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현감호>에 나타난 호녀와 김현의 상호 인정 관계에 대한 고찰

        조하연 ( Cho Hayou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2 고전문학과 교육 Vol.23 No.-

        이 글은 일연의 『三國遺事』의 ‘感通’편에 등장하는 <金現感虎>를 인간의 사회적 삶에서 필수적인 요소인 ‘상호 인정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이야기가 인간과 짐승의 경계에서 고민하던 虎女가 인간의 세계에서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되어 있다고 볼 때, 호녀가 인간인 김현과 어떤 상호작용을 나누었는가를 상세히 고찰함으로써 호녀의 삶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가 가능하며, 오늘날 우리의 인간관계에 대해서도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출발점이다. 김현과의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볼 때 호녀의 삶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사회적 삶을 위해 필수적인 인정을 획득해 가는 과정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호녀와 김현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하는 인정을 호네트의 이론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호녀와 김현 사이에는 정서적 일치에 근거한 사랑, 도덕성에 대한 인지적 존중, 사회적 가치 부여라는 인정의 형식들이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호녀는 인간으로서 자기에 대한 믿음, 자기존중, 자기가치부여 등의 경험을 하게 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함께 분석의 과정에서 호녀의 자아실현 과정에 나타난 비극적 측면을 아울러 확인할 수도 있다. 호녀의 자아실현은 스스로 자기를 부정하는 형식을 통해 구현되는 역설적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호녀의 자아실현 과정이 그리 성공적이지만은 않았다는 것을 말해 준다. 미드가 제시한 자아의 구성요소인 ‘I’와 ‘me’의 역동적 상호 과정을 참조할 때 호녀의 자아실현 과정은 극도의 경직성과 억압을 보여주었다. 호녀의 삶에 대한 이와 같은 고찰은 사회 속에서 자아를 실현해야 하는 인간의 보편적 조건에 비추어 볼 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하나는 인간의 성공적 삶에서 사회적 관계에서의 인정이라는 요소가 얼마나 중요한가 하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그 과정에서 지나치게 사회적 가치를 우선시할 때 나타날 수 있는 개인에 대한 억압이 때로는 커다란 비극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렇듯 호녀의 이야기가 담고 있는 자아실현의 숭고와 비극은 이 이야기가 오늘날의 사람들에게도 여전히 흥미로울 수 있는 이유가 될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analysis the story of Kimhyungamho in the Samgukyusa according to the concept of mutual recognition. Because I think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Kimhyun and tiger woman reveals the secret of tiger woman's behavior. In the tiger woman's life we can see the way how she achieve the recognition which is inevitable in human life. I analyzed the tiger woman's life from the theory of Axel Honneth. He says that the recognition in the human life consist of three stages.; emotional consideration, cognitive respect and authorizing of social value. I think that the tiger woman and Kimhyun share the love in emotional agreement, cognitive respect based on morality, and authorizing social value. However I think that the tiger woman showed too much spasticity in the course of self-realization, and it made her life tragedy. She accepted the social values without any doubt and sacrificed herself. The result of the sacrifice is her death. It is clear that the tiger woman's life is noble, but in the course of acquisition of recognition she pressed her-self extremely. It is the tragedy of her life.

      • KCI등재

        문학교육 평가론의 경과와 과제

        조하연 ( Hayoun Cho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2

        이 논문은 문학교육의 평가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문학교육에 내재된 교육관을 중심으로 새롭게 읽어 보고, 현재 문학교육 평가가 겪고 있는 문제들의 극복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동안 문학교육의 평가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적 평가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평가 방식 역시 적지 않게 달라졌음에도 문학교육의 평가에 대한 의구심이 여전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좀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 문학교육 평가론의 역사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본고는 먼저 문학교육 연구에 내재된 교육관을 점검해 보았다. 문학교육에서 전제하고 있는 교육에 대한 관점이 어떤 것이었는가를 기존 연구사에 대한 검토를 통해 살펴, 그 핵심에 공학적 개념의 교육관이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변화를 교육의 본령으로 삼고 있는 공학적 개념의 교육관에 비추어 볼 때 기존의 문학교육 평가 연구가 학습자가 도달해야 할 지점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 데 반하여 현재 학습자의 상태가 어떠한지, 또한 이러한 상태를 왜 변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이 추구하는 변화는 학습자들의 현재 상태에서 필요한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라 그 변화의 방향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제까지 문학교육의 평가론에서 현재 학습자들의 상태에 대한 충분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은 문학교육의 평가가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지 못하였던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학습자의 현재 상태를 충분히 점검하고, 이에 따라 교육과정상의 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재설정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즉 학습자의 현 상태에 대한 인간학적 검토와 이에 따라 문학교육의 목표와 내용, 그리고 방법이 실제 문학교실에서 일어나는 일을 중심으로 재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This thesis discusses about the issues and tasks on the assessment in literary education. The assessment in literary education has been caused a lot of disputes in the area of Korean education. The fundamental reason is that the character of literature and assessment is contradictory to each other. Literature is the product of imagination and personality. On the contrary to this, assessment tries to produce the objective evidence of the student’s development of capability. In this thesis, I tried to reconsider the history of disputes on the assessment in literary education and find the premises which is inherent in the disputes. Because the premises which is inherent in the disputes might be the real reason of the dilemma of the assessment in literary education. I tried to figure out the view on education and found the dilemma of engineering viewpoint about literary education. According to the viewpoint, the change of students is the most valuable thing in the education, and assessment should suggest the evidence of change. I think that we do not have the objectives of literary education which can be suitably used in assessment. In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the objectives of literary education is increasing of literary capacity of student. But the objectives is so idealistic that it is not easy to assess the literary capacity, and it is more like the aims of literary education. In conclusion, I suggested that we must to adjust the elements of curriculum, especially of the objectives. And also, we must investigate the reason that the student should be changed.

      • KCI등재

        정채봉 동화에 나타난 동심의 구현 과정에 대한 고찰

        조하연 ( Cho Hayoun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2 No.-

        아동문학의 본질은 무엇보다 그것이 동심을 구현한다는 데 있다. 동심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인간 본연의 자세로서, 아동기라는 특정한 시기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과정 내내 인간의 마음 속에 내재해 있는 순수라고 볼 수 있다. 정채봉은 바로 이러한 동심을 동화를 통해 추구했다. 본고는 정채봉이 동화를 통해 밝히고자 했던 동심의 정체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가 어떻게 동심에 이르고자 했는지를 살피고, 이를 통해 동심의 본질을 이해하고, 동화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데 시사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의 작품을 통해 살펴 본 바, 그가 작품을 통해 찾고자 했던 동심은 ‘영혼의 고향’으로서 인간 본연의 자세를 말하는 것이며, 이러한 동심에 이르기 위해 그는 환상성을 기반으로 현실을 초월하고, 현실의 여러 부조리를 순수하게 거부하며, 순수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는 등의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정채봉 동화의 특성은 그의 작품들이 어떻게 대중성과 문학성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었는지, 즉 다양한 독자에게 감동을 주면서도 또한 높은 문학성에 이를 수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즉 정채봉의 동화는 문학의 본질에 충실한 동화임으로 해서 감동을 제공한다. 본고는 이러한 특성이야말로 동화가 문학교육에서 활용되는 장면에서 특히 강조되어야 하는 요소라 생각한다. 동화는 교훈을 제공하는 것이기 이전에 ‘재미’, ‘흥미’, ‘감동’ 등으로서 즐겨지는 문학이기 때문에 동화를 통한, 혹은 동화에 대한 교육은 기본적으로 문학으로서의 동화에 기반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요지이다. Fairy Tale is based on children’s mind,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child, and there has been tendency of using it as a method of conveying an educational message, in other word, morality which is viewed as indispensible for the growing child. Definitely most people get instruction and pleasure at the same time from the literature. So it is not a fault to attend the moral influence of literature for the education of child. But without attending the other essence of literature, to see the world in a unique viewpoint, the morality influence can not achieve the purpose. This thesis concentrates on the nature of fairy tale, the mind of a child. The Mind of a child is the main element of Fairy tale, so we can say that reading the fairy tale is to experience the mind of a child. I want to ask what is the value of experiencing the mind of a child, especially to the pupi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Jeong, ChaeBong, who has known as a pioneer of adult fairy tale, I could suggest diverse aspect of the mind of a child. I think the mind of a child is not only the symbol innocence but also the method of viewing the world. So it can reveal the contradiction of the world, and reach the extended recognition of the world. I think that for a long time this aspect of the mind of a child has been ignored.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the mind of a child is a special method of viewing the world and fairy tale is the result of using it. For the pupils reading, and experiencing the fairy tale is to exploring the ability of mind, that is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 of fairy tale.

      • KCI등재후보

        <서경별곡(西京別曲)> `□타들면` 구절의 사후과잉확신 편향(hindsight bias)에 대한 고찰

        조하연 ( Cho Hayo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7 No.-

        고려속요 <서경별곡>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게 되는 사랑과 이별의 보편적 상황 속에서 화자가 겪고 있는 심리적 갈등을 진솔하게 드러내고 있다. 필자는 이 노래를 통해서 인간이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객관적 사태를 어떻게 극복하고 받아들이는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노래의 화자가 처한 이별의 상황은 적어도 화자에게만큼은 자신의 삶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의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위협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은 이 작품의 화자의 삶에서 매우 절실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런 점에서 이 노래에서 화자가 보여주는 심리적 경과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화자가 보여주고 있는 `사후과잉확신 편향(hindsight bias)`이다. `사후과잉확신 편향`이란 우리가 어떤 일의 결과를 마치 미리 알고 있었던 것처럼 생각하는 현상을 말한다. 실제로는 매우 충격적인 일이 벌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이미 그 일이 일어날 것이라 예상하고 있었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사후과잉확신 편향이다. 물론 이 같은 현상은 일종의 인지적 오류이며, 스스로 자신을 기만하는 일이라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생각을 조금 달리해 보면, 눈앞에 나타난 믿기 어려운 일을 감당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는 필수적인 적응의 방식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본고는 <서경별곡>의 화자가 갑작스러운 이별의 사태에 대해 이러한 사후과잉확신 편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논증하고, 이러한 화자의 심리적 대응이 화자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여 그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서경별곡>을 삶에 대한 심각한 위협에 처한 사람의 심리적 치유 과정으로 간주할 때, 이 노래는 위협의 실체를 대상화하고, 그에 대한 통찰을 획득함으로써 더 이상의 무의미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찾고, 새로운 삶을 모색하는 과정을 보여 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 노래의 마지막 구절은 이별이라는 사태에 대해 거리를 두고자 하는 화자의 의지를 반영한 사후과잉확신 편향이 등장하여 화자의 심리적 치유를 돕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Seogyeongbyeolgok[서경별곡], which is one of the Goryeosokyo[고려속요] reveals a woman`s true feeling who is facing desperate situation. To the most people to fall in love with, and separate each other is a commonplace affaire. The woman in this song is in the same situation also, but I think that she shows how the hopeless people get over the tragic situation and restart their life. The tragic affair, separation with the lover threaten her whole life. To overcome the threatening is the most important task to the woman. I think that the woman in this song shows an interesting feature about the way of escape from the tragic situation. I think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woman in this song is the hindsight bias. Hindsight bias is the inclination that people says that they already knew the event could occur only after seeing the event took place actually. This inclination is clearly cognitive mistake, self-deception. But from a different standpoint, this cognitive mistake can help oneself to adapt new circumstances. In this point of view the woman in this song is trying to new circumstances through hindsight bias; in this way she objectify the separation with the lover, get a new vision into human nature, and stop the meaningless effort to hold the lover. I already said that the hindsight bias is clearly self-deception. But I have to say that it can play positive role in our everyday life, the woman in this song is the obvious evidence.

      • KCI등재

        고전시가 평설에 나타난 감상의 즐거움

        조하연 ( Cho Hayou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7 No.-

        이 논문은 문학의 중요한 효용 중 하나인 즐거움의 본질이 어디에 있으며, 또한 이러한 즐거움을 풍부히 누릴 수 있는 방법이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은 여러 장르의 작품에 대한 다양한 수준에서의 감상을 종합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논증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즐거움’의 관점에서 작품을 바라보는 학술적 논의가 아직 충분치 않아 본고에서는 우선 고전시가에 대한 몇 편의 평설들을 세밀히 분석하고, 이들 평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작품 읽기의 즐거움과 그 경로를 추적해 보았다. 평설은 일반인의 감상을 돕기 위해 쓰인 것으로 필자 스스로의 감상 경험을 바탕으로 하며, 그러한 감상의 즐거움을 다른 이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필자의 의도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본고의 문제의식을 구체화하는 데 적절한 자료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한 평설 자료는 양주동의 『여요전주』에 수록된 고려속요 <가시리>, <서경별곡>에 대한 평설과 정철과 윤선도의 시조 작품들에 대해 해설하고 있는 최진원의 『고시조 감상』, 그리고 정철의 <관동별곡>을 대상으로 한 김병국의 「가면 혹은 진실-관동별곡 평설」 등이다. 이들 평설 자료를 검토한 결과 양주동의 평설에서는 ‘마음[情]을 발견하는 즐거움’을, 최진원의 평설에서는 ‘미적 특질을 음미하는 즐거움’을, 그리고 김병국의 평설에서는 ‘체험을 공유하는 즐거움’ 등을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즐거움들은 서로 긴밀히 연결된 직관의 논리화, 감수성의 발현, 그리고 삶에 대한 조응 등의 과정을 거쳐 획득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물론 분석의 대상이 된 자료가 고전시가에 국한되어 있어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아직 고전시가의 감상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타당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평설에 대한 분석은 문학 작품의 즐거움과 관련하여 작품이 우리 스스로를 각성하게 한다는 점, 감상자는 이러한 각성에 의해 일깨워지는 자기 자신을 느끼고, 새로운 체험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깊은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는 보편적 과정을 가정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문학교육이 문학 작품을 통해 학습자를 삶에 대한 깨달음으로 인도하기 위해서는 깨달음 자체에 대한 강조와 아울러 작품이 주는 이러한 다양한 즐거움을 발굴해야 하며, 이러한 즐거움을 학습자들이 몸소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학습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 이 논문이 강조하는 바이다. This study pursues to explain the pleasure of literature and the way of enjoying it. But there are a few studies which deal with the pleasure of appreciation, because many studies of literature still concentrat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itself. The theory of this subject has not been built up yet. So I tried to begin with the analysis of Pyungseol[평설]; writings with the purpose of introduction for the normal appreciator. Because these writings was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the writers themselves and written to share the pleasure with many people who did not have the pleasure. The writings which this thesis deals with are pyungseol of ‘Kasiri’(가시리), pyungseol of ‘Seogyeongbyeolgok’(서경별곡), ‘appreciation of Sijo’, and pyungseol of ‘Gwandongbyeolgok’(관동별곡). They were written by prominent scholars. Each of these writings shows that there are ‘leasure of finding the mind’, ‘the pleasure of tasting the aesthetic value’, ‘the pleasure of sharing the experience’. And I found that these pleasures were derived from ‘the logical conversion of intuition’, ‘the using of sensibility’, and ‘corresponding with the real life’. I confess that this analysis only deals with limited samples. But I think that this analysis makes it possible to assume some hypothesis about the appreciation of literature; literature makes us to arouse, fill, and have another experience. This should be the general process of appreciation. I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could introduce the students to feel the pleasure of appreciation of literature and recognize the truth of life, it must present the various pleasures of appreciation of literature to the students and try to they can learn the ways of appreciation. That is what I want to emphasize to the literary teachers and scholars.

      • KCI등재

        중국 중학교 어문 교과서의 특성과 시사점

        이문파 ( Li Wenbo ),조하연 ( Cho Hayoun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1

        이 논문은 중국의 중학교 어문 교과서의 특성을 검토하여 한국의 자국어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중국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인 어문과정표준에 따라 개발된 중국 중학교 어문 교과서의 개발 현황과 교과서 구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중국 어문 교과서의 핵심이 되는 제재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중국 어문 교과서의 제재들이 언어 능력 신장을 위한 모범, 문화적 자긍심과 인성 함양의 원천, 사고력 배양의 인문학적 토대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중학교 어문 교과서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국의 자국어교육 내용 구성은 영역 간의 기계적 균형보다 실용성을 추구하고 있다. 둘째, 자국의 언어문화 자원을 다양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셋째, 번역 문학을 비롯한 다양한 제재를 포괄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국의 자국어교육을 발전을 위해 중국이 선택한 경로에 따른 성과와 한계를 면밀히 살피는 것이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school language textbooks in China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we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Second, we analyzed the role of materials that constitute the core of Chinese language textbooks- as a model for the growth of language ability and a source of cultural pride and personality cultivation. Through a review of textbooks, we found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 native language education in China is becoming increasingly oriented toward practicality. Second, Chinese educators are actively using their own cultural resources. Third, textbooks utilize a wide range of materials, including translation literature.

      • KCI등재

        「방옹시여(放翁詩餘)」 창작의 시공간과 심리적 경과에 대한 고찰

        조하연 ( Cho¸ Ha-you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2

        이 글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 문인인 신흠의 시조 창작이 한시로는 해소되지 않는 시름을 풀어가는 과정이었다고 보고 작품에 담긴 작자의 심리적 경과를 분석하였다. 「방옹시여」는 겨울에서 봄으로 계절이 바뀌는 변화를 반영하고 있고, 그 사이에 작자의 생활 공간에서도 변화가 적지 않았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독법을 제안하였다. 첫째, 계절적 배경과 거주 공간의 변화, 서문의 창작 등을 기준으로 작품을 크게 동사와 춘사의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볼 것을 제안하였다. 1-6수까지 동지 즈음의 작자는 자폐적 공간에서 인정하기 어려운 세계와의 대결적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이듬해 건립된 감지와에서의 생활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정신적 안정을 찾아가는 일련의 노력을 시도하고 있었다. 둘째, 새로운 계절과 감지와에서의 생활을 통해 작자는 심리적 상처를 회복하고 정신적 안정을 찾아가는데, 작품의 내용과 감지와의 지향이 매우 긴밀히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최소한 감지와의 건립 시기와 창작의 시기가 겹치는 춘사의 부분은 감지와의 정신을 구현하는 작자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읽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신흠의 「방옹시여」에 대해서는 이미 충분한 수준의 주석적 연구가 이루어 졌고, 또한 조선 전기 시조에서 후기 시조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준다는 국문 학사적 의의에 대한 설명도 적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이러한 기존의 논의들을 한시와 다른 시조 고유의 역할에 대한 탐색까지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Shin Heum wrote < Bangongsiyeo[放翁詩餘] > when he had been Gimpo due to Gyechuk-oksa[癸丑獄事]. I think that the creation of the sijo related to the effort of resolving the troubles which cannot be resolved with creation of Chinese poetry. < Bangongsiyeo > reflected the change of seasons, and there were several changes in the author’s living space in the meantime. Considering these points, I suggested followings. First, I suggested that < Bangongsiyeo > should be divided into two parts, ‘songs of winter[冬詞]’ and ‘songs of spring[春詞]’, based on seasonal background, changes in living space, and creation of the preface. Second, through a new season and life in gamjiwa[坎止窩], I think that Shin Heum recovered psychological wounds and finds mental stability. In this space, we can see Shin Heum recovering her self-esteem and freeing herself from the sense of loss. I know that, various and in-dept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is work. But I think that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se existing discussions to the exploration of the unique roles of enjoying sij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