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의 위대한 정치와 선한 유럽인의 세계시민적 덕성

        최순영(Choi, Soon young)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4

        In this paper, I intend to interpret the great politics of F. Nietzsch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smopolitan virtue of good European. Confronting German nationalism, Nietzsche claims himself as a good european. Nietzsche presents great politics as a new political ideal through revaluation of all values. Great politics, which is a new value, will enter into a fierce struggle with existing nihilist values (nationalism, democracy, etc.), and it is great politics to present the ideological horizon of such a new power struggle. Therefore, I attempt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eat politics as opposing ideals by comparing the ideals of modern politics that Nietzsche sought to overcome with great politics. And I want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reat politics and the cosmopolitan virtue of the new ruler, the good european. Great politics opens the horizon of critical thinking for us in the face of political problems of democracy, far-right nationalism, and religious fundamentalism. Nietzsche"s critics of nationalism and modern politics, his love for overman, and his discourse on good european present a new political horiz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environmental crisis, where cosmopolitan virtues are increasingly required. However, the solipsistic limitations of Nietzsche"s theory of sovereignty must be supplemented and developed by the social contractual sovereignty theory from the viewpoints of the rule of law, of the European Union, and of the world state.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In chapter 2; ‘great politics and value transfer’, I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value transfer and great politics in Nietzsche"s philosophy. It also analyzes the core of Nietzsche"s critique of freedom, equality and fraternity from the perspective of great politics. Chapter 3; ‘criticism of nationalism’ is Nietzsche"s critique of nationalism as opposed to great politics. Chapter 4; ‘the characteristics of great politics and the cosmopolitan virtues of good european’, is a political vision tha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eat politics and the cosmopolitan virtues of good european. Chapter 5, ‘conclusion: modern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great politics’, is about the meaning of great politics in critically thinking about modern politics, and the limitations of great politics.

      • KCI등재

        인도 정치의 대전환: 2019년 총선을 중심으로

        김찬완(Kim, Chanwah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9 남아시아연구 Vol.25 No.2

        2019 인도 총선 결과 기존의 예상과는 달리 인도국민당(BJP) 주도 국민민주연합(NDA)이 압승하여 재집권에 성공했다. 힌두근본주의 정당이 재집권한 것은 인도 정치사의 대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인도 정치의 대전환은 항상 총선을 기점으로 이루어져왔다. 1967년 국민회의 시스템(The Congress System)의 마감, 1977년 인도국민회의 최초로 인도 중앙 권력 획득 실패, 1996년 연합정치 풍토 조성 등과 같은 대전환이 총선 결과 나타났다. 총선을 기점으로 인도 정치의 대전환이 이루어져왔다는 것은 정당과 정치인들의 역할도 중요했지만 무엇보다 대의민주주의를 받아들인 유권자들의 힘이 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2019년 총선을 중심으로 인도 유권자들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인도 정치의 대전환을 가져오게 되었는지 제인 맨스브릿지(Jane Mansbridge, 2003, 2011)의 대의민주주의 이론을 접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2019년 인도 총선에서 유권자들이 BJP를 선택한 투표 형태는 회고적 투표1)와 정체성을 중시하는 투표 행태가 복합적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디 2기 내각과 BJP는 앞으로 예측에 입각한 대의와 자이로스코프적 대의를 지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정치과정에서 모디가 이끄는 인도국민당은 “힌두의 인도”, “성장의 인도”, “강한 인도”, “모디의 인도”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구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As a result of the 2019 general election in India, the National Democratic Alliance (NDA) led by the Bharatiya Janata Party (BJP) had a landslide victory. The second term of Modi government of the Hindu fundamentalist party can be said to be a great transition of the political history of India. The great transition of Indian politics has always been based on the general election. After general elections in India, there were great transitions such as the ending of the Congress System in 1967, failure of INC for the first time in 1977 to acquire the central power in India, and the apparence of a coalition politics in 1996. Although the role of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ians was also important in the great transition of Indian politics after the general election, but most of all, the power of the voters who embraced representative democracy was strong.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why and how the Indian voters brought about the great transition of Indian politics, focusing on 2019 general election in 2019, on the basis of Jane Mansbridge"s (2003, 2011) theor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aid that voters who voted for the BJP in the 2019 general election in India had a combination of retrospective voting and voting which emphasized identity. In this regard, Modi’s second term will be oriented towards anticipatory representation and gyroscopic representation. In this kind of political process, the BJP led by Modi will continuously pursue to construct “Hindu’s India”, “Growth Oriented India“, ”Strong India“, and ”Modi’s India”

      • KCI등재후보

        니체의 ‘위대한 정치'와 삶의 예술

        전성택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3 No.1

        Political system closely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conditions for our life. Why does Nietzsche criticize both democracy and socialism and mention 'great politics' and 'art of life' as its alternatives in his major books? According to Nietzsche, great politics is a creative behavior which enhances oneself as a stronger person through the 'hierarchy' and 'distancing' of values. It is accomplished in the struggles with the areas of 'small politics' in which the stronger human beings stimulate the group instinct among the weak ones; that is, in the struggles with Christianity, traditional metaphysics and democracy. Great politics, after all, is a new enlightening behavior to overcome the order of low values and shape the art of one's life. Nietzsche dreams of a life free from any kind of restrictions through such 'great politics'. He intended to plan one's own unique life that cannot be replaced by anyone through implementing 'great politics' sovereign and to build a new hope for the future through the sovereign individual desiring that such life is eternally recurred.

      • KCI등재

        요순 정치의 회복, 다산 정약용의 홍범(洪範)론

        김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5

        Dasan presented his final view on political reform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completing a commentary on Classic of History(尙書) just before his death. His evaluation of Yao-Shun politics, which symbolized as ancient ideal politics, was in short, the result of a wise leader’s diligent efforts[有爲] in political affairs. He dismissed idea of “governing without action[無爲而治]”, which is said to be a foolish view. A wise leader had to select competent officials to distribute government posts and thoroughly examine[考績] whether they are diligent in carrying out their tasks. Dasan defined “Great Plan(洪範)” as the core lesson of Yao-Shun politics and reinterpreted it anew. In particular, he suggested not to be misled by the numbers attached to the nine categories of Great Plan, but to understand the overall act of governing centered on the supreme power[皇極]. Five Phases[五行] were only a “material” of nature given by heaven, and it was enough to make human life peaceful[厚生] by utilizing[利用] them. Therefore, economic and fiscal policy-which correspond to the revenue and expenditure of the state- were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politics[八政]. On the other hand, Great Plan described the qualities[三德] of the wise who would participate in the rule with the king, as well as the items of moral training[五事] that the king should first internalize to recognize the wise. The absoluteness of the king’s position[皇極] was based on his power of reward and punishment. He had to faithfully carry out this power so that competent officials would have sufficient incentives while those who aren’t be punished reasonably[福極]. It was certain that if the king carried out the above governing act with intelligence, heaven would be moved and allow the king a chance for just rule[善政]. Dasan argued that the kings of Joseon at that time should take the lead in reforming to make the people comfortable[安民] by appointing wise officials[知人]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Great Plan. In short, Dasan emphasized that his reform plan of politics and economics[經世論] was not his mere conjecture, but rediscovery of “ancient wisdom” through a new reinterpre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經學]. 다산은 사망 직전 『상서』에 대한 주석서를 완성하여, 조선후기 정치개혁에 대한 자신의 최종 견해를 제시했다. 고대의 이상 정치로 상징되는 요순통치에 대한 다산의 평가는 한마디로 ‘현능한 지도자가 부지런히 정무에 힘쓴 결과[有爲]’였다. 다산은 이른바 세속에서 말하는 무위이치(無爲而治)야말로 어리석은 견해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현능한 지도자는 반드시 유능한 관리들을 선발하여 관직을 나누어주고 이들이 부지런히 과업을 수행하는지 철저하게 살폈다[考績]. 다산은 「홍범」이 바로 요순정치의 핵심 교훈이라고 정의하고 새롭게 재해석했다. 특히 「홍범」의 9개 범주에 붙은 숫자에 현혹되지 말고, 황극[최고권력]을 중심으로 한 통치행위 전반으로 이해할 것을 제언했다. 오행은 단지 하늘이 내려준 자연의 ‘재료’에 불과하고 이를 활용[利用]하여 인간의 삶을 평안하게 하면[厚生] 그만이었다. 따라서 정치[八政]는 오직 국가의 세입과 지출에 해당하는 경제 및 재정 정책이 가장 중요했다. 한편, 「홍범」에는 왕과 함께 통치에 참여할 현능한 자들의 자질[三德]이 설명되어 있을뿐더러, 왕이 현능한 자들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스스로 몸가짐을 바로잡는 수신의 항목들[五事]이 기록되어 있었다. 왕의 지위[皇極]가 절대적인 것은 바로 상벌의 권한을 쥐고 있기 때문인데, 왕은 이 권한을 성실하게 수행하여 능력있는 신하들에게는 충분한 인센티브를 그렇지 않은 자들에게는 합당한 벌을 내려야만 했다[福極]. 왕이 이상의 통치행위를 지성으로 수행한다면 하늘이 감동하여 왕으로 하여금 선정의 기회를 허락할 것이었다. 다산은 조선의 왕들이 「홍범」의 가르침에 따라 현능한 관료를 등용하여[知人] 백성들을 편안하게 할[安民] 개혁에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산은 고전에 대한 새로운 재해석[經學]을 통해 자신이 주장하는 정치경제의 개혁안[經世論]이 본인의 억측이 아닌 ‘고대의 지혜[周禮]’를 밝혔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 KCI등재

        공화주의와 제6공화국: 제7공화국을 위한 시론

        이기호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24 동향과 전망 Vol.0 No.121

        본 연구는 제6공화국의 한계를 성찰하고 그 대안을 공화주의적 관점에서 모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6공화국의 한계는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살펴볼 수있다. 첫째, 87년 체제가 만들어 내는 민주화의 공간이 선거에만 치중함으로써 절차적 민주주의의 한계를 드러내고 재야 및 운동 정치에 해당하는 시민 정치도 왜소화되는 결과를 만들었다. 둘째, 97년 체제는 금융 위기 가운데 신자유주의 질서가거대한 흐름으로 몰려와 사회적 양극화를 심화시켰다. 셋째, 해방 후 지금까지 한반도의 틀을 이루고 있는 분단 체제가 87년 체제의 영향 속에서 남북 교류와 협력이라는 커다란 방향 전환에 성공했지만 6공화국의 정치적 한계는 결국 분단 체제를 넘어서지 못했다. 제6공화국의 세 가지 차원의 한계는 본질적으로 정치의 실패이며 공화주의 없는 공화국에 기인한다. 본 논문은 21세기 한국 현실에서의 공화주의 의미와 역할을 찾기 위하여 3·1운동과 임시정부에서 핵심 개념으로 제시되었던 ‘민주공화제’의 사상적 배경을 아래로부터의 운동인 동학농민운동과 옆으로부터의 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 독립협회운동을 각각 개벽사상과 개화사상의 틀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핵심은 선거와 정당으로만 민주주의가 이루어질 수 없으며 1980년대 재야가 보여 주었던 시민 정치 곧 만민공동회와 같은 민의 정치를 복원하는 것이다. 공화주의 관점에서 정치란 다원성 및 다양성을 바탕으로 분단 체제하에서 적대주의를 넘어설 수 있도록 더 큰 공공성을 그려 내고 서로가 이해하고 동의해 가는 과정이며 이것이 가능하도록 시민적 덕성을 키워 내는 관계 짓기라고 할수 있다. 그러나 현재 6공화국의 정치는 선거에만 의지하여 정권을 장악하기 위한정치 곧 대권 정치에 집중함으로써 의회 정치가 힘을 잃고 시민 정치를 왜소하게 만드는 정치의 몰락을 초래했다. 정당 정치와 운동 정치를 모두 살려 내는 것이야말로 공화주의의 가치를 회복함으로써 6공화국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the limitations of the Sixth Republic and explore alternatives from a republican perspective. The limitations of the Sixth Republic can be examined in three main dimensions. First, the space for democratization created by the 1987 regime mainly focuses on elections, revealing the limits of procedural democracy and diminishing the significance of civil politics, including civic activism and non-governmental politics. Second, the 1997 regime, amidst the financial crisis, exacerbated social polarization under the overwhelming influence of neoliberalism. Third, while the divided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successfully underwent a significant shift towards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1987 regime, the political limitations of the Sixth Republic, however, failed to overcome the divided system. The three dimensions of limitations of the Sixth Republic are essentially politicalfailures rooted in a republic without republicanism.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republicanism in the reality of 21st-century Korea by examining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democratic republicanism," which was a core concept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rough movements such as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Movement, which can be considered movements from below and alongside, respectively, in the framework of the great opening era of Heaven thought(開闢思想) and the enlightenment thought. The essence lies in the restoration of citizens’ politics, such as (萬民共同會:people’s meeting like townhall-democracy), beyond elections and parties. From a republican perspective, politics involves creating greater publicness based on plurality and diversity, overcoming hostility under the divided system, and fostering civic virtue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and agreement. This can be understood as cultivating civic relationships. However, the current politics of the Sixth Republic, focusing solely on elections to seize power, particularly concentrating on presidential politics, has led to the decline of parliamentary politics and the marginalization of citizens’ politics, causing the downfall of politic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Sixth Republic by revitalizing both party politics and citizens’ politics is expected to restore the values of republicanism.

      • KCI등재

        니체의 위대한 정치와 하나의 유럽

        정지훈(Jeong, Ji-Hu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48 No.-

        본 논문의 목표는 니체의 위대한 정치에서 ‘하나의 유럽’이 중요한 하나의 축을 형성하고 있음을 분명히 드러내 보이는 것이다. 저 표현은 니체의 위대한 정치에 대한 구상이 당대의 구체적인 현실적 문맥 속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동안 ‘하나의 유럽’은 그 중요성에 비해서 다소 덜 주목받았으며, 그래서 위대한 정치는 자주 현실적 문맥 없이 철학적이고 이념적인 지평에서만 주로 설명되어 왔다. 이런 상황에서 본 논문은 출판된 저서뿐만 아니라 유고와 편지에 흩어져 있는 니체의 언급들을 면밀히 추적하여 위대한 정치와 ‘하나의 유럽’의 깊은 연관을 밝히려 했다. 이를 통해 본고가 보일 것은 먼저 니체가 ‘위대한 정치’라는 말로써 새로운 지배구조물을 세우려고 한다는 것, 그리고 그 지배구조물이 세워질 터 혹은 위대한 정치가 수행될 지평이 바로 ‘하나의 유럽’이며, 그것은 단순히 공간이 아니라 무엇보다 문화적 의미에서의 지평이라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expression ‘One Europe’ is an important pillar in Nietzsche’s ‘great politics’. The expression indicates that the concept of ‘great politics’ was formed in the concrete context of contemporary situations. However, ‘great politics’ has been explained simply from philosophical and abstract perspectives, often without considering the concrete context. In this respect, this paper tries to demonstrate the deep involvement of ‘One Europe’ with ‘great politics’ by tracing Nietzsche’s texts, including letters and posthumous works, not only published books. What I will clarify from this examination is that through ‘great politics’, Nietzsche wants to build a new ruling-structure (Herrschaftsgebilde), and One Europe is the setting for this proposed structure of ‘great politics’ to preside above all in a cultural sense.

      • KCI등재

        다윗과 골리앗의 신안보딜레마: 강대국 정치 시대에 급부상한 게릴라 전술의 정치·군사 역학 분석

        반길주 ( Kil Joo Ban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 2023 동북아연구 Vol.38 No.2

        국제정치에서 강대국은 ‘다윗과 골리앗’의 관계에서 보면 골리앗에 해당한다. 강대국 간 전략적 경쟁으로 대변되는 신냉전기에 게릴라 전술이 전장의 양상을 미묘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다윗인 우크라이나는 골리앗인 러시아를 상대로 자폭 드론등을 이용한 해상게릴라 전술을 적용하여 흑해함대 기함을 두 차례나 무력화시켰다. 이 사례는 강대국 정치의 시대에 게릴라 전술이 부상하고 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막대한 군비를 지출하면서 최강 군대를 구축하는 것이 반드시 안보지수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는 상황의 도래는 4차 산업혁명으로 보편화된 기술이라는 변수의 작용에 기인한다. 이러한 상황은 신냉전기에 접어들면서 강대국 정치의 부활과 첨단기술의 확산이 동시에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고에서는 아무리 전략무기가 확보되어도 안보 취약성은 줄어들지 않는 역학을 신안보딜레마로 개념화한다. 이러한 딜레마 상황과 연계지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북한의 무인기 침투 사례를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신안보딜레마 역학 진단을 통해 다섯 가지 정책적 함의-조직이기주의 타파, 고가무기와 저가무기의 절충, 융합인프라 구축, 북한의 미래 도발 양상 진단, 신냉전의 동태성 파악의 필요성-를 제시한다. Great power is attributed to Goliath in international politics seen in light of the relations between David and Goliath. In the era of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great powers, ironically, guerilla warfare has changed the conventional battlefield. Ukraine as David neutralized flagships of the Black Sea Fleet two times while mobilizing suicide drones on a seemingly conventional battlefield. These cases show that guerilla warfare is gathering pace under great power politics. Ironically, the build-up of the strongest forces driven by a massive amount of military expenditure does not always lead to strengthening security. What drives this irony? Two variables have roles to play. The New Cold War is characterized by not only the reemergence of great power politics but also the spread of cutting-edge tech. The mechanism that arming more strategic weapons does not lessen security vulnerability is defined as a new security dilemma. Two cases, Russia’s invasion of Ukraine and North Korea’s drone invasion, are examined to take a look at how new security dilemma functions. To conclude, this paper provides five policy implications: 1) overcoming bureaucratic politics 2) optimizing between high and low weapons 3) building fusion-infra 4) diagnosing North Korea’s possible provocations 5) examin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New Cold War.

      • KCI등재

        주권적 개인들의 공동체를 향하여 - 니체의 ‘위대한 정치’의 현재적 의의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8 No.-

        The starting point of this research is to show by critical analysis that the fascist reading about Nietzsche’s political thought is a only fictional image. By means of this course, we will concentrate on a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Nietzsche’s political thinking. Nietzsche doesn’t suggest explicit and systematic theories concerning the politics as well as about other concept or metaphors. Notwithstanding the essence of his political thoughts is the notion of great politics. This idea is a standpoint which Nietzsche had invented through reflecting on the modern bourgeois state of nation and can be called for a moment a politics that centers on the free individuals. We shall make a hypothesis that Nietzsche intent to experiment a trans-national community of sovereign individuals based on the concept of ‘great politics’. In order to support this opinion,We will introduce Georges Bataille’s critical acceptance of Nietzsche’s point of view. Georges Bataille’s thinking is different from Nietzsche’s immoderate heroic individualism but he asserts his own particular concept of sovereignty by reviving Nietzsche’s thoughts. This sovereignty should be realized in a community via communication. After all, this targer of this dissertation is to picture the free individuals without the inappropriate controls of a state and to pursue a possibility of new political idea that can cope with the trans-national situations. 본 연구의 출발점은 니체의 정치사상에 대한 파시즘적 독해를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것이 니체에 대한 허구적 이미지에 불과하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니체 정치사상의 현재적 의의와 가치에 주목하고자 한다. 자신의 다른 개념이나 메타포의 경우에서처럼 니체는 정치와 관련해서도 분명하고체계적인 이론을 전혀 제시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핵심을꼽으라면 그것은 ‘위대한 정치(Große Politik)’라는 개념이다. 이는 근대 부르주아 민족국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니체가 고안해 낸 개념으로서 국가의 억압과 지배구조에서 자유로운 개인들을 그 주체로 삼는 정치라고 잠정적으로 명명해볼수 있을 듯싶다. 우리는 니체가 ‘위대한 정치’라는 개념을 통해 주권적 개인들의초국가적 공동체를 염두에 두었다는 가설을 세워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프랑스의 니체주의자 조르쥬 바타이유(Georges Bataille)의 비판적 니체 수용이 적극적으로 도입될 것이다. 바타이유는 니체의 과도한 영웅적 개인주의와 힘에 대한 강조등과는 거리를 두면서도 니체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되살려 자신만의 독특한 주권성의 개념을 주장한다. 이 주권성은 공동체 속에서 의사소통을 통해 실현될 수밖에없는 주권성이다. 결과적으로 니체의 ‘‘위대한 정치’’의 개념을 바타이유의 비판적 니체 수용을 통해 재생시킴으로써 국가의 과잉 통제나 관리에서 자유로운 개인을그려보는 동시에 현재 벌어지고 있는 초국가적 문제 상황들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정치 이념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이 글의 핵심을 구성한다.

      • KCI등재

        북한의 “선군정치”와 군의 역할

        정성임 ( Sung Im Jung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4 국방연구 Vol.4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김정일 시대 `선군정치` 하에서 조선인민군의 위상과 역할을 제시하는 데 있다. `강성대국`은 1998년 대내·외 환경의 어려움 속에서 인민들에게 제시된 장기적 목표이며, `선군정치`는 `군에 의한 정치`가 아니라 군을 앞세우고 군의 정치사상적, 조직적 우월성을 활용하는 정치이다. `선군정치` 하에서 당은 참모부의 역할, 군은 인민들을 이끄는 주력군의 역할을 각각 담당하고 있다. `선군정치` 시대 군의 위상은 이전과 변함이 없다. `군대가 곧 당이다`라는 것은 군대의 창건, 목적, 사명, 정치적 성격에서 당과 군대는 하나라는 뜻이며, 군의 정치화, 사상화`란 당의 영도를 받드는 것을 말한다. 1998년 헌법에서 강화된 것은 국방위위원장 개인의 권한이며, 군의 지휘권도 김정일에게 권한이 집중되어 있고, 인사권은 당 중앙군사위원회에 있다. 당이 군대를 통제하는 방식인 `당적지도` 체계는 이미 1960년대 후반 형성, 확립되었다. 조선인민군은 `군사선`(야전)과 `정치선`(당 정치사업) 등 `군정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당위원회와 정치위원(정치지도원)제를 통해 군을 통제하는 방식을 수행하고 있다. `선군정치` 이후 달라진 점은 군의 역할이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정치·사회적 측면에서 당 일꾼들에게는 `화선식 정치사업` 그리고 인민들에게는 `혁명적 군인정신` 등이 모범사례로 제시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hase and role of the Korean People`s Army under `Military-First Politics` in Kim Jong Il era. `Prosperous and Great Country` has been presented in internal and external hardship for the long-term national strategy in 1998. And Being one of the methods to make a `Prosperous and Great Country,` `Military-First Politics` is defined as letting the Army lead and utilizing the predominance of the army`s political ideology and structure. The phase of the military in the `Military-First Politics` period stays the same as before. In 1998`s constitution, just the individual power as Chairman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was consolidated, the rights of command and personnel management are still exercised by Kim Jong Il and the party central military committee. And the party has performed the `Guidance through the Party` on controlling the army with the party central committee and the system of political commissioners since the late 1960`s. The differences after `Military-First Politics` emerged from the reinforcement of the military`s role. Sociopolitically, the military models are presented to the party workers with the `Battle Front Political Undertaking` and to the people with `Revolutionary Military Spirit,` while economically, the military`s role in the `labor mobilization` attracts the attention. These military `model` roles have effects on the political undertakings or construction sites, they rather show negative effects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the army and the civilians. In North Korean society, the phase of the Korean People`s Army won`t drastically transform as long as the North Korean Worker`s Party charter is not changed. For the basis of North Korean regime is the Party and this position of the party wouldn`t be easily relinquished.

      • KCI등재

        영화〈위대한 시민〉과 소비에트의 시네마 폴리티카

        이희원(Lee, Hee-W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7

        Soviet cinema in Stalin"s era actively carried out political-aesthetic project, corresponding most fully with the very nature of Stalinist arts. In the 1930s Stalin turned cinema into the most effective medium of ideological and historical representation. Moreover, from the late 1930s Stalin himself personally corrected and censored each screenplay and film, wielding control over both reality and its representation. Fridrikh Ermler"s film The Great Citizen (1937, 1939) could be regarded as first film of ‘National order’, which concretely reflected Stalin"s intention and consequentially justified Stalin"s Great Purges and mass terror. Great Purges, the most terrible and traumatic incident in the whole modern history of Russia, was triggered by assassination of Sergei Kirov, to whom dedicated The Great Citizen. Film depicts not only how real soviet hero Shakhov/Kirov struggled to build socialism in a single country but obvious figures of rebellious hidden enemy inside the party whose imagery directly connected with Trotsky and Bukharin. Playing a considerable role in the intensification of public need to root out ideological enemy, The Great Citizen is abundant in speech and dialogues main aim of which are to define Trotskyte-Zinovievite camp as a enemy of Bolshevic party. The Great citizen is characterized as a "conversational cinema" by Ermler, however, film vividly describes negative portrait of the enemies not only through linguistic narrative but through the cinematic images-objet and aesthetical forms such as deep focus, mise-en-scène, long take, plan-sequence, angle and lighting. All of these cinematic instruments and image-signs solidify the signification that connotes real hero of Soviet society, Stalin, who ousted ideological enemies and the saboteurs inside the party and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implementation of Soviet cinema politi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