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고아라 ( Go Ara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21명 대학생에게 성인애착, 경험회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경험회피, 소셜미디어 중독 경향성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애착불안이 경험회피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경험회피는 애착불안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불안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경험회피를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자 대학생의 경우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경험회피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자대학생의 애착불안과 소셜미디어 중독경 향성 관계를 경험회피가 부분 매개하였고, 애착회피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경험회피가 완전 매개하였다. 즉, 여자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은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애착회피 경향이 있을수록 경험회피에 주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남자 대학생의 경우는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대한 경험회피의 매개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애착 유형과 성차에 따라 차별적인 처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use of social media among college students is prevalent, and its relationship to attachment and experiential avoidance is unknown. A growing body of research examines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where users can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meaningful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attachment and social media addiction. For the study, 221 college students have completed a paper survey assessing the perception of adult attachment,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media addiction.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at, if any,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three mentioned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media addi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achment style(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ttachment anxiety, the subse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was mediated by the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media addiction. It means attachment anxiety had a direct influence on social media addiction and simultaneously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experiential avoidance. Third, in the ca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attachment and social media addiction was mediated by the experiential avoidance. Specifically, the attachment 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and the attachment avoidance was totally mediated by the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media addiction. It means that the social media addiction of female students are influenced by both insecure attachment style and the experiential avoidance may be need to be emphasized to a greater extent than male students.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he mediation effects was not verifie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social media addiction, the differential intervention is needed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 and gender. Based on these results,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우울과 불안증상 및 안녕감에서 경험 회피와 마음챙김 주의 자각의 역할

        조용래,채숙희,최연숙 한국임상심리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ndependent and shared contribution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mindful attention awareness to the prediction of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ymptom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Participants were 216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self-report inventories measuring experiential avoidance, mindful attention awareness,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eneral affect(positive and negativ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depressive symptoms,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 margin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anxiety symptoms, when controlling for general affect and mindful attention awareness. Mindful attention awarenes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but not of life satisfaction, when controlling for general affect and experiential avoidance. Experiential avoidance and mindful attention awareness together significantly predicted all of the dependent variables examined, above and beyond general affect. The degree of their shared contribution was the greatest to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ed by life satisfaction,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symptoms in descending order.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roles of both experiential avoidance and mindful attention awareness, in order to help clients improve their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nd to help them enhanc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research also suggests clinicians should focus on experiential avoidance in order to increase clients'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성인 애착 불안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검증-외상경험을 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인재,양난미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anxiety,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verify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in relation to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264 students of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Daegu, Gyeongsangnam-do were participated and Rumination Scale and Traumatic experience Schedul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ECR-R),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Ⅱ(AAQ-Ⅱ), trait meta mod scale(TM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PTGI) were measured.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use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correlation analysis, adult attachment anxie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while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Furthermore, experiential avoidanc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oth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results from the measurement model showed good fitness. Third, as a result of X2 test comparing a research model and two competition models, a competition model which showed only double mediation path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selected. Fourth, adult attachment anxie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xperiential avoidance. Experiential avoidance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Fifth, through bootstrapping for indirect effect test, it was foun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s further understanding into student trauma and can be utilized to help focus on patient care during counseling sessions that are specific to trauma. 본 연구는 성인 애착 불안, 외상 후 성장, 경험회피 그리고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성인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대구 및 경남지방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외상경험이 있으며 주관적 고통의 정도가 일정 이상인 26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외상경험 질문지, 성인 애착 척도, 경험회피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그리고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상관 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 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상관분석 결과, 성인 애착 불안은 정서인식명확성, 외상 후 성장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었고, 경험회피와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경험회피는 정서인식명확성, 외상 후 성장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고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측정 모형 검증 결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과 2개의 경쟁모형을 설정하여 χ² 차이검증을 이용하여 비교 검증 한 결과, 성인 애착 불안과 외상 후 성장을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이 이중 매개하는 경로만 설정한 경쟁모형이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해당 모형을 선정하였다. 넷째, 구조 모형에서 성인 애착 불안은 경험회피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경험회피는 정서인식명확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정서인식명확성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부트스트랩을 통해 간접효과를 본 결과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은 성인 애착 불안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이중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외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내담자가 외상을 보고하는 상담 장면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 내현적 자기애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공지혜,하정희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college students. The data from 306 undergraduates in Seoul metropolitan and nationwide were used for analysis. To analyze the results, correlation analysis, testing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warmth parent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experiential avoidance, but rejection and overprotection parenting attitude did not show direct effect on experiential avoidance. Second, covert narcissism showed a mediating effect no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warmth parenting attitude and experiential avoidance, but also overprotection parenting attitudes and experiential avoidance, and didn't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parenting attitude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ird, rejection sensitivity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all 3 parenting attitudes(emotional warmth, rejection, overprotec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respectively. Fin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vert narcissism and rejection sensitivity would play sequential double mediation roles in the relation between 2 parenting attitudes(emotional warmth, overprotec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respectively, but wouldn't play in sequential double mediation roles in the relation between rejection parenting attitude and experiential avoida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vided a basis for intervention in the counseling scene and discussed implications of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수도권 및 지방소재 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4명 에게 수집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8명을 제외한 총 306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변인들 간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애정적 양육태도는 경험회피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고, 거부 및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경험회피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는 애정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거부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부모의 양육태도(애정, 거부, 과보호) 모두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거부민감성은 애정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보였으나, 거부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는 이중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장면에서의 개입 근거를 마련하고 연구의 시사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봉은주(Eun-Ju Bong),김윤경(Yun-Kyo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전남지역 소재의 일개 대학교에 1-2학년에 재학 중인 총 283명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경험회피, 우울, 스마트폰 중독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경험회피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 우울은 스마트폰 중독과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 경험회피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도 경험회피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경험회피가 간호대학생의 우울이나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정신건강문제를 발생시키는데 핵심기제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간호대학생들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정신건강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 동안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경험회피 정도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고, 경험회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onthe relationships betweenlife stress,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descriptive survey design. Participants were 283 nursi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freshmen and sophomore yearsat one university in Jeollanam-do.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15, 2015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 test with SPSS 21.0.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depression, smartphone addic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Experiential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depression of nursing students.Additionally, experiential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ife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show that experiential avoidance plays a key role in psychopathology and grows with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decrease experiential avoidance, with additional consideration toward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order to prevent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의 발현에서 위험회피 기질과 체험회피 시도의 역할

        유성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3 인지행동치료 Vol.13 No.3

        불안장애는 불안경험을 촉발시키는 위협자극의 종류에 따라서 하위유형으로 구분되고 있지만 불안장애의 기저에는 표면적 차이점을 상쇄하는 본질적 공통점인 회피행동경향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불안장애를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불안감정이라는 경험요소와 회피행동이라는 통제요소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한 최근의 연구에서 불안장애의 기질적 취약성을 반영하는 위험회피 기질과 관계적 취약성을 반영하는 체험회피 시도가 걱정증상의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경험적으로 검증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위험회피 기질과 체험회피 시도가 강박사고 및 강박행동의 발현에 차별적인 역할을 한다는 복수의 가설을 설정한 뒤, 288명의 대학생에게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강박사고의 발현에는 위험회피 기질이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박행동의 발현에는 위험회피 기질이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체험회피 시도의 매개를 통하여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강박사고가 강박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체험회피 시도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가 강박증상의 이해와 치료에 시사하는 바를 이론적 및 임상적 관점에서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을 언급하였다. Anxiety disorder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subtypes depending on the nature or kind of threatening stimuli. However, there are essential similarities in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ll anxiety disorders to offse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urfaces. The action disposition of anxious emotion is the avoidance. Therefore, clinical issues are not the experiences of anxious emotion per se but the efforts to avoid them. In this context, Yoo and Kwon(2013) proposed that GAD symptoms reflect a combination of the ‘experience component’(i.e., harm avoidance) and the ‘control component’(i.e., experiential avoidance). In present study, the author criticised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model and respectively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roles of harm avoid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development of OCD symptoms, obsessions and compulsion.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ies of hypothesized models, cross-sectional data were collected from 288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and obsessions but did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and compulsions. And the experiential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ons and compul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author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present study in theoretical and clinical manner.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대학교 운동선수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다차원적 경험회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광범(Kim, Kwang-Bum),최현주(Choi, Hyun-Ju),김상태(Kim, Sang-Tai) 한국체육과학회 201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on depression of college athlet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57 college athletes. The resulting data were process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cor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and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level between each sub-factor. The influence that post-traumatic stress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have on depression are “hyper-arousal”, “intrusive rumination”, “avoidance behavior”, “avoidance”, “delay behavior”, “repression/disapprove” and “pain den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ost-traumatic stress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had an effect on depression. Accordingly, college athletes need to grasp the correct concepts of post-traumatic str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techniques to effectively adapt to depression through post-traumatic str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rograms to effectively control the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 KCI등재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경험회피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이은정,장유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distress toler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25 college students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420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nternalized shame, experential avoidance, mentalization, and distress tolerance. Second, mentaliz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of college students. Third, distress toler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experiential avoidance.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was found to be mediated sequentially by mentalization and distress tolerance. The results of this showed the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 through which internalized shame leads to experiential avoidance, thus extending previous research. They also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 to increase mentalization and distress tolerance when counseling college students who use experiential avoidance as a coping method due to internalized shame.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대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2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경험회피, 정신화, 고통감내력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신화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통감내력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관계를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경험회피로 이어지는 구체적인 심리적 기제를 확인한 것으로 기존의 선행연구를 확장하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의 문제로 인해 경험회피를 대처방식으로 사용하는 대학생을 상담할 경우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을 높이기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

        경계선 성격 성향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이지연(Jiyeon Lee),현명호(Myoung-Ho H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20 스트레스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 성향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성인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 성격성향과 경험회피, 반응적 공격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경험회피는 반응적 공격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경험회피가 경계선 성격 성향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경계선 성격 성향이 경험회피를 통하여 반응적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경계선 성격 성향의 공격성에 대한 임상적 관심이 필요함과 반응적 공격성의 완화에 있어 경험회피를 다루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reactive aggression. Methods: In total, 160 participants (male N=57, female N=103, mean age: 25.3 yea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measuring levels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experiential avoidance, and reactive aggression. Results: First,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xperiential avoidance and reactive aggression. Experiential avoidanc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reactive aggression. Second, experiential avoidance had mediating effect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reactive aggress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could activate experiential avoidance,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reactive aggression. Furthermore, current results suggested that in the treatment of reactive aggress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t was important to deal with experiential avoidance.

      • KCI등재

        고통 감내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박영례,조성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a total of 285 normal adults in the nation from October 21 to 24, 2015.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distress intolerance index,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and acceptance action questionnaire.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retrived by an online survey company.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distress toler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while negatively with experiential avoidance. Also,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ndicate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at a meaningful level. Additionally, deflection correction bootstrap analysis was used to verify indirect effects and its results revealed that the mediating effect going from distress tolerance to subjective well-being passing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distress tolerance not only influences subjective well-being directly but also influences indirectly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Finally,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고통 감내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10월 21일부터 24일까지 전국의 일반 성인 28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통 감내력 부족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 수용 행동 질문지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온라인 조사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통 감내력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경험회피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주관적 안녕감과 경험회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험회피는 유의한 수준에서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편향수정 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고통 감내력이 경험회피를 거쳐 주관적 안녕감으로 가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인의 고통 감내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경험회피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고려사항에 대해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