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GIF 기반의 전자정부 상호운용성 점검 체계

        최영진 ( Young Jin Choi ),신수정 ( Soo Jeong Shin ),정석춘 ( Suk Chun Jung ),서용원 ( Yong Won Seo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09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8 No.2

        정보시스템의 규모가 커지면서 정보시스템간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상호운용성은 정보기술의 관점 외에도 조직간 협력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으로써 정의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OECD 국가들은 전자정부 추진전략의 하나로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Government Interoperability Framework, GIF)를 사용하고 있다.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를 도입하고 있는 미국, 유럽 및 호주의 경우, 상호운용성 구성항목은 기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비즈니스 등 유사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전자정부에서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제도간의 연계성 결여와 과다한 점검항목으로 실무에 적용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른 국가들의 상호운용성 실태와 우리나라의 상호운용성 제도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공공부문에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법제화된 EA를 기반으로 한 상호운용성 점검항목을 도출하였다. As volume of IT systems increases, it is highly required to achieve the interoperability among different information systems, especially in the e-Government systems where integration of various departments` services is needed. Since the interoperability includes the organizational aspect as well as IT consideration, advanced countries such as EU or USA adopt the GIF(Government Interoperability Framework), or alternatively EA(Enterprise Architecture) to assure the inter-organizational interoperability of e-Government. The constitutional elements of GIF and EA are similar, which include technology, application, data and business. In Korea, however, although Korean government takes various efforts for governmental interoperability, lack of consistency between various guidelines limits in the practical usage. Thu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interoperability elements for Korean e-Government to be utilized as the checklist elements and the evaluation criteria for assuring and measuring the various governmental organizations` interoperability.

      • KCI우수등재

        '연관성 규칙ʼ 탐사를 이용한 상호운용성 정의의 해석

        허환(Hwan Heo),김자희(Ja-Hee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1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6 No.2

        '최근 정보기술? 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거래가 증가되고, 시스템의 분산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상호운용성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적용분야와 이해관계자의 관점에 따라 상호운용성의 정의가 상이하여 특정 시스템에 요구되는 상호운용성의 수준이나 평가 방법에 관한 공감대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국방 분야에서는 동일한 업무를 하는 관계 기관별로도 상이한 정의를 사용하며 상호운용성의 실질적인 시험평가는 정의와는 다소 무관하게 정보교환 능력 수준의 저차원적인 평가만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상호운용성 정의를 수집하여 그 정의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이들을 데이터 마이닝의 연관성 규칙 탐사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상호운용성 정의를 제시한다. 이 정의를 기준으로 한국군에서 사용 중인 정의들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바구니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민간 및 국방 분야의 상호운용성 정의 구성요소의 연관성을 찾아, 가장 일반적이고 범용적인 정의를 도출하였다. 이 결과는 상호운용성에 대한 정의와 수준 및 평가항목 등에 대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를 도출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Lately, developing systems fully interoperable with others is considered an essential element for successful projects, as not only do e-commerce becomes ubiquitous but also distributed systems’ paradigm spreads. However, since definitions of interoperability vary by viewpoints, it is still difficult to have the sam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criteria on interoperability. For instance, various interoperability parties in military use different definitions of interoperability, and its T&E is not conduct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but only to levels of information exchang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definition of interoperability as follows. First of all, we collected existing and various interoperability definitions, extracting key components in each of them. Second, we statistically analyzed those components and applied the association rules discovery in data mining. We compared existing interoperability definitions to ours. From this research, we found associations among the components from various definitions applying market-basket analysis, redefining interoperability.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a unified viewpoint on the definition, level, and evaluation items of interoperability.

      • Development of a Cloud Computing Interoperability-Based Service Certification

        Kangchan Lee,Chulwoo Park,Hee-Dong Yan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Security and Its Applicat Vol.9 No.12

        Cloud computing and related services, in combination with mobile computing, are becoming a major building block of new IT convergence. Therefore, cloud interoperability based service evaluation certification demands precise and professional requirements. This study presents the quality, interoperability, and security as three key areas of overall cloud services. It also presents a proposal to evaluate the quality and interoperability through an existing cloud service certification system considering practical convenience and reality in establishing the certification system.

      • 상호운용성, 공개 표준과 오픈 소스

        정재훈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07 Law & technology Vol.3 No.1

        상호운용성은 IT업계의 화두이며, 소비자의 선택을 확대함으로써 경쟁적이고 혁신적인 IT생태계를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목표이다. 이는 異기종시스템과 기기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데이터와 정보를 교환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상호운용성은 대체가능성이나 호환성과는 구별된다. 상호운용성을 달성하는 방법에는 제품 설계, 업계의 협력, 지적재산권 라이선스 및 표준 구현 등의 방법이 있다. 표준은 그 중의 한 가지 방법일 뿐이므로 상호운용성은 표준 보다도 상위개념이다. 공개 표준은 기술 中立的인 개념으로서 특정 개발방식 및 라이선스 모델을 일컫는 오픈 소스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공개 표준은 전유 소프트웨어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서 모두 구현될 수 있다. 오픈 소스 진영에서는“상호운용=공개 표준 구현=오픈소스 소프트웨어”라는 식의 논리를 가지고 상호운용성을 달성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무상(royalty-free)조건의’공개 표준이고 공개 표준을 실현시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 오픈 소스이며, 지적재산권을 강제 실시하는 방법을 통해 공개표준을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공개 표준의 정의에 있어서 무상 라이선스 요건을 고집할 경우, 그 동안 지적재산권을 RAND 조건으로 라이선스 하는 방식을 통해 특허권자의 기대와 표준 참여자의 요구 사이에 성공적으로 유지해온 균형은 물론, 오랜 기간 동안 기술 표준의 개발 및 확산 및 기술혁신에 성공적이고 효과적으로 기여해 온 메커니즘을 위협함으로써 기술혁신과 경쟁 및 상호 운용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그러한 요건이 모든 공개 표준에 대한 정의로 제도화되어서는 아니 된다고 본다. 오히려 일부 오픈 소스는 자유로운 수정 변경가능성 및 GPL조건으로 인해 잠재적으로 상호운용성을 해할 수 있고 공개 표준의 구현을 배제할 가능성도 있다. 그렇지만 GNU GPL과 같은 라이선스 조건을 채택하지 아니한 오픈 소스는 RAND조건의 표준을 구현하는데 문제가 없다. 다양한 공개 표준을 바탕으로 한 경쟁관계를 통해 업계 주도하에 이루어지는 자발적인 표준 수립 노력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다. 정부는 상호운용성과 관련하여 기술 중립적인 정책을 견지하며,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시장 내의 공정한 기술경쟁과 건전한 협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며 시장 개입여부는 신중하게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st widely used definitions of interoperability describe multiple systems from multiple vendors having to seamlessly working together. There are many ways (by design, industry collaboration, IP licensing and standards) to achieve interoperability, of which standards is just one component. Open standards and open source software are entirely distinct concepts. Whether a standard qualified as“ open”has nothing to do with the type of the software used to implement the standard. It is equally feasible for an open standard to be implemented in proprietary software as in open source software (For example, both Mozilla and Internet Explorer implement HTML). The royalty-free licensing approach on the definition of open standards could threaten wellestablished and highly effective mechanisms that have succeeded for many years in fostering the development and widespread adoption of the best technical standards in the world and deter patent holders from participating in the standards development process.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n standards should be respected to ensure there is a balance between innovators and implementers. Thus, it should not be codified in a definition as a generic requirement for all“ open standards.” Several open source software characteristics impair its ability to achieve or maintain interoperability, notably: (1) the freedom of all users to modify the source code can potentially undermine interoperability; and (2) restrictions in certain open source licenses (such as the GPL) may preclude OSS from implementing open standards. Open standards exist to facilitate interoperability across various products and services in a marketplace of multiple, competing implementations, while ensuring that innovation is not stifled. Other types of standards, including broadly deployed and licensed“ proprietary standards,”such as Adobe’s PDF format and the Java and Win32R APIs, can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interoperability. Industry-led, voluntary standards-setting efforts are the most effective means to achieve interoperability. By contrast, government-established and mandated standards stifle innovation and competition. Governments are expected to take technology-neutral policies that create a level playing field and don’t interfere with healthy market competition and cooperation.

      • 상호운용성과 저작권법적 보호 - Oracle v. Google 사건을 중심으로 -

        이형규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9 Law & technology Vol.15 No.1

        협업과 정보 공유가 중시되는 현대 사회에서 기술의 상호운용성은 기술의 원활한 활용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므로 시장 후발주자는 기존의 시장 지배자가 구축한 시스템과 상호운용 가능한 제품을 출시하여야 하고 그 과정에서 선점자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미국의 법원은 위와 같은 사례에서 1980년대까지는 상호운용성 달성이라는 목적에 특별한 의미를 두지 않고 그대로 저작권 침해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90년대부터 미 법원은 위 판결의 태도를 비판하며 상호운용성과 관련해서 저작권법상의 예외를 인정하기 시작하였고 이런 태도는 현재까지 이어져 왔다. 미 법원의 이런 태도 변경은 미국 컴퓨터 산업이 컴퓨터 제조업 시대에서 상호운용성이 강조되는 인터넷 시대로 전 환하는데 기여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 미 연방항소법원은 Oracle v. Google 사건에서 기존의 기류와 상반되는 입장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 구글이 상호운용성 달성을 목적으로 오라클의 API 코드 일부분을 복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 연방항소법원은 구글의 저작물 공정이용 항변을 배척한 것이다. 따라서 미국의 과거 판례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상호운용성에 대한 판례의 태도가 과거로 회귀한 것인지 만약 그렇다면 선례와 모순적인 부분은 없는 것 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법은 자신의 창작물을 통제하고 이용할 수 있는 작가의 권리와 자유로운 아이디어, 정보 유통의 사회적 이익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방식으로 시행되어야 하고, 그 균형추의 역할을 하는 법리가 바로 공정이용 법리이다. 본 연구는 상호운용성과 공정이용 법리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공정이용의 법리가 그 본래 목적인 균형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공정이용 조문의 제정목적과 미 DMCA 등 과 같은 다른 법조문을 검토해 판례의 공정이용 조문 해석론이 체제 정합적인지 살펴볼 것이다. 이와 더불어 소프트웨어 산업 동향과 다른 국가의 입법례를 고려했을 때 판례의 태도가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것인지 검토할 것이다. Interoperability between systems has been growing in importance as more and more people collaborate and exchange ideas with one another. As interoperability became a necessity in the software market, late movers often attempt to achieve interoperability with the existing system even if to do so may risk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80’s, US courts did not excuse the late movers’ effort to catch up, ruling such attempts did constitute copyright infringement. However, since the 90’s, the courts took a turn and made exceptions when alleged act of infringement was committed to achieve interoperability. Some argue that this turn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ward the US computer industry’s transition from a manufacturing industry to a interoperable software industry in the internet era. However, recently, the US courts seem to have taken a new turn from their standings established since the 90’s. In the famous Oracle v. Google case, the US Federal Circuit ruled that Google’s use of Java API SSO was not fair use even though Google’s copying of the Java code was to achieve a degree of interoperability. Therefore, a further investigation wa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Federal Circuit’s stance is inconsistent with its precedents. Copyright law seeks to promote progress of useful arts and science by finding a balance between providing protection and allowing for fair use. And fair use doctrine is a crucial tool that keeps the balance. Fair use doctrine could better serve its purpose as a balancing tool if interoperability factors into account in the fair use analysis. This article investigated other legislations to examine whether considering argument for interoperability in the fair use analysis would be consistent with the legal system as a whole. Furthermore, cases from other legal systems such as EU were analyzed in order to compare current US court’s standing to international norm.

      • SCIESCOPUS

        Evaluating investments in portability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software service platforms

        Haile, Netsanet,Altmann, Jö,rn North-Holland 2018 Future generations computer systems Vol.78 No.1

        <P><B>Abstract</B></P> <P>Within a closed ecosystem, end-users cannot interoperate with other platforms or port their software and data easily without a cost for interface integration or data re-formatting. The customers of these closed software service platforms are locked-in. Potential customers, who are aware of this lock-in issue, are hesitant to adopt a closed software service platform, slowing down the wide deployment of the software service platform. This paper applies an economic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value creation for providers and users at different levels of interoperability. For the analysis, a value creation model for software service platforms within a software service ecosystem has been developed. Simulations of the value creation model show that, even if investments in interoperability and portability are aimed at addressing user requirements, their impact also drives the providers’ profitability. Furthermore, emerging providers require investing more than market leading providers, as they have less power to set de facto standards. The simulation results also show that there is an optimal level of investments, with respect to profit and return on investments. Overall, from these results, platform providers cannot only obtain an understanding on how investments in interoperability and portability impact cost, enable cost-effective service integration, and create value, but also design new strategies for optimizing investments.</P> <P><B>Highlights</B></P> <P> <UL> <LI> Design of a model for analyzing portability and interoperability of software service platforms. </LI> <LI> Simulation of the impact of interoperability and portability on provider revenue and user utility. </LI> <LI> Design of a method for evaluating investments in interoperability and portability of platforms. </LI> </UL> </P>

      • KCI등재

        LISI 기반의 무기체계 상호운용성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오행록(Haeng-Rok Oh),구흥서(Heung-Seo Koo)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7 No.3

        현대ㆍ미래전에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합동ㆍ연합작전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무기체계 간에 상호운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 국방성에서는 정보체계 기획단계에서부터 개발단계까지의 시스템 개발에 구현된 표준기술에 대한 상호운용성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 LISI(Level of Information System Interoperability)를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국방정보체계 간의 상호운용성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LISI 기반의 상호운용성 시험평가 도구인 SITES(Systems Interoperability Test & Evaluation System)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방정보체계 뿐만 아니라 무기체계를 포함하는 상호운용성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보체계 평가모델을 무기체계 영역으로 확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정보체계와 무기체계에 적용 가능한 상호운용성 평가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델을 E-SITES(Extended SITES)에 구현하고 12개 무기체계 대상으로 실험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There are many demands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weapon systems as the operational needs for joint and coalition based on network in modern and future warfare have been increasingly needed. In DoD, LISI has been applied throughout information system life cycle from the planning phase to the development phase to assess the level of interoperability. We also developed SITES which is a tool to assess the level of interoperability in information systems. But we should extend the assessment model from the previous information systems to the weapon systems to assess the level of interoperability including weapon systems as well as inform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assessment model of interoperability, implemented the E-SITE based on the proposed model, applied 12 weapon systems and analyzed the experimental result.

      • KCI등재

        저장-프로시저 기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상호운용을 위한 XMDR Hub 프레임워크

        문석재,정계동,강석중,최영근,Moon, Seok-Jae,Jung, Gye-Dong,Kang, Seok-Joong,Choi, Young-Ke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12

        기업 내에는 여러 가지의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이러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들은 eAI 솔루션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조정되면서 비즈니스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그러나 ERP, PDM과 같은 기존에 구축된 레거시 시스템들과 협업하여 상호운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내부적으로 레거시 시스템상의 데이터베이스에 SQL질의 기반의 저장-프로시저를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가 상호운용되고 있다. 하지만 프로세스 내의 데이터를 상호운용하는데 스키마 변환, 매칭, 매핑과 같은 이질성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QL 질의 기반인 저장-프로시저 레포지토리를 이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상호운용이 가능한 XMDR 허브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이를 이용함으로써,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레거시 시스템간의 데이터 상호운용이 용이해진다. Various kind of business process exists within enterprise. These business processes achieve business purposes while operate and control using eAI solution. However legacy systems-ERP, PDM are able to many cooperations and interoperability. Generally real data is becoming interoperability using query based on store-procedure on legacy system for business process transaction. Also, It may occur some problems among schema conversion, matching, mapping and other heterogeneous between data interoperability in process. We propose business process interoperability framework based on XMDR Hub that can guarantee interoperability between legacy systems using process that is consisted of SQL query based on store-procedure. It is easy to process data interoperability between legacy systems when business process execute.

      • KCI등재

        S-100 정보활용을 위한 상호운용성의 적용 연구

        강동우(Dongwoo Kang),오세웅(Sewoong Oh),최현수(HyunSoo Choi),정중식(Jung Sik Jeo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9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9 No.3

        우리나라에서 진행하고 있는 SMART Navigation 프로젝트는 IMO의 e-Navigation을 실현하여, 해상교통의 최적화, 해양상황인지, 선제적 해양안전 확보, 원격지원 등의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Navigation에서는 데이터 표준 모델(CMDS)를 S-100으로 결정으로 결정했다. S-100을 기반으로 다양한 도메인의 정보를 표준화하고 있으며, SMART Navigation에서는 그 정보들을 활용하여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SMART Navigation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활용하지 않으면 정보전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HO는 S-100 상호운용성을 개발하고 제공하고 있다. 상호운용성의 목적은 다양한 S-100 기반 정보를 간소화 하며, 목적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S-100에서 제공하는 상호운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상호운용성의 기능을 활용하고, 기능의 활용 방법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항해계획에 상호운용성을 적용하고, 적용 전후의 비교를 통하여 상호운용성에 대한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The SMART Navigation project, which is being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of Korea, aims at realizing e-navigation of IMO and establishing services such as optimization of maritime traffic, analysis of maritime situation, secure preemptive marine safety, and remote support. In e-Navigation, Common Maritime Data Structure(CMDS) is decided to be S-100. It is standardizing data of various domains based on S-100, and SMART Navigation provides the data. However, if data provided by SMART Navigation is not used according to certain rules then it could make data confusion. To solve this problem, the IHO is developing the interoperability in the S-100. Interoperability is part of the standard, and its aimed to simplify various S-100 based data and to provide data that is appropriate for the purpose. In this paper, we study S-100 interoperability. We utilized the functions of interoperability and confirmed how to use the functions. And we applied the interoperability to the voyage plan, and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operability through compariso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interoperability.

      • KCI등재

        전술데이터링크의 특성을 고려한 상호운용성 수준평가 연구

        나형두,천재영,이남용,Na, Hyeng-Doo,Cheon, Jae-Young,Lee, Nam-Yong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1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4 No.1

        The Systems Interoperability Test and Evaluation System(SITES) is an T&E support tool for both information system and weapon system. The SITES was developed by reference to the Level of Information Systems Interoperability(LISI) in US. We use the tool via MND Broad convergence Network(BCN) in order to assess information system's interoperability. Nowadays, there are many ongoing researches on expanding assessment capability into weapon systems. As part of those research topics, this paper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actical data-link messages which is the way to exchange the information among the weapon systems, and reflect that characteristics in interoperability level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