적 가치 부여라는 인정의 형식들이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호녀는 인간으로서 자기에 대한 믿음, 자기존중, 자기가치부여 등의 경험을 하게 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함께 분석의 과정에서 호녀의 자아실현 과정에 나타난 비극적 측면을 아울러 확인할 수도 있다. 호녀의 자아실현은 스스로 자기를 부정하는 형식을 통해 구현되는 역설적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호녀의 자아실현 과정이 그리 성공적이지만은 않았다는 것을 말해 준다. 미드가 제시한 자아의 구성요소인 ‘I’와 ‘me’의 역동적 상호 과정을 참조할 때 호녀의 자아실현 과정은 극도의 경직성과 억압을 보여주었다. 호녀의 삶에 대한 이와 같은 고찰은 사회 속에서 자아를 실현해야 하는 인간의 보편적 조건에 비추어 볼 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하나는 인간의 성공적 삶에서 사회적 관계에서의 인정이라는 요소가 얼마나 중요한가 하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그 과정에서 지나치게 사회적 가치를 우선시할 때 나타날 수 있는 개인에 대한 억압이 때로는 커다란 비극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렇듯 호녀의 이야기가 담고 있는 자아실현의 숭고와 비극은 이 이야기가 오늘날의 사람들에게도 여전히 흥미로울 수 있는 이유가 될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analysis the story of Kimhyungamho in the Samgukyusa according to the concept of mutual recognition. Because I think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Kimhyun and tiger woman reveals the secret of tiger woman's behavior. In the tiger woman's life we can see the way how she achieve the recognition which is inevitable in human life. I analyzed the tiger woman's life from the theory of Axel Honneth. He says that the recognition in the human life consist of three stages.; emotional consideration, cognitive respect and authorizing of social value. I think that the tiger woman and Kimhyun share the love in emotional agreement, cognitive respect based on morality, and authorizing social value. However I think that the tiger woman showed too much spasticity in the course of self-realization, and it made her life tragedy. She accepted the social values without any doubt and sacrificed herself. The result of the sacrifice is her death. It is clear that the tiger woman's life is noble, but in the course of acquisition of recognition she pressed her-self extremely. It is the tragedy of her life.

      • KCI등재

        <김현감호>형 서사에 내재된 사냥의례 전통과 불교적 섭화

        홍연표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7

        본고는 <김현감호>와 동일 유형의 각편들을 신화적 관점에서 고찰한 글이다. 전 각편에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모티프가 ‘호환의 발생과 종결’이며 그 방식이 사냥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호환방지의례를 구 성하는 관념이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호환방지와 관련된 다양한 신화적 인식 을 살피면서 작품의 구성을 고찰하였는 바, 먼저 후반부에서는 사냥의례에 기반하고 있는 호환방지관념이 호 녀의 자살이나 희생과 연결되는 지점을 이중초점 이론을 통하여 살폈다. 그 결과 복수나 책임의 회피와 관련 된 의도가 희생이나 자살의 방식으로 표현되었을 가능성을 추단하였다. 이어서 후반부의 서사가 사냥의례의 규약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 이유는 동물의 주의 신성성이 배후에 자리하 고 있기 때문임을 밝혔다. 아울러 작품의 구성이 호녀의 죽음 결심을 경계로 각기 예언과 실현으로 양분되고 있는 바, 전반부는 샤머니즘에 기반하고 있는 사냥의례적 서사로, 후반부는 실제적인 사냥이 이루어지는 서사 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 전반의 탑돌이 화소와 호환 종결 후 행해지는 創寺 및 흥륜사의 간장 과 같은 치료약의 존재를 무불섭화의 관점에서 읽어내고자 하였다. 즉 불교는 무속에 근간을 두고 있는 사냥 의례에서 샤먼 등이 초월적인 세계로 진입하는 능력이나, 호환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호랑이의 성공 적인 재생과 지속을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을 끊기 위한 일련의 무속적 행위들을 탑돌이-창사-치병의례 등 의 방식으로 섭화한 것이다. 즉 <김현감호>형 서사에는 무속에 대한 불교의 통어를 통해 세계관적․종교적 차 원에서 우위를 확보해 나가는 방향으로 섭화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e analysis presented in this paper is for studying the versions of Kimhyun-gamho from a mythological perspective. A common motive found in all versions is the tiger’s attack and death, which is achieved by hunting. Therefore, we have assumed that traditional hunting rituals for preventing the revenge of tigers is present in the texts. First, the second half of the work presented points that discussed preventing the revenge of the tiger connected to the tiger woman’s suicide or sacrifice, and, based on this, diagnosed that the intention of this was for the purpose of avoiding revenge or evading responsibility, and was expressed in these ways. Second, it clarified that the narrative of the first half guarantees the version’s later story, which is based on hunting rituals, because of the sacredness of the God of animals presented at the end. In addition, the writer proscribed the first half is Shamanism’s narrative in the sacred space and the second half the realization of the hunt in the real place,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works is divided by the boundary of the death of the tiger woman. Finally, after the tiger’s attack, the hero, Kimhyun, constructs a Buddhist temple and gives a remedy of hungryunsa’s (興輪寺) soy sauce or a trumpet sound. With this, the writer concluded that it changed the acting to stop the game’s resurrection or continuation of life by Shamanistic rituals, to erecting a temple or giving medicine,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function.

      • KCI등재

        『三國遺事』에 나타난 비현실적 존재와의 만남

        서철원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2 No.-

        『삼국유사』는 비현실적 존재들과 현실 속 인간의 만남을 다채롭게 서술하고 있다. 神佛, 곧 토속신앙과 외래신앙에 속한 존재들을 親見하여 신성한 깨달음을 얻었던가 하면, 신이한 여성을 만났지만 그들을 불완전하게 기억하거나 부정하기도 한다. 우선 신불과의 만남을 예로 든다. 토속신앙의 신이 승려 원광의 깨달음을 도와주었다는 설화와, 백제의 미륵신앙이 신라에 전해져 초기 화랑단의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는 기록을 떠올린다. 원광을 도와준 여우신은 小乘과 大乘의 불교를 구별할 수 있었고, 원광이 당나라에 유학을 떠나 선진 불교와 유학을 배워오게 하여 초기 신라 사상이 그 한계를 극복하는 전환기를 마련할 정도의 식견을 갖추었다. 그리고 백제에서 온 미시랑을 통해 전파된 미륵신앙은 미륵과 미륵신앙, 미륵정토 등을 각각 화랑과 신라 임금, 신라 불국토설 등의 관념으로 연결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들을 통해 토속신앙과 불교, 백제와 신라 등 대립적이었던 두 세력이 서로를 존중하여 문화적 성장을 이룬 성과를 바라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상적, 역사적 성과를 거두었던 여성들과의 만남에 결부된 불완전한 기억 혹은 否定을 살펴본다. 욱면, 김현의 아내, 선도산 성모 등에 대한 기록이 모두 그렇다. 욱면은 삼국유사 의 鄕傳에 따르면 여종이라는 신분과 성별의 제약을 모두 떨치고 순식간에 정토를 향해 날아올랐다. 그러나 같은 책의 僧傳에서는 원래 관음보살 수하의 수행승이었던 존재가 장시간에 걸친 노력으로 자신의 자리를 회복한 것으로 달리 서술되었고, 기득권 남성들과의 관계도 우호적으로 재구축되었다. 또한 김현의 아내는 남편과 오빠들을 위해 희생당했지만, 그 과정은 모두 은폐되었다가 남편이 죽기 얼마 전 남긴 글을 통해 회고될 따름이었다. 서술자로서 김현이 자기변호 대신 남긴 담담한 고백에는 간접적 참회의 성격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주인공 김현의 냉혹함이 사라질 수는 없다. 끝으로 선도산 성모는 신라를 건국한 남매-부부의 어머니였지만, 신으로서 권위를 잃고 후대의 임금이 사냥할 때 꿩을 숨겨 벼슬을 받는 처지로 몰락한다. 이렇게 여신들과의 만남은 부정되거나 기억되지 못하기도 한다. 『삼국유사』에서 비현실적 존재와의 만남을 통해 상호 존중의 문화적 가치와, 여성 형상에 대한 기억의 은폐와 왜곡이 지닌 효과를 아울러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다양성, 다원성을 어떤 태도로 대할지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describes various human encounters in reality with unrealistic beings. First of all, there was a case in which a monk met in person with the beings belonging to the folk religion and the foreign religion and gained a sacred enlightenment. And in contrast, there are also cases where they meet sacred women but forget or deny them. Take the first type as an example. The fox god helped the monk's enlightenment. In addition, Baekje's ideas were passed down to Silla, which influenced the Hwarang group. Through them, we can see the achievements of the two opposing forces in respect of each other and achieving cultural growth. Let's look at the second type. Some people fail to remember or deny encounters with women who have achieved ideological and historical results. A maidservant flew to the top of the land in an instant, breaking all restrictions on her status and gender. However, he described it differently as the original Gwaneum Bodhisattva finding his place. And a tiger woman was sacrificed for her husband and brothers. However, the process was all covered up and then recalled in an article not long before her husband died. Also, the goddess who gave birth to a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founders of Silla lost her authority as a god and collapsed. The meeting with the existence of the heresy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reveals the cultural value of mutual respect and the concealment and distortion of memories based on prejudice against certain figures. This will remind us of the diversity and plurality we face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