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문화공간 이미지 평가에 나타난 성별 감성특성

        최계영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31 No.2

        This study conducted the sensibility evaluation survey by using 3 perception types and 21 adjective pairs to targetting 4 images. The study results that analyzed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in gender can be defined in the following several ways. First, it was possible to sort out the dominant characteristics by gender, perception types in order through comparing the average of sensibility evaluation values and the proportion of images that were selected as the most dominant ratio. This has differentiated compares to the existing study and can be an analysis technique that can compare more specific images and sensibility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gender sensibility characteristics toward images. Second, in the spatial evaluation, females had a clear selection of space than males and also showed higher results in the sensibility evaluation as well as indicated characteristics to express clearly. Third, through in the number of adjective pairs common to gender by perception types, 12 adjective pairs showed more than 10% advantage in spatiality and of which 10 adjective pairs showed gender congruence. 8 adjective pairs showed advantages in the formality and all these 8 adjective pairs indicated as common in both genders, which can be a characteristic of common gender perception towards given images. There were 5 adjective pairs shown as advantages in decorativeness, of which 1 adjective pair resulted as gender congruence. This result can be seen that decorativeness is the lowest gender commonality and lowest frequency of selection from images. Fourth, it was able to confirm that gender prefers to make a different selection depends on space or adjective pairs. It was possible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the gender sensibility characteristics which appears in each perception types/ adjective pairs by arranging the big difference values of sensibility adjectives that appeared in the image selection process by gender. Depends on the gender, there were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selection of each image towards the perception types was clearly different, and furthermore, it is able to expect that this kind of space will bring more clear characteristics by the gender.

      • 북한사람들의 성역할 특성과 가치관: 탈북자 자료

        정진경 한국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1 No.2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re the only available subjects today for an empirical study of gender role characteristics and gender egalitarianism of the North Koreans. One-hundred and fifty North Korean defectors, both female and male, and ages ranging from 14 to 62, answered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orean Sex Role Inventory and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The results revealed that North Koreans are more gender-typed in their gender rol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South Koreans.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emininity scores than men, and 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sculinity scores than women, whereas South Korean data do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With regard to gender egalitarianism, North Koreans showed more conservative attitudes compared to South Koreans, and men were more discriminating than women. The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however, were greater for women than men, and it was attributed to the rapid value changes towar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South Korean women. A close look at the items that North Koreans strongly agreed to showed a tendency to express progressive attitudes mostly on formal and institutional issues, and to show conservative attitudes on personal and private issu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age,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on the gender role characteristics and gender egalitarianism of the North Korea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탈북자들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북한사람들의 성역할 특성과 가치관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14세에서 62세까지의 남녀 탈북자 150명에게 성역할 특성을 측정하는 검사(KSRI)와 남녀평등의식을 측정하는 검사(KGES)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북한사람들은 남한사람들에 비해 성역할 측면에서 더 성전형화된 성격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사람들이 남녀간에 남성성, 여성성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에 비하여, 북한사람들은 남녀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 여성이 여성성이 더 높고 남성이 남성성이 더 높았다. 남녀평등의식의 측면에서는 남한사람에 비하여 더 보수적이고 남성중심적인 가치관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남성이 여성보다 더 보수적이었다. 가정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의 영역에서 남성이 유의미하게 더 보수적이었고, 교육생활 영역에서만 차이가 유의미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남한사람과 비교했을 때, 남성들간의 차이보다는 여성들간의 차이가 훨씬 더 컸는데, 이는 남한여성들의 가치관이 진보적으로 변화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북한사람들은 사회제도나 공적 조치에 대한 태도의 표명에서는 성평등적인 가치관을 표명하는 한편, 남녀의 바람직한 성격과 행동, 몸가짐이나 개인의 사생활 영역에 대해서는 매우 성차별적인 가치관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외에도 연령, 학력, 결혼상태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에 따른 북한사람의 성역할 특성과 남녀평등의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앞의로 연구에서 다루어야할 주제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미국 팝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젠더 뉴트럴 패션 특성

        이해동 ( Lee Haedong ),이민선 ( Lee Minsu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1 No.3

        젠더 뉴트럴은 ‘성 중립’을 뜻하는 단어로, 기존의 남녀에 대한 고정관념이 없어져 남성용과 여성용 상품을 구분하지 않고 착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패션, 음악, 영화, 광고, 마케팅 등의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미국 팝 뮤지션들의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패션 특성을 젠더 뉴트럴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패션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문헌 연구로는 젠더 뉴트럴 문화의 특성에 대해 관련 문헌, 논문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실증 연구로는 미국 팝 뮤지션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패션 특성을 젠더 뉴트럴 문화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팝 뮤지션은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 수, 빌보드 어워즈·그래미 어워즈·성 소수자 음악 어워즈 수상 경력, 패션 브랜드 컬래버레이션 및 광고 모델 경력 등을 근거하여 이를 바탕으로 그들의 프로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 팝 뮤지션의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젠더 뉴트럴 문화의 패션 특성은 절충, 해체, 참여 총 3개로 분류되어 각 조형적 이미지 특성별로 팝 뮤지션들에게 중복되게 나타났다. 첫째, 절충 이미지는 의복의 형태를 보존하여 성별에 제한을 두지 않고 독립된 개인 정체성이 나타나는 미적 가치이다. 둘째, 해체 이미지는 신체 사이즈를 무시하여 오버사이즈 룩을 착용하는 행위로,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의복과 관계된 모든 요소를 파괴하여 해체한 뒤 다시 실험되는 행위로 해석된다. 셋째, 참여 이미지는 다양한 외형의 형태를 존중하고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기 신체 긍정의 메시지를 대중들과 활발히 소통하고 표현하여 패션을 윤리성 및 가치성에 접목한 미적 가치고, 남성, 여성, 트랜스 젠더 등의 다양한 성별과 마른 체형부터 비만 체형까지 현실적이고 다양한 체형의 모델 및 패션으로 나타나는 미적 가치이다. 미국 팝 뮤지션들은 젠더 뉴트럴의 문화를 이해하고 대중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뮤직비디오를 생산하고 본인 정체성이 들어간 패션 브랜드를 론칭하여 모델 그리고 디자이너로 활동하면서 패션 업계에서 큰 축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 팝 뮤지션의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패션 특성에 대한 분석은 패션 트렌드를 예측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Gender Neutral Fashion’ means wearing clothing products for men and women without distinguishing, and has a great impact on various fields such as fashion, music and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fashion characteristics of American pop musicians in terms of gender-neutral and providing data that can be used in fashion industry. In the literature research, gender-neutral culture was studied through literature, articles and sites. And in the empirical research, the fashion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the American pop musicians’ music videos were analyzed in aspect of gender-neutral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neutral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Eclecticism, Deconstructionism and Participation and these features were confirmed as fashion images of pop musician's music videos. First, the Eclecticism image is an aesthetic value that preserves the form of clothing and expresses an independent personal identity without restricting gender. Second, the Deconstruction image is interpreted as an act that breaks away from stereotypes, destroys all elements related to clothing, dismantles it, and then is experimented again. Finally, Participation images is an aesthetic value that combines fashion with ethics and values by actively communicating and expressing a message of affirmation of one’s body that respects various appearances and forms and accepts themselves as they are, regardless of gender, race, body shape, size and etc. American pop musicians are spreading and producing gender-neutral culture to the public through music videos and playing a big role in the fashion industries. At this point, an analysis of the fashio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music videos of American pop musicians can help to create fashion trends.

      • KCI등재

        대행선사의 젠더적/젠더초월적 특성과 성별공성(性別空性)

        박소진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4

        This article reveals Seon Master Daehaeng’s gendered/gender-transcendent characteristic, while analyzing her gender-related Dharma talks in relation to the Buddhist concept of ‘emptiness of sex/gender.’ This inquiry is important in order to examine and change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which is working on a patriarchal and male-dominated dichotomy in contradiction to the Buddhist principles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Seon Buddhist tradition, the history of prominent bhikkhuni has been erased. Seon Master Daehaeng transcends the gender dichotomy by embracing Bhikkuni and Bhikku, while establishing the new model of Seon Master beyond its masculine version. This study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of Seon Master Daehaeng and Hanmaum Seon Center, which she established.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tudying Korean Bhikkuni, by following feminist Buddhist studies. More importantly, ‘emptiness of sex/gender’ of Buddhism could reveal that the deterministic gender dichotomy is not fixed. Then, it explores that Seon Master Daehaeng’s gendered/gender-transcendent characteristic from the perspectives of outsiders, such as Buddhist believers, reporters, Bhikku etc. Daehaeng has taught that sex/gender is neither essential nor fixed, criticizing several discrimination of bhikkhuni or women. Her life and teachings can give theoretical resources, which go beyond the gender-dichotomy and the confrontational relation of sexes. Daehaeng thus opens up the new model of Seon Master in the gender-blinded Korean Buddhist tradition. 본 논문은 불교의 성별공성(性別空性) 개념을 중심으로, 대행선사(1927- 2012)의 젠더적/젠더초월적 특성과 그의 젠더관련 법문을 분석한다. 불교는 원리적으로는 불이(不二)사상에 근거해 차별이 없는 평등을 추구하지만, 현실적으로 한국 불교계는 매우 가부장적이고 남성/비구 중심적인전통을 따르고 있다. 한국 선불교의 전통 속에서 뛰어난 비구니에 관한역사는 보이지 않거나 가리워져 왔다. 대행선사는 여성 종교지도자로서젠더적 특성과 동시에 이를 뛰어넘는 젠더초월적 특성을 보이며, 그는남성중심적인 한국 불교에서 비구/비구니의 전통적 젠더이분법을 뛰어넘는 새로운 혁신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먼저 대행선사와 한마음선원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피고, 여성주의 불교연구의 문제의식 속에서 한국 비구니 승가 연구의 중요성을밝힌다. 이론적 배경으로, 결정론적인 젠더이분법의 허구를 드러내는 대승불교의 성별공성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대행을 바라보는신도, 기자, 비구 등을 포함한 외부자의 시선을 통해, 대행선사의 젠더적/젠더초월적 특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밝힌다. 나아가, 대행의 1980-90 년대 국내외 젠더관련 법문 분석을 통해, 깨달음에 남녀가 따로 있지 않고, 남녀의 모습은 달라도 마음은 둘이 아니기에, 상(像)에 집착하지 말라고 하는 그의 가르침의 핵심이 바로 불교의 성별공성에 대한 강조임을 밝힌다. 또한, 대행은 여성불성불론(女性不成佛論)이나 변성성불론(變性成佛論), 비구/비구니 사이의 위계나 차별 등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불이법(不二法)에 근거한 남녀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행선사는 남성중심적인 한국 불교의 전통을 넘어, 비구- 비구니를 모두 아우르는 독특한 수행공동체를 형성하고, 기존 선사와는매우 다른 새로운 선사의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아울러 대행선사의 삶과 가르침은 불교의 성별공성을 통해 젠더이분법을극복하고 남녀의 갈등과 대립이 아닌 남녀평등에 대한 새로운 사상적자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젠더기반폭력의 피해자 맥락성에 관한 담론

        김남미,조상현 한국치안행정학회 2020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7 No.3

        여성에 대한 폭력은 오랫동안 사회문제로 인식되지 못하였다.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국제사회에서도 여성에 대한 폭력은 “친밀한 사람들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하는 사적인 폭력”으로 간주했다. 이러한 문제로 여성에 대한 폭력은 오랜 세월 방치되어왔다. 젠더기반폭력은 사회적으로 부여된 여성 혹은 남성 이라는 성역할의 차이를 바탕으로 하여 개인의 의지와는 달리 약자에게 행 해지는 물리적·언어적·성적 폭력을 일컫는다. 이때 피해자의 절대다수가 여성이기 때문에 여성을 대 상으로 자행되는 폭력 대부분이 젠더기반폭력에 해당된다. 우리나라는 2017년 젠더기반폭력이라는 용어를 경찰활동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가정폭력·데이트폭력·성폭력, 스토킹 등과 같은 대 표적인 젠더기반폭력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주의를 환기한다는 것은 젠더기반폭력에 경각심을 높여 적극적인 치안활동을 하겠다는 의지를 표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2019년 12월 25일 「여성폭력 방지 기본법」시행으로 실질적 성평등에 한발자국 다가서려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젠더기반폭력의 정의에 대하여 논한다. 두 번째로 젠더기반폭력의 선행 연구를 살펴본다. 세 번째로 전통적 유형의 젠더기반폭력과 비전통적 유형의 젠더기반폭력의 현황 및 실태를 국내외 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네 번째로 젠더기반폭력을 유발하는 사회구조적 특성 파악 과 젠더기반폭력의 피해자의 맥락성에 대한 연구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살펴본 내용을 기반으로 젠더기반폭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사회안전망을 찾아보고자 한다. Violence against women has not long been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violence against women is regarded as private violence occurring among intimate people. Violence against women has been neglected for many years. Gender-based violence refers to physical, linguistic, and sexual violence against the weak,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gender roles of women or men socially endowed. At this time, since the majority of victims are women, most of the violence against women is gender-based violence. In Korea, the term gender-based violence began to be used in police activities in 2017. Arousing social interest and attention to representative gender-based violence such as domestic violence, date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stalking can be said to be an expression of the will to engage in active security activities by raising awareness of gender-based violence. On December 25, 2019, the 「Basic Act on the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was enacted, making efforts to take a step closer to practical gender equality. In this study, first, the definition of gender-based violence is discussed. Second, the current status and status of the traditional type of gender-based violence and the non-traditional gender-based violence are examin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hird, the soc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cause gender-based violence are identified. Fourth, the context of victims of gender-based violence is studied. Lastly, based on the above, we will try to find a social safety net that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gender-based violence.

      • KCI등재

        모바일뱅킹 특성과 만족 및 재이용 의도와의 관계 분석 : 성별을 고려하여

        노미진(Mi-Jin Noh) 한국산업경영학회 2010 경영연구 Vol.25 No.4

        인터넷, 모바일상거래, 위치정보서비스 등이 활성화되면서 정보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모바일뱅킹 산업이 활성화되었다. 모바일뱅킹이란 휴대폰, PDAs(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등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하여 뱅킹 거래를 수행하는 것이다. 모바일뱅킹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 많은 고객들이 이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며 모바일뱅킹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재이용 의도가 높을 때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뱅킹 사용자특성으로 혁신성과 친숙도를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다. 둘째, 모바일뱅킹 서비스 특성으로 편리성, 보안성, 접속성, 이동성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들 특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다. 셋째, 모바일뱅킹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사용자특성과 모바일뱅킹 서비스 특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다. 모바일뱅킹 서비스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경로분석과 조절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용자특성 중에서 친숙도는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혁신성은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모바일뱅킹 서비스 중에서 보안성은 의미 있는 영향력을 가지지 못했지만 편리성, 접속성, 이동성은 정(+)의 영향력을 가졌다. 셋째, 모바일뱅킹 서비스에 대한 만족은 재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마지막으로 사용자특성과 모바일뱅킹서비스 특성은 성별에 따라 만족에 다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뱅킹 산업의 발전과 전략수립을 위한 다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activate mobile banking services, many customers have to use this services and improve a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of the servic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er characteristics of mobile banking are the innovations and familiarity, and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hip between this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Second, service characteristics of mobile banking is the convenience, security, connection, and mobility, and we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is servic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Third,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s on the reuse intention of the satisfaction. Finally, we study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service characteristics of mobile banking according to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novation among user characteristics hadn't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and the user familiarity had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Second, the security among services characteristics of mobile banking hadn't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but the convenience, connection, and mobility among this services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Third, the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reuse intention. Finally, the innovation, familiarity, and connection to customer satisfaction for female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for males. The convenience, security, and mobility to customer satisfaction for males were positively larger than those for females. This study will provide diverse implications when companies build strategies for providing services of mobile banking and develop business models according to gender.

      • KCI등재

        성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의 차이에 관한 연구

        신원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gender-role stereotyp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ults in Korea. This research analyzed data of 12660 persons from 10th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5). And this research utilized the independent group t test and Oneway ANOVA metho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ption of confliction of labor participation and family responsibility and perception of gender-role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residental community, religion and economic status of family.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ption of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according to gender, age, residental community and economic status of family. This finding suggest gender equality policy suitable for variou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liminate the gender-role stereotype of adults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차이가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10차년도(2015년)의 자료 중 20세 이상 성인의 응답자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2660명이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독립표본 t 검증 및 일원변량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지역, 종교, 가구경제수준에 따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가족책임의 충돌에 대한 인식과 젠더의 역할에 대한 관념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연령, 지역, 가구경제수준에 따라 일과 가족생활 양립의 어려움 정도의 차이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성인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의해 차이를 보이고 일정한 패턴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재인식을 위하여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세밀하게 고려한 양성평등 정책의 개발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유아들의 젠더 개념 탐색

        정유리(Jeong, Yu-Ri),권귀염(Kwon, Kyee-Yu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유아들이 생각하는 성 특징과 성 역할 등 젠더 관련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J도에 위치한 A어린이집 만 5세 학급인 누리반 유아 1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개별 유아들과 세 차례에 걸친 면담이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유아들은 외모나 행위 등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기준으로 성별을 구분하고 있었으며, 자신과 다른 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남자와 여자에 속한 것이나 역할, 취향 등에 대해 대립적으로 개념화하고 성별 경계를 넘어서는 유아에 대해서는 놀림 행위를 통해 성 전형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성 전형성을 탈피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대체로 수긍하는 모습이었다. 특히 자신이나 주변의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먼저 성 전형성을 부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교육적 시사점과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conception of gender. More specifically, children"s beliefs about gender, characteristics of each gender, gender-roles, gender stereotypes, and possibilities of breaking out of the stereotypes are explor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irteen 5-year-old children at A child-care center in J province. Data are collected from 3 individual interviews on each child and to help the children elaborate their thoughts and feelings, video clips of their physical movement and several pictures have been used in the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the children made the distinction of sex based on ex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outward appearances and actions, 2) the children showed the tendency to recognize other sex negatively, 3) the children strengthened gender stereotypes based on dichotomizing sex distinction and teasing their friends, 4) the children seemed to be convinced when asked additional questions about possibilities of breaking out of the stereotypes, 5) the children rejected gender stereotypes when experienced breaking gender roles directly or indirectly. The academic and practical meaning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이 생활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임숙희,이진경,이재영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23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 their sense of life safety according to gende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ix schools in the C area, and a total of 1,048 data were used for analysis.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were verified, an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living safety awareness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pression, anxiety, type A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e in accid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ife safety awareness in the male student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female student group, anxiety and type A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fety awareness. Anxiety negatively affects living safety awareness, and type A characteristic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ving safety awarenes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pression and accident experi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ife safety awarenes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in education to prevent life safety awareness and that education that reflect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노인의 객관적 특성과 주관적 지각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백지은(Paik, Jee-Eu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0 사회연구 Vol.- No.20

        이 연구는 노인의 객관적인 특성과 주관적 지각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노인으로 노인들이 주로 참여하는 사회복지관련기관 및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편의표집되었으며, 총 705명의 설문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객관적인 특성 중 역연령과 질환여부와 주관적 지각특성 중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감에서도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해 심리적 안녕감은 높은 반면 우울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감은 주관적인 지각 특성에 비해 객관적인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반면, 여성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감은 주관적인 지각 특성에 의해 보다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영역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에서도 하위 영역별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데 객관적 특성과 주관적 특성, 노인의 성,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차원과 관련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objective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and what the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for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ar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elderly aged over 65 years living in the Seoul and Kyunggi areas and a total of 705 case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illness experience of objective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health of subjective characteristics. Elderly men showed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ower depression than elderly women. Second, for elderly men objective characteristics had mor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than subjective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for elderly women, subjective characteristics had mor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than objective characteristic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predictors affecting sub-dimension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y sex. These results provide more specific and effective practical implications to promote a better quality of life for Korean elderly men and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