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러닝형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 제안

        이경림 한국교육개발원 2019 한국교육 Vol.46 No.4

        Considering the fact that many college students have a hard time applying fashion design theories in order to design creative fashion, this study proposed a flipped learning-based fashion design ideation education model for systematic and efficiently designed training cours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flipped learning and fashion design ideation and developed a flipped learning-based fashion design ideation education model using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After the first and second validity evaluations by eight fashion education experts,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education model were test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CVI) and Inter-Rater Agreement(IRA). According to study results, the flipped learning-based fashion design ideation education model was programmed into three parts: 1) outside the classroom-online preview using a video lectures prior to the training class; 2) inside the classroom–offline project team-based training class; 3) inside the classroom–offline presentation and evalu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 model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fficiency, systematic design, and project learning. The flipped learning-based fashion design ideation education model can make students have an active ability towards creative fashion design by linking design theories and practices in an efficient manner. It is anticipated that this model would help fashion designers build their design capability,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related educational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학생들이 패션디자인 이론을 실습수업에 연계시키지 못하여 창작 패션디자인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에 착안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디자인 실습수업을 위한 플립러닝형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과 패션디자인발상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교육모델을 개발・설계한 후 형성연구방법으로 e-러닝과 플립러닝 교육경험이 있는 패션관련 전문가 8인에게 내용타당도 지수(CVI)와 평가자간 일치도 지수(IRA)를 사용하여 1, 2차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플립러닝형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플립러닝형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은 Part1~3로 분류된 수업으로 설계되었으며, 학생들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디자인 프로젝트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발된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은 디자인 이론과 실습을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어 학생들이 창작 패션디자인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를 가질 수 있는 모델로 평가되어 실무에서의 디자인역량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향후 패션디자인 관련 전문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속가능관점의 창의적 리디자인패션 기초 교육과정 개발

        김민지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1

        Background TThe clothing industry is constantly trying to change the structure of cloth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to protect the environment with a sense of crisis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discarded clothing due to the increase in clothing consumption is serious, and the potential capability of fashion designers to renew it is important. Therefore, fashion design education for nurturing professional talent for redesign fashion should be systematically prepa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ducational program for creative redesign fashion basic education. Methods For the research method, to develop a creative redesign fashion basic education program, the theoretical review of redesign, the case of the redesign fashion design industry, and the education status of redesign fashion conducted in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schools were considered. For this purpose, related books, prior research, and the Internet were utilized.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on redesign fashion, as a creative redesign fashion basic education program, 40 first-year undergraduates of the fashion design departmen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1. Result In this study, the 'White Shirt Project', a basic education program that can promote talent cultivation for the vitalization of creative redesign fashion from a sustainable perspective, consists of a total of four stages. Concept establishment stage, problem recognition and solution It consisted of the steps of doing, problem-solving, and finally, the evaluation step.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design, creative ideas were derived using the collage method, and the shirt was redesigned using various techniques. Conclusion As a study for nurturing fashion designers with the potential to create righteous redesigned fashion product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as it presented educational glyphs for revitalizing the domestic redesign industry. 연구배경 의류업계는 환경오염과 자원고갈에 대한 위기의식으로 환경보호를 위한 의류생산과 소비구조의 전환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의류소비증가로 버려지는 의류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이 심각하며, 이를 새롭게하는 패션디자이너의 잠재적 역량이 중요하다. 따라서 리디자인 패션 전문인재양성을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창의적인 리디자인 패션기초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창의적 리디자인 패션 기초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리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및 리디자인 패션디자인 산업현황의 사례 및 국내 외 패션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리디자인패션의 교육현황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서적과 선행연구 및 인터넷을 활용하였다. 리디자인 패션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고찰을 토대로, 창의적 리디자인 패션 기초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대상 및 범위로는 패션디자인학과 학부 1학년 40명이 2021년 1학기에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지속가능 관점의 창의적 리디자인패션의 활성화를 위한 인재양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기초교육 프로그램인 ‘화이트 셔츠 프로젝트’는 총 4개의 단계로 구성되는데, 개념정립단계, 문제인식과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단계, 문제해결과정의 단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평가의 단계로 구성되었다. 리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르네상스복식을 창작의 주제로 제시하였고, 꼴라주기법으로 창작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셔츠를 다양한 기법으로 리디자인하였다.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작품과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습결과를 평가하였는데, 프로그램참여로 환경문제 및 환경을 고려한 리디자인패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창의적인 리디자인패션 제품을 창작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패션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연구로서 국내 리디자인 산업활성화를 위한 교육글그램을 제시하였음에 본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시대적 요구에 따른 디자인 대학 패션디자인 학과의 전공 교육과정 개편과 교육환경 구성안 - 단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패션산업디자인과를 중심으로 -

        김현주 ( Kim Hyun-j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0 No.-

        현재의 고등교육 체계는 급변하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 채 지식 및 정보의 전달과 습득을 위한 교육 시스템에 의존하며, 현재 시장에서 필요한 디자인 인력보다도 많은 수의 디자이너를 배출하고 있는 바, 새로운 환경을 이끌어갈 고등교육 패러다임에 따른 전공 교육과정의 변화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국대학교 패션산업디자인과를 대상으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전공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이에 따른 교육환경을 구성하며, 글로벌 시대에 걸맞는 학과 특성화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기반연구로 수행한 산업 트렌드 분석, 국내외 우수대학 관련학과의 교육과정 벤치마킹, 단국대학교의 인재상 및 교육목표와의 연계성 분석 그리고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패션산업디자인학과의 비전과 교육목표를, ‘Big Tech ·Big Wave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하는 세계 일류 패션산업디자인 스쿨로의 도약’으로 수립하였다. 이를 위한 세부 추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디자인 융합, 테크(tech) 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표준화한다. 둘째, Big Wave, 즉,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급변하는 산업현장의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배출한다. 셋째, 실질적 산학협력 기반의 글로벌 진출 프로젝트를 특성화한다. 이를 위한 교육환경 조성으로는 융합다학제 + 예술디자인 기초전공 상생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가족회사 기반으로 한 산학협력 기반의 실무 교육 강화, 전공별 창의, 멘토링 교육 특성화 기반 인프라 조성, 디지털 컨텐츠교욱 강화, AR, VR, MR 교육 시설 및 장비 구축, Shape, Shift, Share의 3단계 교육 프로그램 선순환구조 구축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편된 전공 커리큘럼은 교수,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될 것이며, 향후 후속연구를 통해 비교과 과정 특성화를 통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연구하여 전공커리큘럼에서 다루기 힘든 멘토링 및 코칭 교육을 다각도 접목시킬 것이다. The current higher education system depends on the education system for conveying and acqui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without responding to the drastically changing demand of time, and the system produces more designers than the human resources in design required in the market today that there is a critical need for changing the major education process following the higher education paradigm to lead the new environment. Therefore, under this study, with the subject of the Department of Fashion Merchandise Design at Dankook University, the revision of the major education program has to be made to respond to the demand of time, structure the responsive education environment, and establish the program specialization strategy as appropriate for the global era. Based on the analysis of industrial trend carried out for such objective, benchmarking of education programs in relevant fields of outstanding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human resource image of Dankook University, analysis of relativity with education objective, and critical analysis on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 the vis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Design and its education objective are established for ‘Leaping into the top world fashion industry design school to advance the creative convergence human resources to leas the Big Tech ㆍBig Wave Era’. The detailed contents for the foregoing are shown as follows. First,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arts, design convergence, and tech based education programs are undertaken. Second, the human resources to flexibly respond to the demand of drastically changing industrial fiel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s referred to Big Wave are nurtured and advanced. And third, the practical industrial and academic collaboration-based global advancement projects are specialized. As for building up the education environment, it may be summarized by the design and operation of win-win education program in base majors of convergence multi-academic learning system + art design, strengthening of industrial and academic collaboration-based practical education based on family company-based, creativeness for each major, building up the infra based on specialization of mentoring education, strengthening of digital contents education, AR, VR, MR education facilities and equipment structuring, 3-phase education program circulating structure for shape, shift and share. The major curriculum revis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continuously supplemen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faculty and students, and through ensuing studies in the future, the improvement plan for education program will be studied through the non-curriculum specialization to link to mentoring and coaching education that would be difficult to handle in the major curriculums in diverse ways.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에서의 딥드림 제너레이터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교육

        이운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has the characteristics of hyper-connected and hyper-intelligence. It could be defined as an intelligent society in which things and humans are interconnected. The study investigated how fashion designs should be educated in this new world where advanced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perceived as GPT, and it suggested the use of a visualization code (deep dream) technology, which is one of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use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a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the education of fashio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effects of fashion design education by devising a fashion design education method that incorporates emotions with the convergence of advanced equipment and technologie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methods. First, I analyzed the paradigm shift in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The defini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technology status of Deep Dream were analyzed. Second, by analyzing the cases of application of AI in the field of visual arts, it examined whether it could be applied in fashion design education. Third, it investigated how to utilize of deep dream in fashion drawings, textiles, and texture education, and mood board. Artificial intelligence open source an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were used to solve the limita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nducted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and research data. The result of applying Deep Dream Generator was dressed as a D3D application, which doubled the educational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status and dissemination types of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it proved that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universally being used. Second, it sounded out the possibility of applicability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in fashion desig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creativity of fashion design. Third, it investigated the direction for enhancing the effect of fashion design education by employing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y deep dream generator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on drawings, textiles, and textures of fashion designs. Non-face-to-face classes in practical courses have become difficult, allowing online classes without special practical equipment or materials. 지능정보사회는 초연결성(Hyper-Connected), 초지능성(Hyper-Intelligent)의 특성을 가진다. 이는 사물과 인간이 상호 연결되는 지능화된 사회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첨단의 지능정보기술인 인공지능이 범용기술로 인식되는 새로운 세상을 맞이하여 패션디자인은어떤 방향으로 교육되어야 할지를 모색하였다. 지능정보기술의 하나인 딥드림 기술을 활용하여 패션디자인교육에서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정보기술사회의 첨단 기기와 기술 간의 융합으로 감성을 담은 패션디자인 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정보기술사회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공지능의 정의와 딥드림의 기술현황에 대해분석하였다. 둘째, 시각예술 분야에 인공지능이 적용된 예를 분석하여 패션디자인 교육에 인공지능 기술적용이 가능한지를 타진하였다. 셋째, 구체적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패션 드로잉, 텍스타일, 텍스추어 개발, 무드보드 제작 등에 딥드림 제너레이터를 활용하여교육방향을 모색 하였다. 문헌 및 연구자료 분석으로진행된 질적 연구 방법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오픈소스와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였다. 딥드림 제너레이터를 적용한 결과물은 D3D 애플리케이션으로 착장시켜 교육효과를 배가시켰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정보기술의 기술현황과 보급유형에 관해 분석함으로써 지능정보기술이 범용화 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인공지능이 패션산업에 적용된 분석을 통해 패션디자인 교육에 지능정보기술을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셋째, 지능정보기술 딥드림과 증강현실 기술을 패션디자인의 드로잉, 텍스타일, 텍스추어에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 하였다. 실기과목의비대면 수업의 어려움을 맞게 되었는데 특별한 실기장비나 재료 없이 온라인 수업을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디지털 패션 환경 가속화에 따른 국내외 대학 패션디자인 전공 교과목의 변화 분석 - COVID-19 pandemic시기 전후(2019년과 2022년)를 중심으로 -

        민세영,이지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4 No.1

        COVID-19 pandemic은 디지털 환경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고, 패션디자인 교육에도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COVID-19 pandemic 이라는 특수 상황에 따라 온라인 수업의 본격 확대, 디지털 교육 플랫폼의 등장, 디지털기반 패션 교육 프로그램들이 적극 모색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는 COVID-19 pandemic 전후인 2019년과2022년 이후 국내외 대학교의 디지털 패션 교육 프로그램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디지털 환경의 가속화에따른 패션 교육의 변화를 살펴보고, 앞으로 더욱 확산될 디지털 기반 패션 교육 프로그램 방향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상은 패션 관련 전공과목 커리큘럼이 공개된 국내 4년제 이상 61개 대학교, 국외4년제 이상 26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1차로 COVID-19 pandemic 시작 전 2019년 8월~ 9월 30일, 2차는 COVID-19 pandemic 상황이 안정되기 시작한 2022년 3월 2일 ~ 22일까지 진행되었다. 자료는빈도 분석과 백분율의 기술통계방법으로 분석되었고, 인사이트 도출을 위해 국내외 디지털 패션 분야 교육자3인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외 모두 2019년에 비하여 디지털 패션 및 가상 의상 관련교과목 개설 수가 2배 이상 증가했으며, 특히 3D프로토타이핑 기반 교과목의 비율이 4.4%에서 17.8%로 가장크게 증가하였고, 3D시각화 기반 교과목은 55.0%에서 32.6%로 감소하였지만 이외 교과목들은 2019년에 비하여 모두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국외의 경우 교과목의 수는 증가하였으나 국내와는 반대로 3D프로토타이핑관련 교과목의 수는 22.5%에서 9.2%로 감소한 반면, 2D시각화 기반은 55.1%에서 62.2%로, 3D시각화 기반은22.5%에서 28.6%로 각각 모두 증가하였다. 심층 인터뷰 결과, 국내외 디지털 패션 교육 전문가들 모두COVID-19 pandemic이 가져온 수업방식으로 인해 디지털 패션 교육 프로그램의 변화 및 가속화의 영향이 있었으며, 이러한 변화와 지속적인 관심은 향후 디지털 패션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필수화로 이어질 것이라고예측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국내외 패션디자인의 교과목이 디지털 기반의 다양한 융합적 교육으로발전되어야 하며 향후 패션 산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과목들이 추후에 지속적으로 생겨나야 한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디지털 패션 교육 현황 분석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digital fashion education programs in local and international universitie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examining the impact of the acceleration of the digital environment on fashion education and finding insights into the future directions of digital-based fashion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 targeted over 61 local 4-year universities and 26 international 4-year universities with publicly available curricula for fashion-related majo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two phases: the first phase was set as the periods before the onset of the COVID-19 pandemic, from August to September 2019, and the second phase corresponded to the periods whe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began to stabilize in March 2022.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digital fashion education expert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xts to extract insigh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number of digital fashion and virtual garment-related course offerings increased by over 2-fold compared to 2019. Notably, 3D prototyping-based courses saw the most significant increase, rising from 4.4% to 17.8%. However, 3D visualization-based courses decreased from 55.0% to 32.6%. Nevertheless, other course categories increased in both cases compared to 2019. Results from in-depth interviews indicated that expert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fashion education recognized the impact of changes in teaching methods brought about by the COVID-19 pandemic on the transformation and acceleration of digital fashion education programs. They predicted that such changes and continued interest would lead to further diversified and required digital fashion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future analyses of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fashion education.

      • KCI등재

        포스트 코비드 시대 디지털 패션디자인 교육 -해외패션교육기관 사례 중심으로-

        박옥미,이운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1

        The Covid-19 pandemic, which has made the world isolated, has also entered a major turning point in the fashion industry. This study focuses on what changes the fashion industry has made since Covid-19. It analyzes changes in fashion industry and fashion education during the pandemic and focuses on survival strategies after Covid-19. The transformation of the times due to Covid-19 was set as the basis for theoretical technology. Based on this situation analysis, changes in fashion paradigm and cases of fashion education were analyzed.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oriented trend study, and prior studies and technology trend reports, corporate trend reports, and public data on the corporate and research institute website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 of the times due to Coviod-19 demanded digital transformation. Second, while passing through Covis-19,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converted to non-face-to-face education, and famous fashion schools established an online education system. Third, the direction of fashion design education was derived to adapt and advance to this era, focusing on technology derived in the post-Cviod 19. 전 세계를 고립 상황으로 만든 코비드(Covid)-19 대유행은 패션 산업에도 큰 변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코비드19 이후 패션산업은 어떤 변화를가져왔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팬데믹 기간 동안의 패션업계과 패션교육의 변화를 분석하고 코비드19 이후 생존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코비드19로 인한 시대의 변혁을 이론적 기술 근거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상황 분석을 바탕으로 패션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해외 패션디자인 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중심의 동향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선행연구와 기술 동향 보고서, 기업의 트렌드 보고서, 기업 및 연구소 홈페이지의 공개 자료를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비드19로 인한 시대의 흐름은 디지털 변혁을 요구하게 되었다. 둘째, 코비드 19를 지나는 동안 교육환경은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되었고 유명 패션학교는 온라인교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셋째, 포스트 코비드 19 시대에 도출된 기술 중심으로 이 시대에 적응하고 앞서나가기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창의적 사고에 기반한 패션디자인 창의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임소영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23 패션 비즈니스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fashion design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creative thinking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to create a creative fashion design in the fashion education field, an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is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creativity. To this end, a fashion design creative convergence program combining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ce thinking was designed, and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fashion design department. Creativit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evaluating students' creative ability and creativity of fashion design results. In addition, an open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learners' opinions on the suitability of the program and the convergence process of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ashion design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creative thinking improves the creative competency of major learners of fashion design and is the learning performance competenc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reativ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is a basic study that proposes a fashion design education program to foster the creative competency of fashion design majors, and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패션디자인 교육 - 지속가능한 패션을 중심으로 -

        장남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과 지속가능한 패션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결합시키고자 하는 목표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패션을 개발하는 패션기업과의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패션을 위한 대학의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지속가능한 패션, 대학의 지속가능한 패션 교육, 문제중심학습에 기반한 캡스톤 디자인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주)페어트레이드 코리아를 선정한 후, 수도권소재 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전공 3학년 학생들이 캡스톤 디자인을 수행하였다. 문제중심학습 모형에 따라 수업전개, 문제의 제시, 문제의 분석 및 해결, 결과물 발표, 학습결과 정리 및 평가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인지적 문제해결 기술과 실무능력을 고취하였으며, 지속가능한 패션의 진정한 실천자이지만 디자인과 혁신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 또한, 제시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내용과 교육방법은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 교과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with a view to combining a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ve capstone design course with sustainable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university education program for sustainable fashion using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ve capstone design.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sustainable fashion, sustainable fashion education in a university level, and capstone design based on the problem-based learning(PBL). Fairtradekorea,Ltd. was selected as an industry partner, and juniors majoring in textile & fashion design in a metropolitan region university accomplished the capstone design. Under the PBL procedure, course followed 5 steps hierarchically; class development, problem identification, problem research & solving, findings presentation, learning evaluation. Results enhanced students’ metacognitive and problem solving skills as well as real-world practices, giving new ideas to industry that practices sustainable fashion and needs innovative design ability. This study presented a framework for course design and provided pedagogical disciplines that can be used to develop and launch a sustainable fashion design course which is a subject of increasing importance.

      • KCI등재

        패션 테크니컬디자이너 실무교육 강화를 위한 스캐폴딩

        임민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1

        This study aimed to propose scaffolding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technical design to narrow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and the practical field of the fashion industry and connect the education to practical affairs effectively.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echnical design were selected by investigating the problems and error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business performance,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chnical designers in the industries. The teaching and learning stages were divided based on the business process performed by technical designers to propose the scaffolding necessary for each stage. As a result of the study, education of the technical design was composed of fit development and spec. proposal, technical package, fit schedule and fitting, sample evaluation and approval, request for pattern modification, and terminology of grading practice. The stages of business performance and scaffolding for technical design are as follows. First, the stages of fit and spec. were divided into the method of measuring clothes, selecting and measuring samples, modifying spec., and checking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demonstration, modeling, Q&A, and feedback. Second, the technical package was composed of the technical flat sketch, detail sketch, information about materials and unit prices, and a spec. sheet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description and demonstration, modeling, problem recognition, enhancement and feedback, and Q&A. Third, fit schedule and fitting were divided into the stages of fitting preparation, fit problem observation, pattern modification, and fit comment preparation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problem recognition, question, demonstration and description, and feedback. Fourth, the evaluation and approval of samples were divided into the conditions and criteria for evaluating them and checking the conditions for them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problem recognition and feedback. Fifth, the request for pattern modification was divided into sample observation, modification method, pattern modification and verification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case presentation, inference, description, and feedback. Sixth, grading was divided into size level, deviation by part, and size checking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case presentation and inference. Lastly, as for the use of terminology, repetitive scaffolding was proposed so that the workers could be trained through situated learning and technical package drawing in each stage of business performance. In technical design,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actual business performance of technical design is more important than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production of clothes for connecting to practical affairs and providing a sense of realism even the job of producing clothes in practice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for effective learning, scaffolding should be provided, which presents cases, recognizes problems, draws inferences, and provides feedback. 이 연구는 교육과 패션산업 실무현장의 차이를 좁히고 효과적으로 실무와 연계하기 위한 테크니컬디자인 교육 방법으로써 스캐폴딩 제안을 목적으로 하였다. 테크니컬 디자인 교육내용은 산업체 테크니컬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업무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및 오류를 조사하여 선정하였다. 테크니컬디자이너가 수행하는 업무 과정을 기반으로 교수·학습 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에 필요한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테크니컬 디자인을 위한 교육은 핏 개발과 스펙 제안, 테크니컬 패키지, 핏 스케줄과 피팅, 샘플 평가와 승인, 패턴 수정 의뢰, 그레이딩 실무 전문 용어로 구성하였다. 테크니컬디자인 업무 수행 단계와 스캐폴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핏과 스펙 제안은 의복 측정 방법, 샘플 선정 및 측정, 스펙수정, 확인 단계로 구분하여 시연, 모델링, 질의응답, 피드백의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둘째, 테크니컬 패키지는 테크니컬 플랫 스케치, 디테일 스케치, 소재 및 단가정보, 스펙시트로 구성하였으며 설명과 시범, 모델링, 문제 인식, 강화와 피드백, 질의응답의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셋째, 핏 스케줄과 피팅은 피팅 준비, 핏에 대한 문제관찰, 패턴 수정, 핏 코멘트 작성 단계로 구분하여 문제 인식, 질문, 시범과 설명, 피드백으로 제안하였다. 넷째, 샘플 평가와 승인은 샘플 평가 요건과 기준, 샘플 상태 확인으로 구분하고 문제 인식과 피드백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패턴 수정 의뢰는 샘플 관찰, 수정 방법, 패턴 수정, 검증의 단계로 구분하여 사례 제시, 추론, 설명, 피드백의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여섯째, 그레이딩은 사이즈 단계, 부위별 편차, 사이즈 확인으로 구분하여 사례 제시와 추론의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 용어의 사용은 각 업무 수행 단계에서 상황학습과 테크니컬 패키지 작성을 통하여 숙련될 수 있도록 반복의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테크니컬 디자인은 패션산업 실무에서 의류 생산을 위한 직무라 할지라도 실무 연계와 현장감을 제공을 위해 의류 제작 중심의 교육보다는 테크니컬디자인의 실제 업무 수행 중심의 교육이 중요하며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사례 제시와 문제 인식과 추론, 결과에 대한 피드백 스캐폴딩이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

        증강현실을 이용한 패션디자인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운영(Lee, Woon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디지털기기의 확산은 교육패러다임에도 변화를 주었다. 교육현장은 시각화, 다양화, 정보화, 개성화되었으며 교육을 받는 수요자의 자세도 능동적이며 창의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지식서비스 기술인 증강현실을 패션디자인 교육에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 하였다. 연구 자료는 선행논문, 연구소 및 기업의 기술보고서를 통해 기술적인 상황을 분석하였다. 패션디자인 교육에 적합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증강현실 기술현황과 보급유형에 관해 분석한 결과,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분야에 보급되어 있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활성화로 교육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하였다. 둘째,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으로 패션디자인 교육에 기술 적용이 가능함을 밝혔다. 셋째,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패션디자인 교육에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패션디자인 실습교육의 시각화는 지각능력과 몰입감을 주게 되며 증강현실 기술의 활용은 지식융합사회에 적합한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change of IT Technologies develops and spread of smart device attempt to change the educational paradigm as well. The educational field has become visualized, various, informationized and individualized and the attitude of the demanders who are educated have also changed active and creative.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on to doubleing the educational effect by applying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s a future knowledge service to fashion design education. The technical situa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advanced theses, technical reports of the institutes and companies as the data of this study. And I suggested educational plans using augmented reality-based applications suitable for fashion desig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a type of spread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ugmented reality-based applications had spread to various areas. Especially, active development of the applications made them applicable to educational fields. Secondly, I revealed that augmented reality-based applications could apply to fashion design education. Thirdly, I suggested plans for the use of augmented reality-based applications for fashion design education. Visualization of practical education enhances perceptual abilities and a sense of immersion and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multi-talented manpower suitable for knowledge convergenc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