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치경찰제와 부패수준 간의 상관관계 연구

        민경선 한국경찰연구학회 2020 한국경찰연구 Vol.19 No.1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자치경찰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치경찰제와 경찰부패 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논문은 많지 않다. 일부 연구는 자치경찰제를 도입하면 정치적 중립성과 민주성이 확보되어 부패가 감소할 것으로 예 상하는 반면, 다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장 및 지방 토호세력의 영향력으로 인해 자치경 찰제 도입 이후 부패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 연구들도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 지 못하고 이론을 전개하는 수준에서 머물러 있다. 자치경찰제는 경찰부패를 감소시키 는가? 이 연구 질문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기반으로 하는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58 개국에 대해 종속변수로는 경찰 및 군 청렴도와 경찰부패 인식도, 독립변수로는 자치 경찰 지수를 사용하여 국가 수준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자치경찰제 도 입은 경찰부패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치경찰제의 도입 자체가 경 찰부패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지는 않는다. 자치경찰제를 어떻게 운용하는가에 따라 경찰부패 수준도 변화할 것으로 판단한다. Since the 1990s, many studies in South Korea have examined police decentralization.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decentralization and police corruption. Some studies expect that the decentralization of police to decrease corruption because of reduced political neutralit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Other experts argue that corruption will increase with the decentralization of polic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ocal elit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decentralization and police corruption. Does police decentralization decrease police corruption? To answer this question with empirical evidence, this study investigates 58 countries with data-sets from World Bank, World Justice Project, Index Mundi, and other sources. The Police Decentralization Index has been adop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Police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and the Absence of Corruption a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shows that police decentraliz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police corrup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level of police corruption does not depend on not the adoption of police decentralization, but rather the capacity of managing police systems.

      • KCI등재

        지방분권개헌에 따른 자치경찰제도 재설정 검토

        김원중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9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9 No.1

        Constitution is the foundation of ruling the nation and plays a role of controling administration and legislation. It is also the most fundamental regulation which reflects opinions of the people as wells as opinions of its society. Local autonomy, thus, is one of the foundations based on which the nation exists. For this reason, local autonomy is needed to protect rights of the people consisting of the nation. Furthermore,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as a part of local autonomy, is necessary to make sure safety of local residents. In order to carry out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which is a central factor of local autonomy,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should be stipulated in Constitution so that local residents’ right of safety could be more secured. Constitution states that each region should handle with its public order by itself so it places local autonomy on a firm base. Thus, self-governing police system can be fulfilled by protecting basic right of the people as well as values of safety right of the poeople because it reflects the public’s opinions to Constitution.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is essential that is not able to be separated from local autonomy. In addition, it has a close relation with local residents’ safety right. Thus, it is almost not possible to separate local autonomy from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so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come true local decentralization. In case of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meanwhile, it is important that how it is categorized depending on local decentralization. In order to be accorded to the purpose of local autonomy,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nd operated to make sure local safety. This study reviewed how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ought to be changed in the reality which is in discussion of Constitution reform on local decentralization. In short,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should be matched with the institutional purpose of local autonomy so the study suggested what direction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should head into, which is appropriate to Constitution reform on local decentralization. 헌법은 통치의 가장 기본이면서 또한 자의적인 행정과 입법에 대한 통제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헌법은 국민의 뜻을 반영하고 사회를 반영하는 가장 기본적인 규범이므로 지방자치 또한 국가의 존립 기반 중 하나이며, 이는 국가를 구성하는 국민의 권리보호를 위해 필요하다. 지방자치경찰제도 또한 지방자치의 하 일부로서 지역주민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에 해당한다. 지방자치경찰제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의 핵심적 요소인 자치경찰제도를 헌법에서 규정할 경우 지역주민의 안전권을 더 확고히 할 수 있다. 지역의 치안은 지역이 스스로 처리한다는 것을 헌법에서 천명하므로, 지방자치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치경찰제도는 국민 즉 주민의 뜻을 헌법에 반영함에 따라 헌법의 국민기본권 보호와 국민의 안전권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지방자치경찰제도는 지방자치에서 분리할 수 없는 필수적인 요소이며, 지역주민의 안전권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와 지방자치경찰제도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지방분권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경찰제도는 도입되어야 한다. 지방자치경찰제도는 지방분권에 따라 그 범위가 어떻게 설정되는 가가 중요하며, 지방자치라는 제도적 취지에 부합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안전권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방분권에 대한 개헌 논의가 되고 있는 현실에서 지방자치경찰제도는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 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즉 지방자치라는 제도적 취지에 부합되게 자치경찰제도가 설정되어야 하므로, 현 정부(안)등을 중심으로 지방분권개헌에 적합하게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자치경찰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김용태,유근환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 No.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is facing a transitional eclectic police system, is to provide self-responsibility for local security by providing localized and community-based security services that centralized national police organizations cannot prov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centralized national police system and the democracy of the decentralized autonomous police system can be harmoniz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era of perfect local autonomy and strengthening of autonomy. After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and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major developed countries,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police to strengthen autonomous decentralization. First, the introduction of self-government police system should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self-governing bodies to meet the strengthening of autonomous decentralization, neutralization of police, and people's control. Second, the security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 used as an opportunity to switch from the local police system of the national police system to the local police and police box system. Thir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sidents, the autonomous police of the provinces and provinces should ensure the democraticity of the police so that the police activities for local residents and appropriate control by the residents are ensured so that they are not another national police. Finally, the autonomous police introduction policy, which is an axis of autonomous decentralized ecosystem, should not be suspended anymore, and the police system should be discovered and applied to maintain and improve the current national police police level. 전환기적 절충형 경찰체제를 맞이하고 있는 자치경찰제는 중앙집권적 국가경찰조직이 제공하지 못하는 지역맞춤형․주민밀착형 치안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치안에 대한 자기책임성을 확보하자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완전한 지방자치 실현과 자치분권의 강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중앙집권적인 국가경찰제의 효율성과 지방분권적인 자치경찰제의 민주성과 융화될 수 있도록 문재인 정부의 자치경찰제 도입안(정부안)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주요 선진국의 자치경찰제도 현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살펴 본 후,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자치경찰의 발전방향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자치경찰제 도입은 자치단체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자치분권의 강화와 경찰의 중립화, 민중통제에 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치안서비스 전달체계가 국가경찰제의 지구대ㆍ파출소 체제의 지역경찰제에서 우리 실정에 맞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셋째, 주민의 입장에서 보면 시․도의 자치경찰은 또 하나의 국가경찰이 되지 않도록 지역주민을 위한 경찰활동과 주민에 의한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지도록 경찰의 민주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치분권 생태계의 한 축인 자치경찰 도입 정책이 더 이상 유보되는 일이 없어야 하겠으며 현재의 국가경찰 치안수준을 유지하면서 향상시킬 수 있는 경찰체계의 발굴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실질적 지방분권을 위한 경찰권의 제주특별자치도 이양방안

        이영우,윤현석,견승엽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7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7 No.4

        From the Special Act on Decentralization enacted by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in 2004 to the current Special Act on Decentralization and Restructuring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discussions have been held continuously about the realization of decentralization and complete local autonomy. Also, each relevant Special Act has stipula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making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s a core task. As a resul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mplemented in 2006 only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has taken root since then. Nonetheless, questions have steadily been raised about the status, scope of the affairs, and investigation functions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supplement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so as to materialize substantial decentraliz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is paper has examined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ddressed by previous governments, and has pointed out that the Jeju autonomous police has limitations: the police have only the status as security assistants; the scope of its affairs is limited to those unrelated to power; and arrest rights, investigation rights, and the authority bestowed by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are limited. In order to remove these limitations and thereby realize substantial decentralization, this paper has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police agency and two autonomous police authorities with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eleting the provisions on the affairs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as well as the provisions on the conclusion of an agreement on business which are specified in the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Development of Free International City; granting the Jeju autonomous police all the investigation rights within the province to expand their investigation functions; amendment to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exercise of all the authority prescribed in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노무현 정부의 「지방분권특별법(2004년 제정)」 에서부터 지금의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 까지 지방분권과 완전한 지방자치의 실현은 현 시대에서 지속적으로 논의 되어 오고 있으며. 각각의 특별법에 자치경찰제도의 시행을 명문화함으로써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핵심적인 과제로 삼고 있다. 그 결과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내 한정하여 자치경찰제도가 시행되어 정착되어가고 있으나, 제주자치경찰의 지위, 사무범위, 수사기능 등 지속적인 문제가 제기되어 오고 있어 제주특별자치도의 실질적인 지방분권을 위해서는 제주자치경찰제도의 보완이 절실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그리고 현 정부에까지 논의 되고 있는 자치경찰제도에 대하여 검토하고, 제주자치경찰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제주자치경찰이 치안보조자의 지위만을 가지고 있다는 점, 일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수행하고 있는 특별사법경찰사무 등비권력적 사무의 수행으로 한정되어 있는 사무범위, 현행범을 체포하더라도 국가 경찰에게 인도하는 등 수사권 제한 그리고 제주특별자치도법에서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권한이 열거되어 있고, 개괄적 수권 조항은 제외되어 있다는 점 등을 한계로 지적하였다. 제주자치경찰의 경우 현 시점이 제도적인 한계와 실질적인 자치경찰로 도약할 수 있는 적기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광역단위 자치경찰을 도입하기로 하여, 제주자치경찰의 모델이 기초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도 자치경찰 도입과 제주자치경찰의 권한 강화를 포함시킨 부분도 이번 정부에서는 자치경찰의 기틀을 마련하려는 큰 시사점이 있다고 할 것이다. 실질적인 지방분권을 위해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고자, 첫째, 제주특별자치도내에 하나의 국가경찰청인 제주지방경찰청과 2개의 자치경찰단을 설치하여 제주자치경찰의 지위를 확보하여야 한다. 현재 제주지방경찰청 산하의 3개의 경찰서를 폐지하고, 자치경찰단에 경찰서의 임무를 수행하며 각 지구대를 관할하게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주자치경찰 사무규정 삭제 및 업무협약 체결 규정 삭제하여 제주자치경찰이 실질적인 경찰사무를 이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제주자치경찰의 수사기능 확대를 위한 지역 내 모든 수사 권한 부여 및 「형사소송법」 제195조의 검사의 수사 부분과 및 제196조 제 1항의 사법경찰관은 모든 수사에 관하여 검사의 지휘를 받는 부분을 개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경찰관직무집행법」상 모든 권한 행사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자치경찰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김용태(Kim, Yong Tae),유근환(Yoo, Keun Hwan)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 No.

        전환기적 절충형 경찰체제를 맞이하고 있는 자치경찰제는 중앙집권적 국가경찰조직이 제공하지 못하는 지역맞춤형·주민밀착형 치안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치안에 대한 자기책임성을 확보하자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완전한 지방자치 실현과 자치분권의 강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중앙집권적인 국가경찰제의 효율성과 지방분권적인 자치경찰제의 민주성과 융화될 수 있도록 문재인 정부의 자치경찰제 도입안(정부안)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주요 선진국의 자치경찰제도 현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살펴 본 후,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자치경찰의 발전방향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자치경찰제 도입은 자치단체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자치분권의 강화와 경찰의 중립화, 민중통제에 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치안서비스 전달체계가 국가경찰제의 지구대ㆍ파출소 체제의 지역경찰제에서 우리 실정에 맞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셋째, 주민의 입장에서 보면 시·도의 자치경찰은 또 하나의 국가경찰이 되지 않도록 지역주민을 위한 경찰활동과 주민에 의한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지도록 경찰의 민주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치분권 생태계의 한 축인 자치경찰 도입 정책이 더 이상 유보되는 일이 없어야 하겠으며 현재의 국가경찰 치안수준을 유지하면서 향상시킬 수 있는 경찰체계의 발굴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is facing a transitional eclectic police system, is to provide self-responsibility for local security by providing localized and community-based security services that centralized national police organizations cannot prov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centralized national police system and the democracy of the decentralized autonomous police system can be harmoniz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era of perfect local autonomy and strengthening of autonomy. After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and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major developed countries,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police to strengthen autonomous decentralization. First, the introduction of self-government police system should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self-governing bodies to meet the strengthening of autonomous decentralization, neutralization of police, and people s control. Second, the security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 used as an opportunity to switch from the local police system of the national police system to the local police and police box system. Thir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sidents, the autonomous police of the provinces and provinces should ensure the democraticity of the police so that the police activities for local residents and appropriate control by the residents are ensured so that they are not another national police. Finally, the autonomous police introduction policy, which is an axis of autonomous decentralized ecosystem, should not be suspended anymore, and the police system should be discovered and applied to maintain and improve the current national police police level.

      • KCI등재

        자치경찰제 도입과 지역경찰 서비스 향상 방안

        정덕영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4

        The Korean Police System had changed from the National Police System to the Decentralized Police System. Unlike other countries, the affairs are divided into national police affairs, investigation affairs, and autonomous affairs, and the status of police officer has not the local official but the national public official. A precedent study in Korea and foreign cases analyzed that police activities in community rel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at least community public order satisfaction and public order status resolution, and suggested a direction when current police activities were combined with community polic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icient activation strategy of community policing by based on cases of community policing activities conducted in foreign countr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decentralized police activities is obscured, and the reflec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 is insufficient. In addition, enforcement of outward decentralized police activities and promotion of decentralized police activities is insufficient.

      • KCI등재

        자치경찰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소고

        곽영길,이승철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9 치안정책연구 Vol.33 No.3

        현재 한국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자치경찰제가 실시되고 있고 제도의 불완전함으로 인해 진정한 의미에서 자치경찰제는 요원한 상황이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지역에 적합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치경찰제의 도입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이에 현 정부에서는 「경찰법」을 전면 개정하여 「국가경찰 및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을 의원입법으로 발의하였고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다. 이 법률은 자치경찰제 도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주민 수요에 적합한 다양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가 전체의 치안역량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민참여의 보장이라는 관점에서 현 정부안에서 도입하려는 시·도 경찰위원회를 고찰하고 이와 함께 일선 공무원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자료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시·도 경찰위원회제도의 구성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 정부안의 시·도 경찰위원회는 과거 역대 정부가 주장한 시·도 경찰위원회를 다소 발전시킨 방안으로 생각되나, 시·도 경찰위원회가 실질적이고 능동적인 주민참여의 통로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향후 입법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보다 심도 있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첫째, 시·도 경찰위원회는 단순한 심의·의결기관으로 형식적인 주민참여가 아닌 능동적이며 실질적인 주민참여의 실현과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독립적인 행정위원회 기관형태로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시·도 경찰위원회의 자치경찰에 대한 관리·감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도 경찰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결정권과 감독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입법화해야 한다. 둘째, 주민참여를 활성화하는 측면에서 시·도 경찰위원회의 위원은 7인 이상 10인 이하로 하는 것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적정하다고 사료된다. 이때 1인의 위원을 대법원이 추천하는 것은 주민참여의 취지와 부합하지 않으므로 재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시·도 경찰위원회의 서무는 독립하여 수행토록 하고, 위원회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사무국을 시·도 경찰위원회 내에 두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Currently, only the Jeju Special Municipal Province has a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and due to the incomplete system, the real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is a long way off. Therefore, it is said that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a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that can provide adequate security services to the regions nationwide. Accordingly, the current government proposed the 「Act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Police and Municipal Autonomy Police」 by revising the 「Police Act」 and is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law aims to provide various security services suitable for the needs of residents and strengthen the security capabilities of the entire nation by providing legal ground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In this study,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were reviewed to introduc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guarantee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at the same time, based on data identified through a survey of the perceptions of frontline government officials, the government wanted to present desirable measures to organize and operate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 system. While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are thought to have improved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somewhat, they believe that the following matters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legislation proces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function as channels for practical and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First, the institutional form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committee to ensure active and practical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political neutrality, not as a mere deliberation and decision-making institution. In addition, a measure should be enacted to give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the right to decide and supervise the policies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at least seven members of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 terms of boosting residents’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it would be appropriate to make up a seven-ten-member committee, and the Supreme Court’s recommendation of a single member should be raised to be far from public particip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ordination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dependent and to consider having the secretariat within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to carry out the commission’s duties.

      • KCI등재

        영국경찰의 주민자치성 검토: 잉글랜드·웨일즈 지방을 중심으로

        이현주,염윤호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0 치안정책연구 Vol.34 No.3

        The British police started the Metropolitan Police Service(MPS), the national police, as the starting point, and nationwide municipal policing was implemented in the mid-19th century. However, efforts to secure efficiency and national control of the police continued in the UK, known as the origin of the municipal police. The first phase occurred when the jurisdiction of the municipal police was merged by the state, not by local governments, under the Police Act of 1964. As a result, for example, in the case of England, 343 local governments have 39 local constabularies as municipal police. Although it was an effort to scale up the police organization to a certain extent due to inefficiency,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were no longer able to have their own police. This can be seen 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presentation of citizen is inevitably reduced than in cases where each local government has its own police. In addition, police and crime commissioner(PCC), elected directly by the citizen, appoints chief constables as a corporation sole, presents local security strategy, and establishes police budget.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police and crime panel(PCP) consisting of local council members and citizens in the area is established to check the PCC. In comparison, the government’s control over municipal police through the home secretary has been maintained to a considerable extent. Two of the home secretary’s most important powers are the issuance of administrative circulars and the provision of more than 50 percent for the budget of each force. After all, even though municipal police have the highest level of office decentralization to handle general police affairs, the local autonomy of the British police should b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the prototype of municipal police. Nevertheless, unlike in the case of Japan, there is no lack of autonomy for citizen, and at least those elected directly by the citizen are required to appoint chief police officers and exercise a considerable level of managerial pow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ny the autonomy of the citizen in British police even if it is placed under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control of the home secretary. Overall, it is once again possible to confirm through the British police that the nature of the municipal police, such as office decentralization and citizen governance, is difficult to be fully reflected in the reality of each country. 영국은 지방자치는 물론 자치경찰의 원조로서 자치경찰제를 실시하는 국가로 잘 알려져 왔으나, 실질적으로는 국가의 중앙통제가 끊임없이 강화되어 왔다. 1829년 수도경찰청을 모델로 다소 무질서하게 형성된 지방경찰조직을「1964년 경찰법」을 제정하여 통·폐합하고, 범죄증가에 따른 효율성 강조로 중앙정부의 관여를 점차 확대하였다. 그러나 중앙정부의 권한 강화에 따라 경찰이 지역사회와 주민을 위하기보다 내무부가 중요시하는 업무성과 및 목표에 집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자「2011년 경찰개혁 및 사회책임법」을 제정하여 지역주민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경찰개혁을 단행하였다. 이러한 최근의 개혁으로 중앙통제의 강도가 완화되긴 하였으나, 여전히 자치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요소들이 눈에 띈다. 즉 국가의 내적안전을 책임지며 효율성을 중시하는 경찰행정이, 민주성을 중시하는 일반 자치행정과 동일시되기는 어렵다는 것을 자치의 나라인 영국이 여실히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영국 경찰의 주민자치성의 실질을 확인함으로써, 자치경찰 도입을 목전에 둔 우리나라의 입법에 있어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의 자치경찰제 모형설정에 관한 연구

        문재우(Moon Jae Woo) 한국공안행정학회 200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5 No.-

        지방자치란 의사결정의 자유와 행위의 자유를 본질적 사상으로하여 ‘지방의 일’을 ‘스스로 결정’하고 처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의 일이란 다양한 개인적 문제로부터 지역의 공동문제, 지역의 행정, 치안 및 복지 등을 말하고, 스스로 결정한다는 것은 자신의 일을 다른 기관으로부터 제약을 받지 않고 주민의사와 참여로 주민대표자를 통해서 독립적ㆍ자율적으로 처리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볼 때 복지와 관련된 치안을 담당하는 자치경찰제에 관한 연구를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논문은 첫째, 한국경찰제의 이해와 분석, 둘째, 외국의 자치경찰제 분석, 셋째, 한국경찰체제의 분석과 자치경찰제 모형, 넷째, 결혼 순으로 기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자치결찰제 모형을 5가지로 구분하였는바, ① 국가경찰체제 분권화 모형 ② 광역자치경찰제 모형 ③ 기초자치경찰제 모형 ④ 절충제 모형 ⑤ 행정경찰모형으로 하였다. 이 중 가장 바람직한 모형으로 분석된 모형은 ③ 기초자치경찰제 모형으로서 기초자치단체인 시ㆍ군 및 자치구에 설치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주민과 대면행정, 생활행정 및 주민참여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직접 시장이나 군수 및 자치구청장이 지휘감독하지 못하도록 시ㆍ군ㆍ구경찰위원회를 설치하여 자치경찰임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한편 시ㆍ군 및 자치구에도 국가경찰기능이 수행되기 때문에 국가경찰체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양체제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편성하는 모형이다. 예컨데 각 시ㆍ군 및 자치구에는 ○○경철위원회를 설치하여 그 예하 ○○경찰서를 지휘감독하는 체제이다. 각 경찰서단위에는 경찰부서장제도를 두어 국가경찰기능 및 자치경찰기능수행을 각각 부서장이 직접 지휘감독하고 협조하게 하는 모형이다. Based on the idea of freedom of making decision behavior, 'local government' means "to decide autonomously" on the "business of locality": "to decide autonomously" is to take care of the locality's own business by its delegates through its residents' opinion and participation without any restrict from other institution; "business of locality" ranges from a variety of personal to public problems like the community's administration, welfare, etc. Local government is developed as the relations between local autonomous entity and its resident, central administration and local entity, and central administration and local entity's resident are shaped appropriately. The contents of present study are: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police system in Korea; Analysis on police system overseas; Analysis on Korean police system and pattern of Local police system; and, Conclusion. There are five patterns of Local police system in the study: Decentralized national police system; Metropolitan Local police system; Basic Local police system; Eclectic method; and, Administrative police. The most desirable of the five patterns is the Basic Local police system, a pattern to set up police station in city, county or autonomous district. Since it premises the direct adminstration to resident, adminstration on life and residents' participation, the Local police would carty out its duties only after establishing a police committee of city, county or district not so as to be controlled by mayor, county headman or district chairman. Because national police will function in the city, county or district, however, the pattern would allow the two systems. For instance, each city, county or district sets up its police committee, and its police station is controlled under the command of the committee. And vice command of 2 persons in each police station gives direct instructions or supports on both national and local police functions.

      • KCI등재

        프랑스, 미국, 일본의 자치경찰제와 비교법적 검토

        유주성(Yoo, Ju-Sung)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東亞法學 Vol.- No.80

        경찰제도는 한 국가의 역사적·정치적·사회문화적 소산이다. 국가경찰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논의는 1945년 미군정하에서 엄격한 지방분권적 자치경찰제도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미국식 경찰제도를 도입하려고 한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오랜 기간 논의 끝에 결국 지난 2006년 「참여정부」 에서 결실을 맺어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의거 도 수준에서 자치경찰단이 조직되어 운영되고 있다. 제주자치경찰이 도입된 지 1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지금, 국가경찰조직과 사무를 그대로 둔 자치경찰을 치안보조기관으로 하여 경찰권 분산효과는 없고, 국가경찰과의 중복적 사무수행으로 재정낭비를 초래하는 ‘무늬만 자치경찰’이라는 비판이 지배적이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국민주권의 실현방안으로서 다시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실시를 공약으로 내세웠고, 최근 「지방분권위원회」에서는 자치경찰제 도입안을 마련하여 2020년까지 자치경찰제를 전면실시 하겠다는 추진일정을 밝혔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국가 경찰제도의 다양성을 대표할 뿐 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우리의 경찰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친 프랑스, 미국, 일본경찰의 연혁 및 현황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우리경찰의 객관적 위상을 이해하고 향후 자치경찰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본다. The police system is a historical, political, and socio-cultural fruit of a nation. The debate on the introduction of the municipal police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National Police System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merican police system based on the strictly decentralized municipal police system under the US military in 1945-1948. After a long discussion, in 2006,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introduced the municipal police groups which is organized and operated based on the “Special Law for the Establishmen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Creation of Free International City”.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Jeju municipal Police in recent decades, it works as the police assistance having no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police rights, resulting in waste of financial resources due to redundant office work with the national police, Which is the only criticism of the "pattern-only municipal police. ‘In the Government MOON’, as a plan of realiz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it promulga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municipal police system again. In recent years, the “Decentralization Committee” announced plans to introduce a muncipal police system and to implement the municipal police system by 2020. This paper study the French, American and Japanese police which not is not only representative of the diversity of police systems, but also have historical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our police system. We will understand the objective status of our police through comparative legal review with the foreign police system and look for the future direction of municipal polic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