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 발굴한 방언(14)

        박경래,곽충구,이기갑,김정대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1

        이 글은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쓰이고 있는 방언 어휘나 형태소, 속담 등을 발굴하여 소개하는 열네 번째 연재물이다. 이 글에 소개하는 방언들은 지금까지 국어사전이나 다른 연구물에 소개된 적이 없으면서 급속한 사회변화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거나 이미 사어화의 길로 접어든 것들도 있다. 방언에는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담겨져 있다. 따라서 방언을 통하여 그 방언이 말해지는 지역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다. 또 대체로 방언은 고어의 흔적을 지니고 있으므로 국어사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충청도 지역에서 조사한 충청도 방언 어휘, 중국 조선족자치주에서 조사한 함경도 방언 어휘, 전라도 지역에서 조사한 전라도 방언 어휘, 경상남도에서 조사한 경상도 어휘를 소개하기로 한다. 이들 충청도, 함경도, 전라도, 경상도 방언은 그 지역 사람들이 살아온 자취를 보여 주면서 동시에 국어 어휘사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언들은 그 지역의 문화나 역사를 가장 잘 반영하면서도 각 방언에 대응하는 표준어가 없거나 대응 표준어가 있어도 의미나 형태가 다른 것들이다. 또 어원(語源)은 같지만 의미가 다른 경우도 있고 어휘 체계의 차이를 보이는 것들도 있다. 이런 어휘들은 시간과 공간의 양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의미 변화의 차이가 무엇에 말미암은 것인지를 분명히 설명하기는 어렵다. 어원이 같은 방언형이라도 각기 다른 환경에서 오랜 시간 사용되면서 형태와 의미 등에 그 지역의 문화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이 글에 소개된 방언은 현재도 충청도, 함경도(연변자치주),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말들 가운데서 뽑았다. 이번 연재물에는 충청도 방언 어휘 다섯 개, 함경도 방언 어휘 여섯 개, 전라도와 경상도 방언 어휘 각 다섯 개 등 모두 스물한 개의 방언 어휘를 소개하였다. 여기에 제시한 ‘관련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이들 방언형이나 이형태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해당 방언의 의미도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Twenty one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twenty one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dictation. This dialects include five new words in Chungcheong-do dialect, six new words in Hamkyeong-do dialect, five new words in Jeolla-do dialect and five new words in Kyeongsang-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Hamky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wak Chunggu(Sogang University).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Kigap(Mokpho University and Kyeongsa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im Jungdae(Kyungnam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 KCI등재후보

        새로 발굴한 방언(1)

        박경래,이기갑,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08 방언학 Vol.- No.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Fifte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fifte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and dictated. This fifteen dialect words include Chungcheong-do dialect, Jeolla-do dialect, Cheju-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Kigap(Mokpo University),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이 글은 방언을 사용하는 토박이 화자들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대화하거나 구술할 때 실제로 사용하는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예들을 발굴하여 소개하고 해설함으로써 점차 사라져가는 국어 방언을 문자로 고정시켜 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고 국어 화자들에게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방언들은 해당 지역의 맛과 멋을 가장 잘 드러내면서도 그 방언을 사용하는 지역의 문화나 주민들의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것들을 뽑았다. 감칠맛 나면서도 실제 방언 사용 현장의 분위기를 가장 잘 반영해 주는 어휘들이라는 점에서 ≪방언학≫ 제5집과 ≪방언학≫ 제6집에 게재된 “문학 작품 속의 방언”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어휘들을 각 지역별로 다섯 개씩 추려 모두 열다섯 개의 방언을 소개하였다. 여기에 소개한 방언들은 필자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관찰 조사된 것들이기 때문에 ‘관련 지역’에 표시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새로운 어휘를 발굴하여 알리는 작업은 우리말을 풍부하게 해 주는 보배가 된다는 점에서 방언을 찾아 그 의미는 물론이고 문법적인 기능과 용법 등을 면밀히 기술하는 작업은 국어연구의 영역을 넓혀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 글에서는 대응 표준어가 없는 방언과 표준어로 대응되는 방언이 함께 소개되었는데 방언은 표준어와 형태가 동일해도 의미나 용법이 다를 수 있고 방언과 방언 간에도 용법이나 의미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면밀한 검토와 주의가 요구된다.

      • KCI등재

        전라 방언 ‘탁하다’와 ‘포도시’의 어휘사 고찰

        송미영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3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Jeolla dialectal words ‘Takada’ and ‘Podosi’, which are mainly used in daily life, by examining the use of those words. As a Jeolla dialectal word that means ‘resemble’, a word ‘Takada’ is usually used. Even though the words like ‘Chintakada’ and ‘Oetakada’ are registered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 word ‘Takada’ is not included in it.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aning was the word ‘Takada’ and how it was formed. Also, as a Jeolla dialectal word that means ‘barely’ and ‘narrowly’, a word ‘Podosi’ is variously used in each region, so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aspect of actual utilization. This study aimed to discuss by focusing on the reasons for using the word ‘Podosi’ despite the existence of a word ‘Gyeowoo’, and when it started to be used.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word ‘Oetak’ is first found in literature records. Therefore, it seems that ‘Takada’ was formed later and was used in the Jeolla dialect. At this time, ‘Tak-’ can be presumed to be ‘拓’ with the meaning of ‘Ppaeda baktta’. And unlike Jeollanam-do, ‘Takada' appears in the form of missing ‘ㅎ' in Jeollabuk-do. Also, although the date of use is unknown, it can be said that the word ‘Podosi' is derived from ‘ᄇᆞᄃᆞᆺᄒᆞ다’. It appears in various forms as the basic sound changes to a tense sound or an aspirated sound, as well as a change in the vowel below the bilabial. Both ‘Takada’ and ‘Podosi’ are remarkable words in Jeolla dialect. Organizing the use of those two words would be a process of examining the traces of Korean again. 본고는 일상생활에서 주로 활용되는 전라 방언 ‘탁하다’와 ‘포도시’의 쓰임을 살핌으로써 그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전라 방언에서는 ‘닮다’와 같은 의미로 ‘탁하다’가 주로 쓰인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친탁하다, 외탁하다’ 등이 등재되어 있으나 ‘탁하다’는 실려 있지 않다. 이에 ‘탁하다’가 어떤 의미로 활용되고 형성 과정이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포도시’는 ‘겨우, 간신히’의 의미를 지닌 전라 방언이나 지역별 쓰임이 매우 다양하므로 실제 활용 양상에 주목하였다. ‘겨우’라는 단어가 있었음에도 ‘포도시’를 사용하게 된 까닭이 무엇이고, 언제부터 활용하였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어 논의하고자 하였다. 18세기 말 문헌상의 기록에서 ‘외탁’이라는 단어가 먼저 발견되므로 ‘탁하다’는 후대에 형성되어 전라 방언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때 ‘탁-’은 ‘뺴다 박다’의 의미를 가진 ‘拓’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탁하다’는 전남과 달리 전북 지역에서는 ‘ㅎ’이 탈락된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사용된 연대를 확인할 수는 없으나 ‘포도시’는 ‘ᄇᆞᄃᆞᆺᄒᆞ다’에서 파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순음(脣音) 아래에서 모음의 변화뿐만 아니라 예사소리가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앞서 살핀 ‘탁하다’와 ‘포도시’는 전라 방언에서 두드러지는 단어이다. 두 단어의 쓰임을 정리하는 것은 우리말의 발자취를 다시금 더듬어 보는 과정이라 하겠다.

      • KCI등재

        전라 방언 ‘탁하다’와 ‘포도시’의 어휘사 고찰

        송미영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3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Jeolla dialectal words ‘Takada’ and ‘Podosi’, which are mainly used in daily life, by examining the use of those words. As a Jeolla dialectal word that means ‘resemble’, a word ‘Takada’ is usually used. Even though the words like ‘Chintakada’ and ‘Oetakada’ are registered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 word ‘Takada’ is not included in it.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aning was the word ‘Takada’ and how it was formed. Also, as a Jeolla dialectal word that means ‘barely’ and ‘narrowly’, a word ‘Podosi’ is variously used in each region, so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aspect of actual utilization. This study aimed to discuss by focusing on the reasons for using the word ‘Podosi’ despite the existence of a word ‘Gyeowoo’, and when it started to be used.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word ‘Oetak’ is first found in literature records. Therefore, it seems that ‘Takada’ was formed later and was used in the Jeolla dialect. At this time, ‘Tak-’ can be presumed to be ‘拓’ with the meaning of ‘Ppaeda baktta’. And unlike Jeollanam-do, ‘Takada' appears in the form of missing ‘ㅎ' in Jeollabuk-do. Also, although the date of use is unknown, it can be said that the word ‘Podosi' is derived from ‘ᄇᆞᄃᆞᆺᄒᆞ다’. It appears in various forms as the basic sound changes to a tense sound or an aspirated sound, as well as a change in the vowel below the bilabial. Both ‘Takada’ and ‘Podosi’ are remarkable words in Jeolla dialect. Organizing the use of those two words would be a process of examining the traces of Korean again. 본고는 일상생활에서 주로 활용되는 전라 방언 ‘탁하다’와 ‘포도시’의 쓰임을 살핌으로써 그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전라 방언에서는 ‘닮다’와 같은 의미로 ‘탁하다’가 주로 쓰인다. 표준국어대사전 에는 ‘친탁하다, 외탁하다’ 등이 등재되어 있으나 ‘탁하다’는 실려 있지 않다. 이에 ‘탁하다’가 어떤 의미로 활용되고 형성 과정이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포도시’는 ‘겨우, 간신히’의 의미를 지닌 전라 방언이나 지역별 쓰임이 매우 다양하므로 실제 활용 양상에 주목하였다. ‘겨우’라는 단어가 있었음에도 ‘포도시’를 사용하게 된 까닭이 무엇이고, 언제부터 활용하였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어 논의하고자 하였다. 18세기 말 문헌상의 기록에서 ‘외탁’이라는 단어가 먼저 발견되므로 ‘탁하다’는 후대에 형성되어 전라 방언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때 ‘탁-’은 ‘뺴다 박다’의 의미를 가진 ‘拓’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탁하다’는 전남과 달리 전북 지역에서는 ‘ㅎ’이 탈락된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사용된 연대를 확인할 수는 없으나 ‘포도시’는 ‘ᄇᆞᄃᆞᆺᄒᆞ다’에서 파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순음(脣音) 아래에서 모음의 변화뿐만 아니라 예사소리가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앞서 살핀 ‘탁하다’와 ‘포도시’는 전라 방언에서 두드러지는 단어이다. 두 단어의 쓰임을 정리하는 것은 우리말의 발자취를 다시금 더듬어 보는 과정이라 하겠다.

      • KCI등재

        전라방언 융합형 ‘-ㄴ고니’의 문법과 화용적 특성

        이태영(Lee Taeyeong) 한국언어문학회 2010 한국언어문학 Vol.75 No.-

        This study is aimed to introduce the grammatical and pragmatical properties of the dialect, especilly focusing on the fusional form ‘-ㄴ고니’, ‘-냐면’ and so on. This paper is not only for the historical change of complex ending construction, but also for pragmatic function of grammatical morphem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concentrated on the literary corpus of Jeolla dialect.‘-ㄴ고 하니’ which used in Middle Korean has the structure as following: indirect interrogative ending ‘-ㄴ고’ + main clause verb ‘하-’ + connective ending ‘-니’. The main cause of fusion of ‘-ㄴ고 하니’ is the omitting of main clause verb ‘하-’. Although the function of ‘-ㄴ고니’ and that of ‘-냐면’ are similar each other, the each course of change are different. I will refer to the grammatical change process and functions that ‘-ㄴ고 하니’ and ‘-ㄴ고니’ had shown in sentences. The fusional form ‘-ㄴ고니’ in Jeolla dialect is the form that a interrogative ending has added to a connective ending. This fusional form has the function that state to interrogative content and explain other content. ‘-ㄴ가니’ and ‘*-ㄴ가면’ can be compared in the perspective of grammatical change.‘뭔고니’ is a redundant word. in ordinary utterance, ‘뭔고니’ starts in front of the main content, or can be used as a pragmatical marker that raises some questions. Usage of ‘뭐냐면’ in standard Korean is similar to ‘뭔고니’ of several Korean dialects. In conclusion, the formation of ‘-ㄴ고니’ and ‘뭔고니’ show us the typicality of the oral properties in Jeolla dialect.

      • KCI등재

        전남 방언의 ‘ㅓ’ → ‘ㅡ’ 모음 상승에 대한 인식 연구

        박정인,윤수연 한말연구학회 2023 한말연구 Vol.64 No.52

        . This paper conduct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to the phonological variation of vowel raising from /ʌ/ to /ɨ/ in the South Jeolla dialect of Korean, shedding light on the linguistic and extra-linguistic factors that influence this phenomenon. Native speakers of the South Jeolla dialect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evaluating words containing an /ʌ/ and rating the well-formedness of the corresponding /ɨ/-raised variant for each ite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istence of a minimal pair, differing solely in the /ʌ/ and /ɨ/ sounds, significantly reduces the likelihood of vowel raising, serving as a mechanism to prevent semantic ambiguity. Also, /ʌ/ is less prone to raise to /ɨ/ in word-final syllables compared to word-initial or word-medial syllables. This study also uncovers a reduced occurrence of vowel raising in words featuring another non-high back vowel, which violates an Obligatory Contour Principle (OCP). However, the number of syllables in a word, the word’s origin, and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preceding consonant do not exhibi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ʌ/ to /ɨ/ vowel raising. Extra-linguistically, Gwangju speakers demonstrated more frequent vowel raising than other South Jeolla regions. This meticulous analysis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complex nature of phonological variation associated with vowel raising in the South Jeolla dialect of Korean,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owel raising across various Korean dialects.

      • KCI등재

        전라방언 ‘겁나게’의 어휘사

        이태영(Lee, Tae-yeong)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3 No.-

        This paper is aimed to research the changing process of the dialect word ‘geomnage01’, especilly focusing on the ‘geomnada01, geomnada02, geomnage01, geomnage02’ etc. ‘Geomnada02’ has similar meaning with ‘duryeopda, museopda, nollapda’ etc. When ‘geopnada02’ meet with the substantive as likenumeral, quantity, extent, ‘geopnada02’ means ‘beverymuch’. ‘Geopnada01’ that had changed from ‘geopnada02’, is an adjective that means ‘be very much’. ‘Geomnage’ has two sort in jeolla dialect. ‘Geomnage01’ is an adverb that means ‘very, very much, to omany’ and ‘geomnage02’ is an adverbial form that means ‘get a fear’. Korean adjective ‘eomcheongnada(엄청나다)’ has the meaning of ‘be very much, too many’ in extent that people acknowledges. But ‘geomnada01’ has the meaning of‘be very much, too many’in extent that people has not acknowledges generally. ‘돈이 겁나게 많다(doni geomnage mantta)’ has two meanings. The one means ‘be very much’, the other means ‘terrible possession’. Because ‘geomnage01’ and ‘mantta(be much)’ in a sentence have similar meaning, many people in jeolla dialect select ‘geomnada01’ that means ‘be very much’. Therefore sentence‘돈이 겁나다(doni geomnada)’ was formed in jeolla dialect.

      • KCI등재

        완판본 한글 고소설 「구운몽(九雲夢)」의 언어적 양상

        이준환 ( Yi Jun-hwa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21 어문론총 Vol.87 No.-

        이 글은 완판본 「구운몽(九雲夢)」(1862)을 대상으로 하여, 이곳의 언어적 양상을 표기, 음운, 형태, 어휘 등을 중심으로 하여 경판본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살펴, 지역어문학 자료로서 한글 고소설의 가치가 어떤지 생각해 보고자 한 것이다. 완판본 「구운몽」은 경판본과 비교할 때 대화의 비중이 높고, 문장의 길이가 길기는 하나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며, 한문 투의 사용이 적고 상대적으로 어려운 표현이 적게 나타나며 구어체가 많이 반영되어 있다. 완판본 「구운몽」의 표기는 경판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복잡한 양상을 띤다. 이것은 전통적인 표기를 유지한 경향이 경판본보다는 강하면서도 현실 언어의 양상을 다양하게 반영한 데에서 기인한 결과이다. 특히 처격과 속격 조사로 ‘으’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전라 지역어의 구어의 특성을 잘 반영한 것으로 특징적이다. 음운 면에서는 ㄱ 구개음화의 반영, 형태 면에서는 /ㅸ/을 지녔던 말들의 활용형이 일반적으로 /w/로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과 차이를 보이는 등의 특징이 보인다. 또한 ‘밭>밧’, ‘빛>빗’과 같이 어간 재구조화를 보이는 것들이 보인다. 그리고 사용 어휘에서 오늘날의 전라 방언에 대응하거나 비규범적인 형태로 간주되는 것들이 적지 않다. 이런 것들은 전라 방언적 요소로 볼 수 있는 것들로 앞으로 관심을 가지고 계속 관찰과 연구를 하여 전라 지역어의 역사적 연구의 소재로 삼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문법적 특징에서 중세 국어와 연결이 되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 관찰되며 경판본의 양상과는 다른 양상을 드러내는 것이 보여 전라 지역에서 나온 판본으로서 개별성을 드러내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value of the Korean language of Wanpan version of Guunmong as a local language literature material by comparing the linguistic aspects of this place with the Gyeongpan version of Guunmong, focusing on notation, phonology, form, and vocabulary. The Wanpan version of Guunmong has a higher proportion of conversation compared to the first edition, the length of the sentence is long, but the structure is not complicated, the use of Chinese writing style is relatively less difficult, and the spoken language is much reflected. The Wanpan version of Guunmong is relatively complex compared to the Gyeongpan version of Guunmong.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tendency to maintain traditional notation is stronger than the hard copy and reflects various aspects of the real languag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eu(으)" is reflected through the execution and rapid investig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 in Jeolla Province. In the reflection of reflection of phonological change, there are features such as the reflection of the k-palatalization, and the use of words with /β/(ㅸ) are different from the general change to /w/. There are also fish restructuring such as 'bat>bas' and 'bich>bis'. In addition, there are many things in the vocabulary that are considered non-normative forms or responding to the Jeolla dialect. These can be seen as Jeolla dialect elements,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observe and study them and use them as the subject of historical research in the Jeolla region. In addition, it is observed that it is connected to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in its grammatical characteristics, showing its individuality as an edition from the Jeolla region, showing a different aspect from the script.

      • KCI등재

        한국어 방언 음성 인식에 대한 한국어학적 고찰

        김아름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2 No.-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linguistic analysis of the problem of recognizing Korean dialects in speech recogni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dialects that cause errors in speech recognition experiments using dialectal speech data. To accomplish this, we classified dialectal features that differ from standard Korean into two categories: substitution and deletion. Our analysis of the results of speech recognition experiments revealed that dialectal features such as the merging of phonemes, substitution between vowels that are not discriminable in some environments, and omission of phonemes that only exist in dialects or are numerically infrequent, act as obstacles to speech recognition. We also describe how grammatical morphemes used in dialects that are homonymous with those in standard Korean or differences in pronunciation at the word level between dialects and standard Korean also lead to a significant number of recognition error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challenges of recognizing Korean dialects in speech recognition and provides insights for developing more accurate and efficient speech recognition systems. 본 연구는 한국어 방언 음성 인식 문제를 한국어학적 관점에서 관찰해 보고자 하는 시론적 성격의 논의로, 방언 음성 데이터를 활용한 음성 인식 실험을 통해 음성 인식 오류를 유발하는 방언 특성을 개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표준어형과 차이를 보이는 방언 특성을, ‘치환’ 유형과 ‘삭제’ 유형으로 나누어 음성 인식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소 차원의 합류를 보이거나, 일부 환경에서 서로 변별되지 않는 모음들 간의 치환 유형, 방언형에만 존재하는 탈락 현상 또는 수의적으로 적용되는 탈락 현상 등이 음성 인식의 방해 요소로 작용하는 방언 특성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방언형에서 사용되는 문법 형태소가 표준어형의 문법 형태소와 동음 관계에 있거나, 개별 단어들의 발음 차원에서 표준어형과 차이를 보이는 어형들도 다수의 인식 오류를 유발한다는 점을 서술하였다.

      • KCI등재

        전라방언 ‘솔찮다’의 어휘사

        이태영(Lee, Tae-Yeong)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8 No.-

        This paper is a paper researching the fact that a negative of the verb does not mean the negation just, but it raises the change of meaning and derives the new meaning. For example, the negative forms as like ‘suweolhajianta, suweolchianta, suweolchanta’ has the other meaning besides the basic meaning. ‘suweolchanta’ is used in jeolla dialect as like ‘solchantha, solchahada’. and harden as the meaning of ‘be fair’. In this paper, ‘suweolhajianta’ has the basic meaning of ‘be not easy’. ‘suweolchianta’ has the other meaning of ‘be not common, be fair’ besides the basic meaning. ‘suweolchanta’ is much more used as the meaning of ‘be fair’. ‘solchantha, solchahada’ of the jeolla dialect changed in ‘suweolchanta’ is used as the meaning of ‘be fair’. In the jeolla dialect, it hardens as the adverb. ‘solchanhi’. Like this, it is not simple phonological phenomenon that ‘suweolhajianta, suweolchianta, suweolchanta’ shows up as the negative forms of ‘suweolhada’ variously. These manage the meaning area between ‘be easy’ and ‘be difficult’. Therefore, ‘be not easy’ shows the minute, various meaning difference. Similarly, ‘solchantha’ or ‘solchanhi’ are used in the jeolla dialect as the meaning of ‘be many, be fair’. the meaning of ‘be many’ is various as like ‘a few many, some many, quite many’. Therefore ‘solchantha’ manages these various mean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