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amining the College Students’ Perceived Fast Food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박근순,박나랑,김정은,허욱재 한국소비문화학회 2018 소비문화연구 Vol.21 No.3

        Fast food restaurants are one of the world’s fastest growing food types and are quick, priced reasonably alternatives to home-cooked food that are available readily. Following fast food restaurants’ complex and improved development of marketing tools, the market situation needs to be understood as part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Specifically, the college market is important for restaurant chains, as it is becoming larger. Therefore, college students cannot be prevented from purchasing fast foods. Therefore, a better educational strategy might be to make college students aware of what fast food contributes, rather than attempting to encourage them not to purchase fast food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nd compare the attributes of five fast food restaurants―Burger King, McDonald’s, Subway, Taco Bell, and Wendy’s―as they ar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 questionnaire examining the attributes of fast food restaurants was develop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mpleted by 275 college student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showed that across the five fast food restaurants, some common attributes were perceived.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1) examine and compare food attributes across five fast food restaurants, and (2) identify fast food restaurants’ relative positions in college students’ minds with respect to their food attributes using IPA. The analyses also indicated that each fast food restaurant was perceived to have its own particular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und both common and unique attributes among the five restaurants evaluated. Location and menu variety were two common attributes that college students perceived important across all five restaurants. First, restaurateurs understand the common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fast food restaurants and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develop their service quality. The fast food restaurant industry should identify what service attributes college students consider most important and how well the fast food restaurant is performing relative to its competitors with respect to each of those attributes. This will allow restaurant managers to focus their operations and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 to a greater extent to maximize consumer satisfaction. Second, consumers can learn the way college students perceive these fast food restaurants. Specifically,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o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should understand consumers’ perceptions of fast food restaurants. By understanding this, it is possible to set a pathway to better education and policies.

      • KCI등재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생과 그 외 음식관련 서비스업 아르바이트생의 식습관,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식 및 섭취빈도 비교

        조미양,현태선 한국영양학회 201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dietary habits, perception, and consumption frequency of fast foods between part-time working youths at fast food restaurants and those at other food-related service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part-time working youths in 13 fast food restaurants (n = 118) and in 25 other places including bakeries, ca-fes, convenience stores, and other restaurants (n = 115) in Cheongju.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percep-tion regarding fast foods, and consumption frequencies of food groups and fast foods were assess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Female youths working at fast food restaurants had unhealthier dietary habits, such as meal skipping and night snacking compared to those working at other places. Consumption frequencies of fruits in males and beans/bean products in females working at fast food restaura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working at other places. Perception score on fast foods was significantly lower in males working at fast food restaurants than in males working at other places. However, the consumption frequencies of hamburgers, pizzas, and a total of six fast foods among both males and females working at fast food restaura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orking at other places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including age, status, type of residence, allowance, alcohol, smoking, working hours, and hourly pay. Conclusion: Part-time working youths at fast food restaurants had worse dietary habits, such as meal skipping and night snacking, and consumed fast foods more frequently than those working at other places. Inter-ventions for part-time working youths at fast food restaurants may be needed in order to reduce fast food consumption and increase th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본 연구에서는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생 118명과 패스트푸드점 외의 음식 관련 서비스업에서 일하는 아르바이트생 115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식습관과 패스트푸드에대한 인식 및 패스트푸드 섭취 빈도 등을 비교하여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남녀별로 나누어 파악하고자 하였다. 남자의 경우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생과 그 외 아르바이트생에 있어서 연령, 신분, 주거형태, 용돈, 음주, 흡연, 일하는시간 및 시급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음주횟수에 차이가 있었다. 여자의 경우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생은 그 외 아르바이트생에 비해 20세 이상의 대학생이 더 많았고, 6시간 이상으로 일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시간당 급여가 더 높았다. 여자의 경우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생이 그 외 아르바이트생에 비해 식사 횟수는 적고, 간식으로는 패스트푸드를 먹는다고 한 사람이 더 많았으며, 남녀 모두 야식을 더 자주 먹는 것으로 나타나 식습관이 더 나쁜 경향이 있었다. 또한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생은 그 외 아르바이트생에 비해 남자의 경우과일류의 섭취빈도, 여자의 경우 콩 및 콩제품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패스트푸드점 남자 아르바이트생은 패스트푸드의 장점에 대한 인식 점수가 더 낮았다.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생은 남자의 경우 햄버거류, 피자류, 탄산음료, 여자의 경우 햄버거류, 감자튀김, 도넛, 탄산음료에서 그 외 아르바이트생보다 유의적으로 섭취빈도가 높았으며, 연령, 신분, 주거형태, 용돈, 음주, 흡연, 일하는 시간, 시급등으로 보정한 후에는 남녀 모두 햄버거류, 피자류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 섭취빈도도 패스트푸드 아르바이트생의 섭취빈도가 더 높았으며, 연령, 신분 등으로 보정한 후에도 여전히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패스트푸드점에서 일하는 아르바이트생은 그 외아르바이트생보다 식습관이 더 나쁘고, 패스트푸드를 더 자주 섭취하고 있었다. 따라서 패스트푸드 아르바이트생은 결식하지않고, 다양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노력하는 등의 좋은식습관을 갖도록 더 노력해야 할 것이며 이를 도울 수 있는 영양교육이 요구된다.

      • 패스트푸드 섭취빈도에 따른 청주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특성 및 영양소 섭취량

        박은주(Eun Ju Park),김기남(Ki Nam Kim),조진숙(Jin Suk Cho)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5 생활과학연구논총 Vol.9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fast-food consump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 were 34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ttended middle schools in Cheongju cit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he collected ones were processed for statistics using SAS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visited fast food restaurants twice or three times a month. In the quantity of fast-food that they ate at the fast food restaurants, the greatest percentage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ate fast-food to an extent that they could regard it as a snack between the regular meals. 52.5%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consider the balance of nutrition when they chose the fast-food, and that they put the greatest emphasis on the taste. In terms of the dietary habit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 those who preferred fried foods were found to eat fast-food more than others who did not. Among girl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ose who ate fast-food more often, had lower scores on the dietary habits. As for the fast-food intake and the daily food intake,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 those who ate fast-food often were found to take in more nutrition than those who did not. In addition, those who took the fast-food more often had a higher ratio of fat consumption while they took lower vitamins and minerals.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provided to encourage them to choose more nutritious food and have healthier dietary habits.

      • KCI등재

        Examining the College Students’ Perceived Fast Food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Park, Kunsoon(박근순),Park, Narang(박나랑),Kim, Jung Eun(김정은),Heo, Wookjae(허욱재) 한국소비문화학회 2018 소비문화연구 Vol.21 No.3

        패스트푸드 식당은 잘 알려진 바대로 현대 사회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산업중의 하나로서, 제품과 서비스가 이제는 가내식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까지 성장해왔다. 이러한 패스트푸드의 빠른 성장과 제품의 고도화는 소비자학에서도 그 의미가 중요하며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스트푸드 식당 선택에 있어서 식당 인지가 소비자 평가에 작용하는지를 알아보는 중요성 성과분석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분석을 위하여 미국 중서부 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국에서 가장 자주 접할 수 있는 5개의 식당을 중심으로 연구 비교를 제시하였다. 미국에서 가장 자주 접할 수 있는 5개 식당으로는 버거킹, 맥도날드, 서브웨이, 타 코벨, 웬디스가 있으며, 이들 5개 주요 식당이 미국 대학생들에게 어떻게 인지되는지를 설문지 방식을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패스트푸드 식당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질문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275명의 대학생들로부터 수집되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중요성 성과 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 목표를 가지고 있는데, 첫번째로 중요성 성과 분석을 통해서 5개의 패스트푸드 식당 선택에 영향을 주는 공통적인 요인을 확인하여 비교분하여 각각의 식당에 대한 개별적인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두번째로, 중요성 성과 분석을 통해 확인된 각 식당의 공통적 요인 및 개별적 특성을 활용하여 대학생 소비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각 식당별 상대적 시장 내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패스트푸드 식당의 위치와 메뉴의 다양성이 미국 중서부 지역의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패스트푸드 식당의 대표적 중요 요소로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패스트푸드 식당 관련 산업과 소비자학 모두에 시사점을 준다. 패스트푸드 식당을 운영하는 산업관련 종사자들에게는 소비자들의 인지에 따른 개선점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주었다. 소비자학 및 관련 분야에는 대학생 소비자들이 패스트푸드 식당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알게 해줌으로써, 대학생 소비자들에 대한 교육 및 정책 의 방향을 재고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주었다. Fast food restaurants are one of the world’s fastest growing food types and are quick, priced reasonably alternatives to home-cooked food that are available readily. Following fast food restaurants’ complex and improved development of marketing tools, the market situation needs to be understood as part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Specifically, the college market is important for restaurant chains, as it is becoming larger. Therefore, college students cannot be prevented from purchasing fast foods. Therefore, a better educational strategy might be to make college students aware of what fast food contributes, rather than attempting to encourage them not to purchase fast food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nd compare the attributes of five fast food restaurants ― Burger King, McDonald’s, Subway, Taco Bell, and Wendy’s - as they ar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 questionnaire examining the attributes of fast food restaurants was develop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mpleted by 275 college student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showed that across the five fast food restaurants, some common attributes were perceived.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1) examine and compare food attributes across five fast food restaurants, and (2) identify fast food restaurants’ relative positions in college students’ minds with respect to their food attributes using IPA. The analyses also indicated that each fast food restaurant was perceived to have its own particular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und both common and unique attributes among the five restaurants evaluated. Location and menu variety were two common attributes that college students perceived important across all five restaurants. First, restaurateurs understand the common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fast food restaurants and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develop their service quality. The fast food restaurant industry should identify what service attributes college students consider most important and how well the fast food restaurant is performing relative to its competitors with respect to each of those attributes. This will allow restaurant managers to focus their operations and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 to a greater extent to maximize consumer satisfaction. Second, consumers can learn the way college students perceive these fast food restaurants. Specifically,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o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should understand consumers’ perceptions of fast food restaurants. By understanding this, it is possible to set a pathway to better education and policies.

      • KCI등재

        패스트푸드 포장형태와 지기구조 분석연구

        최영숙 ( Choi Young 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6 한국디자인포럼 Vol.14 No.-

        1980년대 초부터 빠른 경제성장과 86아시안게임, 88올림픽을 계기로 새로운 서비스와 브랜드의 가치창출 등이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고 패스트푸드란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시장개방에 따른 자본력과 마케팅력을 갖춘 해외브랜드가 패스트푸드시장에 대거 진출하였고, 국내의 대기업과 더불어 자본력이 있는 개인들이 패스트푸드사업에 뛰어들었다. 패스트푸드를 이용하는 고객의 다양한 욕구 변화에 따라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성장했으며 이에 따라 패스트푸드 업종, 업태간의 경쟁이 심화되었다. 패스트푸드란 주문하면 곧 먹을 수 있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용기는 종이로 되어 있어 한번 쓰고 버리며 조리도 오븐에서 데우는 정도로 간편하여 소수의 인원으로 손님의 주문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패스트푸드 포장은 내용물의 휴대, 저장, 수송, 보호 외에 매장과 배달 현장에서 바로 식사한다는 기능적 관점으로 볼 때 용기의 기능도 함께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스트푸드 포장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지류를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패스트푸드 포장 실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포장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자와 생산자, 그리고 패스트푸드 지기 포장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기구조의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심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패스트푸드 가운데서 비닐류 패키지로 이루어진 제품은 제외하였으며, 지기(종이)로 포장된 제품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고 있다. 지기에 포장된 제품은 피자와 치킨류가 중심이 되며 그 외 패스트푸드 제품을 위한 캐리어 용 지기포장은 포함하고자 한다. 제품 선정 대상으로는 국내 기업 중 매출액을 고려한 피자브랜드 3종, 치킨브랜드 3종을 대상으로 하여 각 수집된 패키지의 형태, 기능성, 운송, 사용성 등을 분석하기로 한다. 패스트푸드포장은 1회용으로 수명이 짧지만 브랜드의 지속적인 이미지 관리를 위해 포장과 디자인의 빈번한 변경은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대표적인 패스트푸드의 지기 포장의 현황과 그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들을 도출 하였다. 첫째, 현재 사용 중인 포장은 운송 중에 상품 보호를 하지 못하고 브랜드 이미지에 부합된 외형을 보이고 있지 않아 포장 지기의 형태를 다양화해야 한다. 둘째, 내용물을 개봉한 후 식사 할 때의 소비자의 편익을 고려한 지기구조가 요구된다. 셋째, 포장재의 재활용을 고려한 구조의 적용이 필요하다. 넷째, 독특하고 차별화된 포장 지기구조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의 결과는 패스트푸드의 지기포장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미 어느 정도 예견 가능한 연구 결과이나 패스트푸드 포장의 지기 구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황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지기 구조 개선의 필요성을 도출했다. 소비자의 사용 실태를 파악하여, 소비자 편익과 욕구 중심의 포장이 개발되어 패스트푸드 산업 성장과 위생적이고 품격 있는 식생활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Since rapid economic growth from the beginning of the 1980s, 86 Asian Game and 88 Seoul Olympic Game, the creation of new services and brand value has become crucial and the concept of fast food has started to appear. In particular, overseas brands equipped with capital and marketing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market have penetrated into the fast food market in full swing and the individuals with capital strength together with large-scale domestic enterprises entered the fast food business. In parallel with the change in various demands of customers who have used fast food, franchising enterprises have grown up rapidly; as a result, the competition between business types and conditions of fast food has been furthered. `Fast food7 means that one is able to eat immediately when ordering food. Its container is made of paper so that one can simply throw it way after using it, and the cooking is simple enough to warm it in the oven; accordingly, a small number of staffs can handle the large number of customer`s order in a rapid manner. Fast food packing has also the function of a container in functional terms that customers can have their meal in shops and on the delivery spots other than carrying, storing, transporting, and protecting the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fast food packing in our country focusing on the paper packing - one of the biggest parts in fast food packing- and whether appropriate packing has been done. In addition, it attempted suggest a method to improve the relevant problems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consumers, manufacturers and fast food paper package and groping for the problems with paper packing structure. In order to enhance the depth of study, this study excluded the products made of plastic package among various fast foods and it limited its target into the products packed with paper. The main products packed with paper were pizzas and chickens and the paper package for the purpose of carrying fast food products were also included in this study. The subject of study included 3 pizza brands and 3 chicken brands by considering the sales among domestic enterprises and the study analyzed the form, functionality, transportation, and usability of each collected package. Fast food packing is disposable and its life is short, but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in changing the packing and design frequently for the continuous image management of brands. In conclusion, the study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representative domestic fast food paper packing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currently used packages have not been able to protect their products during the transportation and their external appearance has not corresponded to their brand image; in this regard, the form of packing paper should be diversified. Second, it has been required to have a paper packing structure for the convenience of consumers when opening the contents and eating them. Third, it would be necessary to apply the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recycling of packing materials. Fourth,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unique and differentiated paper packing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be limited to the paper packing of fast food and they has been more or less predicted already; however, as a fundament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paper packing structure for fast food, this study deduc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paper packing structure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for its present conditions. The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terms of groping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consumers` use and of being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fast food industry, hygienic and high-quality dietary life by developing the package on behalf of consumers` convenience and demand.

      • KCI등재

        원주지역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섭취정도에 따른 패스트푸드 이용태도 및 식습관 비교

        김복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st food consumption, awareness of fast food and food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area according to their intake frequency of fast foods.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intake frequency of fast foods : frequent users( 1 time/week, 29.5%), users(2~3 times/month, 50.7%), non-users( 1 time/month, 19.8%). As for the purpose of eating fast food, many ate fast food between meals. The most favorite fast food was chicken regardless of intake frequency, followed by pizza, hamburger, the reason being that it tasted good. Regarding if there was any room for improvement,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asked for inexpensive price, irrespective of fast food intake frequency. Compared to users, non-users intake more diverse foods, vegetables, dairy products, fruits, protein foods and seaweed. Users or frequent users of fast food more felt drowsy, cold in the hand and foot, rough skin symptoms than non-users. In conclusion, frequent consumption of fast foods can lead unbalanced diet intak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ose who consumed fast foods frequently showed undesirable food habits in their daily meal.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 지역에 소재한 3개 중학교에 재학하는 1, 2학년 454명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 섭취 빈도에 따른 패스트푸드의 이용 태도,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식, 식습관, 건강관련 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대상자 중 패스트푸드 자주 섭취군(주 1회 이상)은 29.5%, 보통 섭취군(한 달에 2~3회 정도)은 50.7%, 비섭취군(한 달에 1회 이하)은 19.8%로 분류되었다. 패스트푸드를 먹는 목적으로 ‘간식용’의 비율은 자주 섭취군과 보통섭취군이 비섭취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패스트푸드에 관한 개선점으로 세 군 모두 저렴한 가격과 덜 기름진 음식을 희망하였다.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식에서 자주 섭취군, 보통 섭취군은 비섭취군에 비해 패스트푸드가 배고픔 해소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였으며, 패스트푸드의 섭취 빈도가 많을수록 패스트푸드를 쉽게 사 먹을 수 있고, 메뉴가 다양해 질리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패스트푸드 비섭취군은 자주 섭취군, 보통 섭취군에 비해 식사량이 적당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밥, 채소류, 과일류, 단백질, 우유 및 유제품, 해조류의 섭취가 더 많았다. 건강이상 증상 조사에서 자주 섭취군과 보통 섭취군은 비섭취군에 비해 졸음이 오고, 손발이 차고, 피부가 거칠은 증상을 더 자주 느꼈다.

      • KCI등재

        패스트푸드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한 연구 - 대전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배영경,김영남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tinguish which food is fast foods an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fast foods. The 14 kind of foods(hamburger, pizza, fried chicken, raymyeon, hotdog, doughnut, fried fish cake, jajangmyeon・udong, ice cream, dukbokki, spaghetti, sandwich, gimbab, and salad) and 5 characteristics of fast foods(takeout, franchise, fast serving, unhealthy, and cheap price foo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ictionary and previous research papers about fast fo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306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 in Daejeon area were participated. The data were gathered by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SPSS/WIN 18.0 program. The participants evaluated the fast foods as delicious and convenient foods but non-nutritious, i.e. high fat but vitamin deficient foods. Among the 14 foods examined, hamburger, pizza, and fried chicken were the foods which more than 90% of the participants acknowledged to fast foods. Dukbokki, spaghetti, sandwich, gimbab, and salad were the foods which less than 50% of the participant acknowledged to fast foods. Among the 5 characteristics of fast food examined, unhealthy foods showed the highest sensitivity, specificity, predictive value, and odds ratio(0.803, 0.712, 0.597, and 2.79, respectively), and cheap price showed the lowest values of those(0.565, 0.335, 0.242, and 0.85, respectively) for acknowledging foods to fast foods. As conclusion, hamburger, pizza, and fried chicken were the representative foods of fast foods. Fast foods are generally considered as fast served cheap price foods, but the participants did not think the fast foods as fast and cheap foods.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fast foods in the students' minds was unhealthy foods. 패스트푸드는 간단한 조리를 거쳐 신속히 제공되는 음식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어떤 종류의 음식을 패스트푸드로 분류할 수 있는지, 패스트푸드와 패스트푸드가 아닌 음식을 구분하는 특징은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패스트푸드로 제시한14종 음식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의 인정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패스트푸드 인정 여부를 결정하는 패스트푸드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남・여 고등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패스트푸드가 맛있고 편리한 음식이지만 영양가가 낮은 음식 즉, 고지방, 저비타민 음식으로 평가하였다. 햄버거, 피자, 프라이드치킨, 라면, 핫도그는 80% 이상의 조사대상자가 패스트푸드로 인정하였으나, 떡볶이, 스파게티, 샌드위치, 김밥, 샐러드의 경우 패스트푸드 인정 비율이 50%에 미치지 못하였다. 패스트푸드의 5가지 특징 중 음식의 패스트푸드 인정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확실한 특징은 건강에 해로운 음식이었고, 가장 불확실한 특징은 신속한 제공과 저렴한 가격으로 조사되었다. 패스트푸드가 흔히 fast, cheap foods로 지칭되지만 조사대상 남・ 여 고등학생은 패스트푸드를 신속히 제공되는 값싼 음식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외식산업의 발전과 Fast Foods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 Focused on Fast Food

        임영희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1 自然科學 Vol.2 No.-

        현재 외식산업은 놀라운 속도로 번창하고 있으며 그 중 Fast food는 경제적, 국민 영양적 측면에 끼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Fast food를 중심으로 외식산업을 진단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 생각되어진다. 특히 Fast food을 찾는 고객은 14∼30세의 젊은 층이며, 외식산업의 간편성과 쾌적한 시설, 비교적 건전한 분위기 조성등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대부분 간식으로 Fast food를 먹고 있었다. 음식선택시는 기호와 맛이 가장 중요시되었고 개선할 점으로는 가격인하, 전통음식개발, 야채·과일의 증대, 메뉴개발 등을 들었다. 이를 토대로 우리 국내업계의 문제점으로 과도한 로얄티 지출과 더불어 국내 자생업체의 Franchise 운영미숙으로 인한 도산 등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된바, 국내업체의 관리시술개발 및 과감한 투자지원을 이루어 국내업체의 자생력을 기르고 한국고유음식을 개발하여 서구식문화에 밀려나가는 우리의 좋은 식문화와 우리의 맛을 살려나가야겠다. Dinning out industry have expanded with surprising speed. The purpose of this review were to evaluated dinning out industry and fast food service effect to nutrition and health of Korean people. The majority of customers were aged 14 to 30. The motivation of the customers visiting the fast food restaurants by the highest percentage were the following in the order convenient to dinning equipment are pleasant and hygienic, to be able to stay as long as I want. The fast foods purchased by the customers were mostly for snack. As a result of INQ evaluation, the desirable case of both nutrition and fitness for a meal was only 10.4%. Taste preference was a major factor in food selection from available menu items, among the younger customers. Customers offered opinions for better fast food service such as lowing the price, developing the fast foods from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increase of vegetables and fruits on fast food menu more variety of menu. The problem of domestic fast food brand was relationship between the franchisors and franchisees in terms of management, satisfaction and cooperation. Domestic brand have to improve food service management standardized recipes, QSC cooperation and have more funds.

      • KCI등재

        대학생들의 패스트푸드 소비 형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

        장재선 ( Jae Seon Jang ),오성천 ( Sung Cheon Oh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패스트푸드 섭취 절제 및 균형된 식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의 소비 형태를 알아보고, 패스트푸드의 소비에 관련 행동요인인 성별, 전공별, 거주지별, 한 달 용돈별, 학년별, 다이어트 여부, 운동 여부, 흡연 여부, 음주 여부 등의 변수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 전체 334명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면 성별로는 남자 77명(23.1%), 여자 257명(76.9%)으로 나타났고, 학년은 1학년 97명(29.0%), 2학년 83명(24.9%), 3학년 68명(20.4%), 4학년 86명(25.7%)으로 나타났으며, BMI는 저체중, 정상군, 과체중이 각각 19.3%, 63.5%, 17.22%로 정상체중이 가장 많은 반면 저체중과 과체중 학생의 비율이 낮았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건강생활 실천 양상을 보면 다이어트 경험은 ‘있다’ 218명(65.3%), ‘없다’ 116명(34.7%)으로 나타났고, 운동 여부는 ‘있다’ 71명(21.3%), ‘없다’ 263명(78.7%)으로 나타났으며, 흡연 여부는 ‘하고 있다’ 19명(5.7%), ‘하고 있지 않다’ 315명(94.3%)으로 나타났고, 음주 여부는 ‘하고 있다’ 233명(69.8%), ‘하고 있지 않다’ 101명(30.2%)으로 나타났다. 2. 대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 및 건강생활 실천에 따른 패스트푸드 이용 차이를 분석한 결과, 패스트푸드 중 햄버거는 전공별, 운동 여부별, 음주 행위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치킨은 학년별, 운동 여부별, 음주 행위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샌드위치인 경우 성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스파게티인 경우 성별, 흡연 부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3. 대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 및 건강생활 실천에 따른 패스트푸드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사대용으로 ‘섭취 한 경험이 있는가’의 문항에서 전공별, 학년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패스트푸드의 선택 기준에서 맛과 가격으로 선택한 경우 전공별, 성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식에서 전공별, 다이어드 경험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패스트푸드의 선택에 있어서 영향 요인인 경우 전공별, 학년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4. 패스트푸드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패스트푸드 선택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에 성별, 전공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또한 대학생들의 패스트푸드 구매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패스트푸드 구매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성별, 다이어트별, 패스트푸드 이용, 식사대용 경험 유무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5. 대학생들의 패스트푸드 섭취, 선택 이유, 구매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패스트푸드 종류별 모두 양의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그 중 햄버거와 감자튀김의 상관계수 값이 0.63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치킨과 피자의 상관계수 값이 0.447로 나타났다(p<0.01). ‘음식이 빨리 나와서’와 ‘먹기 간편해서’의 상관계수가 0.599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가격이 적당해서’와 ‘양이 많아서’의 상관계수 0.506, ‘종류가 다양해서’와 ‘음식이 빨리 나와서’의 상관계수 0.455, ‘먹기 간편해서’와 ‘친구를 만나기 편해서’의 상관계수 0.366 순으로 나타났다(p<0.01). 영양과 칼로리의 상관계수 값이 0.50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맛과 가격은 0.396, 브랜드와 서비스가 0.385로 순으로 나타났다(p<0.01).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the consumption of fast food for a balanced diet of university students.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such as gender, major, residing region, living expense, school grade, dieting, physical activity,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o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were analyz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consumption of different types of fast food depending on different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as follows: hamburger by major, physical activity and alcohol consumption; chicken by school grade, physical activity and alcohol consumption; spaghetti by gender and smoking. Groups of different majors and school grad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response to a question “Have you ever eaten fast food for regular meals?”. The choice of fast food types based on taste and price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ajors and gender. Different groups with different majors and dieting experience appeared to think significantly differently about fast food. In response to a question “Has the consumption of fast food changed your diet style” different groups of different majors and physical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fast food choices revealed that fast food is chosen significantly differently depending on gender and majors (p<0.05). The purchase of fast food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gender, diet,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of fast food and consumption of fast food for regular meals (p<0.05).

      • KCI등재

        패스트푸드 섭취빈도와 건강실천

        홍승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0 No.2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ast food awareness, dietary behaviors, and health practices according to the fast food intake frequency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using a self-completed questionnaire for adults. Chi-squar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take frequency of fast food and related factors. Results: The frequent intake group’s (more than twice a week) results were 38.6%, the normal intake group (less than twice a week) was 33.3%, and the non-intake group (less than once a month) was 28.1%. Subjects who frequently consumed fast food were positively aware of their fast food consumption. The frequent intak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ody weight gain after fast food intake than other groups. They consumed more foods containing oil and wheat flour than the non-intake group whose intake was mainly protein-sourced foods, green vegetables, and fruits, and dietary behavio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intake frequency of fast food. The fast food non-intake group was significantly better at practicing health practices such as maintaining health and normal weight, regular exercise, and correct posture than other groups. It was seen that the higher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group appeared to follow fewer health practices than other groups. Conclusions: High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is associated with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such as high caloric intake and low health practices, suggesting the need for appropriate information to reduce the nutritional imbalance caused by fast food intake.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섭취빈도에 따른 패스트푸드 인식, 식사행동, 건강실천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자기기입식으로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패스트푸드 섭취실태, 인식, 식사행동, 건강실천 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결과: 패스트푸드를 일주일에 2회 이상 섭취하는 자주섭취군이 38.6%, 일주일에 2회 미만 섭취하는 보통섭취군이33.3%, 한 달에 1회 미만 섭취하는 비섭취군이 28.1%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패스트푸드 섭취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비섭취군이 자주섭취군과 비교하여 패스트푸드가 건강 및 영양에 안 좋은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자주섭취군은 패스트푸드 섭취 후에 신체변화로 다른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체중 증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주섭취군은 기름이 포함된 식품과 밀가루 음식을 많이 섭취하였고, 비섭취군은 단백질 공급원 식품과 녹황색 야채를 주로 섭취하여 식사행동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건강 및 정상체중 유지, 규칙적인 운동, 바른 자세 유지와 같은 건강실천은 패스트푸드 비섭취군이 자주섭취군과 보통섭취군에비하여 유의하게 더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과 식사행동은 건강실천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회귀분석 결과 패스트푸드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건강실천을 적게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높은 패스트푸드 섭취빈도는 고열량의 바람직하지못한 식사행동 및 낮은 건강실천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그러므로 패스트푸드로 인한 영양불균형을 줄이고 올바른 식사행동 및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행동을 실천할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