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사법에 있어서 통일규칙 제정의 필요성과 가능성 검토

        박은영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國際去來와 法 Vol.- No.23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making efforts to promote and enhance international trade.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ISG) is a good example. Each country also makes these efforts individually. These include the preferential trade agreement to alleviate trade barriers between the two countries or certain countries; or to abolish them altogether. A number of studies have taken them as a good example to stimulate international trade. However, most studies overlook the harmonization with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other than the public international law. There is a possibility that various private rules may be applied to the areas of international public rules, which may interfere with international trad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harmonize international and international law. In contrast, discussions to promote international trade by establishing internationally unified standard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are only rarely done. Attempting to harmonize the rule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can help promote international commercial transactions. For example, in case that you do not recognize the benefits of a preferential trade agreement, you can exploit international private rules to fill that gap.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CISG. This Convention may be an important guideline in attempting to harmonize the rules of international private rules. In countries that have little or no preferential trade agreements or free trade agreements, it is highly likely to ratify these international private rules. Therefore, this study regarding international trade norms will be an opportunity to expand not only the public international law but also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국제사회는 국제교역을 활성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국제물품매매에관한 유엔협약(UN CISG, UN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은 그러한 예이다. 또한 각 국가는 개별적으로도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양국 또는 특정 국가 사이의 무역장벽을 완화하는 특혜무역협정이나 아예 철폐하는 특혜무역협정의 체결이 그 예이다. 많은 연구결과들이 국제교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좋은 예시로 이들을 들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국제공법 이외의 국제사법과의 조화를 간과하고 있다. 국제공법의 영역에 다양한 국제사법이 적용됨으로써 오히려 국제교역을 저해할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국제공법과 국제사법의 조화를 이루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국제사법의 통일 기준을 만들어 국제교역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논의는 아주 드물게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국제사법규정의 통일화를 시도하는 것은 국제상거래를 활성화시키는데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혜무역협정의 혜택을 보지 못하는 경우에는 국제사법을 이용하여 그 공백을 메울 수 있다. CISG를 통해 이를 살펴볼수 있다. 이 협약은 국제사법규정의 통일규범을 시도하는데 중요한 지침이될 수 있다. 특혜무역협정이나 자유무역협정을 거의 맺지 않았거나 맺기 어려운 국가의 경우 이러한 국제사법분야의 협약을 비준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국제통상규범의 연구가 국제공법 뿐만 아니라국제사법분야까지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TBT협정과 국제표준의 정의에 대하여 -연혁적 고찰을 중심으로-

        김경우(Kim Kyungwoo) 대한국제법학회 2019 國際法學會論叢 Vol.64 No.2

        국제표준은 비무역장벽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케네디라운드 이후에 그 논의가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하여, 도쿄라운드의 Standards Code에서 지금의 TBT협정과 유사한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우루과이라운드에 TBT협정과 더불어 SPS협정이 새롭게 만들어지면서, 국제표준을 그 영역을 넓혀 나갔다. WTO협정의 국제표준과 관련된 규정은 비관세장벽 또는 비무역장벽과 관련된 규정에 주로 규정되었고, 그 중에서 TBT협정은 국제표준과 관련된 가장 기본적인 협정으로 볼 수 있다. TBT협정과 관련된 사건 중에서 EC-Sardines 사건과 US-Tuna II (Mexico) 사건은 국제표준의 정의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접근을 하고 있다. TBT협정 제2.4조 및 제2.5조의 해석을 위해서도 국제표준의 정의에 대하여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국제표준이 무엇인지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1970년 11월을 기점으로 시작되며, 표준(standard)이라는 용어의 정의는 어는 정도 정리가 되어 있는 상황에서, ‘국제’(international)라는 용어의 정의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표준을 만드는 기관(organizations)의 성격을 통하여 ‘국제’라는 용어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쿄라운드에 들어와서는 Draft Code의 국제표준의 정의와 ECE용어의 국제표준의 정의를 어떻게 조화시켜야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부상한다. 특히 1975년 9월에 핀란드의 K. Bergholm은 ECE/ISO 정의의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고하게 된다. 1976년 11월에 K. Bergholm은 용어의 정의목록에서 삭제가능한 용어에 대하여 언급하면서, 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 표준화기구(standardizing body),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izing body), 지역표준화기구(regional standardizing body) 등과 같은 용어를 정의에서 삭제할 것을 제안하였다. K. Bergholm의 삭제가능한 용어는 국제표준의 정의가 WTO TBT협정에서 사라지게 되는 단초가 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쿄라운드 Standard Code에서는 국제표준의 정의삭제라는 K. Bergholm의 주장은 반영되지 않았다. 국제표준의 정의가 삭제되는 것은 우루과이라운드에 들어와서 이며, 기술규정(technical regulation)과 표준(standard)에 대한 용어를 중심으로 정의되게 된다. WTO협정에 들어오고 나서, 특히 TBT협정의 국제표준관련 규정은 표면적으로는 비무역장벽을 장벽을 제거하고 국제무역의 불필요한 장애를 제거하고 무역을 원활화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모든 WTO 회원국들이 동의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국제표준의 사용을 통제하려는 움직임이 더 활발해진 시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non-trade barriers, international standards began to be discussed after the Kennedy Round. The contents of international standards began to look similar to the WTO TBT Agreement from the Standards Code of the Tokyo Round. As the SPS Agreement was newly made in the Uruguay Round along with the TBT Agreement, the international standard broadened its scopes and began to be stipulated in GATS, Pre-Shipment Inspection Agreement, and Government Procurement Agreement. The provisions relat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f the WTO Agreement were mainly stipulated in the provisions relating to non-tariff barriers or non-trade barriers, among which the TBT Agreements can be regarded as the most basic agreements relat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Among the cases related to the TBT Agreement, the EC-Sardines case and the US-Tuna II (Mexico) case hav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defini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s 2.4 and 2.5 of the TBT Agreement, it is also necessary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 discussions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were made in November 1970. At that time the definition of the term ‘standard’ was already discussed and began to have interest in the definition of the term ‘international’. Drafters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erm ’international’ through the nature of the standards-making organizations. It was the “Rogers draft” of December 1971 that first introduced the defini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Tokyo Round, the question arises as to how to harmonize the defini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Draft Code with the defini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ECE terminology. In September 1975, K. Bergholm of Finland reported on the applicability of the ECE/ISO definitions. In November 1976, K. Bergolm referred to the terms that can be deleted from the definition lists such as international standards, standardizing bodies,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bodies, and regional standardization bodies, and so on. K. Bergolm argued that terms that can be deleted from the definition lists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Treaties, and that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s is in most cases the same as the definition of ECE/ISO definitions. K. Bergholm’s terms that can be deleted could be seen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defini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to be deleted from the WTO TBT Agreement. However, in the Standards Code of the Tokyo Round, K. Bergholm’s argument to deletethe defini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was not reflected. The definition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was deleted in the Uruguay Round. Although all WTO members agree that the provisions relat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TBT agreement play a role in removing non-trade barriers, eliminating unnecessary obstacles to international trade and facilitating trade, in practice, it could be seen as a period when movement to control the use of international standards has become more active.

      • KCI등재

        국제통상 : 자유무역협정 체결이 국제서비스무역 패턴에 미치는 효과 분석

        김석민 ( Seog Min Kim ) 국제지역학회 2012 국제지역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패널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자유무역협정 체결이 서비스무역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무역자유화가 국제서비스무역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무역협정의 무역창출효과는 상품무역보다 서비스무역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서비스무역협정에서는 비회원국들과의 서비스무역을 위축시키는 무역전환효과가 발생되지 않지만, 상품무역협정에서는 무역전환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품무역에서는 개도국이 자유무역협정의 이득을 얻는 무역패턴이 나타나지만, 서비스무역에서는 선진국이 자유무역협정의 이득을 얻는 무역패턴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서비스무역협정의 효과는 교역상대국간의 경제발전수준과 각 서비스무역 부문별로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국제서비스무역 발전을 위한 정책수립 시에는 각 서비스무역 부문별 특징과 교역상대국간의 경제발전 수준의 격차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uses the Panel Gravity Model to analyze the effects of free trade agreement on the pattern of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s and draw out some implications. A summary of the conclusions of the analysis can be given as follows; First, compared with trade in goods, trade creation effect of FTA is apparently relatively larger. Although trade diversion effect does not show reduction in volume of trade in services between member state and non-member state under service trade agreements, the trade diversion effect shows up under trade in goods agreement. Second, although trade patterns show that developing countries get interests of free trade agreements under trade in goods, developed countries get the interests of free trade agreements under trade in services. The conclusion is that international service trade obviously shows differences in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between trading partners and trade in service industries. Therefore, when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ervice trade we mus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in trade in services and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gap between the trading partners.

      • KCI등재

        수출입 상품교역에서 기술장벽조치의 판단기준에 관한 사법적 해석

        이양기 한국국제상학회 2010 國際商學 Vol.25 No.3

        Given that tariffs are by no means the only restrictions on international trade, non-tariff barriers to trade are important objects of regulation of WTO law. This paper cover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levant non-tariff barriers, i.e. technical barriers to trade measures in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Article 1 of the 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Agreement) together with Annex 1 thereof lays down the basic framework for the functioning of the TBT Agreement as a legal instrument against three identified potential technical barriers to trade : technical regulations, standards, and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The TBT Agreement distinguishes between technical regulations and standards, and imposes different sets of obligations in respect of the two categories. Unless there are proper technical regulations and standards between trading countries, they must decide certain requirements which they obser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 comprehensive and concise insight into the definition and scope of technical barriers to trade measures by combining information on its legislative history, and its interpretation of existing case law. WTO체제하에서 모든 건강조치가 위생 및 식물위생조치에 관한 협정(Agreement on the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이하 SPS협정)에서 다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SPS협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다수의 건강조치들은 무역에 대한 기술장벽에 관한 협정(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이하 TBT협정)을 통하여 규제된다. SPS조치와 마찬가지로 TBT협정의 기술규정이나 표준 등도 무역에 대한 비관세장벽의 중요한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대부분의 수입 국가는 자국으로 수입되는 타국제품에 대하여 예외 없이 수입품이 준수해야 하는 다수의 기술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수입국의 기술요건을 준수하기 위하여 수출자는 상당한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수출자는 수입국의 요구 조건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그 요구 조건을 준수하기 위하여 제조 공정과 설비를 교체하거나, 준수하였음을 입증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SPS협정과 같이 TBT협정도 이러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회원국에게 다수의 실체적인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TBT협정과 관련하여 회원국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쟁점은 회원국의 권리와 의무를 부여하고 있는 TBT협정의 실체적 의무, 즉 동 협정의 적용범위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왜냐하면, 회원국이 준수해야 하는 실체적인 의무는 분쟁 사례를 통한 협정 조문의 해석과 TBT위원회 등에서 다루어진 결정 및 선언을 통하여 명확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TBT협정과 관련하여 패널과 상소기구에서 유이하게 다루어진 EC-Asbestos 및 EC-Sardines 사건을 중심으로 무역에 대한 기술장벽조치의 개념과 관련된 협정 조문을 판례를 통하여 상세하게 분석함으로써 TBT협정의 적용범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한다. 반덤핑협정, 보조금 및 상계관세협정, 세이프가드협정과 같은 무역구제와 관련한 협정이나 인간의 건강보호 및 환경보호에 관련된 SPS협정 등과 비교할 때, TBT협정에 관한 국내의 연구 성과는 그다지 높지 않다. 현재까지의 주요 연구로는 TBT협정과 SPS협정의 적용범위, 특징을 중심으로 양자를 비교 분석한 연구(이재영, 2007; 이길남ㆍ윤영환, 2005; 안덕근, 2002)와 시험ㆍ교정 분야를 중심으로 적합성 평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극복 방안을 제시한 연구(박주근ㆍ윤기관, 2008), 그리고 TBT협정에서 국내 규제의 자치권을 제약하는 수단을 규명하고 국제무역에 최소한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면서도 일국의 규제 자치권을 최대로 허용할 수 있는 조화의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양기, 2009) 등이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는 WTO 발족 이후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못하였던 TBT협정에 관한 국내 연구에 초석을 제공해 왔지만, 패널 및 상소기구의 판례를 통하여 TBT협정의 적용범위와 기술장벽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다룬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WTO 관련협정과 사례 분석을 통하여 TBT협정의 적용범위를 구체적으로 비교 검토하고, TBT협정의 구현원리인 기술장벽조치의 개념과 유형을 상술하며 최종적으로 패널과 상소기구의 사법적 판단을 해석함으로써 연구자나 정책입안자 또는 기업의 담당자들에게 TBT협정과 타협정과의 적용범위 뿐만 아니라 기술규정, 표준, 적합판정절차의 세 가지 적용범위의 경계선을 명확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

      • KCI등재

        EU와 미국에서의 노동

        이승욱(李承昱)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2012 노동법연구 Vol.0 No.32

        오랜 기간의 협상을 마치고 한-EU FTA는 2011년 7월 1일부터 잠정발효하였고, 한-미 FTA는 2012년 3월 15일부터 발효하게 된다. 두 FTA는 모두 노동기준에 관한 조항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체결한 FTA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모두 EU와 미국의 노동-무역 연계 정책의 변화 속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EU는 2006년 이후 이른바 ‘새로운 세대의 FTA’ 정책을 발표하고 FTA 협상에서 노동과 무역을 적극적으로 연계하는 정책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최초로 체결된 한-EU FTA는 ILO를 중심으로 한 국제노동기준이 협정문의 내용으로 포섭되어 있으며, 시민사회대화를 통해 여론의 압력에 의한 간접적인 이행강제가 도모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한-미 FTA 역시 강력한 노동기준을 양자간 무역협정에 포함시키는 방향으로의 미국 통상정책이 2007년 5월 전환함에 따라 체결된 최초의 FTA이다. 한-미 FTA는 ILO의 핵심노동기준과 함께 미국식의 노동기준이 노동조항의 내용으로 수용되어 있으며,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이행강제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한-EU FTA와 한-미 FTA 소정의 노동조항은 협상 상대방국가인 EU와 미국의 노동-무역 연계정책의 변화에 따라 체결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양 FTA의 노동조항에 관한 집행과 운영도 이러한 정책변화를 염두에 두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양자간 협정을 통한 노동과 무역의 연계는 필연적으로 국제노동기준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왔던 국제노동기구의 역할을 대폭적으로 수정하도록 하고 국제노동기준에 관한 국제적인 컨센서스를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Th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n and EU(‘Korea-EU FTA’) has entered into force provisionally on 1 July 2011, and th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KORUS FTA’) will be in force on 15 March 2012. Both FTA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FTAs that have been concluded by Korea, since these include clauses concerning labor standards, whereas those do not contain any labor standards clause. The difference can be well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policy change on EU and the United States’ labor and trade issues. Since 2006, EU launched a new trade policy, which is known as ‘the New Generation of FTAs’. Its main purpose is to place labor issue on the highest negotiation object of FTAs which EU is undertaking. Korea-EU FTA is the first FTA that has been concluded under EU’s new trade policy. The Chapter 13 (Trad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FTA contains various labor standards including 4 core labor standards which are enumerated in the ILO Declaration on Fundamental Principles and Rights at Work and its Follow-ups, adapted by the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in 1998. The labor standards in the FTA dose not have legally binding effect. The enforcement of fundamental labor standards in Korea-EU FTA depends not on direct and binding mechanism but on indirect and political ways through cooperation and dialogue in the “Civil Society Forum” established by the FTA. KORUS FTA is also the first accomplishment of America’s new trade policy titled “New Trade Policy for America” which was bipartisan agreement concerning trade and labor issues in the Democratic-led Congress. In KORUS FTA, although the U.S.-style term “internationally recognized labor rights” instead of more commonly used term, “core labor standards” as for the labor standards, it contains various restrictions on the exercise of discretion and the allocation of resources of the parties. Furthermore, unlike the other FTAs U.S. have concluded, as the labor disputes arising under the FTA can be referred to the ordinary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the labor standards in the FTA can have a legally binding force. This paper proposes the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of labor clauses in both FTAs should be understood in these policy changes on labor and trade linkage in EU and U.S. As newly concluded bilateral trade agreements have established their own labor standards which are derived from the current ILO’s international standards, it seems that ILO’s role and influence in shaping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tend to be impeded by the bilateral trade agreements.

      • KCI등재

        데이터무역 국제규범의 출범 -TPP의 중요한 의의-

        박노형 ( Nohyoung Park ) 안암법학회 2016 안암 법학 Vol.0 No.50

        미국과 일본 등 12개 아시아태평양국가들이 8년의 협상 끝에 2015년10월 5일 미국 Atlanta에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TPP) 협상을 마무리하였다. 이들 12개 TPP당사국들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회원국이다. TPP는 기본적으로 자유무역협정이지만, 개인정보보호 등 정보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는 첫 다자간 (자유무역)협정인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TPP는 개인정보보호를 포함하여 정보에 관한 국제적 규율에 있어서 몇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첫째, TPP는 개인정보를 포함한 정보에 관한 규정을 포함함으로써 개인정보를 포함한 정보의 보호와 이용이 21세기 디지털경제 시대에서 보다 중요하고 새로운 경제적 요소임이 입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무역관련 조약에서 개인정보를 포함한 정보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TPP를 통하여 데이터의 수출입, 즉 데이터무역이 국제규범으로서 보호되고 인정되게 된 것은 국제통상관계는 물론 국제관계 및 그 규범의 발전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둘째, TPP의 개인정보보호 규정은 개인정보보호에 있어서 그 수준이 그렇게 높지 않고, 개인정보를 포함한 정보의 초국경 이동, 예컨대데이터의 수출 제한의 원칙적 금지와 데이터 현지화의 원칙적 금지와 같이 정보의 보호보다 그 이용이 크게 부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PP의 느슨한 개인정보보호 규정은 미국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는데, 자유무역협정에서 개인정보보호가 처음으로 규정된 점에서 크게 부각되는 TPP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규정은 데이터의 수출입의 실현을 위한 최소한의 립서비스에 그친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셋째, TTP의 정보에 관한 규정은 현재 논의 중인 미국과 EU의 TTIP(Transatlantic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와 WTO의 TiSA (Trade in Services Agreement)의 정보에 관한 규정에도 중요한 영향을 줄 것이다. 넷째, 1980년 OECD 프라이버시가이드라인과 1981년 유럽평의회(Council of Europe) 108협약 이 채택된 이후 국제적으로 개인정보의 자유로운 이전과 개인정보보호 사이에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TPP의 경우 이러한 견제와 균형 대신에 거의 일방적으로 개인정보를 포함한 정보의 자유로운 이전과 이용이 강조된 것으로 보인다. 상품과 서비스의 자유무역을 우선하는 자유무역협정인 TPP에서의 개인정보보호규정의 한계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전자상거래에서 개인정보를 포함한 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짐에 따라 이러한 한계는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개인정보를 포함한 정보의 초국경 이동, 즉 데이터무역이 상품과 서비스의 자유무역에 버금가도록 국제규범으로서 발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The 12 countr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including the US and Japan, concluded the 8 year long negotiation on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agreement on 5 October 2015. They all belong to the 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TPP is basically a free trade agreement, but it is very significant to be the first kind for covering data including personal data as follows. First, as TPP, being a free trade agreement, has provisions on data including personal data, the importance of the use and protection of data in the digital economy is now accepted internationally. In other words, TPP is to be regarded as the first introduction of international rules on trade in data, which should develop along with trade in goods and services. Second, it is a pity that TPP has provisions on data protection which do not aim at a higher standard among those countries. It may be assessed that the use of data is significantly emphasized over the protection of data. Data protection under TPP may work just as a lip service for trade in data. Third, the provisions on data in TPP may influence the negotiations on the Transatlantic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 (TTIP) between the US and the EU and also the Trade in Services Agreement (TiSA) among some WTO members. In conclusion, TPP is very significant for covering data protection, but is very disappointing for covering a lower level protection. It may be accepted that TPP is a free trade agreement, not a privacy agreement. On the other hand, TPP is really significant for introducing international rules for trade in data. Though, in the digital age, data protection should also be respected in the same way as free trade.

      • KCI등재

        TBT 협정 제2.4조의 ‘국제표준 완성의 임박’에 대한 소고

        김경우 (사)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23 국제경제법연구 Vol.21 No.1

        Article 2.4 of the TBT Agreement requires the use of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as a basis for technical regulations if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exist or their completion is imminent”.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expression “their completion is imminent” has never been disputed in the WTO. As article 2.4 of the TBT Agreement affects the interpretation of other WTO agreements, this paper examined how to interpret other WTO agreements. In order to prevent non-tariff barriers which caused unnecessary obstacles to international trade, the emergence of the expression "their completion is imminent" was needed after the Kennedy Round. After reviewing the Motorola/JR case, my analysis goes to other WTO agreements which refer to international standards. SPS Agreement, Preshipment Agreement, GATS, Trade Facilitation Agreement are the representative agreements that have similar provisions like article 2.4 of the TBT Agreement. However, other than TBT agreement and SPS agreemen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ircumstances because the other agreements are basically composed of endeavor clauses. The expression “their completion is imminent” is centered on the issue of harmony through international standards based on not only existing international standards but also on international standards that are imminent. After Kennedy Round, the elimination of non-tariff barriers was common concern of most of the contracting parties. It suffices to say that the phrase “their completion is imminent” was born with this historical background and we need to remember the strong will of the drafters to remove non-tariff barriers. TBT 협정 제2.4조는 “관련 국제표준이 존재하거나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 기술규정의기초로 관련 국제표준을 사용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국제표준이 존재하는 경우 외에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라는 문구에 대한 해석은 WTO에서 아직 문제 된 적이없었다. 국제표준과 관련된 TBT 협정의 대표적 조문인 제2.4조는 다른 협정의 해석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본고는 관련 국제표준이 존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완성이 임박한 경우에, TBT 협정 이외의 다른 협정에서 이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라는 표현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케네디라운드 이후 비관세장벽이 국제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하지 못하도록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시대적배경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Motorola/JR 사건은 정부조달협정에서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의 해석과 관련된 유일한 사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복수국간 무역협정인 정부조달협정과 TBT 협정이라는 성격상 차이를 중심으로 하여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까지 정부조달협정에 확대하여 적용하기는 쉽지 않으리라고 판단하였고, 국제표준과 관련된 그 외 협정들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SPS 협정, 선적전검사협정, 서비스협정, 무역원활화협정이 국제표준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 대표적인 협정이라고 할 수 있다. SPS 협정은 국제표준 이외에도 지침 및 권고라는 형식을 통하여 완성의 임박성에 대한 효과를 누리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TBT 협정과 SPS 협정 이외에는 조문의 권고적이거나 노력조항으로 되어있어 “그 완성이 임박한경우”라는 상황을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라는 문언은 국제표준을 통한 조화의 문제를 현재 존재하는 국제표준뿐만 아니라 그 완성이 임박한 국제표준에도 기초하게 하고 있다. 특히 TBT 협정과 SPS 협정은 비관세장벽이 불필요한 무역장벽이 되지 않게 하려고 비관세장벽을 제거하고자 하는 시대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 완성이 임박한 경우”라는 문구를 다른협정에 적용하는 것은 어려울지라도 그 탄생 배경을 살펴볼 때, 관세장벽뿐만 아니라 비관세장벽의 제거를 통해 자유로운 무역을 바랐던 의도는 충분히 음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WTO協定의 國內的 實施에 있어서 自己執行性의 限界

        李秉和(Byung-Hwa Lee) 대한국제법학회 2005 國際法學會論叢 Vol.50 No.2

        종래부터 國際法은 국가의 국제적 행동이나 국가 상호간의 관계를 규율해왔으나 오늘날에는 國內法의 규율대상이었던 국가와 사인의 관계나 사인 상호간의 관계도 규율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경향은 國際經濟法의 분야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결과 國際法의 實效性은 국제적 평면에서의 실현만이 아니라 각국의 국내법질서에서의 실현에도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각국의 국내법질서에 있어서 국제법의 구체적 실현은 각국에 위임되어 있으므로 그 방법상 자유가 인정되며 국내법상 국제법의 지위도 각국마다 상이할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서 國際條約을 국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체약국이 어떠한 조치를 강구하는가는 締約國의 裁量에 위임되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條約의 國內的 實現의 제1차적 책임은 行政機關과 立法機關이 지며 이들 기관은 필요에 따라 관련된 국내법령을 개폐ㆍ정비하여 조약의 국내적 실현을 꾀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司法機關은 개별적ㆍ구체적 사건에 있어서 조약규정의 해석적용을 통하여 조약의 국내적 실현을 최종적으로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러한 國內法院의 역할 및 한계는 條約의 自己執行性 내지 直接適用可能性의 문제로 논의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國際經濟法의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국제법규인 GATT와 이를 계승한 WTO協定의 국내적 실현과 관련하여 自己執行性의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우선 條約의 自己執行性에 관한 一般論으로서 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자기 집행성의 의의를 살펴보고 조약의 자기집행성의 판단주체 및 판단기준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다음으로 WTO協定의 自己執行性에 관한 考察을 함에 있어서 GATT 및 WTO의 자기집행성에 관한 논의를 연혁적으로 검토하고 WTO 체제의 대표적인 주요외국인 미국ㆍ유럽공동체EC)ㆍ일본에 있어서 WTO협정의 국내적 실시방법을 살펴보되 특히 WTO협정의 자기집행성 혹은 직접적용가능성의 여부문제를 중심으로 비교하고 있으며 끝으로 WTO협정의 자기집행성의 한계를 개관함으로써 급변하는 WTO체제 하에서 우리나라의 通商政策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In the past, international law had been applied to the international actions of nation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but its coverage is currently extended to relations between a nation and a private person or between private people. Such a trend is more evident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and as a consequence,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law is largely reliant on not only the realization of its own but that of domestic law in each country. But each nation is entrusted to realize international law in its own way and in conjunction with the order of domestic law, and every nation can decide how to apply it at their own option. Therefore, the position of international law in domestic law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In other words, treaty powers can take measures at their own discretion to enforce international agreement within their territory. In general, administrative and legislative organs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domestic enforcement of international agreement, and they reorganize or change relevant domestic law, if necessary, to do that. And the machinery of law takes final charge of the domestic enforcement of international agreement by interpreting its regulations and applying them to individual cases.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n such a role of domestic court and its limitations in association with the self-executing or direct applicability of agre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self-executing of the domestic enforcement of GATT, the most critical international economic law, and WTO agreement. its succession. Firstly, the domestic validity of agreement and the significance of self-executing were described to give an outline of the latter, and who judges the self-executing of agreement and by what standards it's done were discussed in detail. Secondly, the self-executing of WTO agreement was discussed. Specifically, disputes on the self-executing of GATT and WTO were review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how major foreign nation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EC and Japan, applied WTO agreement within their territory was described. In particular, they were compared in view of the self-executing or direct applicability of WTO agreement. And finally, what problems WTO agreement faced in terms of self-executing was explained to help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Korean trade policy under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of WTO.

      • KCI등재

        한국과 유럽 사이의 무역에 적용되는 법률 변화 가능성과 시사점*

        김봉철,김호,신의찬 한국무역연구원 2023 무역연구 Vol.19 No.1

        Purpose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national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law in the field of trade based on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of law changes applied to trade between Korea and Europe. Design/Methodology/Approach – To analyze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of law changes applied to trade between Korea and Europe, the paper focuses on the connectivity between international and national law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legal texts. Specifically, it proposes a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nternational law on Korea-Europe trade based on the Korea-EU FTA and global challenges ahead of Korea and Europe. Findings – Since the European Union began to raise interest in Asia in the 1990s, relations between Korea and Europe have also developed rapidly. In particular, Korea and Europe have maintained close economic relations with the signing of the Korea-EU FTA in 2011, and discussions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 domestic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law have continued in the process. In this respect, the recent spread of international norms, including trad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mphasized by the European Union, and the various global issues currently occurring,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Europe relations and trade. Research Implications – The national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law centered on the Korea-EU FTA in establishing new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Europe in the future is likely to be revised, and new changes in the areas of a future Korea-EU FTA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uch as well as recent global issues such as Brexit,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Russia-Ukraine War.

      • KCI등재

        TBT 협정상 ‘불필요한 무역장애 금지’ 규정에 대한 연구

        이성형(Sung-Hyoung Lee),전정기(Cheong-Ghi Chun) 한국무역연구원 2016 무역연구 Vol.12 No.3

        Under the TBT Agreement, WTO members have the right to take measures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human, animal or plant life or health, of the environment, or for the prevention of deceptive practices. At the same time, WTO members have several obligations and these are described more particularly in Article 2 of TBT Agreement. The Article 2 of TBT Agreement contains two important obligations. One is ‘national treatment’ (Article 2.1) and the other is a ban on unnecessary obstacles to international trade (Article 2.2). This paper focuses on Article 2.2 of TBT Agreement and it provides that the measures are not prepared, adopted or applied with view to or with the effect or creating unnecessary obstacles to international trade. For this purpose, technical regulations shall not be more trade-restrictive then necessary to fulfil a legitimat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unnecessary obstacles to international trade’, ‘more trade-restrictive then necessary to fulfil a legitimate objectives’ under Article 2.2 of the TBT Agreement through some WTO dispute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