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의 교양과 취미

        공병혜 ( Byung Hye Ko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3

        18세기 유럽의 인문주의 전통에서 교양의 핵심을 이룬 취미는 예술이나 아름다움에 한정된 미학적 개념이라기보다는 공동체의 실천적 지혜와 관련하여 시민사회의 윤리적 연대성을 형성하는 사회적 덕목으로 이해되어져 왔다, 이러한 취미는 칸트의 『판단력 비판』에서 인류의 역사 속에서 인간의 자연적 기질을 도야하여 인간성을 고양시키는 문화적 역할을 한다, 또한 아렌트의 칸트 미학에 대한 해석은 취미가 공동체를 살아가는 개별적 인간이 갖추어야 할 세계시민의 교양으로서의 소통능력임을 보여준다, 이것은 개인의 사적 편견이나 관심에서 벗어나 세계시민의 관점을 향해 확장된 반성적 사유방식으로 인간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생각과 감정을 서로 교류하고 공감할 수 있는 사교적 능력이다. 특히 정치적인 폭넓은 사유와 연결된 상상력이 지닌 반성적 활동은 실천적 지혜가 뿌리내린 공동 세계 속에서`` 타인과 세계 공유하기``를 통해 자유로운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듯 오늘날 참된 취미는 역사적으로 전승된 보편적인 공통체적 감각이라는 의미를 보존하며 아름다움과 예술이란 미학적 영역을 넘어서 인간성 실현을 위한 세계시민의식의 육성이라는 교양의 의미를 제시해 줄 수 있는 것이다. Der Geschmack wurde als Zentralbegriff der Bildung des 18. Jahrhunders in der humanistischen Tradition in Europa entwickelt. Sein Begriff wurde nicht auf den aesthetischen Bereich des Schoenen und der Kunst begrenzt, sondern als dem sozialen Tugend im Bezug auf die praktische Weisheit in der Gemeinschaft verstanden, die die ethischen Solidaritaet in der buergerischen Gesellschaft bildet. In der Kritik der Urteilskraft Kants hat der Geschmack als ``sensus communis`` eine Rolle der Kultuvierung der menschlischen Natur spielt, die die Menschheit zum moralischen Zweck erhebt. Besonders zeigt Arendt durch ihre Kants Interpretation, dass der Geschmack als eine erweiterte Denkungsart fuer die Bildung des Bewusstsein der Weltbuergerschaft notwendig ist. Er spielt durch Einbildungskraft frei von den privatien Interessen und Vorurteilen, erhebt dem Menschen zum Bewusstsein der Weltbuergerschaft aufgrund der Idee der Menschheit. Foglich bewahrt der wahre Geschmack den geschichtlich gelieferten allgemeinen gemeinschaftlichen Sinn und dient zur weltbuergerlichen Bildung in der Pluralitaet der Gesellschaft, wobei die Menschen sich frei kommunizieren und einstimmig sein koennen.

      • KCI등재

        왜 판단력의 적용대상은 예술이어야 하는가? -I. Kant의『판단력비판』 <제2서론>을 중심으로-

        양희진 ( Hee Jin Yang ) 한국헤겔학회 2010 헤겔연구 Vol.0 No.28

        『판단력비판』의 핵심주제는 기술에 대한 판단력의 반성의 문제이지만, 구체적으로 이는 기술 중에서도 ‘예술’이고, 이를 다루는 판단력은 ‘취미’이다. 이는 우리는 칸트의 <서론> 말미 <영혼능력에 대한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여기서 판단력의 적용범위를 기술로 규정하지만, 이때의 기술은 판단력이 취미라는 사실에 의해 구체적으로 예술임이 밝혀진다. 이는 그의 <표>에서 판단력이 쾌와 불쾌의 감정과 관계한다는 사실에 의해서 드러난다. 칸트에 따르면 취미는 아름다운 감정의 보편타당성을 검사하는 능력이다. 그렇다면 어떤 기술이 아름다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가? 이는 기술 중에서도 예술뿐이다. 따라서 칸트의 『판단력비판』의 모든 문제를 예술과 관련된 문제로 귀결시키는 것은 정당하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오히려 칸트의 문제 상황을 축소시키는 것처럼 보인다. 그는 <서론>에서 다양한 판단력들을 소개한다. 요컨대 취미는 반성적 판단력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취미의 반성은 미적 판단에 대해서 칸트가 정의한 판단력의 반성이상의 것을 반성하는 것처럼 보인다. 취미는 ‘미의 판단의 발생과정’과 ‘그러므로 이러한 판단이 인식판단처럼 보편타당하다’는 사실을 동시에 반성한다. 따라서 판단력이 아름다운 감정과 관계할 경우, 결과적으로 이는 판단력의 반성을 축소시키기보다, 확장시킨다. 마찬가지로 표면적으로 판단력의 적용범위가 예술이라는 분야로 축소되는 것 같지만, 알다시피 예술의 대상은 주어진 현상을 초월한다. 따라서 취미의 반성 활동과 예술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예술은 오히려 판단력의 반성의 범위를 보다 확장시키고, 이 영역에서 보편타당성을 검사하기 위해 판단력을 더 깊은 숙고로 인도한다. Man sagt, dass es sich bei der Kritik der Uriteilskraft Kants um die Reflexion der menschlichen Urteilskraft und die Kunst handelt, wie der Tafel der oberern Seelenvermogen im letzten Teil der zweiten Einleitung zeigt. Dies wird aber in eine Frage nach der Beziehung der Geschmack auf die schone Kunst konvergiert. Dafur gibt es auch einen Schlussel, dass der Urteilskraft sich mit dem Gefuhl der Lust und Unlust verbunden wird. Kant interessiert sich hier nur uber das allgemeingutige Gefuhl. Es ist nichts anderes als das reine schone Gefuhl. Der Geschmack von den Urteilskraften wird sich gerade auf die schone Gefuhl, die allgemeingutig ist, verbunden. Er ist besonders ein Urteilskraft, die Allgemeingutigkeit des schonen Urteiles zu prufen. Außerdem welche Kunst erregt dieses schone Gefuhl? Es ist nur die schone Kunst der verschieden Kunsten moglich. Also ist es ganz gultig, alle Aufgaben der Kritik der Urteilskraft mit dieser Kunst zu verbinden. Aber dieser Gedanke verengt oder verzerrt m. E. die eigentlichen Ideen Kants. Er stellt in der Einleitung verschiedene Urteilskrafte vor, zu denen auch Geschmack gehort. Allerdings erscheint er beim asthetischen Urteil viel reflexiver als die Reflexion der Urteilskraft selbst. Ausserdem reflektiert Geschmack nicht nur den Prozess des asthetischen Urteiles, sondern dessen Allgemeingultigkeit, wie sie sich auch beim Erkenntnissurteil zeigt. Daher schmalert das asthetische Gefuhl die Reflexivitat der Urteilskraft nicht, insofern als diese auf jenes bezieht. Ganz im Gegenteil. Und es ist zu betonnen, dass die Anwendungssphare der Urteilskraft die Erscheinungen transzendiert. Aus diesem Problembewusstsein her zielt diese Arbeit darauf ab, zu zeigen, dass die Kunst die Reflexionstatigkeit der Urteilskraft vergrossert und die Urteilskraft dadurch ihre Allgemeingultigkeit in der tieferen Ebene pruft.

      • KCI등재

        청말민초(淸末民初) 제1세대 미학자들의 일본을 통한 미학사상의 수용과 재해석: 『판단력비판』 ‘Geschmack’개념의 해석을 중심으로

        서희정 인문예술학회 2022 인문과 예술 Vol.- No.13

        본 연구는 청나라 말기(1897-1912)에서 민국시대 (民國時代, 1912-1949) 초기에 이르는 시기 동안 일본 유학파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제1세대 지식인들이 근대 유럽의 새로운 학문인 미학을 일본을 거쳐 간접적으로 수용하게 된 배경과 원인을 우선적으로 분석한다. 더 나아가 구체적인 미학 이론이 그들에 의해 재해석되는 과정을 『판단력비판』의 ‘Geschmack’ 개념을 통해 분석한다. 미학은 18세기 계몽사상의 출현과 함께 근대 학술체계 중 한 부분으로 탄생했다. 중국의 초기 근대화 움직임은 일부 계몽주의자들에 의해 주도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중국의 제1세대 유학파 지식인들이 그 주축을 이루고 있었다. 이 시기 ‘창조사’를 중심으로 한 일본 유학파 지식인들은 반제국주의, 반봉건을 목표로 문예학(미학 포함)을 계몽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하였으며, 이는 문학운동이라는 적극적 사회참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미학이론의 수용과 발전에 있어 제1세대 일본 유학파 지식인들이 보여준 영향력은 지대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의 업적은 크게 ‘일본어 번역과 해석서 통한 미학이론의 수용’과 ‘일본어 번역과 해석에 관한 회의와 재해석’으로 요약 가능하다. 중국의 독자적 미학 이론체계의 정립 과정은 크게 다음의 세 단계로 분류 가능하다: ① 일본 번역어의 수용과 선택적 사용 및 수정 단계. ② 중국 철학 개념을 통한 일본어 번역어의 재해석 그리고 그로 인한 ‘미육’ 사상의 발전 단계. 중국 철학 개념을 통한 미학 용어의 직접 번역 단계. 중국의 제1세대 지식인들이 수용과 비판적 고찰을 통해 중국만의 독자적 미학 관념 혹은 미학 이론 사상을 정립시키려던 시도들은 한국이 한국의 문화사상적 원류에 따른 독자적 미학 이론체계를 구축해 나가가는 과정에서 참고할 만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 KCI등재

        세기 전환기 독일 중산 시민계층의 미적 취향

        임병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2 獨語敎育 Vol.84 No.84

        Die Jahrhundertwende war die wirtschaftliche kulturelle Blütezeit, die durch den industriellen Strukturwandel entstand. Damals tauchte der neue Mittelstand auf, und sein ästhetischer Geschmack und seine Konsumkultur verursachten den neuen Stil in der Kunstgeschichte. Anders als in England und Frankreich wurde in Deutschland und Österreich eine Diskrepanz zwischen dem sprunghaften Wịrtschaftswachstum und der politisch konservativen Neigung des Bürgers ausgebracht. Diese gespannte Lage wurde durch die Verstärkung der imperialistischen Ideologie und die vom Staat geleitete Wirtschaftspolitik überdeckt. Aufgrund des materiellen Wohlstandes und der Freizeit wollten der neu Mittelstand seine kulturellen Bedụ̈rf- nisse befriedigen. Unter diesen Umständen tauchte er als ein neuer Kunstverbraucher auf und sein Habitus und sein Geschmack spielten auf dem Kunstmarkt eine große Rolle. Zu jener Zeit entwickelte sich Art Nouveau, die im ästhetischen und philosophischen Standpunkt dem Eklektizismus und dem Kitsch widerstand, aber auf der Ebene der stilistischen Verwirklichung entlehnte sie die Eigenschaften des Kitschs. Dieser neue Kunststil brachte eine neue Paradigma in der Produktion und der Konsumtion hervor, trug zur Ästhetisierung des Lebens bei und legte den Grundstein für die Grenzüberschreitung zwischen der hohen und der niederen Kunst. 단토 Arthur Danto는 마르셀 뒤샹의 <샘>(1917)과 앤디 워홀의 <브릴로 상자>(1964)를 통해 ‘예술시대의 예술’에 종말을 선언하고 전통적 예술개념을 해체하는 ‘개념예술’의 탄생을 알리며, ‘무엇이든 예술이 될 수 있는’ 시대로의 진입에 이론적 틀을 마련해 주었다. 그러므로 오늘날 ‘무엇이 예술이고, 무엇이 예술이 아닌가 그리고 그 경계는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라는 질문은 매우 진부한 것으로 보인다. BTS와 같은 대중가수들은 스스로를 아티스트라 칭하고, 미술 경매장에서 그림을 파쇄하거나 오브제로 전시한 바나나를 먹어 치우는 것도 예술 행위의 범주에서 용인되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예술 개념의 확대 및 예술장의 변화가 초래된 이유를 예술가들의 자의식이나 비평가들의 배제 혹은 승인의 원칙에서라기보다 예술 소비자와 그들의 취향 및 소비양식에서 찾으려 한다. 셰익스피어의 문학이 영국 문학의 흐름을 바꾸어 놓았던 것은 셰익스피어라는 천재적 예술가의 독창성 때문이라기보다는 연극에 대해 비판적 안목을 가지고 있던 당대 청중의 수준과 요구에 부응한 결과였으며, 엘리자베트 시대에 런던 인구는 약 20만 명에 달했고 그중 20%는 정기적으로 극장을 찾는 고객이었다. 이들은 연극에 대한 소양을 갖추고 있었고, 작가는 경제적 이유로 인해 그들의 취향에 부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Weiß 1979, 49-69). 이러한 현상은 괴테의 파우스트 의 ‘무대 위에서의 서연’에서 극작가가 관객의 취향을 염두에 두고 그들의 주문에 응하면서 작품을 쓸 수밖에 없음을 토로하는 장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20세기 전환기에 새로운 예술 소비자 계층이 등장할 수 있었던 역사-사회적 배경과 이 계층의 독특한 취향 및 삶에 대한 태도가 예술의 양식적 변화에는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즉 예술과 예술장을 변화시키는 동력은 천재적 예술가가 아니라 새로운 예술 소비자 계층의 등장과 취향의 변화가 가져온 새로운 소비 형태에 있으며, 이는 결국 고급예술과 저급예술의 탈경계화에 기여하게 되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 취미의 미학과 역사적 미학 :칸트와 헤겔 미학의 인식론적 지평에서의 비교 고찰

        남정우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5 철학·사상·문화 Vol.0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칸트와 헤겔의 미학을 인식론적 관점에서 비교 검토하는 것의 가능성을 시험하는 것이다. 칸트의 철학은 인식능력의 비판에서 시작하고 있고, 이로써 그에게 철학의 문제는 모두 이론 이성과 실천 이성의 한계 안에서 논의된다. 그의 철학은 모두 이성적인 것이다. 그의 미학도 마찬가지이어서 이 양 이성 능력 사이에 위치하는 인식론적 매개로서의 판단력을 통해 설명된다.반면 헤겔의 철학은 변증법적, 역사적이라 일컬어진다. 그러나 헤겔의 변증법이란 절대 이성의 자기 전개의 자기 인식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며, 따라서 그것이 이성적이라는 면에서 칸트와 동일한 입지점에 서게 된다. 그의 미학이 아름다운 예술의 역사적 전개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 역시 사실상 주관의 인식론적 자기 이해의 과정의 측면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하여 이 논문은 두 철학자의 미학을 검토하는 것이 이들의 인식론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데 착안하여, 이들의 미학이 가지고 있는 인식론적 면모를 비교 검토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독일 관념론의 양대 철학자가 지닌 이성주의적 입지점을 확보하는 가능성을 시험해보는 것이 될 것이다. Das Ziel dieser Studie ist üerzuprüfen die Möglichkeit der Vergleichung der Ästhetik von Kant und Hegel in der Standpunkt der Erkenntnistheorie.Da Kants Philosophie mit der Kritik der dreien oberen Erkenntnisvermögen fängt an, werden auch Kants neue Metaphysik, die die Metaphysik der Sitten und der Natur genannt ist, d.h. seine philosophischen Proleme in der theoretidchen und praktischen Vernunft geschränkt. Seine Ästhetik also muß in dieser Grenzen verstanden werden.Wenn aber Hegels Philosophie auch nur dialektisch und also metaphysisch ist, da ursprünglich seine dialektische Philosophie eine vernünftliche Welterkenntnis ist, muß seine Ästhetik auch eine epistemologische Grund zu haben sein.Hegel fängt seine Philosophie mit dialektische Entfaltungsprozeß des Sujekt sich selbst in der Wissenschaft der Logik an, ist es also selbstverständlich, daß die Untersuchung seiner Ästhetik mit der epistemologischen Erklärung über dem erkennenden Subjekt, der die metaphysische sukzessive Dialektik seiner sich selbst als eine historische Welt-erkennung versteht, geprüft wird. Also ich studiere Kants dreie oberen Erkenntnisvermögen zuerst, und dann fokussiere Hegels Sinnlichkeit und Verstand, um die Ästhetik beider Philosophen in der epistemologischen Standpunkt zu vergleichen. Diese Untersuchung ist auch eine Versuchung der Möglichkeit, um die Zusammenhang beider deutschen Idealismus Philosophen zu prüfen.

      • KCI등재

        취미의 미학과 역사적 미학 : 칸트와 헤겔 미학의 인식론적 지평에서의 비교 고찰

        남정우 ( Nam Jung Woo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5 철학·사상·문화 Vol.0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칸트와 헤겔의 미학을 인식론적 관점에서 비교 검토하는 것의 가능성을 시험하는 것이다. 칸트의 철학은 인식능력의 비판에서 시작하고 있고, 이로써 그에게 철학의 문제는 모두 이론 이성과 실천 이성의 한계 안에서 논의된다. 그의 철학은 모두 이성적인 것이다. 그의 미학도 마찬가지이어서 이 양 이성 능력 사이에 위치하는 인식론적 매개로서의 판단력을 통해 설명된다. 반면 헤겔의 철학은 변증법적, 역사적이라 일컬어진다. 그러나 헤겔의 변증법이란 절대 이성의 자기 전개의 자기 인식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며, 따라서 그것이 이성적이라는 면에서 칸트와 동일한 입지점에 서게 된다. 그의 미학이 아름다운 예술의 역사적 전개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 역시 사실상 주관의 인식론적 자기 이해의 과정의 측면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하여 이 논문은 두 철학자의 미학을 검토하는 것이 이들의 인식론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데 착안하여, 이들의 미학이 가지고 있는 인식론적 면모를 비교 검토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독일 관념론의 양대 철학자가 지닌 이성주의적 입지점을 확보하는 가능성을 시험해보는 것이 될 것이다. Das Ziel dieser Studie ist üerzuprüfen die Möglichkeit der Vergleichung der Ästhetik von Kant und Hegel in der Standpunkt der Erkenntnistheorie. Da Kants Philosophie mit der Kritik der dreien oberen Erkenntnisvermögen fängt an, werden auch Kants neue Metaphysik, die die Metaphysik der Sitten und der Natur genannt ist, d.h. seine philosophischen Proleme in der theoretidchen und praktischen Vernunft geschränkt. Seine Ästhetik also muß in dieser Grenzen verstanden werden. Wenn aber Hegels Philosophie auch nur dialektisch und also metaphysisch ist, da ursprünglich seine dialektische Philosophie eine vernünftliche Welterkenntnis ist, muß seine Ästhetik auch eine epistemologische Grund zu haben sein. Hegel fängt seine Philosophie mit dialektische Entfaltungsprozeß des Sujekt sich selbst in der Wissenschaft der Logik an, ist es also selbstverständlich, daß die Untersuchung seiner Ästhetik mit der epistemologischen Erklärung über dem erkennenden Subjekt, der die metaphysische sukzessive Dialektik seiner sich selbst als eine historische Welt-erkennung versteht, geprüft wird. Also ich studiere Kants dreie oberen Erkenntnisvermögen zuerst, und dann fokussiere Hegels Sinnlichkeit und Verstand, um die Ästhetik beider Philosophen in der epistemologischen Standpunkt zu vergleichen. Diese Untersuchung ist auch eine Versuchung der Möglichkeit, um die Zusammenhang beider deutschen Idealismus Philosophen zu prüfen.

      • KCI등재

        칸트의 취향판단에 따른 태권도의 음악도입에 대한 미적가치

        김창우(Chang Woo Kim) 한국사회체육학회 201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5

        Kant`s philosophy gives us the change of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in the reality that there is a sharp division of opinions between those who approve and disapprove for adopted music on Taekwondo. He believe that it`s very important to get discernment between ``geschmack`` and cognitive ability. The key role of Kant`s beauty takes a ability of distinguish moral realm, ethical realm, artistic realm and he firm a measure of qualitative through distinguish emotional realm from aesthetic realm. He make an aesthetic autonomy and make right of autonomous beauty on divided independent art through he recognize right of pure art. In accordance with Kant`s interpretation, Taekwondo on the performing art is universal transmission of feeling and musical factor on theme. Taekwondo`s emphasizing aesthetic factor get from Taekwondo`s motion. In addition, Kant`s beauty of uninterested retains beauty itself even if music does not rely on special skill, finality, impress and pleasure. In conclusion, adopted music on Taekwondo is worth a aesthetic try that give us pleasure, beauty without conditions and can guide us change of emotion.

      • KCI등재

        온톨로지를 이용한 언어들간의 어휘 비교- 영어와 독일어의 미각 어휘를 중심으로 -

        이해윤 한국독어학회 2010 독어학 Vol.21 No.-

        Bei der vorliegenden Arbeit handelt es sich darum, eine sogennate ‘onto-linguistische’Methode über Sprachvergleich zu zeigen. Dafür haben wir zuerst eine Ontologie über die Begriffe von Geschmack erstellt, und geschmackbezogene Adjektive im Englischen und Deutschen den Begriffen entsprechen lassen. Dadurch könnten wir die distributionellen Unterschiede zwischen beiden Sprachen idenfizieren. Darüber hinaus könnten wir die genauere Entsprechung zwischen Wörtern von beiden Sprachen identifizieren.Die vorliegende Arbeit unterscheidet sich in dem folgenden Punkt von den vorigen Arbeiten. Das heißt, wir benutzten zwar für den Sprachvergleich die Ontologie, aber wir haben mehr die detaillierten Begriffe als die vorigen Arbeiten angenommen, statt viele Entsprechungsrelationen anzunehmen. Daraus könnten die genauere Entsprechen 본 논문은 이러한 개념중심의 연구방법론을 따라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언어들간 비교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보다상세히 구축된 온톨로지를 이용하면 부차적인 기제들을 설정하지 않고서도언어들간의 효과적인 비교 연구가 가능함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미각영역의 어휘들에 한정하여 영어와 독일어의 비교를 하나의 예로 제시한다.

      • KCI등재

        요한 칼 베첼의 문학비평 - 독일 계몽주의의 새로운 해석

        조우호 ( Woo Ho Cho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3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2 No.-

        Johann Karl Wezels Schrift der Literaturkritik Uber Sprache, Wissenschaften und Geschmack der Teutschen ist angeblich eine Antwortschrift auf die kulturpolitische Schrift des Preußenskonigs Friedrich des Großen De la Litterature Allemande. Trotzdem ist sie in der Tat eine Literaturkritik zu einer programmatischen kulturellen Aufklarungserklarung. Dabei ist zu erkennen, dass die Kernbotschaft seiner Literaturkritik in seiner Reflexion uber die Wissenschaft bzw. Wissenslehre liegt. Wezels Wissenslehre besteht einerseits aus den drei Bereichen, Gedachtnis, Wissenschaft und Schonheit bzw. schone Wissenschaften. Andererseits besteht sie aus außerer und innerer Nutzlichkeit, die sich jeweils aus den zwei Bereichen, namlich Gelehrsamkeit und Professionswissenschaft, rasonnierende Wissenschaften und schone Wissenschaften, zusammensetzt. Die Absicht dieser Wissenslehre ist es, das Prinzip zur Analyse und Bewertung der Entwicklungsphase der zeitgenossischen deutschen Kultur aufzustellen. Das Prinzip ist deshalb ein kulturpolitisches Wissensprogramm zu nennen. Das ist sein kultureller Aufklarungsversuch, der sich von der Hauptstromung der damaligen Aufklarungsideen unterscheidet.

      • KCI등재

        니체의 미적 취향

        이선 인문예술학회 2022 인문과 예술 Vol.- No.12

        This thesis aims to reveal what aesthetic taste is in Nietzsche’s philosophy. Nietzsche’s philosophy treats the emotional states of pleasure and displeasure as tates formed from impulses. So what Nietzsche calls aesthetic taste suggests how an individual’s emotional state can ba altered for the better. This aesthetic taste suggests a way to change emotional impulses in a better direction rather than critically approach the problem of emotionally discordant social conflict by introducing other measures such as rationality. Thus, Nietzsche's aesthetic taste is an inner ascent of emotional impul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Nietzsche's aesthetic taste in the difference between aesthetic taste and aesthetic judgment in modern aesthetics. Furthermore, it is to determine what Nietzsche's aesthetic taste is and whether it can be interpreted as a taste of life and a Symptom of Will to Power. 본 논문은 니체 철학에서 미적 취향이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니체 철학은 쾌와 불쾌라는 감정 상태를 충동으로부터 형성되는 취향으로 다룬다. 그래서 니체의 미적 취향은 개별적 인간 안에서 감정적 상태가 어떻게 더 나은 상태로 변화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이 미적 취향은 감정적 불화 상태로 남아 있는 사회적 갈등의 문제를 합리성과 같은 다른 척도를 도입하여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적 충동 안에서 더 나은 방식으로 변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래서 니체의 미적 취향은 감정적 충동의 내적인 상승이다. 이 글은 니체의 미적 취향의 특징을 근대 미학의 취미와 미적 판단력과의 차이 속에서 드러내고, 니체의 미적 취향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더 나아가 니체의 미적 취향이 어떻게 삶의 취향과 힘에의 의지의 삶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