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웰다잉, 임종 돌봄 태도

        유주연(Yu Ju Youn),김연미(Kim Yeun Mi),이명선(Lee Myeong 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비보건계열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 웰다잉의 차이를 확인하고 간호대학생의 임종 돌봄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G도 소재 1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174명과 2개 대학 비보건계열학과 학생 176명이며, 죽음에 대한 인식 36문항, 웰다잉 17문항, 임종 돌봄 태도 25문항으로 이루어진 구조화된 설문지로 2019년 5월 20일부터 9월 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은 일반 대학생보다 죽음에 대한 인식 중 죽음 긍정과 죽음 관심이 높았고, 웰다잉 인식이 높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죽음에 대한 인식 중 죽음 불안과 죽음 부정이 간호대학생의 임종 돌봄 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10.7%였다.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간호대학생이 임종 돌봄 태도 향상을 위해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감소시키는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death and well-dying awarenes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students who major non-public health in university,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of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 to September 5, 2019 among 174 nursing students and 176 students majoring in non-public health. The questionnaire were consist of 35 items for death awareness, 17 items for well-dying awareness, and 25 items for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Nursing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Affirmation and Concern of death (Death awareness) and well-dying.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was explained 10.7% of the variance in Denial of death (β=-.303, p=.011) and Anxiety about death (β =-.496, p=.001). The results suggest that death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based on the different strategies depending students’ major. Education to improve the positive perception to death is necessary for students majoring non-public health, and education to decrease the negative perception to death is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보건교사 역할에 대한 초등학생과 간호대학생의 인식 비교

        권미경(Kwon, Mi Kyung),방경숙(Bang, Kyung-Sook),유주연(Yu, Ju Youn) 한국간호교육학회 2012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8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role expectation of school health teachers recogniz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compare role expect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23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2 schools and 112 nursing students from 2 universities. Data was collected by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by the SPSS 19.0 program. Results: The elementary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recognized health service and health education as the most important role expectation for school health teachers. The role expectation of nursing students was higher than those of elementary students. The elementary students’ points of view for role expectation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ealth status. Conclusion: To improve the school health teacher’s role, understanding the client’s expectation is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role of health service and education, counseling for elementary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아동간호 임상프리셉터십 경험 유무에 따른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실습 만족도 비교

        방경숙(Bang, Kyung-Sook),채선미(Chae, Sun-Mi),유주연(Yu, Ju Youn),송민경(Song, Min-Kyung),이지혜(Lee, Ji-Hye) 한국간호교육학회 2013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ofessional self-concept, clinical nursing competence, and practicum satisfac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with and without pediatric nursing clinical preceptorship. Methods: This study used a comparative research design. A total of 85 junior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ata from 76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Among them, 44 students experienced pediatric nursing clinical preceptorship. Results: The students with clinical preceptorshi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nursing skill related item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 confidence in knowledge of injection preparation and administration compared to the counterpart students. Practicum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udents with clinical preceptorship than in the other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performance confidence, and practicum satisfaction.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clinical preceptorship i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teach clinical practicum of pediatric nursing. The use of clinical preceptorship needs to be considered to motivate nursing students actively involved into the clinical practicum. The roles of clinical preceptors should be clearly identified in clinical education.

      • 저개발국 모자보건 수준 향상을 위한 국제보건사업 전략: 에티오피아 티그라이주 사례를 중심으로

        방경숙 ( Kyung Sook Bang ),이인숙 ( In Sook Lee ),박영숙 ( Young Sook Park ),채선미 ( Sun Mi Chae ),강현주 ( Hyun Ju Kang ),유주연 ( Ju Youn Yu ),박지선 ( Ji Sun Park ),오상준 ( Sang Jun Oh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4 간호학의 지평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a two-year global health project to improve maternal and child health (MCH) in Ethiopia.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case study. The target area is Kilte Awlaelo Woreda in Tigray Regional State, Ethiopia. A baseline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of community resident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A MCH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a project design matrix that included: infrastructure renovation of health centers; continuing education for midwives, nurses, and health extension workers (HEWs); and improvement of residents`` MCH awareness. Project evaluation will examine the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s of the program. Results: The baseline survey showed low rates of family planning (31%) and antenatal and postnatal care use (36.1% and 69%, respectively). The institutional birth rate was 13.5%. Midwives and nurses received 2~4 educational programs about family planning and perinatal care. HEWs were also given practical education. Water and electrical infrastructure of all five health centers in the Kilte Awlaelo Woreda were renovated. Additionally, medical supplies and equipment were provided. Community health education on perinatal care, family planning, and personal hygiene was presented.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role of nursing in global health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and outcomes of the global health project.

      • 에티오피아 일개 지역 보건지소 건강관리요원에 대한 직무교육의 효과

        방경숙 ( Kyung Sook Bang ),이인숙 ( In Sook Lee ),채선미 ( Sun Mi Chae ),강현주 ( Hyun Ju Kang ),유주연 ( Ju Youn Yu ),박지선 ( Ji Sun Park ) 부모자녀건강학회 2013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16 No.1

        전 세계적으로 건강형평성의 확보가 인류의 기본권으로 간주되고 저개발국의 빈곤과 건강문제 해결을 전 세계가 공통으로 해결해야 할 목표로 설정하는 새천년 목표(Millenium Development Goal [MDG])가 채택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국제보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보건을 위한 에티오피아 모자보건 역량강화사업에 참여하면서 저개발국의모자보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HEW를 대상으로 모자보건 관련 교육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에티오피아의 경우 HEW는 1년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단기간의 훈련만을 받고 현장에 투입되는 경우도 많아 체계적인 직무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들의 자질이나 역할이행에 대한 평가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Medhanyie et al., 2012). 현재 HEW는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에서 교육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교육과정에 대해 3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2003년 교육과정이 처음 개발된 이후 아직까지도 현실에 적합하도록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교육을 위한 설비가 부족하고 교육자에 대한 계속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많은 제한점을 갖고 있다고 보고하였다(Damtew et al., 2011). Admassie, Abebaw와 Woldemichael (2009)는 HEW에 의한 Health services extension program을 실시한 지역에서는 실시하지 않은 지역보다 예방접종률과 말라리아 예방을 위한 모기장 보급률이 유의하게 높아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예방적인 모성건강관리에 있어서는 그 효과가 크지 않아서 임신 시 산전관리를 위해 HEW를 처음 방문하는 시기는 더 빨랐지만 그 외의 산전 산후관리에서는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5세 미만 아동의 설사와 기침 질환 감소에도 기여하지 못하였다고 하여 아직은 그 효과가 부분적으로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oblinsky 등(2010)의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HEW에 대한 반응이 긍정적이며 프로그램 적용 이후 모자보건 관련 지표가 향상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Karim 등(2010)도 HEW의 활동이 주민의 산전 산후관리와 상관성을 보이며 모자보건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 하였으나 모성사망률 감소에는 아직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Tsegay 등(2013)은 HEW 활동으로 산전관리를 받는 주민이 많아졌으며 산전관리 시 시설분만을 권고를 받은 임부들에서 그렇지 않은 임부들보다 시설분만률 비율이 더 높기는 하였지만 시설분만률 자체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여 새로운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에티오피아 북부 지역에서 5년 이내 출산경험이 있는 산모 725명을 대상으로 한 Medhanyie 등(2012)의 연구에서도 HEW가 주민들의 가족계획, 산전간호, 그리고 HIV 검사율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설분만률과 산후관리에 대한 기여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에티오피아의 시골 지역에서는 HEW를 대신할 지역사회 사례관리(community case management) 자원자를 모집하여 교육 후 설사, 말라리아, 폐렴 등의 아동 건강관리에 투입하여 효과를 거둔 경우도 보고되었다(Degefie et al., 2009). 이와 같이 HEW 제도 도입 후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이용률에서의 효과를 보는 연구는 상당 수 이루어졌으며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나 HEW의 지식 수준을 평가하거나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HEW의 지식이나 수행능력의 향상 여부를 확인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최근의 연구에서 Dynes 등(2013)이 HEW 대상으로 산전, 산후 관리에 대한 교육 후 사전 조사에 비해 교육 후의 사후 조사에서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보고한 연구가 있는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 티그라이주 KilteAwlero지역의 HEW를 대상으로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는데, 대부분 사전에 비해 교육 후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게 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본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강의만을 포함하였는데 실제 모자보건 업무를 수행하는 HEW 들은 술기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이들에게 보건소에서 수행하는 업무를 직접 관찰, 수행하도록 하고 부족하거나 잘못된 부분을 교정해주는 피드백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는 교육대상자들의 교육에 대한 평가에서도 나타난 부분으로, 향후에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좀 더 많은 대상자에게 적용 후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Ethiopia is one of the sub-Saharan countries most affected by high maternal and infant mortality. The government has trained health extension workers (HEWs), the community health workers, to deliver preventive and basic curative health services to community residents in Ethiopia. Ver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on-the-job educational effects for HEWs on improvement of their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MCH).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educational effects for HEWs in one health center in Tigray, Ethiopia on improvement of their knowledge in MCH. Methods: Twelve HEWs from 6 health po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health center officer provided a total of 5 educational sessions on antenatal and postnatal care, family planning, and newborn care from August, 2012 to April, 2013. Ten to 12 items regarding the topic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each education.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ll the HEWs were female with average 4-year working experience. Their knowledg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ducation, except the first session. Their satisfaction on education was greater than 45 points out of 50.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focused education for HEWs should continue to improve their capacity on MCH.

      • 간호교육 :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만족도와 교육요구도

        김진현 ( Jin Hyun Kim ),김성재 ( Sung Jae Kim ),방경숙 ( Kyung Sook Bang ),고진강 ( Chin Kang Koh ),이남주 ( Nam Ju Lee ),유주연 ( Ju Youn Yu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2 간호학의 지평 Vol.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achievements,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demands of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Method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34 senior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their clinical practicums. Th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evaluation survey for the curriculum. The evaluation survey for the curriculum consisted of three parts: 1) academic achievements of educational objectives, care of subjects, and skills; 2)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3) demands on th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um. Results: The mean scores on the achievement levels of educational objectives, care of subjects and skills of the students were 3.68±0.53, 3.69±0.59, and 3.77±0.56, respectively. The low rated domains were ``understanding and delivering culturally competent nursing`` and ``competence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their levels of achievements. Overall,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nurs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their satisfaction scores for the hours and arrangements of the clinical practicum, and the ratios and arrangements of lectures and clinical practicum were relatively low.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to redesign nursing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graduates for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s. We need to try various strategies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ies of students by designing a curriculum based on social change and student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