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평생교육HRD 학회설립 300일의 여정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김종천(Jong Cheon Kim),홍성욱(Sung Wook Hong),정은희(Eun Hee Jeong),정은영(Eun Young Jeong),김차순(Cha Soon Kim),이정희(Jeonghee Lee),윤동현(Dong Hyun Yoon)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2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신생학회 설립을 위한 준비과정에 참여한 평생교육HRD를 전공한 박사들의 활동과 진행 과정을 추적한 기록물이다. 연구 진행은 학문적 체계를 담당하는 학회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참여자의 경험을 토대로 내러티브로 기술하고 자문화기술지로 보완하였다. 연구내용은 학회설립 과정에 참여한 7명의 활동을 통해 신생학회가 무형(無形)에서 유형(有形)의 모습을 갖추어 가는 과정을 회의 진행의 관찰과 기록, 면담, 에세이 등의 실증적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된 관심은 학회설립 과정의 견해와 의미를 참여자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발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학회설립 과정을 알기 위해 설정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회설립이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의미, 둘째, 참여 과정에서의 갈등과 극복의 과정, 셋째, 학회설립 과정의 내러티브에 대한 학문적 의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추적한 내러티브의 연구경로는 ‘참여 초기’-‘참여 중기’-‘참여 말기’이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학회설립 과정의 인식은 ‘수행-고충-책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활동을 통한 역할 변화는 ‘학회설립준비위’-‘창립총회 추진 위’-‘공동연구 활동’-‘학회설립’-‘연구 지속’ 등으로 이어졌다. 연구 결론은 학회설립의 참여 경험은 기존학회의 주변 의식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주인의식으로 인식이 전환된 점이다. 이러한 경험은 학회를 바라보는 ‘안목 확장’과 박사로서 필요한 인식과 역할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평생 학습적 함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record following the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the PhDs who have engaged in the preparation cas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00 Society. The research process was stated as a narrative grounded in the experiences of the applicants in the procedure of establishing a society in charge of the academic system. The topics of the research are the activities of the 7 people who partook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how the meeting was held. In the process, it was examined through observational data, such as inspections, archives, and interviews, to see if the society was organized from being nonexistent to material. The fundamental matter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and meanings of the establishment process from the viewpoint of the candidates.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establishment process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the establishment of a society on the candidates, second, the process of conflict and resolution during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third, the academic meaning of the establishment process archives of the of the society. In order to figure out these problems, the research path of the history tracked are ‘early participation’-‘mid-participation’–‘late participation’ periods. It was observ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chievement- hardship-responsibility dur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society. The responsibility felt by the participants led to ‘Society Establishment Preparation Committee’-‘The Founding General Assembly Promotion Committee’ - ‘Joint Research Activities’-‘Journal Publications’-‘Research Continuation’ in the ultimate goal of establishing the society . The involvement by the participants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resulted in their perceptions transitioning from being bystanders to active participants. These experiences have meaning in that they 'expanded vision' and 'changed attitudes' towards the society.

      • 평생교육교수자의 인상관리가 교육만족도와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낙영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2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 교수자의 인상관리가 성인학습자의 교육성과에 어떻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교수자의 인상관리를 통한 성인학습자의 교육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및 충청도 지역 평생교육 기관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총 1,050부를 분석하였다. 조사 자료는 SPSS 22.0 Program, 내용타당성, 빈도분석, I-test, 일원변량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검사, 탐색적 요인분석, 피어슨(Pearson) 상관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해 경로분석과 경로에 대한 효과분해를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정을 통해 직 간접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교육현장에서 평생교육 교수자의 인상관리가 강화될수록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와 교수자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되었고 성인학습자가 교수자와 교육내용을 만족하게 되면 교육성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상관리와 교육성과의 관계에서 교육내용만족도와 교수자만족도는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적 측면은 평생교육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수자의 인상관리가 교육만족도와 교육성과 사이에 충분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실증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평생교육 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의 관계에서 교수자의 인상관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실무적 측면은 평생교육기관에서 다양한 주제의 포로그램과 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할 때, 교수자의 인상관리가 직 간접적으로 교육성과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교수자의 인상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고, 향후 평생교육 교수자는 선행연구자들의 연구 흐름과 방향에 연계하여 인상관리 역시 더욱 신경 써야 한다는 현실적인 메시지를 시사하였다.

      • 한국평생교육 · HRD 학회 사례연구

        정은영(Eun Young Jeong),김차순(Cha Soon Kim),이정희(Jeong Hee Lee Lee)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3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 No.1

        연구배경 : 한국평생교육⋅HRD학회 설립 준비위원으로 활동한 7인의 박사들이 학회 설립 과정에서 경험한 인식 변화와 구성원 관계, 나아가 평생교육과 관련한 영향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학회설립 활동 과정에서 어떻게 인식이 전환되는지 살펴보고, 역할의 정립을 탐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는 학회설립 참여동기, 참여 과정에서 전환된 인식, 역할수행 경험이 참여자 자신에게 미친 영향 등이다. 연구방법 : 연구참여자들의 참여 에세이, 심층 면담, 참여 관찰, 회의 진행 결과물과 개인 기록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분석한 질적 사례연구다. 연구결과 : ‘주변 돌기’, ‘마주 보기’, ‘멀리 보기’로 핵심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박사로서의 책무와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참여 과정에서 인식 차이와 소통 부재, 부담감에 따른 딜레마적 경험을 하였다. 그러나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며 인식 변화가 일어났고, 능동적 활동가로 변화하여 참여 경험을 연구 주제로 발전시켰다. 시사점 : 학회설립 참여 경험을 통해 박사들의 인식이 바뀌었고, 일상에서 평생학습과 연구 실천이 병행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이다. Background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in perception, member relationships, and the broader impact o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even doctoral researchers who were involved in the preparation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and HRD Society.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erceptions shift dur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ociety and to explore the establishment of roles within the society. The research problem involve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society, the changed perceptions during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the impact of role performance experiences on the participants themselves. Methodology :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and comparing data such as participants' essays,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meeting outcomes, and personal records. Findings : Three key themes, namely "Looking at the Surroundings," "Facing Each Other," and "Looking into the Distance," were derived.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a sense of duty and burden as doctoral researchers and encountered differences in perception, communication gaps, and dilemmas caused by these burdens throughout the participation process. However, through achieving a common goal, their perceptions underwent transformation, leading to a shift toward becoming proactive participants, ultimately advancing their research experience as the main topic of investigation. Implication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 establishing the society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doctoral researchers' perceptions and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simultaneous engagement in lifelong learning and research practice in their everyday lives.

      • Kano모형을 통한 평생교육기관 교육서비스품질 속성분류 연구

        심지연(Ji Youn Shim)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3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 No.1

        연구배경 : 평생교육의 확대와 성장의 선상에서 ‘학습자 중심’의 평생교육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평생교육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여 평생교육 학습과정을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목적 : 교육서비스제공에 있어서 고객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품질 속성을 Kano모형을 통해 분류함으로써 학습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평생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제공에 구체적이고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평생교육서비스품질 관련 선행연구를 근거로 평생교육기관 학습자 및 교수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평생교육기관 교육서비스 품질 요인을 도출한 후 Kano 모형을 통해 품질속성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 학습자의 교육서비스 품질 만족의 증가를 위해서는 교육의 물리적 환경의 관리와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배려, 교육내용 요인, 학습자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 다양한 교류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 평생교육분야의 교육환경과 특성을 고려한 교육서비스품질 요인과 요소를 도출하고 Kano모형을 교육서비스품질에 적용한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분야의 교육서비스품질 요인과 요소 도출과 Kano모형을 학습자의 니즈파악 측면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는 평생교육분야의 선행연구로서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Background : The paradigm is shifting to 'learner-centered' lifelong education on the line of expansion and growth of lifelong education. Purpose : To present specific and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services b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by identifying the needs of learners by classifying the quality attributes recognized by learners, who are customers, through the Kano model in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s. Methodology / Approach : This study derived quality factor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learners and instructor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then classified quality attributes through the KANO model. Findings / Conclusions : In order to increase learners'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service quality, manag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ducation, consideration for various situations of adult learners, educational content factors, and opportunities to form various exchanges and networks by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s of learners provided was found to be important. Implications : Derivation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and element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nd deduction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and elemen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research applying the Kano model to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KANO model to learner's needs The evidence as a preceding study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that it can be used in the aspect of identification is presented.

      • 평생교육 교수자의 성인 발달장애인 교수경험 의미탐색

        김정연(Jeong Youn Kim),이복희(Bok Hee Lee)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2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교수자의 성인 발달장애인 교수경험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탐색하여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는 데 있다. 또한 장애인 평생교육이 꾸준히 확대되면서 평생교육 교수자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평생교육 교수자의 성인 발달장애인 교수경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교수자로서 강의를 시작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성인 발달장애인을 교육하는 평생교육 교수자의 가르침에 관한 현상 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평생교육 교수자의 성인 발달장애인 교수경험을 통하여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 Colaizzi 의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일반 강의 교수 경력 5 년 이상, 성인 발달장애인 강의 교수 경력 3년 이상으로, 교수 경력이 총 8 년 이상인 평생교육 교수자 5명을 선정하였다. 심충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선입견 깨기, 동화되며 소통하기, 지속적인 거듭남의 3개 주제군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도출된 내용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발달장애인을 교육하는 평생교육 교수자들은 교수자로서의 꿈을 이루기 위해 본인 성장도 중요하지만, 학습자의 성장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평생교육 교수자에게 열정은 지속적인 성장으로 이끄는 동력이며 학습자에게 전이될 때 학습 촉진에 긍정적 에너지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자 대상의 확장에서 참여자들이 과거의 전공이나 강의했던 내용이 현재의 강으|내용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경험이 평생교육 학습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평생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 평생교육 교수자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eaching experienc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as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fferently abled continues to expand, the demand for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s also increasing. Accordingly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tud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considered: first, what is the motivation for starting a lecture as a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what is the phenomenon experience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ho educat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what is the change through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experience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selected fiv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d more than 8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more than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of general lecture, and 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Colaizzi.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ose in-depth interviewed narrations were coded and categorized in three: breaking prejudice, assimilating and communicating, and continuous rebirth. The results revealed as followings: first, the instructor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thought that their growth as a instructor was important to achieve their dreams as much as the growth of learners'. Second, the instructors felt their passion was important element. This was the driving force of their continuous growth and a very positive energy to promote learning of adult studen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participants' past majors or lectures were related to the current lecture contents in the expansion of the targeted learners. This would be interpreted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of the instructors with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lifelong education and learning society in general, and contribu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lifelong education. The above results had the meaning of providing basic data on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for the differently abled.

      •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매개 중심 -

        성원숙(Won Suk Sung)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3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 No.2

        연구배경 : 평생학습은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직접적이면서 본질적인 목적이다. 평생학습현장에서 리더 역할을 하는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평생학습 환경에서의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평생학습 주민활동가 246명으로 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해서 설문지법은 자기 보고식(self-report)으로 온라인으로 전달하고 회수하였다. 연구에서 설계된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설문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통계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미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시사점 : 기존 평생교육과 관련한 연구와 비교하면, 평생교육 현장에서 리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평생학습 주민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지 않으므로 명확한 차별성이 있다고 하겠다. 또한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경우 사회적 지지에 비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했을 때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봤을 때,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경험과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 Lifelong learning is a direct and essential purpos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who play a leadership role in lifelong learning, on quality of life,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in various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s on quality of life,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Methodology / Approach :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subjects were 246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For empiric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delivered and collected online in self-report format. Based on the model designed in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using statistical SPSS and AMOS. Findings /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of life directly.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on quality of life was negligible. Fourth, self-efficacy showed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And, social support showed negligi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Implications : Compared to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who play a leadership role in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so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quality of life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is higher when mediated by self-efficacy rather than social support, it suggests the need to provide experiences and programs that enhance the self-efficacy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 평생교육 프리랜서 강사의 강의경험 의미 탐구

        박경은(Kyung—Eun Park)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2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 현장에서 활동하는 포리랜서 강사들의 강의경험에 대한 연구이며 ‘강의활동’이라는 주관적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의경험을 통한 삶의 변화는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하여 강의경력 5 년 이상인 강사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들의 강의경험을 경험학습 관점에서 이해하고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리랜서 강사들은 불안정한 현실도 동력으로 받아들이며 학습자들의 성장뿐 아니라 자신의 성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둘째, 프리랜서 강사에게는 자신의 배움과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에너지가 중요하다. 셋째, 프리랜서 강사들은 강의경험을 통해 교육 전문가로 성장했다. 분석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평생교육 현장에서 활동하는 포리랜서 강사들의 강의경험의 의미는 학습자와 강사의 ‘동반성장’이다. 이는 학습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성장이 또 다른 학습으로 선순환 되는 구조를 이루게 하며 이는 프리랜서 강사들의 삶 자체가 동기를 제공한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사 스스로 교육자의 위상을 높게 인식하도록 하며 프리랜서 강사들에 대한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 인식제고와 고용에 기여하는 의의를 가지며, 평생교육 시장의 강사풀(poo|)시스템과 마케팅 시스템 구축, 평생교육 HRD 분야에서 활동하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teaching experience of freelance instructors work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and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teaching activity'. With the research topic selected as the change in life due to teaching experience, six instructo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selected as participating researchers. Their teaching experiences were collected as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understood from an experiential learning perspective and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eelance instructors continue to make efforts not only for the growth of learners but also for their own. Second, freelance instructors require energy to promote learning not only for themselves but also for learners. Third, freelance instructors have grown into experts through teaching experiences. As can be seen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teaching experience of freelance instructors work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is meaningful as the 'co-growth' of learners and instructors. Thi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society, resulting in a virtuous cycle of growth as another learning, which can be said that the lives of freelance instructors themselves provide moti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instructors to deeply recognize their status as educators and establishes the basis for research on freelance instructors.

      • 중소형교회 공간활용을 통한 교회평생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N교회를 중심으로

        김상호(Sang-ho Kim)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3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 No.2

        Background : Many churches in Korea use church space as a place to perform the essential function of a religious institution, as well as a space to operate community education for ministry, friendship, and learning for saints and community residents. We want to highlight the need to use church space through small and medium-sized churches that apply church lifelong education today, which are required to play various roles of churches established in local communities. Purpose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urch as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explore ways to utilize church space for church lifelong education. Methodology / Approach : The study analyzed the case of N Church, a small and medium-sized church that utilizes church lifelong education through church spa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on-site visits, interviews, and internet and SNS data. Findings / Conclusions :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faith,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local communities. The importance and diversification of the space use of small and medium-sized churches, and measures for the coexistence of churches and communities were suggested. Implications : It is a site of lifelong education where small and medium-sized churches exist anywhere in the region due to the practice and activities of lifelong church education through space utilization. It is intended to help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church, the positive change of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the church, and the revitalization of church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space by preparing and utilizing it as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연구배경 : 우리나라 다수의 교회에서는 교회 공간을 종교기관이라는 본질의 기능을 수행하는 곳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성도나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사역, 친교, 배움의 공동체 교육을 운용하는 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지역사회에 세워진 교회의 다양한 역할을 요구받는 오늘날 교회 평생교육을 적용하는 중소형교회를 통해 교회 공간활용의 필요성을 부각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이해와 교회공간을 교회평생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교회공간을 통해 교회평생교육을 활용한 중소형교회인 N교회의 현장방문과 인터뷰, 인터넷과 SNS 자료를 통해 사례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교인들의 신앙 성장과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와의 소통과 교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형교회 공간활용의 중요성과 다양화, 그리고 교회와 지역사회의 상생을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시사점 : 중소형교회가 공간활용을 통한 교회평생교육 실천과 활동으로 지역 어느 곳에든 존재하는 평생교육의 현장이요. 평생교육기관으로서 준비되고 활용되어 교회의 변화와 지역주민들과의 교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사점이 도출되어 교회의 양적성장과 교회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긍정적인 인식전환과 교회의 공간활용을 통한 교회평생교육의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 결혼초기부부 교회평생교육 학습경험 의미 탐색

        조성희(Sung Hee Cho),이복희(Bork Hee Lee)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3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 No.1

        연구배경 : 비혼, 이혼율이 증가하고 있는 시대적 환경 속에서 결혼초기부부 교육 필요성 부각. 연구목적 : 교회평생교육 참여 결혼초기부부의 학습경험 의미와 영향을 교육학적 관점으로 조망, 결혼초기부부교육의 가치 발견. 연구방법 : 교회평생교육의 일환인 결혼초기부부교육 참여 결혼초기 부부 4가정 선정, 교육 참여 이전 경험과 참여 동기, 학습 과정 중 일어나는 경험, 학습 참여 이후 삶의 변화와 의미 탐색. 연구 결과 : 결혼초기부부들의 교회평생교육 참여 동기는 학습에 대한 당위적 관점, 갈등해결을 위한 수단적 관점, 소속감 형성을 위한 도구적 관점으로 나타났음. 학습 과정 중에는 주제 관련 인식과 성찰이 일어났으며, 동료가정과의 관계 맺음, 멘토 도움 등을 통해 다양한 학습활동을 하고 있었음. 교회평생교육 학습경험 이후는 삶에서 결혼초기부부들은 부부관계, 교회생활, 사회생활의 변화 양상이 드러났고 동료 간의 관계 맺음을 통해 학습이 확대되고 지속성이 고취되고 있었음. 시사점: 교회평생학습 현장에서 확보되는 환경적 유익성을 발견하였고 지역사회 학습에 대한 교회평생교육의 중요성을 밝힘. Background :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couples in the early stages of marriage is highlighted in the era when the rate of non-marriage and divorce is increasing. Purpose : Looking at the meaning and impact of early marriage experiences from an pedagogical perspective, discovering the value of early marriage education. Methodology : selecting four families of early marriage couples who participate in education as part of church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and motivation before participation in education, experienc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nd exploration of life changes and meanings after participation in learning. Conclusion : the motivation for early marriage couples to participate in church lifelong education was found to be a legitimate view of learning, a means of resolving conflicts, and an instrumental view to form a sense of belonging.. During the learning process, subject-related awareness and reflection occurred, and various learn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fellow families and mentor help. After the church lifelong education learning experience, early marriage couples showed changes in marital relationships, church life, and social life, and learning was expanded and continuity was promoted through peer relationships.

      •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이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 매개효과

        김윤아(Yoon A Kim),이복희(Bok Hee Lee)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2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평생학습 참여 성과에 어떻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비형식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성인 학습자 550명을 대상으로 SPSS 21.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이 학습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학습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몰입이 평생학습 참여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학습만족도가 평생학습 참여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이 평생학습 참여 성과에 직접 영향은 없었지만,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를 매개로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을 높이는 것이 성인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는 물론 평생학습 참여 성과를 향상할 방법임을 검증하고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과 관련 변인에 관한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level of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ofadult learner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22.0 programs for 550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at non-formal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Research Results Firs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of adult learners directly affects learning immers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of adult learners directly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immersion directly affects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directly affects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Fourth, although the level of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of adult learner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it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through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a medium. This study verifies that raising adult learners'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level is a way to improve adult learner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well as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and is a follow-up study on adult learners'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and related variables. It is meaningful in laying the foun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