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 및 생애능력의 구조적 분석

        박명신(Park Myeung S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 및 생애능력의 구조적 분석을 위해 전국 17개 시ㆍ도 지역의 평생교육기관 및 시설에서 평생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 1,213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은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은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은 생애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은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이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을 기반으로 생애능력에 더 많은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The subjects were 1,213 adult learners who were over 20 years old. They had a lifelong learning experience in various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and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located in 17 municipal and provincial areas. The statistical method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long learning educators' Adult learners recognized core competency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adult learners' life competencies. Second, the lifelong learning educators' core competency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adult learners' cognitive learning competency. Third, the adult learners' cognitive learning competency significantly affects on life competencies. Fourth, the adult learners' cognitive learning competency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lifelong learning educators' core competency and the adult learners' life competencies. In other words, the lifelong learning educators' core competency based on the adult learners' cognitive learning competency has great effect on life competencies.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델링

        김용덕(Kim Yong Deok),최동연(Choi Dong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최근 정보와 지식기반 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새로운 평생교육기관 및 고등교육환경으로 사이버대학교의 위상이 강화되고 있다. 사이버대학교의 주요 재학생은 성인학습자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이 성공적으로 학교생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 성인학습자에게 적합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필수 역량을 도출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우선 디지털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성인학습자에게 요구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세분화하여 잠정적인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런 다음 22명의 사이버대학교 현직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23일부터 10월 19일까지 2차에 걸친 델파이기법을 실시하여 잠정적인 역량을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역량에 대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5개의 역량군, 16개의 역량, 26개의 역량 정의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정보와 자료이용 역량군’, ‘의사소통과 협업 역량군’, ‘디지털 콘텐츠 개발 역량군’, ‘안전과 보안 역량군’, 그리고 ‘문제해결 역량군’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대학교에 근무하는 교수의 관점뿐만 아니라 행정을 담당하는 직원의 관점에서 성인학습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추출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이러닝을 수강하는 학습환경뿐만 아니라 학교시스템을 이용할 때 요구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까지 종합적으로 포함하였기 때문에 향후 성인학습자의 성공적인 학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with the transition to an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the status of cyber universities has been strengthened as means of new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higher education systems. The major students at cyber university are composed of adult learners, who nee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to succeed in school lif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essential competency for digital literacy suitable for cyber university adult-learners. For this purpose,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digital competenc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potential digital literacy competency required by adult learners. Then, the Delphi survey of 22 in-service cyber university experts was implemented to revise potentially designe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for adult learners. Lastly, the validity of the revised digital literacy competence was conducted by experts and finally five unites of competency, 16 detailed competencies, and 26 competencies definitions were finali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s it that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required for cyber university adult learners are information and data use competency ,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y , digital content development competency , safety and security competency and problem solution competence .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necessary for adult learners is to extracted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in-service professors at cyber university but also from that of administrative staff. These results, which include comprehensiv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not only for the e-learning environment but also for using school system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upport the successful learning of cyber university adult learn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수업에서 역량기반평가활동이 학습자 역량 및 수업효과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Kim Hye kyung),윤홍권(Yoon Hong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역량기반교육과정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론으로 CEA(Course-Embedded Assessment)중심 역량기반수업설계모델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업은 교과목에 정의된 역량을 토대로 역량기반평가활동을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7년 2학기에 역량기반수업을 수강한 학습자들의 역량향상도와 수업효과성에 대한 인식조사를 개강 초와 종강 직전에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자들은 역량기반수업을 통해 핵심역량(t=-8.326, p<0.001) 및 전공역량 (M=3.98, SD=0.730)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년별 향상도차이를 분석한 결과, 1학년에 비해 3-4학년의 역량향상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들은 역량기반평가할동을 진행한 수업에 대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M=4.06, SD=0.671). 특히, 학습자들은 역량기반평가활동이 구체적인 평가를 한다는 긍정적 인식 외에도, 교수자의 열정 및 강의준비 노력,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수업에서 역량기반평가활동을 운영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역량 향상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한 효과성 분석연구가 후속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역량기반수업모델은 역량기반교육과정의 교과목 운영 모델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새로운 역량기반수업 운영모델을 창출하는 데 토대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EA model, competency-based instruction focused on competency-based assessment. So,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effect on competency-based assessment for improving learners’ competency and perception of course effectiveness. To investigate the learners’ competency, this study focused on core(or general) competency for S university in second semester in 2017 and specific competency for each department/program. The result of study was like this following. First, learners was improved specific competency (M=3.98, SD=0.730) as well as their core competency(t=-8.326, p<0.001). Also, both competency of senior students was improved more than that of fresh students. Secondly, learners perceived the competency-based instruction effectively more than lecture-based instruction(M=4.06, SD=0.671). Especially, students perceived more positively in many ways of competency-based assessment’s concreteness as well as teachers’ passions, endeavor for course preparation and goal achieving. It will be needed further research o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for model’s effectiveness. The model is expected to be utilized widely as a framework for the competency-based instructional design focused on competency-based assessment.

      • KCI등재

        교수역량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분석을 통한 교수역량 강화 방안 탐색

        박혜영(Park Hy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learner on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teaching competency, to examine the teaching competency that be improved and explore methods to strengthen teaching competencies. For this study, professors and learners of K University and S University in Chungnam were surveyed on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teaching competencies. The 6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 IC 14, t-test, response sample t-test, Borich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case of importance, the perception of the learn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rofessors in the lecture competency group and improvement competency group, and in the practice,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or was higher in the basic competency group, and the perception of the learn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mprovement competency group. Second,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which need to be improved. The professor recognized educational expertise, relationship with students, preparation for lectures, and development, and the learners recognized teaching skills, relationship with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tasks, and evaluation as the teaching competencies that require to be improved first.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to strengthen teaching competencies were presented and follow-up researches to generalize this study were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교수역량 강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남 소재의 K대학과 S대학의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수역량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615건의 자료는 Stata IC 14를 사용하여 t-test, 대응표본 t-test, Borich 요구도 산출,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에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의 경우 수업역량군과 개선역량군에서 학습자의 인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실행도의 경우 기본역량군에서 교수자의 인식이 개선역량군에서 학습자의 인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역량 강화를 위해 개선이 요구되는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에서도 교수자와 학습자 간 차이가 나타났다. 교수자는 교육전문성, 학생과의 관계, 강의준비, 전개를 학습자는 교수로의 소양, 학생과의 관계, 커뮤니케이션, 과제 및 평가를 최우선 개선요구 교수역량으로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역량 중심 교육으로서의 율곡의 교육사상 연구 : 학습자중심교육과의 비교를 통해

        김병국(Kim, Byung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최근에 점차적으로 우리나라 대학의 주요한 학습방법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학습자중심교육의 교육목적과 교육방법의 취지를 15세기 율곡의 교육사상 속에서 찾아보아 우리나라에서의 학습자중심 교육의 취지의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오늘날 학습자중심교육의 적절한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방법 학습자중심교육의 공통적인 교육목적과 학습자중심 교육 중 PBL, 팀기반학습, 플립드러닝의 독특한 교육방법들을 살펴보고, 아울러 율곡의 교육에서의 교육목적, 교육방법을 각각 밝힌 후에 이 두 교육의 교육목적, 교육방법을 비교 연구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서 오늘날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보완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이 두 교육에 있어서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적인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습을 중요시한다. 둘째,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과 상호소통역량 등 학습자의 역량 향상을 중요시한다. 즉, 개별학습, 집단학습을 통해 각 주제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함으로써 해당 주제를 온전히 이해하여 해당 문제를 해결토록 한다. 셋째, 자기주도적 학습, 질의응답과 토론의 방식을 사용한다. 넷째, 수업에 있어서 교수자의 수업 설계 역량과 운영 역량을 중요시한다. 교수자는 해당 주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학습자에게 알려주고, 해당 주제에 대해서 쟁점이 되는 문제를 준비하여 제시한다. 다섯째, 교수자는 학습내용을 평가하여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에 반영토록 한다. 그리고 이 둘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에 대한 역할의 차이이다. 둘째, 학습자의 생활태도에 대한 입장의 차이이다. 셋째, 시스템의 활용에 대한 차이이다. 결론 이 두 가지 교육에 있어서 그 교육방법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15세기에 이미 우리나라는 학습자중심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음을 이 두 교육방법을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오늘날 역량중심교육에서 학습자들이 학습성과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강조해야 할 것은 바로 학습자 간뿐만 아니라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도타운 신뢰를 형성하는 것인데, 이러한 신뢰는 교수자가 해당 수업에서 다루는 주제에 대해서 얼마나 깊이 있는 통찰력을 갖고 있는지, 학습자들의 개인 활동과 팀 활동에 대해 얼마나 적절한 학습을 지원하고, 피드백 등을 적절히 지원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엄밀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하는지와 같은 교수자의 역량이 크게 좌우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 동기를 명확하게 갖는 것이다. 오늘날에는 학습자들의 성향과 욕구는 매우 다양하므로, 교수자는 이들의 다양한 성향과 욕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명확한 학습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리터러시를 활용하여 교육 자료를 제작, 운영하고 LMS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교육성과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Objectives In recent years, The educational purpose and method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are gradually becoming the main learning method of Korean universities, so I find the spirit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Yulgok s educational thought, and I want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spirit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Korea. I would like to suggest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today s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s I will examine the common educational purpos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unique educational methods of PBL, team-based learning, and flipped learning among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I will reveal the educational purpose and educational method in Yulgok s education. Next, the purpose of these two educations and educational methods are comparatively studied to find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nd to present complementary points in today s learner-centered education. Results What these two educations have in common is: First, it emphasizes learning to solve real-world problems. Second, it places importance on improving learners competencies, such as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skills. In other words, by approaching each topic from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individual and group learning, it is possible to fully understand the topic and solve the problem. Third, it uses the method of self-directed learning, question-and-answer and discussion. Fourth, it emphasizes the instructor s class design competency and operational competency in class. The instructor informs the learner of the basic concept of the subject, and prepares and presents a problematic problem on the subject. Fifth, the instructor evaluates the learning content so that the learners reflect it in their own learn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ole of the instructor.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arner s attitude toward life.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the system. Conclusions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methods in these two educations, it can be confirmed by comparing these two educational methods that Korea was already implementing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the 15th century. And in today s competency-based education, what learners need to emphasize first in order to achieve learning outcomes efficiently is to form trust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as well as between the learners. Instructor s competency, such as how deeply he(or she) has insight on the subject, how appropriate to support learning, how to appropriately support feedback, and how rigorous evaluation tools are used to evaluate learners individual and team activities I think it greatly influences.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education is that learners have a clear motivation for their learning. Since learners inclinations and needs are very diverse these days, the instructor needs to make efforts to motivate learners clearly through analysis of their various tendencies and needs. In addition, digital literacy should be used to produce and operate educational materials, and LMS should be used efficiently to enhance educational performance.

      •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초급 양태 표현을 대상으로-

        이정란 시학과언어학회 2011 시학과 언어학 Vol.0 No.2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pragmatical competence. The pragmatical competence was examined in the acquisition of modality expressions: [obligation] '-아야 하다 (must, should)', '[desire] '-고 싶다 (want to)', [intention] '-으려고 하다 (plan to, intend to)', [conjecture] '-은/는/을 것 같다 (it seems that)'. These expressions are carrying on polite speech act in discourse,The factors are provided in three categories: language competence factors, environment factors and learner factors. Language factors included specific grammatical competence and general competence, proficiency. Environment factors included length of residence and time of communication with Koreans. Learner factors included the native languages of the learners, sex of the learners and age of the learners. In order to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pragmatic competence, I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34 learners of Korean.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only grammatical competence affects pragmatical competence. This result showed that grammatical competence is required for pragmatical competence.

      • KCI등재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화용 능력 고찰 -영어권 교포학습자와 비교포학습자의 담화분석을 중심으로-

        이동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어 교육 Vol.19 No.3

        Although universals of language pragmatics may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interlanguage pragmatics, L2 learners of heritage and non-heritage display a noticeably different pragmatic system in L2. Even fairly advanced language learners of Korean often lack pragmatic competence, which is the knowledge of what to say, how to say it, and to whom in a given context. In response to these issues, this presentation reports a qualitative analysis regarding the following criteria: a) discourse structure, (b) discourse function, (c) amount of information, (d) level of formality, (e) level of directness and (f) politen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attending Korean Flagship Program at Korea University (8 non-heritage learners, 13 heritage learners), whose language level was equivalent to advanced low to high in the scale of ACTFL OPI. For the data building, learners' electronic mail text as well as OPI role play transcription collected. The results from data analysis reveal that heritage and non-heritage learner groups respectively showed the predictable discourse features on their own. Data results from the students also revealed that the learners of different proficiency applied their own pragmatic competence from their own culture to their performance in various socio-pragmatic situations they encounter.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is presentation will support the need for the ways of explicit teaching pragmatics that situate socio-cultural tasks.(Korea University)

      • KCI등재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 연구 : S대학교를 중심으로

        최미순(Choi, Mee-Soon),조혜영(Jo, Hy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교수자 98명과 학습자 1,900명이다. 최종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Scheffé 사후검증)를 통해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은 평균 4.57점 부터 4.74점이지만, 교수자의 성별, 캠퍼스 유형, 연령, 단과대(학부) 유형에 따른 교수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은 평균 3.87점 부터 3.94점이며, 성별, 연령, 단과대(학부)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반면, 학년과 캠퍼스 유형에 따른 교수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에 비해 교수자가 .61점 부터 .80점 까지 더 높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수자 스스로의 역량 수준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학습자 간 교수역량 인식 차이를 통해 부족한 역량은 강화시킴으로써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fference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and lear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8 teachers and 1,900 learners. We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and ANOVA(Scheffe’s post test) on collected data.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was 4.57 to 4.74, but the teaching competency difference by gender, type of campus, age and type of colleg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average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learners was 3.87 to 3.94, and the teaching competency difference by gender, age and type of colle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by grade and type of campu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and learners, the teachers evaluated higher than learners from 0.61 to 0.80,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opportunity to clearly understand the level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and lack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learners expect to be strengthened to improv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초급 양태 표현을 대상으로-

        이정란 ( Jung Ran Lee ) 시학과 언어학회 2011 시학과 언어학 Vol.21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pragmatical competence. The pragmatical competence was examined in the acquisition of modality expressions: [obligation] ``-아야 하다 (must, should)``, ``[desire] ``-고 싶다 (want to)``, [intention] ``-으려고 하다 (plan to, intend to)``, [conjecture] ``-은/는/을 것 같다 (it seems that)``. These expressions are carrying on polite speech act in discourse, The factors are provided in three categories: language competence factors, environment factors and learner factors. Language factors included specific grammatical competence and general competence, proficiency. Environment factors included length of residence and time of communication with Koreans. Learner factors included the native languages of the learners, sex of the learners and age of the learners. In order to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pragmatic competence, I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34 learners of Korean.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only grammatical competence affects pragmatical competence. This result showed that grammatical competence is required for pragmatical competence.

      •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역량, 의사소통, 성인 학습자의 자기 주도학습능력,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최세이(Se Yi Choi),이복희(Bork Hee Lee)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2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역량, 의사소통, 성인 학습자의 자기 주도학습능력,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성인 학습자 557명을 대상으로 SPSS WIN 23.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수역량은 교수자의 의사소통과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수역량의 하위변인인 기획역량은 성인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의 의사소통과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수자의 의사소통과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교수역량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성인 학습자의 학습성과 극대화와 평생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수역량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y, communication,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outcome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23.0 and AMOS 26.0 programs for 557 adult learners with experience in lifelong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eaching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and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lanning competency, a sub-variable of te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performance of adult learne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and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and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ompetency and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competency strategies for maximizing the learning performance of adult learner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