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정복지학 교육실태 연구

        도광조(Do Gwang jo),김금자(Kim Geum ja),임서현(Lim Seoh hyeon),전명주(Jeon Myeong ju),유영희(Yoo Yeong hee),조희원(Cho Hee won) 한국교정복지학회 2016 교정복지연구 Vol.- No.43

        Correction welfare is offered as an elective course by Korean universities or social welfare education institutions, but its education is not so active yet in this country. Correction welfare for pre-service correction welfare workers is considered a complex science, comprehending law, correction, criminal justice, and social welfare.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acquire correct knowledge and skills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they need to have practice-oriented education. Thus, analyzing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which provide guidelines for educ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 correction welfare curriculum and the effectiveness of its classes. Thus, this study raised the questions of what should be taught to students through correction welfare courses in college education in Korea and what outcomes should be pursued through the courses. As an effor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llected syllabuses through a total survey of universiti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offered in Korean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part based on the basic form, and the part reflecting the teacher s purposes (intentions). The contents of the part reflecting the teacher s intentions are summarized into five components. This study compared the syllabuses focusing on the five components of contents, and based on the results, mad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a correction welfare course should present the teacher s beliefs clearly. In particular, the course outline should express the teacher s basic purposes of the course definitely. Second, the syllabus of a correction welfare course should reflect the teacher s specific goals of instruction throughout the course. Third, the contents of a correction welfare course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for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Fourth,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should allow the students to see the big picture of correction welfare. Fifth, information on the prerequisite course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induce the students to take interest in various areas related to correction welfare. Lastly, detailed regulations should be specified in syllabuses. At present, places executing correction welfare education are not diverse in Korea, and some schools opened courses but had to cancel them because the number of students was too small. These may represent the current state of correction welfare education in Korea. Nevertheless, the demand for correction welfare specialists is increasing gradually. Therefore,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need to spotlight the prospect and visions of this area.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survey of Korean universities throughout the country, bu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hone calls to relevant school employees or professors rather than through in-person visits. Accordingly,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superficial meanings expressed in the syllabuses, not fully reflecting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teachers and the schools offering the correction welfare courses. 교정복지학은 국내 대학이나 사회복지교육 기관에서 선택교과목으로 개설을 하고 있지만 아직은 활발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비 교정복지 실천가를 위한 교정복지 학문은 법학과 교정학, 그리고 사회복지학의 복합학문으로 볼 수 있다. 교정복지분야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기술습득을 위해 실천중심의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런 교육의 길잡이가 되는 교정복지학 수업계획서의 실태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교정복지 교과과정을 보다 체계화하고, 수업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교육에서 교정복지교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어떤 교육의 결과를 지향할 것인가를 고민하였다. 그런 고민의 과정에서 전국 대학을 전수조사하여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였으며 현재 교정복지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교의 현황기초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교정복지학 교과목 강의계획서 작성과정에는 기본적인 양식에 의하여 작성하는 부분과 교수자의 의지(의도)가 반영된 부분으로 구분이 되었다. 그중에서 교수자의 의도가 반영된 부분을 5가지 구성요소로 축약할 수 있었다. 5가지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교정복지학 수업내용에서는 교수자의 신념에 대한 부분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 강좌의 개요에서는 교수자가 수업을 진행하는 기본적인 의중을 표현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명확하게 표현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계획서에는 교수자의 수업진행 全(전)과정에 있어서 구체적인 수업의도가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수업의 내용은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를 기준으로 작성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정복지 수업계획서를 통하여 교정복지의 큰 테두리를 볼 수 있는 눈 을 키울 수 있다는 기대를 주어야 한다. 다섯째, 선수교과목에 대한 부분을 알려주어서 교정복지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학생들이 관심을 갖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강의계획서에 세부적인 규정이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교정복지학을 교육하는 곳이 다양하지 않고 일부 학교의 경우 강의 개설을 하였으나 수강생이 적어 강의 개설이 무산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현실이 아마도 한국의 교정복지 교육의 실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교정복지분야에서 전문인력 수요는 점자 증가추세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강의계획서를 세우는 과정에서 전망과 비전에 대한 부분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전국 대학교를 전수 조사하였지만, 조사과정에서 직접 찾아 가서 한 조사가 아니었으며 전화통화를 통하여 학교관계자 및 담당교수진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따라서 강의계획서에 표현된 표면적 의미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담당교수와 교정복지학 교과목을 개설한 학교의 교육목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 KCI등재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에 따른 교정복지 교재분석

        도광조(Do, Gwang‐,jo),김금자(Kim, Geum ja),임서현(Lim, Seoh‐,hyeon),전명주(Jeon, Myeong‐,ju),유영희(Yoo, Yeong‐,hee),조희원(Cho, Hee‐,won) 한국교정복지학회 2015 교정복지연구 Vol.- No.38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in Korea including 29 general textbooks and 11 advanced ones, focusing on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and courses. First, most of the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covered the concept of correction welfare, correction welfare theories, special areas of correction welfare, correction welfare and social treatment, practice and techniques of correction welfare, etc. Studies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during the last five years tended to converge on six semantic categories: ① restorative justice; ② classification of criminals; ③ correction welfare and social treatment; ④ social welfare approaches; ⑤ practice and techniques of correction welfare; and ⑥ correctional social workers. In addition, most of current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reflected the authors’ intention of writing rather than the guideline of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Furthermore, none of the textbooks included all of the 6 categories found in the recent trend of research.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contents and direction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in the guideline of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to be published in the future. First,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acquire ‘an eye to see the large framework of correction’ through the correction welfare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meanings and necessities of correction welfare clearly. For this, field‐oriented contents should be supplemented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their in‐depth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s in charge of treatment in community. Thir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scope of specific groups of subjects for clearer understanding of correction welfare subjects. Fourth, contents need to be reinforced about the introduction and necessities of the correctional ocial worker system. Fifth, textbooks should reflect recent issues of research such as treatment in community, restorative justice, social rehabilitation, school violence, juvenile crimes, and rehabilitation protection. Sixth, the prospect and vision of correction welfare science need to be supplemented. Seventh, sciences in the area of correction involve various disciplin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tudy of criminal law and the study of correction that are learnable together with the correction welfare curriculum, and contents should be added about the necessities and effectiveness of synthetic thinking in the practice of correction welfar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uggest compulsory and elective courses to be completed in each year to students interested in correction welfare by presenting a roadmap for taking courses related to basic subjects in each semest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정복지 전체교재 29권, 중점교재 11권, 최근 5년간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교정복지 교재 및 교정복지교과목 지침내용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교정복지 교재 전체를 살펴보 면 대부분의 교재들은 교정복지의 개념 이해, 교정복지이론, 교정복지의 특별영역, 교정복지와 사회적 처우, 교정복지 실천 및 기술론 등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의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6개의 의미범주단위로 수렴되는 경향이었다. ① 회복적 사법 ② 범죄인의 분류 ③ 교정복지와 사회처우 ④ 사회복지적 접근 ⑤ 교정복지실천 및 기술 ⑥ 교정사회복지사 등이었다. 또한 현재 교정복지 교재는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의 기준보다는 저자의 집필의도를 중심으로 교재를 구성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아울러 최근연구동향에서 나타난 6개의 범주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발간될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에서 교정복지 교과목의 내용과 방향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교정복지 교과목을 통해 ‘교정의 큰 테두리를 볼 수 있는 안목’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정복지의 의미와 필요성을 명확히 제시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교정기관에 대한 이해, 사회 내 처우를 담당하는 기관에 대한 심층 이해를 돕기 위한 현장중심의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정복지 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상자의 특징과 범위를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교정사회복지사 제도의 도입과 필요성에 대한 내용의 강화이다. 다섯째, 최근 연구동향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사회 내 처우, 회복적 사법, 사회복귀, 학교폭력, 소년범죄, 갱생보호 등 변화를 고려한 집필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정복지학의 전망과 비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일곱째, 矯正(교정)분야 학문은 다양한 학문들이 연동된 종합학문분야이다. 따라서 교정복지 교과목과 함께 학습 할 수 있는 형법학, 교정학에 대한 소개가 필요하고 교정복지분야 실천에 있어서 종합적사고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다른 기초과목과 연관된 과목을 학기별로 이수할 수 있도록 로드맵을 제시하여 교정복지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학년별로 이수해야 할 필수・선택과목의 교육과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AI 플랫폼 구축 연구

        조희원(Cho, Hee won),도광조(Do, Gwang jo),유병선(Yu Byeong seon),박준수(Park Jun su) 한국교정복지학회 2021 교정복지연구 Vol.0 No.70

        본 연구는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출소자 재범방지 정책과 관련된 의사결정의 최적화 지원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빅데이터를 개념화(이론모형 및 내용 체계)시키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업무 수행체계를 제안하였다. 이 제안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AI 기반 플랫폼은 출소자를 둘러싸고 있는 지역사회 범죄예방 생태계의 데이터를 체계화시키고 갱생보호사업 수행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처리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것에 있다. 둘째, 데이터를 가공하여 처리하고 종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부분이 빅데이터 활용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정책 추진 시 인프라 구축 및 유지관리하는 기능보다는 출소자 사회적응 향상에 대한 가치 창출 및 출소자 지원사업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능이 중심이 되는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법무보호지능센터(가칭)” 구축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빅데이터의 가치를 공유하고 활용하는 데 있다. 따라서 지속해서 내부 전문가를 양성하고 홍보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빅데이터의 가치 공유와 실천은 지역사회 범죄예방실천과 공단의 의사결정의 최적화를 지원할 수 있고 나아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이 선제적인 맞춤형 갱생보호서비스를 실현해 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주관하는 2020 데이터플래그십 공모사업을 통하여 구축한 “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 AI 플랫폼”을 잘 활용하여 출소자들의 사회적응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지역사회와의 연결고리를 맺어줌으로써 출소자들이 온전히 사회적응을 하도록 하며, 재범방지를 향하는 길로 가는 것이 국가 및 지역사회의 책무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support optimization of decision making related to ex‐prisoners recidivism prevention policies based on big data, and conceptualized the big data of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theoretical model and content system), and proposed a work performance system to utilize it. First, this platform is to systematize the data of the crime prevention ecosystem in the community surrounding ex‐prisoners, and to create value by collecting, processing‐treating data necessary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rehabilitation protection projects. Second, it can be said that the part that creates value by processing, treating, and synthesizing data is the core of the use of big data. Third, when implementing policies, rather than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infrastructure, the construction of the “Legal Protection Intelligence Center (tentative)” of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which focuses on creating value for improving ex‐prisoners social adjustment and supporting decision‐making in support projects for exprisoners, should be given priority. Fourth, it is to share and utilize the value of big data.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tinuously cultivate and promote internal experts. Fifth, sharing and implementing the value of big data of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can support the practice of crime prevention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optimization of the Agency’s decision‐making, and furthermore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s realizing preemptive customized rehabilitation protection services. It is important for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to reinforce the social response capacity of ex‐prisoners by making good use of the “big databased AI platform for prevention of ex‐prisoners recidivism” established the 2020 data flagship contest organized by the Korea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By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his way,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nation and the community to help ex prisoners to fully adapt to society and to go on the path towards recidivism prevention.

      • KCI등재

        다문화 가정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우관계의 매개효과

        박소영 ( Soyoung Park ),도광조 ( Kwangjo D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교우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영주시와 안동시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최종 242부를 통계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이 연구는 학교생활만족에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교우관계는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은 미친다. 교우관계는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에 완전매개한다. 교우관계는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만족에 부분매개한다. 결국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교우관계 증진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friendship relationship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inal 242 copies collecte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impact of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on friend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Friend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Friendship is fully mediated by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Friendship is partly mediated by self-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Ultimately, a training program to promote friendship will be needed to increase self-resilience and self-esteem.

      • KCI등재

        출소자를 고용한 경험에 관한 연구 :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중심으로

        조희원(Cho, Hee-won),도광조(Do, Gwang-jo) 한국교정복지학회 2020 교정복지연구 Vol.0 No.64

        본 연구는 출소자 신분을 알고도 직원으로 고용하여 생활지도를 하며 사업장을 경영한 고용주의 경험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출소자를 고용한 고용주의 경험에 대하여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정 복지적 관점에서 출소자의 고용에 대한 인식변화 및 사회복지 차원에서의 실천적 의미를 찾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질문으로 “출소자를 고용한 고용주의 경험은 어떠한가?”를 상정하였다. 연구자는 밴 매넌의 네 가지 실존체를 준거로 출소자를 고용한 고용주 경험을 분석한 결과 본질적 주제(4개), 체험분류(12개), 체험내용(30개)을 도출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네 가지 실존체를 통하여 드러난 체험적 신체(어색함과 불안함 교차, 받아들임, 강인함으로 포장)에서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의 기회’를, 체험적 타자(특별한 당신, 차별이 아닌 차이, 협력적 동반자)에서 ‘내가 아닌 또다른 주체’를, 체험적 공간(제도적 공간, 무질서, 공동생활 구역)에서 ‘지평의 변화’를, 체험적 시간(깨달음과 기다림, 인고의 시간, 준비 없는 이별)에서 ‘익숙하지 않은 것에 대한 호의’라는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질문으로 상정하였던 출소자를 고용한 경험의 본질은 다음과 같다. ‘출소자 고용’은 고용주가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였지만 또 다른 기회의 선택이며, 미묘한 갈등, 무질서, 어색함, 불안, 준비 없는 이별 등 이색적 경험이었다. 고용주는 그런 과정을 통하여 출소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부 제도를 알고 활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출소자 직원들의 차이를 인정하고 협력적 동행으로 변화된 환경을 온전히 받아들이기 위해 ‘기다림’과 ‘인고의 시간’이 필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employers who guided their lives by employing them as employees and managed the workplace even when they recognized the status of released priso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mployers employing released prisoners, and based on this,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of released prisoners and their practical meanings in terms of correctional social welfare. And based on interviews as to the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and guidance experiences of the employers who know the status of released prisoners and employ them,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correction (矯正) and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that they perceive.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proposed a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experience of an employer employing a released prisoner? As a result of this study analyzing experiences of employers employing released prisoners based on Van Mannan s four entities, the researcher derived essential subjects (4), experience classifications (12), and experience contents (30). With a more specific investigation, the essential subjects derived in this study are ‘a opportunity to challenge new things’ from experiential bodies (crossing awkwardness and anxiety, acceptance, packing with strength), revealed through four entities, ‘other subjects not me’ from experiential others (special you, difference other than discrimination, cooperative companions), ‘a change in horizon’ from experiential spaces (institutional spaces, chaos, shared living zones), and ‘a favor for things unfamiliar from experiential time (enlightenment and waiting, time of endurance, parting without prepa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of hiring released prisoners, which was suggested as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Released prisoner employment’ was also part of the employer s efforts to overcome difficulties in reality, but it was another choice of opportunity, and exotic experiences such as subtle conflict, chaos, awkwardness, anxiety, and unprepared parting. Through this process, employers were made aware of and utilized various schemes related to released prisoners, and recognized the differences among employees. And to fully accept the changed environment through cooperative walks, they came to realize that ‘waiting’ and ‘time of endurance’ were needed.

      • KCI등재

        교정(Correction)자원봉사 체험에 관한 연구 - 출소자 고용 및 생활지도 경험을 중심으로 -

        조희원(Cho, Hee‐,won),도광조(Do, Gwang‐,jo) 한국교정복지학회 2019 교정복지연구 Vol.0 No.60

        This study used van Manen s hermeneutical methodology, which is characterized by analysi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in-depth exploration of experience of participants, and exploration of literature, artworks, and etymology amo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nd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of correction volunteers experience of employment and life guidance to support the complete social return of released priso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of correction volunteering, which is a volunteer activity of the members in society for the successful independence of criminals, to sugges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our society on released prisoners, and further to make suggestions on correction volunteering system and criminal policy.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 was posited as What is the experience (employment and life guidance of released prisoners) of correction volunteer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interviews using van Manen s data analysis method, six essential themes and 19 subthemes were derived. The six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from referring to the participants statements, literary works, and etymology, and the contents were the first button of together but thought differently , the struggle and the hedgehog s love , the beautiful accompaniment , the rich autumn , my backwardness that I discovered unexpectedly , and my change is the seed of change of other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actical suggestions are made. First, there is a need to run a self-help group that can shar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information to employers who have experienced hiring released prison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case management system for employment support and employment promotion of released prisoners. Third,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environment and their needs, focusing on those with experience of employing released prisoners. Fourth, to increase the reflection experience of employers of released prisoners, customized education is needed to strengthen competencies. Fifth,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situation-specific response strategy based on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by establishing working procedures (standards) for the employment and life guidance of released prisoners between employers of released prisoners. Sixth, it is necessary to add personality education and interpersonal programs in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program. Seventh, it is necessary to have a support system (law) for the employment promotion of released prisoners. Eighth, it is necessary to promote storytelling techniques to improve public awareness of the need for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and life guidance.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참여자의 체험에 대한 심층적 탐구와 문학, 예술 작품 및 어원의 탐구 등 다양한 자료를 함께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 매넌(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사용하여 범죄전력자들의 온전한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교정자원봉사자들의 출소자 채용 및 생활지도 체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범죄자의 성공적 자립을 위한 사회 구성원의 자원 봉사활동인 교정 자원봉사체험의 본질이 어떠한지를 탐구하여 출소자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 변화, 나아가 교정자원봉사제도, 형사정책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는 것이 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질문은 “교정자원봉사자의 체험(출소자 고용 및 생활지도)은 어떠한가?” 로 상정하였다. 참여자의 면담내용을 밴 매넌의 자료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9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본질적 주제는 참여자의 진술과 문학작품, 어원 등을 참고하여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동상이몽의 첫 단추’, ‘몸부림과 고슴도치 사랑’, ‘아름다운 동행’, ‘풍성한 가을’, ‘뜻밖에 발견한 나의 뒷모습 ’, ‘나의 변화가 타인 변화의 씨앗’ 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범죄전력자(출소자)를 고용한 경험이 있는 고용주들 상호 경험을 공유하고 정보전달을 할 수 있는 자조집단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범죄전력자(출소자)들의 취 업지원 고용 촉진을 위한 통합 사례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출소자 고용주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출소자 고용환경 및 요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출소자 고용주들의 ‘성찰’ 경험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 형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출소자 고용주들 간에 출소자 채용 및 생활지도 업무 절차(기준)를 마련하여 출소자 채용에 따른 상황별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출소자의 취업프로그램 과정에서 인성교육 및 대인관계프로그램 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범죄 전력자에 고용촉진을 위한 지원 제도(법령)가 필요하다. 여덟째, 출소자 채용 및 생활지도의 필요성에 대한 대국민 인식개선을 위한 스토리텔링기법의 홍보가 필요하다.

      • KCI등재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김동주 ( Dongjoo Kim ),김나현 ( Nahyun Kim ),도광조 ( Kwangjo D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이 삶의 질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 고령화 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에서 조사된 베이비부머 774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사회활동, 삶의 질, 가족지지는 서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활동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활동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가족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베이비부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활동, 우울, 가족지지를 고려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among baby boomers. The subjects were 774 baby boomers surveyed in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SPSS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activities, quality of life, and family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Thir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social activities, depression, and family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as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baby boomers.

      • 농촌노인들의 소외의식과 사회복지적 접근모색

        도광조 安東大學校 安東地域社會開發硏究所 1999 安東開發硏究 Vol.10 No.1

        본 연구는 안동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해서 농촌노인들의 소외감 정도와 소외감에 영향 미치는 요인들을 유추해보고 사회복지적 차원의 접근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안동지역노인들의 소외수준은 5점척도에서 평균 3.11정도를 나타내어 다른 도시노인들의 소외감정도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소외감의 하위유형 중 문화적 유리감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부분으로 본다. 성별, 교육정도, 가족수, 직업유무, 한달용돈정도, 한달 용돈규모에 대한 만족도, 노인대학 경험여부, 주간에 일이나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지 여부, 가족으로부터의 충분한 대우에 대한 인식 등의 변인들이 안동지역 노인들의 소외정도에 유의미한 인과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중 가족으로부터 충분한 대우를 받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 노인들의 소외를 결정하는데 가장 크게 작용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하고자 한다. 첫째, 농촌노인들의 소외감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기존의 노인정이나 마을회관 등을 간이사회복지시설화하고 사회복지사를 채용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가지고 농촌노인들의 소외에 접근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시설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자원봉사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건강도 도모하고, 사회활동의 욕구나 사회관계의 욕구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농촌노인들에게는 경제적인 욕구도 충족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마을단위의 공동작업장을 운영하여 용돈확보도 용이하게 하고, 공동작업을 통해 소외감 극복도 가능케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농촌노인들에게 있어 가족으로부터 충분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지 여부가 소외감정도의 차이를 가져오는데 결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가족복지적 차원의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과 그 가족들이 함께 할 수 있는 기회가 많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