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정당의이슈소유권(issue ownership)과 유권자 투표행태: 20대 총선을 중심으로

        최효노 ( Choi Hyono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8 의정연구 Vol.24 No.1

        이슈 소유권(issue ownership)은 특정 이슈나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정당의 능력에 대한 평판이다. 특정 이슈에 대해 다른 정당보다 최상의 해결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정당이 해당 이슈를 소유하고 있다고 말한다. 기존연구에 의하면 유권자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슈의 소유권자로 인식되는 정당에 투표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 이슈 중요성(salience)은 이슈 소유권 투표(issue ownership voting)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슈 소유권 투표의 또 다른 조건으로 이슈 소유권을 주장하는 정당의 행태에 따라 이슈 소유권에 대한 인식이 투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2016년에 실시된 20대 총선 당시 더불어민주당은 경제정당으로서의 면모를 강조하고 새누리당과는 다른 성장 전략을 제시하면서 새누리당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이슈 소유권을 뺏어 오려고 했다. 연구결과, 19대 총선과 비교해 민주당이 경제 이슈 소유권자라는 인식이 정당 지지자 및 이탈자, 무당파 집단에서 모두 증가하면서 민주당의 선거 전략은 유권자에게 어필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민주당이 경제 이슈 소유권자라는 인식은 경제 이슈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권자가 민주당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새누리당이 경제 이슈 소유권자라는 인식이나 국민의당이 경제 이슈 소유권자라는 인식은 경제 이슈를 중시하는 유권자의 해당 정당 투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슈 중요성 이외에 정당의 행태가 이슈 소유권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라는 것을 밝힘으로써 이슈 소유권 이론에 기여한다. Issue ownership concerns a party’s issue handling reputation. When a party is perceived to have the best solution for an issue, voters identify the party as the owner of the issue. Extant literature of issue ownership voting shows that voters tend to vote for a party that they identify as the owner of an issue they concern most. That is, the effect of issue ownership on voting is conditioned by the perceived salience of the issue in question. This study investigates another condition of issue ownership voting: i.e. party behavior in election campaigns. It argues that the effect of issue ownership on voting is conditional: it depends on party behavior as well as issue salience. During the campaign in the 2016 legislative election, only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the opposition party at that time, actively presented itself as the owner of economic issu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Democratic Party as the economic issue owner affects voting for the party when a voter thinks the economy to be the most important issue.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the other parties as the economic issue owner does not affect voting for them under the same condition. The results support the argument that party behavior as well as issue salience are conditions of issue ownership voting.

      • KCI우수등재

        정치광고의 이슈현저성과 후보자 선호도에 대한 효과

        민영(Young Min) 한국언론학회 2006 한국언론학보 Vol.50 No.5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n issue salience and candidate preference of political advertising,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s of issue ownership and negative appeals. To do so, the study delved into the issue-ownership patterns of the Uri Party and the Grand National Party by analyzing the front page articles of the two parties run by major dailies. An experiment was also administered with its stimuli being manipulated as a newspaper ad sponsored by the incumbent party for a fictitious congressional elec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the effects on issue salience were demonstrated only for the issue operationalized as one owned by the sponsoring party. This result indirectly implies that issue ownership may magnify the agenda-setting power of issue advertising. There, however, were no significant negativity effects in the agenda-setting process of political ad. Secondly, there found an across-the-board negativity effect regarding the impacts on candidate preference. Negatively appealed ad tended to increase the participants' voting intention for the sponsoring candidate. However, it had little impact on candidate preference whether the ad sponsor could claim virtual ownership for the issue mentioned in the ad.

      • KCI우수등재

        유투브에서 한국 관련 민족주의 이슈의 현저성에 따른 이슈 확산 네트워크 유형 연구

        홍주현(Juhyun Hong),이미나(Mina Lee) 한국언론학회 2014 한국언론학보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usion process of negative issues about Korea on YouTube based on the issue salience literature. Through the network analysis of YouTube videos, this study found that territori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s Korean were the most salient issues on YouTube, followed by issues regarding sea of east, anti-Korean wave, boycott of Korean goods, and enforced sex slaves. Different types of diffusion network were found for issues according to their issue salience. Issues with high level of salience showed high-centrality/high-connectivity model. On the other hand, low-centrality/high-connectivity network was found for issues with medium level of salience. Finally, low-centrality/ low-connectivity model was found for the least salient issu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YouTube as a diffusion channel of negative issu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government officials and journalists in their international issue and conflict management processes.

      • KCI등재

        쟁점의 부각여부와 개인적 관여도가 문제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효숙(Hyo Sook Kim),조경희(Kyoung Hee Ch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6 No.1

        본 연구는 PR 이론의 확장 차원에서 의제설정 이론을 통해 그루닉의 상황이론을 재조 명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상황이론의 독립변인 중 문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의제설정이론을 가능케 하는 기본 메커니즘인 쟁점 부각여부를 문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상정하였다. 한편 문제가 되는 상황은 그 상황을 접하는 사람이 기존에 어떠한 성향과 특성을 가졌느냐에 따라 그 상황을 해석하는 방식도 달라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개인적 관여도를 문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으로 상정하였다. 또한, 개인적 관여도와 쟁점의 부각 정도라는 선행요인들이 공중의 문제인식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2(쟁점의 부각 여부: 부각됨/부각되지 않음) × 2(개인적 관여도: 고/저)의 집단 간 요인 디자인 실험을 실시한 결과, 참가자들은 부각되지 않은 쟁점보다 부각된 이슈에 대해 문제인식을 더 크게 느끼고 또한 쟁점에 대한 개인적 관여도가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문제의식을 더 크게 느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적 관여도는 쟁점의 부각여부가 문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는 것도 밝혀졌는데 즉 참가자들은 매스미디어에 의해 쟁점이 부각되지 않아도 개인적 관여도가 높을 때는 상대적으로 문제의식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revisit the situational theory of publics to expand the boundary of the theory. To this end, this study introduced salience of issues and the level of personal involvement as two possible anteceden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f problem recognition. A quasi-experiment of 2(salience of issues: salient/ not salient) × 2(level of personal involvement: high/ low) factorial design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recognized more problem when an issue was salient and when they had a high level of personal involvement. Also it was shown that the level of personal involve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lience of issues and problem recognition. This means publics with a high level of personal involvement can recognize more problem even when an issue is not salient.

      • KCI등재

        Online User Comments as an Agenda-Setter? An Experimental Test of the Impact of Uncivil Comments on Issue Salience

        이슬기,권영성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9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3 No.4

        Online user comments which offer lay citizens’ views, feelings, and experience on news issues can help readers perceive a news issue as psychologically closer and more personally relevant, thus more important. At the same time, uncivil expression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user comments,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potential impact of user comments may be limited. Using an online experimen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incivility in user comments undermines how people perceive the importance of news issues and (b) a lack of empathy mediates this process. The results suggest that incivility in user comments (vs. civil comments) decreased the empathy felt toward commenters and subsequently lowered the perceived salience of a news issue. Moreover, the negative impact of incivility was more pronounced among participants who had less frequent exposure to online news and news-related user comments, suggesting that people may be desensitized to online incivility as they become more familiar with online information.

      • KCI등재

        Online User Comments as an Agenda-Setter? An Experimental Test of the Impact of Uncivil Comments on Issue Salience

        Slgi S. Lee(이슬기),Young Sung Kwon(권영성)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9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3 No.4

        온라인 댓글은 뉴스 이슈에 대한 일반 뉴스 이용자들의 시각, 감정, 경험 등이 소통될 수 있는 도구로, 이를 읽은 뉴스 이용자들이 뉴스 이슈들을 심리적으로 더 가깝고 유의미하게 느끼도록 함으로써 이슈의 중요성을 인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의제 설정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댓글 속 악성 표현들은 댓글의 의제 설정 기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첫째, 악성 댓글이 뉴스 이용자가 뉴스 이슈의 중요도를 인지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둘째, 뉴스 이용자의 공감적 반응이 이러한 영향의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봤다. 이를 위해 온라인 실험이 실시됐으며 연구 결과, 악성 댓글을 읽은 실험참여자는 (악성 표현이 부재한 댓글을 읽는 참여자에 비해) 낮은 공감적 반응을 보였으며, 이는 참여자가 이슈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아울러, 이러한 악성 댓글의 부정적인 효과는 온라인 뉴스 혹은 댓글을 자주 접하지 않는 개인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반대로 개인들이 온라인 정보를 많이 접할수록 더 많은 악성 표현에 노출되어 악성 표현에 둔감해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Online user comments which offer lay citizens’ views, feelings, and experience on news issues can help readers perceive a news issue as psychologically closer and more personally relevant, thus more important. At the same time, uncivil expression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user comments,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potential impact of user comments may be limited. Using an online experimen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incivility in user comments undermines how people perceive the importance of news issues and (b) a lack of empathy mediates this process. The results suggest that incivility in user comments (vs. civil comments) decreased the empathy felt toward commenters and subsequently lowered the perceived salience of a news issue. Moreover, the negative impact of incivility was more pronounced among participants who had less frequent exposure to online news and news-related user comments, suggesting that people may be desensitized to online incivility as they become more familiar with online information.

      • KCI등재

        유럽통합 이슈의 정치화: 친유럽정당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홍지영(Geeyoung Ho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20 정치정보연구 Vol.23 No.2

        최근 난민위기나 유로화 위기 이후 유럽회의주의 정당이 유럽이슈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선전하게 됨에 따라 그동안 수면 아래 가라앉은 채 잠재적 이슈로 남아있었던 유럽이슈가 정치화되고 있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그러나 친유럽정당의 경우 여러 전략적 이유로 유럽이슈를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과연 유럽이슈가 완전히 정치화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럽이슈가 완전히 정치화되기 위해서는 유럽회의주의 정당 뿐 아니라 그와는 상반된 입장을 가진 친유럽정당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는 입장에서 유럽이슈를 강조하는 친유럽정당들이 있다면, 어떤 동기나 조건에서 유럽이슈를 강조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EU 28개 회원국 내 친유럽정당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눈에 띄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정당 내 유럽입장의 분열정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정당의 결집을 극대하기 위한 동기로 유럽이슈를 강조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친유럽정당이 유럽이슈를 강조하는데 있어서 차별화 동기가 중요한 동기로 나타났다. 다른 요인보다는 약하게 나타나지만, 집권가능성 여부도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친유럽정당 중 집권가능성이 미미한 경우 유럽이슈를 적극적으로 강조하면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분석결과 친유럽정당들이 유럽이슈를 강조하는데 있어서 득표를 극대화하기 위한 동기는 전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 그동안 유럽이슈의 정치화에 있어서 유럽회의주의 정당의 역할만 부각되어왔었다. 그러한 측면에서 친유럽정당의 유럽이슈 강조가 유럽이슈의 완전한 정치화에 필수적이라 평가한 본 연구는 유럽회의주의 정당에만 초점을 맞춘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화된다 하겠다. The existing literature tends to consider that the politicization of European integration is primarily driven by Euroskeptic parties. Assuming that European integration could be politicized not only by Euroskeptic parties, but also by pro-EU partie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motivations leading pro-EU parties to emphasize the European integration issue. Using data from the 2014 CHES (Chapel Hill Expert Survey), this study shows some important findings. First,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s leading pro-EU parties to emphasize European issue is cohesion-seeking motivation. Second, Pro-EU parties also mobilize European integration issue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 Euroskeptic parties. In contrast, vote-seeking motivation does not at all explain the salience of European integration for pro-EU parties. Unlike the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o-EU parties in the politicization of European integration.

      • KCI등재

        Media Framing Effect on Public Approval for American Foreign Policy

        Lee, Gang-Heong(이강형)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1

        이 논문은 뉴스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을 바탕으로 북한 핵 문제에 대한 미국 언론의 보도 태도가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했다. 이 연구는 북한 핵 문제가 국제무대에서 심각한 이슈로 등장했다가 사라진 1993년 3월에서 1994년 10월 기간을 이슈 전개양상에 따라 세 시기로 나누고, 이 시기에 뉴욕 타임즈(New York Times)가 북한 핵 문제를 어떠한 프레임으로 보도했는가를 분석했다. 그리고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쟁"을 해야 한다는 여론의 변화추이를 시기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시기별로 뉴욕 타임즈의 북한 핵 보도 프레임에 있어서 상당한 변화가 있었고, 그에 따라 미국 내에서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한 여론의 방향 또한 달라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tried to test mass media framing effect that has an impact on American public"s opinion about the North Korea"s nuclear issue as a foreign policy. It paid attention to the North Korea"s nuclear issue which has evolved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of 1993 to October of 1994. The study investigated in detail how the shift in the news "frame" of the North Korea"s nuclear issue in the process of the issue evolution affected the public"s opinion formation about the government"s policy to solve the problem. Major finding of the present study was that changing salience of certain aspects of the issue had a substantial impact on public support for an important policy option such as a military action at foreign policy level. The longitudinal analysis showed that public approval rate of “going to war against North Korea” had fluctuated with the salience of certain frames over time.

      • KCI등재

        이슈리더십:주의자원(Attention Resource)의 관점

        백기복,Kibok Baik 대한리더십학회 2013 리더십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이슈리더십에 대한 심리적, 뇌신경적, 생물학적 해석을 통하여 향후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이다. 이슈현저성, 주의확보, 선택 이라는 이슈리더십 관련현상을 해석함에 있어 ‘주의자원’(attention resource) 이 핵심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주의자원이란 특정이슈에 있어 리더와 오디언스간의 거리의 총량이라고 보고, 주의와 뇌구조, 주의의 학습 또는 훈련가 능성, 선택적 주의 프로세스, 주의자원고갈과 재충전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 등을 다뤘다. 주의란 초점, 유지, 방어, 전환의 속성을 갖는 유한자원 이며, 자발적/의도적 주의집중은 결국 주의자원을 고갈시키므로 재충전의 필요 성과 방법을 정리하였다. 이슈리더는 오디언스의 주의자원 고갈여부를 살펴야 하며, 때때로 재충전기회를 마련해야 하고, 이슈의 수명주기관리가 필요하며, 이슈자체가 비자발적 속성을 갖도록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이슈리더십 및 주의자원과 관련된 향후의 연구방향과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the issue leadership research from psychological, neurological, and physiological perspectives. Such factors as issue salience, attention attainment, and selective attention seem to play a pivotal role in explaining attention resource. Defining attention resource as summation of distances between a leader and audience for each issue, we have dealt with topics as in attention-governing brain structure, attention modification, selective attention process, and “ego depletion”/attention restoration theory. It has been posited that attention is a limited resource that contains process steps like focus, retention, defense, and transition, the over-utilization of which results in depletion of attention resource to the extent that restoration is needed before another charge is made. In this vein,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the effects that issue leaders need to look into whether or not the audience’s attention resource has been depleted, to make opportunities for occasional restoration of attention resource, manage a life cycle for each issue, and write issues characteristic of involuntary attributes.

      • 이슈리더십: 주의자원(Attention Resource)의 관점

        백기복 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the issue leadership research from psychological, neurological, and physiological perspectives. Such factors as issue salience, attention attainment, and selective attention seem to play a pivotal role in explaining attention resource. Defining attention resource as summation of distances between a leader and audience for each issue, we have dealt with topics as in attention-governing brain structure, attention modification, selective attention process, and “ego depletion”/attention restoration theory. It has been posited that attention is a limited resource that contains process steps like focus, retention, defense, and transition, the over-utilization of which results in depletion of attention resource to the extent that restoration is needed before another charge is made. In this vein,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the effects that issue leaders need to look into whether or not the audience’s attention resource has been depleted, to make opportunities for occasional restoration of attention resource, manage a life cycle for each issue, and write issues characteristic of involuntary attributes. 본 연구는 이슈리더십에 대한 심리적, 뇌신경적, 생물학적 해석을 통하여향후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이다. 이슈현저성, 주의확보, 선택이라는 이슈리더십 관련현상을 해석함에 있어 ‘주의자원’(attention resource) 이 핵심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주의자원이란 특정이슈에 있어 리더와 오디언스간의 거리의 총량이라고 보고, 주의와 뇌구조, 주의의 학습 또는 훈련가능성, 선택적 주의 프로세스, 주의자원고갈과 재충전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 등을 다뤘다. 주의란 초점, 유지, 방어, 전환의 속성을 갖는 유한자원이며, 자발적/의도적 주의집중은 결국 주의자원을 고갈시키므로 재충전의 필요성과 방법을 정리하였다. 이슈리더는 오디언스의 주의자원 고갈여부를 살펴야하며, 때때로 재충전기회를 마련해야 하고, 이슈의 수명주기관리가 필요하며, 이슈자체가 비자발적 속성을 갖도록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이슈리더십 및 주의자원과 관련된 향후의 연구방향과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