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왕조의 정치체제: 절대군주제

        이헌창 경제사학회 2017 經濟史學 Vol.41 No.3

        This paper studies the political system of Joseon(朝鮮) dynasty, considering changes of the notion of absolutism and despotism and their translated words. Aristotle, Montesquieu, and Hegel established the notion of oriental despotism as anti-these to recognize and defend the political community of free citizen, polis in case of Aristotle, division of powers and the rule of law as the principle of democracy in case of Montesquieu, and history of the democratic civil society in Europe through the realization of freedom in case of Hegel. The Japanese translated absolutism and despotism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modern political system and designing their political system after opening doors to the Western world. The debates about bureaucratic jeonjai(專制) after 1874 made this Chinese character the prime translated word about monarchy. After 1897 the King Gojong(高宗) and the royal party uesd jeonjai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nd this Chinese character was connected to the translated word of absolutism. After colonization the critical viewpoint about Joseon dynasty and Japan’s change in translation made jeonjai mean despotism usually. The political system of Joseon dynasty was an absolutism where kings could act without institutional constraints but were limited by law and bureaucracy based on Confucian morals and the principle of public. K. A. Wittfogel’s concept, the oriental despotism of total power absent of effective constitutional and societal checks does not fit the Chinese and Korean dynasties. Joseon and Chinese dynasties achieved a developed type of absolutism, early modern absolutisms like European states. They had bureaucratic states with royal sovereignty. The Joseon state had weakness in social and political pluralism and civil law compared to European absolutism. Europe established the more developed political system passing Enlightenment period. 이 글에서는 absolutism과 despotism의 개념과 번역어의 변천, 그리고 조선시대사 연구의 현재적 성과에 입각하여 조선왕조의 정치체제가 무엇인가를 구명한다. 정책과 법제, 관리의 임용과 파면, 상벌 등 국가 운영에 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진 주권자인 군주의 권한이 법, 법적 관료제와 君臣共治(215), 그리고 유교도덕과 公의 통치이념에 의해 견제를 받은 조선왕조의 정치체제는 한자어 專制로 담을 수 있고, 유럽 근세의 absolutism과 같은 범주에 포괄될 수 있다. 그런데 번역어의 선정은 우여곡절을 거쳐 absolutism은 절대군주제 등으로 번역되고, 전제는 despotism의 번역어가 되었다. 조선왕조는 중국처럼 유럽 절대군주제에 비해 정치적 다원성과 사회적 자율성이 약하고 민법이 뒤떨어진 약점을 가졌으나, 법과 관료제에 의한 통치가 진전하고 유교도덕과 공의 국가 정당성 이념이 발달하고 민본 정치가 인민의 정치주체로 성장하는 기반을 조성한 점에서 근세 유럽과 더불어 선진적 절대군주제의 한 유형을 이루었다. 조선왕조는 중국의 왕조처럼 영토주권을 확립해가는 근세 유럽의 군주와 달리 군주가 전기간에 걸쳐 영토주권자였고, 유럽 절대왕정보다 관료제가 발달한 특징을 가진 점에서, 군주 주권의 (양반)관료제국가라고 부를 수도 있다.

      • KCI등재

        5∼6세기 신라 사탁부 갈문왕

        윤진석 대구사학회 2010 대구사학 Vol.100 No.-

        Galmunwang as Captain Satak Department was passed on power even since King Nulji had proclaimed heir who was Bokho to the throne. Meanwhile he had turned out many queen consorts, and had them from Tak Department. Subsequently, he managed both systems which were Tak and Satak Department because he did not run his the department in despot of the established system. It is not succession that Jidoro Galmunwang was crowned in three years. In addition, Jijeungwang was not crowned as Maribgan like the conventional view, but rather as King of Silla he did. This understanding of Galmunwang is raised to need reviews about Marriage Principles of Silla royal in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Silla royal was married with Galmunwang family after Maribgan era. So if done right, Park Queen of Moryang department was temporarily emerged to avoid intermarriage because of King Jijeung and King Jinheung from Galmunwang family.

      • KCI등재후보

        高句麗 '漢城强襲'의 再認識

        박경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5C 東Asia 國際秩序는 高句麗?土谷渾라는 5大强國에 의한 勢力均等諸體가 성립되어 상대적 안정을 누리면서, 특히 고구려가 casting vote를 행사하고 있었다. A.D. 5C 이후 百濟는 이 국제체제의 운영에 있어 5 대 열강의 次下位 수준의 單位國家로서 자리매김되고 있었다. 427년 장수왕의 평양 천도는 南下·進政策 일변도의 국제팽창정책과는 무관하며, 이미 帝國化된 국력을 바탕으로 왕권의 專制化를 강행하고자 하는 의도 하에서 수행된 것이다. 백제 蓋鹵王代의 國政 파탄은 무엇보다도 軍事貴族制 하에서 그의 武勳이 그의 意慾을 뒷받침 해주지 못한데서 비롯된 것이다. 472년 북위에 대한 개로왕의 表文外交는 東北Asia에서의 고구려 覇權을 인정함으로써 東Asia世界에서의 궁극적인 자기 패권을 鞏固化시키려는 북위측의 世界政策에 부딪쳐 무산될 수 밖에 없었다. 개로왕 대 당시 麗濟戰線은 대체로 漢江-臨津江線을 중심으로 형성, 전개되어 있었다. 이렇게 짧아진 戰場縱深은 백제가 고구려의 突發的 軍事行動으로부터자기 왕도를 지키기 위한 실효적 군사대응 조치를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475년 漢城强襲 당시 고구려군의 進攻路는 개성→長端을→瓠蘆河→七重河→積城→楊洲→峨嵯山 route 였다. In the 5th century, Koguryo kept the casting vote in the balance of power international system of the North Eastern Asia. After the 5th century, Baekjei remained as the least powerful nation in the 5nations-competing international system. The capital-moving to Pyongyang by King Jangsoo was carried out in 427 to contralize the national political power. The King Gaero could not menage his government because the military preparedness was not enough to realise his dream. Furthermore the length of battle field became extremely shortened, so King Gaero could not effectively responsed to the Koguryo's surprising military attack.

      • KCI등재

        <기획논문2 - 도봉구에 묻힌 조선왕조 왕실 인물들의 재조명> 조선 세조대 종친의 정치 활동과 이념적 기반 - 영해군(寧海君)을 중심으로-

        이민정 ( Lee Minjung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20 No.-

        세조의 치세에는 국가주도적인 제도 정비가 완성되어 갔다. 한편, 세조 치세에는 정치적으로 파격과 예외적인 현상도 많이 나타났다. 이는 세조가 정당성을 결여한 채 찬탈이라는 방식으로 왕이 되었고, 치세 내내 반복적으로 자신의 조력자들을 공신으로 책봉하고, 정상적인 절차와 관행을 무시하고 즉흥적으로 정사를 처리한 경우가 빈번하다는 사실로 뒷받침된다. 특히 이 시기 종친들의 정치 활동이 급증하고 심지어 관료가 되기도 하면서 논란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영해군을 비롯한 종친들의 공식 활동의 면모를 관료활동과 비관료활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정식과 파격이라는 상이한 두 가지 국정 운영 방식이 교차하는 가운데, 당시의 지배층들이 종친의 정치참여 문제를 어떤 식으로 정당화 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동안 세조대 이루어진 종친의 정치활동을 평가함에 있어서 지나치게 전제적이고 파행적인 면모를 부각시켰던 것은 가장 상식적이고 일반적인 설명이었다. 이러한 설명은 당시 세조개인의 정치적 의도나 정치 방식을 설명하는 데에는 유효하였다. 그러나 설령 국왕 개인의 의지가 강하게 반영된 것이라고 해도 그 의지가 실현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과 당시 사람들이 공통으로 합의하고 있었던 가치관이 없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세조대의 종친 활동에는 조선시대 관료제도가 내포하고 있는 두 이념에 의해서 가능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혈통을 중시하는 측면에서 특별한 신분에 있는 사람들을 예우한다는 이념이다. 이시기 종친들의 비관료적 활동에서 보이는 국왕 시종과 호위, 국정참여, 왕명 출납은 세조의 현실적인 필요에 의한 것임과 동시에 종친들에 대한 예우의 차원이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관료제도가 가지는 가장 기본적인 속성으로 개인의 공로와 능력을 중시하는 이념이다. 세조는 국가에 기여한 면이 크다는 점을 근거로 공신과 종친을 같은 차원으로 놓고 종친의 사환을 정당화 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세조의 논리는 그의 치세 말기 종친들을 대거 관직에 진출시키는 데에 큰 근거로 작용했을 것이다. 신료들 중 아무도 이 말을 반박할 수 있는 사람이 없었던 것에는 세조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요소도 배제할 수 없지만 무엇보다도 세조가 모두가 공감하고 합의하고 있는 가치관으로 자신의 견해를 관철시켰기 때문이었다.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stitutional arrangements led by the state was nearly accomplished. Meanwhile, numerous political scandals and exceptional situations took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This had to do with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is period; King Sejo took the throne in the way of usurpation, causing severe lack of legitimation, appointed his helpers as meritorious subjects throughout his reign, and frequently managed the state affairs in an abnormal way disregarding the existing procedures and customs. Especially, political activities of the royal relatives increased and they even became officials in this period, which provoked controversies. Aim of this research is examining how the ruling class justified the participation of members of royal lineage in political events during which normal and abnormal way of administrative process was practiced.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royal member activities under King Sejo emphasized its overly tyrannical and crippled aspects because of their inclination toward the king. These perspectives are still valid in understanding King Sejo’s personal political intention or style. Even it is true, however, that king’s personal will heavily influenced the royal member activities, their activities would not have been available without institutional foundations and common rules people of that period agreed upon. Activities of royal relatives were justifiable based on two principles contained in Choson’s bureaucratic system. First, it is a principle of paying respect to those of special status in terms of putting emphasis on descent. Non-official duties of assisting the king, participating in state administration, and conveying king’s command assigned to royal relatives were not only a matter of fulfilling the king’s needs but also a matter of paying respect to them. Secondly, it is a principle of emphasizing one’s contribution and capability, the most fundamental rule which lies in bureaucratic system. King Sejo justified royal relative’s official activities by arguing that meritorious subjects and royal relatives had to be treated equally based on their degree of contributions. This principle may have served as a critical cause for involving a number of royal members in official posts in his latter years. No one could have argued against him, which implies that the value of meritocracy was set as a common ground on the operation of government.

      • 조선 세조대 종친의 정치 활동과 이념적 기반– 영해군(寧海君)을 중심으로-

        이민정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20 No.-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stitutional arrangements led by the state wasnearly accomplished. Meanwhile, numerous political scandals and exceptional situations took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This had to do with the historicalsituation of this period; King Sejo took the throne in the way of usurpation, causingsevere lack of legitimation, appointed his helpers as meritorious subjects throughouthis reign, and frequently managed the state affairs in an abnormal way disregarding the existing procedures and customs. Especially, political activities of the royalrelatives increased and they even became officials in this period, which provokedcontroversies. Aim of this research is examining how the ruling class justified theparticipation of members of royal lineage in political events during which normaland abnormal way of administrative process was practiced. Most of the existingstudies on royal member activities under King Sejo emphasized its overly tyrannical and crippled aspects because of their inclination toward the king. These perspectives are still valid in understanding King Sejo’s personal political intention orstyle. Even it is true, however, that king’s personal will heavily influenced the royalmember activities, their activities would not have been available without institutional foundations and common rules people of that period agreed upon. Activitiesof royal relatives were justifiable based on two principles contained in Chosŏn’s bureaucratic system. First, it is a principle of paying respect to those of special status interms of putting emphasis on descent. Non-official duties of assisting the king, participating in state administration, and conveying king’s command assigned to royalrelatives were not only a matter of fulfilling the king’s needs but also a matter ofpaying respect to them. Secondly, it is a principle of emphasizing one’s contributionand capability, the most fundamental rule which lies in bureaucratic system. KingSejo justified royal relative’s official activities by arguing that meritorious subjectsand royal relatives had to be treated equally based on their degree of contributions. This principle may have served as a critical cause for involving a number of royalmembers in official posts in his latter years. No one could have argued against him, which implies that the value of meritocracy was set as a common ground on theoperation of government. 세조의 치세에는 국가주도적인 제도 정비가 완성되어 갔다. 한편, 세조 치세에는 정치적으로 파격과예외적인 현상도 많이 나타났다. 이는 세조가 정당성을 결여한 채 찬탈이라는 방식으로 왕이 되었고, 치세 내내 반복적으로 자신의 조력자들을 공신으로 책봉하고, 정상적인 절차와 관행을 무시하고 즉흥적으로 정사를 처리한 경우가 빈번하다는 사실로 뒷받침된다. 특히 이 시기 종친들의 정치 활동이 급증하고심지어 관료가 되기도 하면서 논란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영해군을 비롯한 종친들의 공식 활동의 면모를 관료활동과 비관료활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정식과 파격이라는 상이한 두 가지 국정 운영 방식이 교차하는 가운데, 당시의 지배층들이 종친의 정치참여 문제를 어떤 식으로 정당화 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동안 세조대 이루어진 종친의 정치활동을 평가함에 있어서 지나치게 전제적이고 파행적인 면모를 부각시켰던 것은 가장 상식적이고 일반적인 설명이었다. 이러한 설명은 당시 세조개인의 정치적 의도나 정치 방식을 설명하는 데에는 유효하였다. 그러나 설령 국왕 개인의 의지가 강하게 반영된 것이라고 해도 그 의지가 실현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과 당시 사람들이 공통으로 합의하고 있었던 가치관이 없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세조대의 종친 활동에는 조선시대 관료제도가 내포하고 있는두 이념에 의해서 가능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혈통을 중시하는 측면에서 특별한 신분에 있는 사람들을 예우한다는 이념이다. 이시기 종친들의 비관료적 활동에서 보이는 국왕 시종과 호위, 국정 참여, 왕명 출납은 세조의 현실적인 필요에 의한 것임과 동시에 종친들에 대한 예우의 차원이었다고 볼수 있다. 둘째, 관료제도가 가지는 가장 기본적인 속성으로 개인의 공로와 능력을 중시하는 이념이다. 세조는 국가에 기여한 면이 크다는 점을 근거로 공신과 종친을 같은 차원으로 놓고 종친의 사환을 정당화 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세조의 논리는 그의 치세 말기 종친들을 대거 관직에 진출시키는 데에 큰 근거로 작용했을 것이다. 신료들 중 아무도 이 말을 반박할 수 있는 사람이 없었던 것에는 세조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요소도 배제할 수 없지만 무엇보다도 세조가 모두가 공감하고 합의하고 있는 가치관으로 자신의 견해를 관철시켰기 때문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반도평화체제 구축문제와 북한의 비핵화문제 간의 상관성

        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20 통일전략 Vol.20 No.3

        This paper i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ssue of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issue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The Korean peninsula peace regime is not seen in terms of the process for complete settle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ut rather in terms of an institutional aspect in which the value of peace is realiz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eace system, I think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political philosophy of the value of peace in order to discuss the issue of the topic. Peace is a consequential and incidental value, not an independent value.On the other hand, freedom is an absolute value, an independent value, and a predicate value. Peace without freedom is pseudo peace. In other words, peace not governed by universal values such as freedom and human rights and universal institutions such as democracy established on the basis of universal values is not true peace but fake peace. If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sue of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issue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through this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and peace, I think that democratic changes in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North Korean regime should precede. With the nature of the current despotic dictatorship, the North Korean regime and its regime, not fundamentally changing, I think the resolution of any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issue is meaningless with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본 논문은 한반도평화체제 구축문제와 북한의 비핵화문제 간의 상관성에 관한 것이다. 한반도평화체제는 한반도에서 평화의 완전한 정착을 위한 과정의 측면에서 보기 보다는 평화의 가치가 실현된 하나의 제도적 측면에서 필자는 보고 있다. 이러한 한반도평화체제의 개념정의를 기초할 때 논제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평화의 가치에 대한 정치철학적 의미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평화는 결과적․부수적 가치이지 결코 독립적 가치가 아니다. 반면 자유는 절대적 가치이자 독립적 가치이자 전제적 가치이다. 자유가 전제되지 않은 평화는 사이비 평화이다. 즉 자유와 인권과 같은 보편적 가치와 보편적 가치를 기초로 하여 성립된 민주주의와 같은 보편적 제도에 의해 규율되지 않은 평화는 진정한 평화가 아니라 가짜 평화이다. 이러한 자유와 평화의 관계를 통해 한반도평화체제 구축문제와 북한의 비핵화문제의 상관성을 고찰하면, 무엇보다도 북한정권과 북한체제의 민주적 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의 전제적 독재정권인 북한정권과 체제의 성격이 근본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상황에서 그 어떠한 북한의 비핵화문제의 해결은 한반도평화체제 구축과는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