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ET/CT 검사에서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의 산란제한보정법 적용 영상 평가

        반영각,이승재,김정열,오신현,남궁혁,박훈희,강천구,임한상,이창호,Bahn, Young Kag,Lee, Seung Jae,Kim, Jung Yul,Oh, Sin Hyun,Nam-Koong, Hyuk,Park, Hoon-Hee,Kang, Chun Koo,Lim, Han Sang,Lee, Chang 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2

        PET/CT 검사에서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영상에서 냉소 인공물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Discovery 600 PET/CT 장비의 산란제한보정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평가하고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냉소 인공물의 개선을 연구했다. Discovery 600 PET/CT 장비로 산란보정법과 산란제한보정법의 방사능 섭취와 표준섭취계수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1994 NEMA Phantom$^{TM}$을 사용하였다. 또한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을 재현하여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한 방사능의 섭취 차이와 표준섭취계수의 차이를 비교 평가하였다. 산란제한보정법은 산란보정법과의 방사능 섭취, 표준섭취계수의 평가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그리고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PET/CT 영상에서의 산란보정법을 적용한 영상은 방사능 섭취가 최대 3.1 kBq/ml에서 0.04 kBq/ml로 약 98.7% 과소평가되었다. 그러나,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한 영상은 방사능 섭취가 최대 3.0 kBq/ml에서 2.11 kBq/ml로 약 30%만 과소평가되었다. 표준섭취계수는 1.05에서 0.006으로 약 98% 과소평가 되었으나,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 후 0.67로 측정되어 약 25%만 과소평가되었다. 방사능의 섭취와 표준섭취계수에서 산란제한보정법은 산란보정법에 비해 약 60% 이상 개선 효과가 있었다. PET/CT 검사 시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냉소 인공물이 발생한 환자에서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한다면,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 된다. Purpose : Arm motion can give rise to striking cold artifact on PET/CT. We investigated that evaluation of scatter-limit correction and correct the patient arm motion artifact in Discovery 600 PET/CT. Materials and Methods : To evaluate a radioactivity uptake (Bq/ml) and a standard uptake value (SUV),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and scatter correction were compared using 1994 NEMA Phantom$^{TM}$ in Discovery 600 PET/CT (GE Healthcare, Mi, We). Arm motion phantom study was involved a central 20 cm diameter cylinder simulating the neck and 2 peripheral 10 cm diameter cylinders simulating arms. The positions of the arms were altered so as to introduce different amounts of misalignment. The evaluation of arm motion phantom study used the radioactivity uptake and SUV in scatter correction and scatter limit correction. Results :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radioactivity uptake and SUV did not show the differences in comparisons of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and the scatter correction that not show (p<0.05). Radioactivity uptake of the scatter correction was up to 3.1 kBq/ml in the 0.04 kBq/ml. It was approximately 98.7% undervalued in the arm motion phantom study. However, Radioactivity uptake of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was up to 3.0 kBq/ml in the 2.11 kBq/ml. It was approximately 30% undervalued in arm motion phantom study. SUV of the scatter correction was 1.05 to 0.006 and underestimated about 98%. However, an applying SUV of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changed the value as 0.67 which is underestimated about 25%. Radioactivity uptake and SUV of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was increased approximately 60%, or more than the scatter correction. Conclusion : It is considered that if the patient arm motion artifact was occurred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will be applicable to give an accurate diagnosis.

      • KCI등재

        「교정연구」의 연구경향 분석과 과제: 언어 네트워크 방법론을 활용한 시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정병수,김은주 한국교정학회 2018 矯正硏究 Vol.28 No.3

        이 연구는 1991년부터 2017년까지 발간된 「교정연구」를 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통해 핵심 키워드의 중심성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교정학 연구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미래의 교정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균형 잡힌 연구를 선택하도록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교정’, ‘처우’, ‘방안’, ‘수형자’, ‘개선’ 등의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정연구」의 연구주제들이 주로 수형자의 교정처우와 그 개선방안에 관련된 연구들이 많았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각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1991년부터 2000년까지는 ‘교정’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방안’, ‘처우’, ‘문제’, ‘방향’ 등의 순으로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법’, ‘수형자’, ‘제도’, ‘개선’, ‘실태’, ‘범죄’, ‘행형’ 등의 키워드가 높은 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초기의 연구는 주로 교정관련 제도나 정책, 교정의 이념 및 이론들이 연구주제로 주목받으면서 교정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기반 연구들이 많이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2001년부터 2010년 사이에 이루어진 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정’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사회’, ‘개선’, ‘방안’, ‘소년’, ‘범죄’, ‘처우’, ‘제도’, 청소년’, ‘시설’, ‘프로그램’, ‘수형자’, ‘고찰’, ‘문제점’, ‘효과’ 등의 키워드가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 역시 교정과 관련된 법・제도의 개선 및 당시 사회적 관심이 연구주제에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전 시기와 다르게 ‘프로그램’, ‘효과’, ‘영향’, ‘요인’ 등의 키워드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즉, 이 시기에서는 교정학의 연구주제가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이나 수형자 및 소년범 등의 행태에 초점을 맞춘 실증적 연구가 서서히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정학 분야에 다양한 경험적 연구들이 다루어지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시기에 ‘지역사회’, ‘약물’, ‘보호관찰’ 등의 키워드가 새로이 등장하면서, 당시 사회내 처우와 보호관찰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약물범죄자의 교정 등 수형자의 개별처우 프로그램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점차 연구주제로 선택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2011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구에서는 ‘교정’을 중심으로 ‘소년’, ‘방안’, ‘범죄’, ‘수용’, ‘시설’, ‘제도’, ‘재범’, ‘보호’, ‘치료’, ‘개선’, ‘효과’, ‘프로그램’ 등의 순으로 가장 높은 연결중심성을 보여주고 있다. 2001-2010년 시기와 다르게 ‘소년’이나 ‘청소년’ 등의 키워드가 연결중심성이 많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이 시기에서는 ‘재범’, ‘치료’, ‘예방’, ‘가석방’ 등의 키워드가 새로이 연구주제로 등장하게 되는데, 이전 시기에 비해 범죄자의 재범방지에 관한 연구와 수형자의 치료감호 등에 대한 연구주제가 선택되고 있으며, 범죄에 대한 사후적 분석보다 소년비행이나 성인 범죄에 대한 사전적 예방이 근본적인 범죄대책으로 인식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entrality of core keyword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Correction Review” published between 1991 and 2017. Through this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selecting a balanced research that can identify the tendency of Korean Corrections studies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correction policy in future. In the results of analysis, it is shown in general that the frequency of ‘correction’, ‘treatment’, ‘strategy’, ‘prisoner’, ‘improvement’, etc. is relatively high. This suggests that many of the research topics of “Correction Review” are mainly related to the correction treatment of prisoners and improvem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by period between 1991 and 2000, the connection centrality was found to be high centrally in the keyword ‘correction’, and in the order of ‘strategy’, ‘treatment’, ‘problem’, ‘direction’, etc. Especially, keywords such as ‘law’, ‘prisoner’, ‘institution’, ‘improvement’, ‘actual condition’, ‘crime’, ‘imprisonment’, etc. were forming high linkages. In the earlier studies, research topics are mainly focused on the correction‐related system, policy, correction ideology and theories, and it seems that there were many basic researche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orrections. In the studies conducted between 2001 and 2010, focusing on the core keyword ‘correc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nection centrality was high in the order of ‘society’, ‘improvement’, ‘strategy’, ‘boyhood’, ‘crime’, ‘treatment’, ‘institution’, ‘juvenile’, ‘facility’, ‘program’, ‘prisoner’, ‘review’, ‘problem’, ‘effect’, etc. This also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laws and systems related to correction and social interest at the time were reflected in the research topics. Especially, different from the earlier period, keywords such as ‘program’, ‘effect’, ‘influence’, ‘factor’, etc. newly appeared. In other words, in this period, the research topics of correction shows that the empirical studies were gradually increasing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program and the behaviors of prisoners and/or inmates, which suggests that various experience studies in the field of correction began to be studied. In addition, at this time, new keywords such as ‘community’, ‘drug’, ‘probation’, etc. newly appeared, and it was found that interest in treatment and probation in society at that time was increasing. And the correction of drug offenders, the empirical studies on the individual treatment programs of prisoners gradually began to be selected as research topics. Lastly, in the studies conducted in the period between 2011 and 2017, it was found that the connection centrality was high centrally on ‘correction’ in the order of ‘boyhood’, ‘strategy’, ‘crime’, ‘acceptance’, ‘facility’, ‘institution’, ‘recidivism’, ‘protection’, ‘treatment’, ‘improvement’, ‘effect’, ‘program’, etc. Unlike the period of 2001-2010, the ‘connection centrality’ for the keywords such as ‘boyhood’ or ‘juvenile’ was analyzed to be increased rapidly, and especially in this period, as keywords such as ‘recidivism’, ‘treatment’, ‘prevention’ and ‘parole’, etc. newly appeared. Unlike the previous period, the studies on the prevention of recidivism of offenders and the research topics on the treatment and custody of prisoners’ were selected, and as precautionary measures against juvenile delinquency or adult crime are perceived as fundamental crime measures rather than an ex post facto analysis, it is thought that studies on these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

        모듈로 구성된 선형 검출기의 영상보정 방법

        천권수,오석심,진왕연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2

        여러 모듈을 선형으로 배치하여 제작한 선형 검출기가 산업의 전수검사에 활용되고 있으나 선형 검출기로 획득한 2차원 영상에서 연결부위에 선 허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Flat-Field Correction 이후에 Wedge 팬텀 영상을 이용하여 선 허상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통상적인 Flat-Field Correction을 수행하더라도 모듈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선 허상을 제거하지 못하였다. 모듈의 연결부위에 위치한 양 엣지의 픽셀들이 Flat-Field Correction 이후 과도하게 보정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픽셀들의 추가적인 보정을 위해 Wedge 영상을 이용하여 보정인자를 구하여 적용함으로써 선 허상이 완전히 제거된 영상을 획득하였다. 보정인자를 구하는 수동적인 절차를 자동화하여 산업에서 선 허상 제거를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Linear detectors composed of several modules have been widely used in industrial in-line inspection. Two dimensional image obtained from the linear detector shows line artifact at the connection part of each modul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 to remove the line artifact using the flat-field correction and a wedge phantom image. Conventional flat-field correction has been applied to remove the artifact, however there are still line artifacts even after applying correction. It was found that two edge pixels at the connection part of two modules were over-corrected after the flat-field correction. Those edge pixels was corrected by using the correction factor obtained from an image of the wedge phantom, and images removed line artifacts were obtain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ethod obtained manually the correction factor from the image of the wedge phantom.

      • KCI등재

        자세 교정 제품 설계 기술의 한국 특허 출원 경향

        김민선,천종숙 한국의류산업학회 2020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22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Korean functional product design for posture correction. We analyzed registered and disclosed Korean patents (n=289) of KIPRIS. They were posture correction technology patents filed from 1999 to 2018. Keywords used in patent selection were posture correction, posture correction clothing, posture correction band, rehabilitation clothing, joint protection, protective equipment, and compression wear. These were then analyzed by patent application year, product type, effect pursued, and posture correction body part. The results showed that patent applications related to posture correction technology have increased since 2014. Products subject to patents for posture correction technology were device/brace (59.5%), footwear (22.5%), and clothing (18.0%). Patents for posture correction pursued various wearing effects. The effects pursued were dependent on the product type. The device/brace focused on joint protection (76.7%) and muscle reinforcement (40.7%). Footwear was focused on joint protection (90.8%). The clothes were focused on muscle reinforcement (50.0%) and body shaping (36.5%). The clothing and device/brace for posture correction were worn on various body parts of the upper limbs to feet. The posture correction product design patent was to correct various body parts. Patents pursuing upper body correction focused on spine posture correction (n=99). Patents for foot posture correction have steadily increased (n=102). Patents for posture correction of the pelvis and hip joints were relatively few (n=46).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e necessity to develop technology to correct posture by combining the functions of device/brace and clothing.

      • KCI등재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에 따른 교정복지 교재분석

        도광조(Do, Gwang‐,jo),김금자(Kim, Geum ja),임서현(Lim, Seoh‐,hyeon),전명주(Jeon, Myeong‐,ju),유영희(Yoo, Yeong‐,hee),조희원(Cho, Hee‐,won) 한국교정복지학회 2015 교정복지연구 Vol.- No.38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in Korea including 29 general textbooks and 11 advanced ones, focusing on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and courses. First, most of the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covered the concept of correction welfare, correction welfare theories, special areas of correction welfare, correction welfare and social treatment, practice and techniques of correction welfare, etc. Studies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during the last five years tended to converge on six semantic categories: ① restorative justice; ② classification of criminals; ③ correction welfare and social treatment; ④ social welfare approaches; ⑤ practice and techniques of correction welfare; and ⑥ correctional social workers. In addition, most of current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reflected the authors’ intention of writing rather than the guideline of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Furthermore, none of the textbooks included all of the 6 categories found in the recent trend of research.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contents and direction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in the guideline of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to be published in the future. First,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acquire ‘an eye to see the large framework of correction’ through the correction welfare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meanings and necessities of correction welfare clearly. For this, field‐oriented contents should be supplemented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their in‐depth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s in charge of treatment in community. Thir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scope of specific groups of subjects for clearer understanding of correction welfare subjects. Fourth, contents need to be reinforced about the introduction and necessities of the correctional ocial worker system. Fifth, textbooks should reflect recent issues of research such as treatment in community, restorative justice, social rehabilitation, school violence, juvenile crimes, and rehabilitation protection. Sixth, the prospect and vision of correction welfare science need to be supplemented. Seventh, sciences in the area of correction involve various disciplin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tudy of criminal law and the study of correction that are learnable together with the correction welfare curriculum, and contents should be added about the necessities and effectiveness of synthetic thinking in the practice of correction welfar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uggest compulsory and elective courses to be completed in each year to students interested in correction welfare by presenting a roadmap for taking courses related to basic subjects in each semest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정복지 전체교재 29권, 중점교재 11권, 최근 5년간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교정복지 교재 및 교정복지교과목 지침내용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교정복지 교재 전체를 살펴보 면 대부분의 교재들은 교정복지의 개념 이해, 교정복지이론, 교정복지의 특별영역, 교정복지와 사회적 처우, 교정복지 실천 및 기술론 등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의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6개의 의미범주단위로 수렴되는 경향이었다. ① 회복적 사법 ② 범죄인의 분류 ③ 교정복지와 사회처우 ④ 사회복지적 접근 ⑤ 교정복지실천 및 기술 ⑥ 교정사회복지사 등이었다. 또한 현재 교정복지 교재는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의 기준보다는 저자의 집필의도를 중심으로 교재를 구성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아울러 최근연구동향에서 나타난 6개의 범주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발간될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에서 교정복지 교과목의 내용과 방향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교정복지 교과목을 통해 ‘교정의 큰 테두리를 볼 수 있는 안목’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정복지의 의미와 필요성을 명확히 제시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교정기관에 대한 이해, 사회 내 처우를 담당하는 기관에 대한 심층 이해를 돕기 위한 현장중심의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정복지 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상자의 특징과 범위를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교정사회복지사 제도의 도입과 필요성에 대한 내용의 강화이다. 다섯째, 최근 연구동향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사회 내 처우, 회복적 사법, 사회복귀, 학교폭력, 소년범죄, 갱생보호 등 변화를 고려한 집필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정복지학의 전망과 비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일곱째, 矯正(교정)분야 학문은 다양한 학문들이 연동된 종합학문분야이다. 따라서 교정복지 교과목과 함께 학습 할 수 있는 형법학, 교정학에 대한 소개가 필요하고 교정복지분야 실천에 있어서 종합적사고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다른 기초과목과 연관된 과목을 학기별로 이수할 수 있도록 로드맵을 제시하여 교정복지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학년별로 이수해야 할 필수・선택과목의 교육과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 동적 영상 획득 방식을 이용한 정적 영상의 움직임 보정

        윤석환,승종민,김계환,김재일,이형진,김진의,김현주,Yoon, Seok-Hwan,Seung, Jong-Min,Kim, Kye-Hwan,Kim, Jae-Il,Lee, Hyung-Jin,Kim, Jin-Eui,Kim, Hyun-Jo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0 핵의학 기술 Vol.14 No.1

        정적 영상 획득 시 기존의 정적 영상 획득 방식 대신 동적 영상 획득 방식을 이용하여 움직임에 의한 motion correction을 적용함으로써 정적 영상 획득 시 발생되는 움직임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capillary tube와 IEC body phantom을 이용하여 움직임이 없을 때 정적 영상 획득 방식으로 얻은 영상과 동적 영상 획득 방식으로 얻은 각각의 frame을 더한 영상에 대해 resolution, frequency, total counts, blind test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임의로 최소한의 움직임과 과도한 움직임을 주어 motion correction 전후의 영상에 대해서도 resolution, frequency, total counts, blind test를 비교 분석 하였다. 기존의 정적 영상 획득 방식으로 얻은 영상과 동적 영상 획득 방식으로 얻은 각각의 frame을 더한 영상의 resolution, frequency, total counts, blind test의 결과 값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최소한의 움직임과 과도한 움직임을 준 영상에 대해 motion correction 적용 전후의 비교 결과 값은 motion correction 후 resolution, frequency, blind test의 결과 값이 움직임이 없을 때의 정적 영상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과도한 움직임에 대한 보정 시 frame당 흐림 현상이 많이 발생 하였으므로 좌표 보정이 어려워 frame을 제외하는 방법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과도한 motion correction 후 삭제한 frame 수만큼 total counts에서 차이를 보였다. 정적 영상 획득 시 움직임이 예상되는 환자에게 기존의 정적 영상 획득방식이 아닌 동적 영상 획득 방식을 이용하여 움직임 발생시 좌표 보정과 흐림 현상이 심한 frame 제외 방법을 이용하여 정적 영상에서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었던 영상의 질 저하와 정량적 분석의 신뢰도 감소, 재검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motion correction에 제공되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임상 적용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현실적으로 필요하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기대되는 바이다. Purpose: The static image of nuclear medicine study should be acquired without a mo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quire static image without movement for the serious patients, advanced aged patients. These movements cause decreases in reliability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herefore re-examination was inevitable in the some cases. Consequ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motion artifacts, the authors substituted the dynamic acquisition technique for the static acquisition, using motion correction. Materials and Methods: A capillary tube and IEC body phantom were used. First, the static image was acquired for 60 seconds while the dynamic images were acquired with a protocol, 2 sec/frame${\times}$30 frames, under the same parameter and the frames were summed up into one image afterwards. Also, minimal motion and excessive motion were applied during the another dynamic acquisition and the coordinate correction was applied towards X and Y axis on the frames where the motion artifact occurred. But the severe blurred images were deleted. Finally, the resolution and cou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static image and the summed dynamic images which before and after applying motion correction, and the signal of frequency was analysed after frequency spatial domain was transformed into 2D FFT. Supplementary examination, the blind test was performed by the nuclear medicine department staff. Results: First, the resolution in the static image and summed dynamic image without motion were 8.32 mm, 8.37 mm on X-axis and 8.30 mm, 8.42 mm on Y-axis, respectively. The counts were 484 kcounts, 485 kcounts each, so there was nearly no difference. Secondly, the resolution in the image with minimal motion applying motion correction was 8.66 mm on X-axis, 8.85 mm on Y-axis and had 469 kcounts while the image without motion correction was 21.81 mm, 24.02 mm and 469 kcounts in order. So, this shows the image with minimal motion applying motion correction has similar resolution with the static image. Lastly, the resolution in the images with excessive motion applying motion correction were 9.09 mm on X-axis, 8.83 mm on Y-axis and had 469 kcounts while the image without motion correction was 47.35 mm, 40.46 mm and 255 kcounts in order. Although there was difference in counts because of deletion of blurred frames, we could get similar resolution. And when the image was transformed into frequency, the high frequency was decreased by the movement. However, the frequency was improved again after motion correction. In the blind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applying motion correction and the static image without motion.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atic image and the summed dynamic image. This technique can be applied to patients who may have difficulty remaining still during the imaging process, so that the quality of image can be improved as well as the reliance for analysis of quantity. Moreover, the re-examination rate will be considerably decreased. However, there is a limit of motion correction, more time will be required to successfully image the patients applying motion correction. Also, the decrease of total counts due to deletion of the severe blurred images should be calculated and the proper number of frames should be acquired.

      • PET-CT에서 감쇠보정 영상과 비감쇠보정 영상을 통한 Metal Artifact 보정에 대한 고찰

        김준,김재일,이홍재,김진의,Kim, June,Kim, Jae-II,Lee, Hong-Jae,Kim, Jin-Eui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6 핵의학 기술 Vol.20 No.2

        최근엔 대부분의 PET-CT영상의 감쇠보정은 많은 강점을 가지고 있는 CT를 기반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CT 검사때 metal artifact가 발생하게 된다면, PET 영상에서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감쇠보정 영상의 count와 비감쇠보정 영상의 count의 비를 통하여 보정계수($e^{-{\mu}x}$)을 구하였고 이를 통해 측정 SUV에 대입하여 실제 SUV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실험장비로는 본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Biograph mCT S(40)_SIMENS을 촬영 장비로 이용하였고, phantom은 micro phantom을 사용하였다. 팬텀 실험방법은 micro phantom에 metal artifact를 발생시켜 촬영한 뒤 감쇠보정 영상과 비 감쇠보정 영상으로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SIMENS 사의 Sygo.via VA11A 프로그램을 이용 감쇠보정 영상과 비 감쇠보정 영상의 count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보정계수를 구하여 Metal artifact 발생 부위와 Metal artifact 발생 직전 부위의 보정계수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임상영상에서는 본원에 내원한 환자 10명($66{\pm}15$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여러 장기의 평균 보정계수를 계산하였고, Metal artifact가 발생한 연부조직의 보정계수와 metal artifact가 발생하기 직전의 연부조직의 보정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hantom 실험에서는 밝은 artifact 부분에서의 보정 계수는 Metal artifact가 발생하지 않은 부분에서의 보정계수보다 평균 12%증가 되게 나타났다. 어두운 artifact 부분에서의 보정계수는 발생하지 않은 부분에서의 보정계수보다 6% 감소 되게 나타났다. 또한 phantom 실험결과 본 논문에서 사용한 식을 이용한 추정 SUV가 실제 SUV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임상영상에서는 normal 장기의 보정계수를 계산 하였고, 이를 이용한 각 장기의 평균 보정계수를 계산하여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 값을 통해 CT number가 큰 조직 일수록 보정계수도 커지는 상호 비례 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metal artifact시 밝은 artifact 부분의 연부조직 보정계수는 metal artifact가 발생 하지 않은 연부조직 보정계수에 비해 평균 20% 증가, 그리고 어두운 artifact 부분은 10%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로 작성한 soft tissue 평균값과 비교 하였을 때는 metal artifact가 발생 하지 않은 연부조직에 비해 밝은 artifact 부위는 평균 19% 증가 어두운 artifact 부위는 평균 9% 감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우에 따라 각 개인의 보정계수를 계산 할 필요 없이 그래프로 작성한 평균값을 간편하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실험결과로 보아 본 논문에서 제시하였던 감쇠보정 영상과 비 감쇠보정 영상에서의 count의 비를 통해 metal artifact가 발생하지 않는 부위의 보정계수와 발생한 부위의 보정계수를 구하고, 이를 활용하여 측정 SUV에 대입하여 실제 SUV를 추정하는 방법 역시 metal artifact 발생 부위의 더 정확한 정량분석 위하여 고려 해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Purpose Because of many advantages, PET-CT Scanners generally use CT Data for attenuation correction. By using CT based attenuation correction, we can get anatomical information, reduce scan time and make more accurate correction of attenuation. However in case metal artifact occurred during CT scan, CT-based attenuation correction can induce artifacts and quantitative errors that can affect the PET images. Therefore this study infers true SUV of metal artifact region from attenuation corrected image count -to- non attenuation corrected image count ratio. Materials and Methods Micro phantom inserted $^{18}F-FDG$ 4mCi was used for phantom test and Biograph mCT S(40) is used for medical test equipment. We generated metal artifact in micro phantom by using metal. Then we acquired both metal artifact region of correction factor and non metal artifact region of correction factor by using attenuation correction image count -to- non attenuation correction image count ratio. In case of clinical image, we reconstructed both attenuation corrected images and non attenuation corrected images of 10 normal patient($66{\pm}15age$) who examined PET-CT scan in SNUH. After that, we standardize several organs of correction factor by using attenuation corrected image count -to- non attenuation corrected count ratio. Then we figured out metal artifact region of correction factor by using metal artifact region of attenuation corrected image count -to- non attenuation corrected count ratio And we compared standard organs correction factor with metal artifact region correction factor. Results according to phantom test results, metal artifact induce overestimation of correction factor so metal artifact region of correction factors are 12% bigger than the non metal artifact region of correction factors. in case of clinical test, correction factor of organs with high CT number(>1000) is $8{\pm}0.5%$, correction factor of organs with CT number similar to soft tissue is $6{\pm}2%$ and correction factor of organs with low CT number(-100>) is $3{\pm}1%$. Also metal artifact correction factors are 20% bigger than soft tissue correction factors which didn't happened metal artifact. Conclusion metal artifact lead to overestimation of attenuation coefficient. because of that, SUV of metal artifact region is overestimated. Thus for more accurate quantitative evaluation, using attenuation correction image count -to-non attenuation correction image count ratio is one of the methods to reduce metal artifact affect.

      • KCI등재후보

        현장 사례를 활용한 첨삭 지도 모형 설계

        이순옥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4 리터러시 연구 Vol.- No.8

        A goal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analyze learners' demand for correction tutor but also to seek efficient direction by designing a better model plan for correction tutor. Learners evaluate correction tutor positively from the aspect of its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learners' writing ability. However, they elucidate their standpoint clearly that the direction, attitude and learner's awareness of itemized rating of the correction tutor should be changed. Correction tutor has been done till now mainly around vocabulary and sentence criterion. But Learners want far sighted & comprehensive tutor rather than partial, expressive one relating to plot, development of contents, system of writing. In addition, they want the correction tutor to be more specific as well as to suggest clear direction rather than just pointing out mistake or criticizing. Furthermore, they want the attitude of correction tutor to be more encouraging and complimental. The Model plan for the correction tutor is sorted out as 'face to face' correction proceeded in counseling program of writing center, non curriculum area and 'open correction' proceeded in the classroom, curriculum area. In case of 'open correction', it is designed in the order of analyzing the material, searching for the problem, general evaluation & areal advice, rewriting of abstract, completion of revised writing using the book review as the standard writing. In special case of correction done in lecture room, teacher's correction, student's self correction, colleague's cooperative correction are placed in the order. In case of 'face to face' correction, general steps for the public correction are adopted but some steps are added or omit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I believe this model plan suggests more effective way of correction tutor as it is constructed with the special effort to find the interfa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which means it utilizes lots of case studies through the field experiences. 본고의 목적은 현장에서의 지도사례를 바탕으로 첨삭지도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첨삭지도 모형을 설계하여 첨삭지도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학습자들은 첨삭지도가 글쓰기 능력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항목별 첨삭효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첨삭의 방향, 첨삭태도는 변화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제까지 교수자들의 첨삭지도는 주로 어휘규범과 문장규범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학습자가 원하는 첨삭지도는 미시적이고 표현적 영역보다는 글의 구성이나 내용전개, 글의 체계와 관련된 거시적이고 이해적 영역이었다. 또한 첨삭지도가 첨삭기준과 오류항목을 중심으로 오류사항을 간단히 지적하고, 조언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기보다 좀더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기를 원했으며, 명료한 수정방향을 제시해 주기를 원했다. 그리고 첨삭 태도에 있어서도 비판과 지적 중심의 첨삭보다는 격려하고 칭찬해 주는 첨삭을 요구했다. 본 첨삭지도모형 설계는 학습자의 실제적인 요구조건을 고려하면서, 내용, 구성, 표현을 기본요소로 하여 첨삭기준안을 마련하고, 이것을 수업 또는 개인첨삭 사례에 적용하여, 첨삭지도모형을 도출하는 과정을 거쳤다. 첨삭지도모형은 실제 수업 중에 진행된 교과영역의 공개첨삭과 글쓰기 센터 상담 프로그램에서 진행된 비교과 영역인 대면첨삭으로 구분했다. 공개첨삭의 경우, 북리뷰를 표본글로 활용하여, 자료 분석, 문제점 탐색, 총평 및 영역별 조언, 개요 재작성, 수정본 완성의 수순으로 설계했다. 특히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첨삭과정은 첨삭피드백과 고쳐쓰기가 상호역동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교수자 첨삭, 학생 자기첨삭, 동료 협력첨삭이 순차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했다. 대면첨삭의 경우, 전공영역의 첨삭자료, 토론 논술문의 첨삭자료를 활용하여 공개첨삭에서 이루어지는 일반 단계를 적용하되 장르적 특성을 고려하여 단계를 첨가하거나 생략했다. 첨삭지도모형은 교육 현장에서 실제에 적용된 결과에 의해 산출된 것으로 이론과 실제의 접점을 찾아 첨삭지도 방안의 활로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학교법인 임원취임승인 취소 절차의 “시정요구”에 관한 연구

        이재교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홍익법학 Vol.23 No.4

        The requirement for correction system in the procedure for revoking approval for appointment of officers under the Private School Law is intended to ensure the autonomy of educational foundations by correcting the reasons for the cancellation of approval by themselves. However, if it is clear that correction cannot be made, approval can be revoked without requesting correction. However, the law does not specify what correction is and what it means when it is clear that correction cannot be made. Even though this is possible it is a threat to the the autonomy of educational foundations by canceling the approval of inauguration without making a request for correction. In the meantime by analyzing cases in which the competent authority has requested correction and lower courts have judged the necessity of the request for correction the meaning of “correction.” in the The requirement for correction is to take measures to eliminate the consequences caused by the reason for cancellation and prevent recurrence. It is clear that correction cannot be made even if correction is requested means a case where it is impossible to remove the result caused by the reason for cancellation, or even if it is possible, the result of the act is timely and it is meaningless to remove it afterwards.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is to control the arbitrary withdrawal of approval by the authority by limiting the grounds for the cancellation of approval for the appointment of executives and making sure to request correction before the cancellation. It must fit the purpose. 사립학교법의 임원취임승인 취소 절차의 시정요구 제도는 승인취소 사유가 발생하여도 당해 임원 스스로 시정함으로써 학교법인의 자주성을 보장하려는 것이다. 다만, 시정할 수없음이 명백한 경우에는 시정요구를 하지 아니하고 승인을 취소할 수 있는데, 법문에는 시정이 무엇인지, 시정할 수 없음이 명백한 것이 어떤 경우를 의미하는지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여 관할청이 시정 가능함에도 시정요구를 하지 아니한 채 취임 승인을 취소함으로써 학교법인의 자주성을 위협할 위험이 있다. 그동안 관할청이 시정요구를 한 사례, 하급심에서시정요구에 관하여 그 필요성 여부를 판단한 사례 등을 분석하면 시정요구에서 “시정”의 의미는 취소사유로 인하여 발생한 결과를 제거하고 재발을 방지하는 조치를 의미함을 알수 있다. “시정을 요구하여도 시정할 수 없는 것이 명백한 경우”란 취소사유로 인하여 발생한 결과를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더라도 그 행위의 결과가 시의성이 있어서 사후에 제거하는 것이 무의미한 경우다. 임원취임승인취소사유를 제한하고, 취소 전에 반드시 시정요구를 하도록 한 것은 관할청의 자의적인 승인취소를 통제하려는 것이 그 입법취지이므로 이에 대한 해석은 이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여야 하고, 관할청의 승인취소 역시 이 취지에 부합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에서의 첨삭 프로그램 현황과 개선 방안 -한성대학교를 중심으로

        나은미 ( Eun Mi Na ),권정현 ( Jung Hyun Kwon ),김인경 ( In Kyung Kim ),이현주 ( Hyun Joo Lee ),정원채 ( Won Chai Jeo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09 漢城語文學 Vol.28 No.-

        본 논문은 한성대학교 온라인 첨삭 프로그램의 구축 및 발전 과정과 <첨삭 기준안>의 마련 과정을 소개한 것이다. 또한 그 과정 속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의 검토를 통해 온라인 첨삭 프로그램의 보다 효율적인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대학에서 첨삭을 담당하는 기구들의 규모와 첨삭 프로그램의 현황을 검토했다. 국내 9개 대학을 대상으로 첨삭을 담당하는 기구의 첨삭 대상, 첨삭 담당자, 첨삭과 관련된 주요 활동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성대학교 온라인 첨삭 프로그램의 현황을 소개했다. 한성대학교 첨삭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한성대학교 온라인 첨삭 프로그램의 진행 절차와 첨삭 방법 등을 소개했다. 또한 한성대학교 첨삭 프로그램의 <첨삭 기준안> 마련의 목적과 구축과정, <첨삭 기준안>에 근거한 첨삭의 실제 사례를 소개했다. 4장에서는 구체적으로 첨삭의 정도·기준 문제, 첨삭 담당자의 교육 프로그램 문제, 영역별 지도 방안의 문제, 첨삭의 피드백 문제 등 첨삭 프로그램의 개선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 online program construction for writing correction, developmental process thereof, and devising a `standard for correction.` Problems occurring during such process were managed aptly so that an efficient improvement plan of the online writing correction program can be designed. Accordingly a size of the institutes performing corrections in university and a current status of the correction programs are evaluated in chapter two of this study. A review was made on nine domestic universities to examine objects of correction, responsible personnel for correction, major activities related with correction. A current status of the online correction program of Hansung University was introduced in chapter three. Examined were the methods of operation, operation procedures, and correction methods of the Hansung University`s correction program. Moreover purpose and constructing process of devising a `standard for correction` were reviewed. Subsequently a case study of the correction based on the devised `standard for correction` was illustrated. Considerationin chapter four as follows: specific degree and parameter of correction; training program for the personnel performing correction; and correction feedba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