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tatus and Future of Ethiopia Agricultural Mechanization

        ( Hong Sg ),( Cho Hb ),( Park H M ),( Park J R ),( Lee H D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The agricultural mechanization is improve the production and profitability reduce of human power. Nearly 85% of the population resides in rural Ethiopia and small holder farmers account for 90% of farmer households. Small holder farmers had been used of animal power from thousand year ago. This level of mechanization among Ethiopia`s farmer households, Approximately 85% of the Ethiopia population is in the rural ara, which accounted of small household about 90% of agricultural households. Most are farmer be used of animal power The level of mechanization of agricultural households in Ethiopia is 2%. Small holder farmers own less than 2 hectares of land. While agricultural mechanization is a valuable instrument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e, its progress in Ethiopia has been slow. Currently, there is approximately only 0.1 kW per hectare. The farm power is calculated from current labor available from oxen at 13 million head (87%) as 12,500 tractors. While this index is used to show mechanization, the most common implements utilized in Ethiopia agriculture are still animal-drawn implements, such as ploughs. But, In ethiopia of the strategy will focus on agricultural mechanization technologies, spanning the following areas: Tillage and land preparation, sowing and planting, crop protection and maintenance (e.g. weeding, fertilizers and insecticides application), harvesting, threshing and shelling and other post-harvest processes (e.g. drying, storages, transport, agricultural -processing and applications towards livestock mechanization). Agricultural Mechanization of the current year there are hundreds of Ethiopia agricultural base in China and imported by Deputy contemporary. How to use them for agricultural and technical training of maintenance. In the agricultural machinery company in China invited the technicians of government officer and researcher. First of all Korea`s agricultural companies have a number of attempts to enter Africa. Invite agricultural machinery and technical personnel of various African countries in agricultural education for the company if it would be of great help to Korea`s agricultural exports. Agricultural Mechanization in Ethiopia will continue in the future. In particular, plowing, harvesting, threshing, demand for primary agricultural equipment such as storage is increased because it deserves to be consulted on African agricultural exports.

      • KCI등재

        에티오피아 물 안보의 길

        이예지(Ye ji Lee),이승호(Seung ho Lee),홍일표(Il pyo Hong) 국제개발협력학회 2018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0 No.3

        본 논문은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나일강 유역국가 간 권력관계의 발전과정을 이집트와 에티오피아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분석 틀로서 하이드로-헤게모니 이론을 적용하여 에티오피아의 대 이집트 헤게모니 대응전술과 불평등한 권력관계에 대한 에티오피아의 전략들을 분석한다. 또한 일련의 국가 간 수자원 협정 평가를 통해 나일강 유역의 권력 비대칭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검토한다.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Grand Ethiopian Renaissance Dam) 사례연구는 에티오피아의 대 이집트 헤게모니 대응전략 중 하나로서 나일강 유역국가의 수자원 재배분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댐건설로 인한 여러 가지 영향을 평가하고 댐 건설이 하류 국가(이집트 및 수단)와의 수자원 갈등을 지속시킬 것이지 또는 협력의 촉매제로 작용할 것인지를 논의한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power relations in the Nile River Basin have developed over the past decade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two Nile riparian nations, Egypt and Ethiopia. By applying hydro-hegemon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thesis analyzes Ethiopia’s counter-hegemonic tactics and strategies to challenge unequal hydro-configurations under the Egyptian dominance. A variety of factors that have entailed power asymmetry in the Nile River Basin will be addressed through the evaluation of a series of transboundary water agreements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The case of the Grand Ethiopian Renaissance Dam (GERD) will be evaluated to elaborate the strategies of Ethiopian counter-hegemony strategies that will enable Ethiopia to reallocate the Nile water resources for the upstream and downstream countries. The study appraises diverse impacts of the GERD and discusses whether the dam will culminate ensuing conflicts or cooperation.

      • KCI등재

        에티오피아 종족성 정치의 성격: 에티오피아 반(反)정부 시위(2015∼2018년)의 요인과 동학을 중심으로

        서지현 국립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4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8 No.1

        In Ethiopia, a multi-ethnic country, ethnic politics have held an important place in its history. The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EPRDF) regime, which ruled Ethiopia from 1991 to 2018, adopted ethnic federalism as a way to solve Ethiopia’s long-standing problem of ethnic conflict. However, the ethno-federalism of the EPRDF regime has led to the reinforcing of regionally-based ethnonationalism rather than the successful task of uniting a multi-ethnic nation-state. Thus, even after the EPRDF came to power, ethnic issues continued to be a source of conflict in Ethiopia.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thnic politics in Ethiopi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uses and dynamics of the anti-government protests that unfolded in Ethiopia between 2015 and 2018. In order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political elite of the EPRDF in their rule, they advocated ethnic federalism and formed the “ethnisation of politics.” However, the EPRDF’s ethnic federalism was in fact implemented under a centralised political decision-making structure based on links between the Tigray People’s Liberation Front (TPLF) and the region’s satellite parties, which led to a crisis of its legitimacy as the opposition demanded redress. Development projects were carried out to overcome the crisis of legitimacy of the ruling party that became visible during the 2005 general elections, but in the process of deepening the development projects, the centralised decision-making structure, which differs from nominal ethnic federalism, and the authoritarian control of the government has been strengthened, leading to widespread anti-government protests against the hegemony of the EPRDF regime. In the end, the EPRDF government’s instrumentalist use of ethnicity by the ruling elite, which sought to secure the legitimacy of its rule through the “ethnisation of politics,” proved to be limited in realising actual ethnic federalism, thus paving the way for anti-government protests through “politicisation of ethnicity.”

      • KCI등재

        지역민의 구술을 통해 본 부패와 빈곤 현상

        설병수(Seol, Byung-Soo) 한국아프리카학회 2016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7 No.-

        이 글의 목적은 필자가 에티오피아 오로미아 주의 데라, 메키 및 즈와이에서 수집한 현지조사 자료를 토대로, 부패가 지역민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쳐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있다. 에티오피아의 부패 현상은 역사적 과정 속에서 배태된 정치 · 경제적 요인 및 사회 · 문화적 요인에 의해 구조화되었다. 지난 20여 년간 집권했던 멜레스 정권은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의 열망을 무시한 채 정치적 부패를 일삼고, ‘정실 자본주의’ 틀 내에서 국부를 나누어 먹었다. 이러한 정치 · 경제적 부패의 핵심 세력은 티그레이 인민해방전선이다. 현재 에티오피아 사회에서는 부패로 인한 ‘국가 포획’ 현상이 광범하게 나타나고 있다. 국가 포획 과정에서는 극소수의 이익을 위해 절대다수가 피해를 입게 된다. 최대 피해자는 가난한 사람들이다. 지역 수준에서의 부패는 주로 관리들에 의해 자행된다. 그들의 부패는 지역 공동체를 총체적으로 피폐하게 만든다. 부패는 공동체의 발전과 교육 환경 개선을 저해하는 장애물이다. 지역민은 부패를 ‘질병’ 혹은 ‘그릇된 규범’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대개의 지역민은 부패 근절의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다. 부패로 인해 절대다수의 지역민은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 그들은 최소한의 의식주를 해결하고, 기본적인 공공 서비스를 받는데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부패 문제가 해소되지 않는 한, 그들의 고단한 삶은 개선의 여지가 거의 없어 보인다. 에티오피아의 부패와 빈곤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기 때문에 그 해결책도 총체적이어야 한다. 즉, 에티오피아가 부패와 빈곤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전반에 걸쳐 ‘국가 개조’ 수준의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corruption has affected local people’s lives, based upon the primary data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my fieldwork in Dera, Meki and Zway, Oromia Region, Ethiopia. The phenomenon of corruption in Ethiopia has been structured by politico-economic and sociocultural factors which have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process.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Meles regime had indulged in political corruption and shared national wealth within the frame of crony capitalism, disregarding the people’s aspirations for democracy. The core force, which commits such political and economic corruption, is the Tigray People’s Liberation Front (TPLF). At present, the phenomenon of state capture resulted from corruption is widely found in Ethiopian society. In the process of state capture, an absolute majority of people suffer serious damage for few people’s interests. The biggest victims are poor people. Corruption at the local level is committed by public officials. Their corruption totally devastates local communities. Local people regard corruption as a disease or wrong norm. It seems that the majority of local people are very skeptical of the possibility of rooting out corruption. Almost all local people are suffering from poverty due to corruption. They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in prepar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getting basic public services such as education and health. As long as the problem of corruption is not solved, their hard lives will never be improved. Since corruption and poverty in Ethiopia are the result of a complex combination of diverse factors, their solutions should be also holistic. That is, it is required for Ethiopia to carry out extensive reforms at the national level, so as to escape from the snares of corruption and poverty.

      • KCI등재

        <기획 : 아프리카 문화권의 이해> ; 에티오피아의 조혼 관습에 대한 생애사적 접근

        설병수 ( Byung Soo Seol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2 No.-

        현대 사회에서 조혼은 많은 문제를 낳고 있다. 조혼은 양성 불평등, 빈곤 및 사회규범 때문에 조장되며, 사회적 힘의 불균형을 재생산한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2000년의 가족법 개정과 2005년에 새로 도입된 형법을 통해, 여성의 법률적 최소 결혼 연령을 15세에서 18세로 상향 조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혼 현상은 에티오피아사회에서 여전히 광범하게 발견된다. 이것은 조혼 관습이 장기간에 걸쳐 사람들의 삶속에서 체화되고 실천되어 왔기 때문이다. 에티오피아의 조혼 관습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여성의 경험에만 초점을 두고 있고, 조혼한 모든 사람―특히 여성―은 불행한 삶을 살고 있는 것처럼 간주하며, 조혼이여성의 학업에 부정적으로만 작용하는 것처럼 여기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생애사를 통해조혼 문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에티오피아에서는 왜 조혼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관습이 가족생활과 여성의 교육적 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쳐 왔는지를 세 개 타운―메키, 데라, 즈와이―의 사례를 통해 검토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 알 수 있듯이 조혼은 여성의 삶에 대체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일부 남성 역시 조혼의 피해자이며, 일부 여성은 조혼을 통해 자신의 삶을 개선해 온 것도 사실이다. 이것은 우리가 조혼 문제를 다룰 때 다양한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일깨워 준다. Early marriage in contemporary society has brought about many problems. The practice is encouraged by gender inequality, poverty and social norms. It reproduces social power imbalances including increased economic vulnerability of women, low educational attainment of girls, gender inequality at home and in the labor market,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and their health problems. The Ethiopian government increased the minimum legal age of marriage for women from 15 to 18 years, by revising its family code in 2000 and newly adopting a criminal law in 2005 that includes punishment against any harmful tradition. Nonetheless, early marriage is still widely practiced in many parts of rural Ethiopia. This is because the practice has long been embedded and deeply rooted in the lives of the people. Earlier literature on early marriage in Ethiopia tends to focus only on women’s experiences and regard that all early-married people, particularly women, are unhappy with their live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issue of early marriage through voices of people with diverse socioeconomic backgrounds, in order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literature.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why early marriage has occurred in Ethiopia and how it has affected family life and women’s educational attainment, focusing on the case of Meki town. As seen from this study, it is true that early marriage generally had negative influences on the lives of women. However, it is equally true that some men are also victims of the practice while some women have improved their lives by means of it. This implies that we need to listen to the voices of diverse people when we examine early marriage.

      • 에티오피아 민족정체성의 역사적 맥락화 고찰 -티그라이와 오로모 민족정체성을 중심으로-

        김광수 ( Kim Kwang-su ) 부산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센터 2022 아프리카학 연구 Vol.2 No.2

        Abiy Ahmed Ali, who took office as prime minister on April 2, 2018, implemented a reform policy to abolish ethnic federalism and create a centralized governance structure. Abiy’s reform policy, which can be seen as a process of nation building, resulted in intensifying confrontation between ethnic groups and regions and increased violence and protests. The resistance of the Oromo people, Ethiopia’s largest ethnic group, and the outbreak of the Tigray Conflict rais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Ethiopia’s national identity, along with serious challenges regarding Abiy’s reform policy. Ethiopia’s national identity has historically undergone a process of ethinicisation through political struggle. In 1991, The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EPRDF) led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overthrowing the military regime and implementing ethnic federalism. The introduction of ethnic federalism can be evaluated as an effort to manage Ethiopia's ethnic and language-based diversity and to build a state that can reduce confrontation and conflict. However, the Oromo resistance and the Tigrai conflict are examples of historical contextualization of ethnic identities in Ethiopia. Ethiopia's wrong governance can be expressed as conflicts and disputes between ethnic groups and regions at any time by contextualizing ethnic identities. After all, the fundamental problem facing Ethiopia today is the process of nation building a new state in harmony with national identities. Ethiopia needs a comprehensive national dialogue on ethnic federalism as a way to overcome the current political difficulties.

      • 에티오피아 일개 지역 보건지소 건강관리요원에 대한 직무교육의 효과

        방경숙 ( Kyung Sook Bang ),이인숙 ( In Sook Lee ),채선미 ( Sun Mi Chae ),강현주 ( Hyun Ju Kang ),유주연 ( Ju Youn Yu ),박지선 ( Ji Sun Park ) 부모자녀건강학회 2013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16 No.1

        전 세계적으로 건강형평성의 확보가 인류의 기본권으로 간주되고 저개발국의 빈곤과 건강문제 해결을 전 세계가 공통으로 해결해야 할 목표로 설정하는 새천년 목표(Millenium Development Goal [MDG])가 채택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국제보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보건을 위한 에티오피아 모자보건 역량강화사업에 참여하면서 저개발국의모자보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HEW를 대상으로 모자보건 관련 교육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에티오피아의 경우 HEW는 1년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단기간의 훈련만을 받고 현장에 투입되는 경우도 많아 체계적인 직무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들의 자질이나 역할이행에 대한 평가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Medhanyie et al., 2012). 현재 HEW는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에서 교육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교육과정에 대해 3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2003년 교육과정이 처음 개발된 이후 아직까지도 현실에 적합하도록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교육을 위한 설비가 부족하고 교육자에 대한 계속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많은 제한점을 갖고 있다고 보고하였다(Damtew et al., 2011). Admassie, Abebaw와 Woldemichael (2009)는 HEW에 의한 Health services extension program을 실시한 지역에서는 실시하지 않은 지역보다 예방접종률과 말라리아 예방을 위한 모기장 보급률이 유의하게 높아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예방적인 모성건강관리에 있어서는 그 효과가 크지 않아서 임신 시 산전관리를 위해 HEW를 처음 방문하는 시기는 더 빨랐지만 그 외의 산전 산후관리에서는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5세 미만 아동의 설사와 기침 질환 감소에도 기여하지 못하였다고 하여 아직은 그 효과가 부분적으로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oblinsky 등(2010)의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HEW에 대한 반응이 긍정적이며 프로그램 적용 이후 모자보건 관련 지표가 향상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Karim 등(2010)도 HEW의 활동이 주민의 산전 산후관리와 상관성을 보이며 모자보건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 하였으나 모성사망률 감소에는 아직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Tsegay 등(2013)은 HEW 활동으로 산전관리를 받는 주민이 많아졌으며 산전관리 시 시설분만을 권고를 받은 임부들에서 그렇지 않은 임부들보다 시설분만률 비율이 더 높기는 하였지만 시설분만률 자체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여 새로운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에티오피아 북부 지역에서 5년 이내 출산경험이 있는 산모 725명을 대상으로 한 Medhanyie 등(2012)의 연구에서도 HEW가 주민들의 가족계획, 산전간호, 그리고 HIV 검사율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설분만률과 산후관리에 대한 기여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에티오피아의 시골 지역에서는 HEW를 대신할 지역사회 사례관리(community case management) 자원자를 모집하여 교육 후 설사, 말라리아, 폐렴 등의 아동 건강관리에 투입하여 효과를 거둔 경우도 보고되었다(Degefie et al., 2009). 이와 같이 HEW 제도 도입 후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이용률에서의 효과를 보는 연구는 상당 수 이루어졌으며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나 HEW의 지식 수준을 평가하거나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HEW의 지식이나 수행능력의 향상 여부를 확인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최근의 연구에서 Dynes 등(2013)이 HEW 대상으로 산전, 산후 관리에 대한 교육 후 사전 조사에 비해 교육 후의 사후 조사에서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보고한 연구가 있는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 티그라이주 KilteAwlero지역의 HEW를 대상으로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는데, 대부분 사전에 비해 교육 후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게 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본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강의만을 포함하였는데 실제 모자보건 업무를 수행하는 HEW 들은 술기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이들에게 보건소에서 수행하는 업무를 직접 관찰, 수행하도록 하고 부족하거나 잘못된 부분을 교정해주는 피드백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는 교육대상자들의 교육에 대한 평가에서도 나타난 부분으로, 향후에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좀 더 많은 대상자에게 적용 후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Ethiopia is one of the sub-Saharan countries most affected by high maternal and infant mortality. The government has trained health extension workers (HEWs), the community health workers, to deliver preventive and basic curative health services to community residents in Ethiopia. Ver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on-the-job educational effects for HEWs on improvement of their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MCH).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educational effects for HEWs in one health center in Tigray, Ethiopia on improvement of their knowledge in MCH. Methods: Twelve HEWs from 6 health po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health center officer provided a total of 5 educational sessions on antenatal and postnatal care, family planning, and newborn care from August, 2012 to April, 2013. Ten to 12 items regarding the topic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each education.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ll the HEWs were female with average 4-year working experience. Their knowledg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ducation, except the first session. Their satisfaction on education was greater than 45 points out of 50.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focused education for HEWs should continue to improve their capacity on MCH.

      • KCI등재

        에티오피아 농촌지도사업의 현재와 미래

        베사다나츄베케레 ( Dagnachew Bekele Besha ),박덕병 ( Duk Byeong Park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1

        에티오피아의 농촌지도사업은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비교하여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접근방법과 모델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농촌지도사업 시슨템은 사업영역, 커뮤니케이션, 제도적인 다원성 측면에서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다. 농촌지도사업의 초점은 시험연구사업 결과에 대한기술이전, 국가식량안보와 수출증가를 위한 농업생산성 증대에 있다. 최근 농촌지도사업 시스템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른 관점을 통하여보다 지도사업 시스템이 엄밀성을 더해 가고 있다. 최근 에티오피아 농촌지도사업은 공공부문에 의하여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district 단위에서 분권화된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제한된 수준이지만 NGO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농촌지도사업은 1950년대에 연구개발 및 기술이전, 외국의 새로운 기술도입을 위하여 시작되었다. 초기에 농촌지도사업은 시험장 위주로 이루어졌다. 이후에 에티오피아 농촌지도사업은 다섯 가지 단계로 추진되었다. 대학학장시스템(the land grant extension system), 패키지 프로그램, 최소 팩키지 프로젝트, 농민 농업개발 프로그램, 참여민주주의와 훈련시스템(PADETS). 패키지 지도사업 프로그램은 시범지역에 최초로 수행되었으며, 15-20년 내에 농촌지역의 90%까지 확대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개발기구에 의하여 관리되는 시범포를 사용하였으며, 조직화된 농민들을 훈련하였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이 특정한 조그마한 지역에서 운영되어 다른 지역까지 확대되지 못하였다. 참여민주주의와 훈련시스템을 통하여 에티오피아의 농촌지도사업은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많은 논의가 있었으며, 외부의 관점들이 더 정교하게 만들었다.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 시스템은 커뮤니케이션, 제도적인 다원주의적인 측면, 분권화 측면에서 걸음마 단계이다.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in Ethiopia was started in early 1950s with mandate of transferring local research outputs and technologies to farmers, and importing technologies and improved practices from abroad. Extension service provided in this early time was limited to areas surrounding the experiment stations. Since then, Ethiopian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has passed through hat least five stages: the land grant extension system, the Comprehensive Package Programs, the Minimum Package Projects, the Peasant Agricultural Development Program, and the Participatory Demonstration and Training Extension System (PADETS). The comprehensive package extension program was initially implemented in selected pilot areas and eventually to be scaled up to cover about 90% of the farming community within 15-20 years time. The program used demonstration plots managed by development agents and used to train farmers organized through various field days. However, since all of these programs were operational in only small areas, the vast majority of the country was out of their reach. Through Participatory Demonstration and Training Extension System, the extension service in Ethiopia has come under the spotlight and government debates and external reviews are putting additional scrutiny on the system. Despite this long history, the system is still in its infancy in terms of coverage, communication and institutional pluralism. Currently in Ethiopia the Agricultural extension is provided primarily by the public sector, operating in a decentralized manner through which extension is implemented at the district level. Therefore,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 Ethiopia.

      • KCI등재

        The Fallacies of the Ethiopian Agricultural Sector : Can Ethiopia Solve Food Insecurity?

        Lee Jin-Sang(이진상) 한국아프리카학회 2011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34 No.-

        에티오피아의 농업생산량은 날씨에 영향에 따라 좌우되고 있으며, 지난 수십년간 식량부족의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넓은 국토를 가지고 있으면서, 다양한 정부정책과 노력, 외국원조기관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식량해결의 실마리는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토지개혁이나 복잡한 토지제도는 개혁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의 식량문제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농업문제해결을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level of Ethiopian agricultural output has been fluctuating, and causing food shortage problems during the last few decades. Ethiopia has a vast arable land, and could overcome the food shortage problems. However, there are many obstacles that inhibit agricultural output. The land tenure system in Ethiopia is one of the key factors inducing the low level of agricultural outpu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urrent problems of food shortages in Ethiopia, and look at how the Ethiopian government has been working for the agricultural sector.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overcome the food shortage problems in Ethiopia.

      • KCI등재

        The Situation of Cancer Treatment in Ethiopia: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Werissaw Haileselassie,Wajana Lako Labisso 대한암예방학회 2019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24 No.1

        Background: Less attention is given to cancer treatment and control in Ethiopia. Methods: To investigat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acing cancer treatment services in Ethiopia. A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was applied to recruit the study subjects from Black Lion Specialized Hospital Oncology Department.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was used to investigat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oncology service in Ethiopia. Data was transcribed and coded by two independent coders and analyzed thematically in reference to the objectives. Results: Fifteen professionals from four different disciplines were interviewed 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acing cancer treatment in Ethiopia. Out of these respondents 3 were senior clinical oncologists while 4 individuals were senior oncology residents. The rest were 2 medical Physicists, 2 radiotherapy technologists and 4 oncology nurses. Majority (80%) of the respondents were males. We demonstrate that the challenges of cancer treatment service in Ethiopia emanate from the patients themselves, the administrating body, the professionals, and the technology limitations. In general,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grouped under the following five themes: Customer-related challenges, provider-related challenges, facility-related challenges, technology-related challenges and the opportunities. Conclusions: Several assignments are waiting for the policy makers, the professionals, the communities and other concerned bodies to combat the alarmingly growing burden of cancer in Ethiopia. Escalating the awareness of the general population about cancer, expanding well-developed diagnostic and treatment centers, and producing well-trained competent oncology professionals are the forefront challenges in combating cancer in Ethiopia. (J Cancer Prev 2019;24:33-4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