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원 범죄예방을 위한 지방행정 개선방안

        주일엽 한국치안행정학회 2013 한국치안행정논집 Vol.9 No.4

        본 연구는 도시공원 범죄예방을 위한 지방행정 실태와 그 대책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여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시가 2012년 수립한 ‘대전둘레산길 및 도시공원 안전사고 예방대책’과 ‘범죄로부터 안전한 도시공원 관리 강화계획’, 그리고 선행연구, 언론자료 등을 중심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의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공원 안전기준 준수 및 제정이다. 행정작용은 기본적으로 헌법,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조례 등 법규에 의하여 집행될 수 있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0599호)에 근거하여 도시공원은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가 공원조성계획에 따라 설치·관리할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지자체 차원에서 도시공원 안전기준 준수 및 제정을 적극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적극 활용이다. 2012년 12월 11일 신설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국토해양부령 제550호) 제10조(공원시설의 안전기준) ②항에 따라 CPTED의 적극 활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지자체 차원에서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CPTED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도시공원 범죄근절을 위한 치안협력 강화이다. 도시공원 내에서 발생하는 범죄행위는 지자체의 지방행정 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경찰의 치안행정에 있어서도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는 사안이다. 따라서 지자체의 지방행정과 경찰의 치안행정이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도시공원 범죄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넷째, 건전한 공원 이용의식 유도 및 불법행위 대상 엄정한 법집행 실시이다. 건전한 도시공원 이용을 방해하는 제반 사항을 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건전한 공원 이용의식 유도와 불법행위 대상 엄정한 법집행 실시로 구분할 수 있다. 최초에 발생하는 불법행위를 계도하거나 처벌함으로써 불법행위의 확산으로 인한 도시공원의 우범지역화 또는 황폐화를 예방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lternative by studying local autonomous entities’ administrative status and their empirical measures for crime prevention in city parks.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analysing Daejeon’s administrative data, previous studies, and press releas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is required to compliance and to enact safety standards of city parks. Administrative action can be enforced by laws. So local autonomous entities should compliance and enact safety standards of city parks based on laws. Secon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should be leveraged. CPTED is ruled by the regulations related city parks and green spaces. Local autonomous entities should encourage government officials to understand and to utilize CPTED for crime prevention in city parks. Third, it is required to policing cooperation for the eradication of crime in city parks.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police should cooperate closely for crime prevention in city parks because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police become difficult when crime occur in city parks. Forth, healthy utilization of city parks should be encouraged and strict law enforcement should be carried out. There are two ways to control illegal acts including crimes in city parks and to prevent degradation of city parks such as encouraging healthy utilization of city parks and conducting strict law enforcement.

      • KCI등재

        지방 중소도시에서 도시공원의 역할 : 단독주택 가격 효과를 중심으로

        이성원 ( Lee Sungwo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2 地方行政硏究 Vol.36 No.2

        도시공원을 포함한 녹지공간은 매력적이고, 건강하며, 생기 넘치는 공간으로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 도시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녹지공간이 시민의 효용을 얼마나 높이는 것일까? 녹지공간의 선호를 일종의 대리변수인 주택가격으로 가정하여 선호 정도를 분석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즉, 도시공원까지의 인접성과 주택가격 간에 긍정적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를 대상으로 녹지가 아파트 가격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고밀 도시는 주거지 인근에 녹지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주변의 녹지공간 및 오픈스페이스가 주택 가치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소도시의 경우 도시 외곽에 녹지공간이 많고 도시의 반경도 넓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주거지 인근 도시공원이 주택(단독주택) 가격에 기존 대도시 연구와 유사한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또 하나의 가설은 주거지 인근 도시공원의 효과가 주택가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을 제외한 36개 중소도시 38,097건의 단독주택 실거래가(2006-2021)를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주택가격 분석에 활용하는 헤도닉 가격 모형을 적용했고, 여러 지역을 종합적으로 비교하면서 발생하는 지역 간 차이를 통제하기 위해 다수준 모형으로 분석했으며, 주택가격에 따라 도시공원의 인접성이 미친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분위회귀분석을 활용했다. 이 세 분석의 결과들을 통해 종합적으로 정책적 함의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공원까지의 근접성은 주택가격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정도는 기존 연구의 고밀도시 결과와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 주택가격의 도시공원까지 거리 탄력성은 약 -0.046이며 (공원과의 거리가 100% 가까워지면 주택가격 4.6% 증가)이며 최저 주택가격 수준에서 탄력성은 약 -0.06까지 높아지나 그 효과는 고가 주택일수록 점점 낮아진다. 다만, 중소 도시들 간의 비교에서 녹지율이 높은 지역은 도시공원까지 인접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저가 주택에서는 상쇄되지만, 고가 주택에서는 더 강화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도시공원의 면적은 주택가격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은 다른 유형의 공원에 비해 주택가격을 높이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has been well documented during several decades. Green space can create an attractive, healthy, and vibrant plac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ir citizens. In Korea, many previous studies also show that urban parks are positively connected to housing values that indicate the utilities for green space. However most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Seoul or large metropolitan areas. In general, high density cities have not sufficient green areas around the residential areas, so the closed green and open spaces can increase housing values. However, there are lots of green spaces all around the small cities, so we hypothesize whether urban parks close to residential areas st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housing value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dditionally, we assume that the impacts of urban parks around the residential area will be different for each high- and low-priced housing. This study applied hedonic price and quantile regression models with 38,097 samples (single-detached housing, 2006-2021) in 36 cities, larger than 50,000 but not Seoul Metropolitan Areas (SMAs), in Korea. The preliminary and ke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loseness to park i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housing value, and the effects are similar to previous results in high density cities. The distance to park elasticities of housing prices are about -0.046 and the elasticity of the lowest housing value is about -0.06, but the elasticities gradually decreased as housing price increases. In a city with a high green ratio, the positive effect of proximity to city parks on housing prices is offset by low-priced housing, but reinforced by high-priced housing. Urban park areas are negatively connected to housing value,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neighborhood park, children park and small park increases housing values rather than other types of park.

      • KCI등재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김신원(Shin Won Kim),박태석(Tae Seok Park),노희곤(Hee Gon N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도시가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삶에 있어 정신적, 문화적 욕구의 충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 도시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요구는 과거에 비해 더욱 심화되었다. 조경 분야에서 외부 환경의 물리적 요소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외부 공간을 형성하는 주요한 골격은 토지, 식물, 정형적 요소 등이다. 도시생활에서 이용자가 향유하는 공간으로는 주로 자연이 우세한 자연적 공간, 인공적 요소가 가미된 자연적 공간, 인공성이 주가 되는 자연적 공간 등이 있다. 이러한 공간은 사람들이 자연과 접하며 휴식하고 만나고 담소를 나누는 장소가 된다. 외부 공간은 실용적인 기능뿐만이 아니라 시각적인 아름다움도 지녀야 한다. 최근 들어 조경디자인 분야에서 공간을 구성하는데 질 높은 다양한 재료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도시공원을 보면 특히 바닥포장과 관련해서는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이 있다. 시대의 흐름 및 도시민의 요구에 부응하여 빠른 시일 내에 도시공원 바닥포장 디자인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고 재료 선정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도시공원의 바닥포장은 이용자의 쾌적성, 안전성, 접근성 등에 영향을 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개선에 관한 본 연구는 쾌적한 도시공원을 위해 필요로 하는 바닥포장의 조성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선유도, 서울숲, 월드컵공원의 현황을 조사하여 바닥포장과 관련된 문제의 요인과 유형을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공간의 질을 높이기 위해 바닥포장 개선 방안을 연구하여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품질 개선을 도모하며, 향후 도시공원 바닥포장 디자인의 수준을 제고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시공원 바닥포장에 대해 현황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바람직한 바닥포장 재료 및 색채를 선정하고 적절한 바닥포장 디자인의 변경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변경이 요구되는 현황을 조사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안을 제시한 본 연구의 내용은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공간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s cities continue to develop, people desire to fulfil their mental and cultural desires. So the demand for improving the city environment is more palatable than ever. The `outer-space` physical element in landscape architecture has its own role to play in satisfying this demand. The general frame of `outer-space` is mostly based on land, plants, and formative factors, regardless of size, fixedness, or location. The space for leisure us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is `natural space` including mountains, rivers, and seas. The second is `natural space with added artificial elements` such as parks and terraced land on the rivers, which are created to protect the natural space from probable damage and to make full use of the space as rest areas. The third is `purposeful space` such as squares and parks with environmental and human facilities. They are the spaces made for the purposes of resting, recreation, and/or indicating the border of inside or outside of buildings. The ideal function of the elements of outer space is not only providing beauty, but also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atmosphere of limited space like parks.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al norm, the design period tends to get shorter and shorter, and the recent trend is to use materials with high quality and diversity. However, the design of pavement in city parks has not been remodeled. Great improvements to facility maintenance, repair work, and plant preservation in parks have been made, but the issue of remodelling pavement has hardly been considered. Given that the type of pavement can give comfort or stress to the people visiting park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ark design. This study is to design and create surface pavement for improving the outdoor spatial quality of city parks. The specific goals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design criteria for creating user-responsive outdoor space, based upon the research findings drawn from site survey and analysis focusing on the surface pavement in city parks; and to make specific design recommendations, if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for improving the outdoor spatial quality of city parks. This research study focused on surface pavement in 3 city parks (Seonyu Island, Seoul Forest, World Cup Park) such as overall image, arrangement of pavement, design and pattern, material, and color. With this background, and with survey and analysis, this study will suggest design changes to pavement in order to make the public space of the city park more satisfying and comfortable to its users. Finding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study could be used in the designing of future projects in order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users. The changes in order to meet users` needs and to improve the spatial quality of the city parks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다롄 도시공원의 탄생과 변천

        리웨이(李偉),미나미 마코토(南誠)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5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2

        본고의 목적은 식민지도시 다롄의 도시공원에 초점을 맞추어 그 탄생과 변천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다. 중국의 근대적 도시공원은 19세기말 이후 식민지주의의 진입과 함께 나타났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일본이 관계하고 있던 중국 동북지역의 도시공원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다. 이러한 연구 상황을 감안하여 중국 전체 및 중국 동북지역의 도시공원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첫걸음으로서, 일본 식민지경영의 교두보로서의 해항도시 다롄을 고찰했다. 고찰 시에는 러시아 통치시대와 일본 통치시대 다롄에 대한 도시계획의 상이점 외에도, 유럽에서의 근대적 도시공원의 탄생이나 일본 내 근대적 도시공원의 도입과 그 문제점, 전통 일본정원과의 길항 및 융합에 유의하면서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다롄의 도시공원은 여명기의 러시아 통치시대와 전개기의 일본 통치시대에 탄생하여 변천해왔다는 점과 함께, 다롄공원의 다양성과 다기능성 및 그 정치성과 민족적 차별성을 명확히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set a focus on city parks of colonial Dalian and consider about the birth and transition of these parks. Chinese modern city parks appeared with an invasion of the colonialism after the end of 19th century, but the former study was indifferent to the city park in the Tohoku region where Japan got involved in. As the first step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Parks as a whole and the Tohoku district city park, I decided to use the harbor town of Dalian as the basis for the investigation. I inquired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era of Russian and the era of Japan of the city and its impact on planning in Dalian, the birth of the modern city park in Europe, and the introduction and the problems of the modern city park in Japan, especially in regards to the opposition and fusion with the traditional Japanese garden. As a result, the city park of Dalian was born in the dawn period of the Russian rule era and having changed in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Japan rule era, then the variety, functionality, political nature and national discrimination of the Dalian city park was defined.

      • KCI등재후보

        다렌 도시공원의 탄생과 변천: 식민지 통치시대(1898~1945)를 중심으로

        리웨이,미나미 마코토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5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2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set a focus on city parks of colonial Dalian and consider about the birth and transition of these parks. Chinese modern city parks appeared with an invasion of the colonialism after the end of 19th century, but the former study was indifferent to the city park in the Tohoku region where Japan got involved in. As the first step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Parks as a whole and the Tohoku district city park, I decided to use the harbor town of Dalian as the basis for the investigation. I inquired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era of Russian and the era of Japan of the city and its impact on planning in Dalian, the birth of the modern city park in Europe, and the introduction and the problems of the modern city park in Japan, especially in regards to the opposition and fusion with the traditional Japanese garden. As a result, the city park of Dalian was born in the dawn period of the Russian rule era and having changed in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Japan rule era, then the variety, functionality, political nature and national discrimination of the Dalian city park was defined. 본고의 목적은 식민지도시 다롄의 도시공원에 초점을 맞추어 그 탄생과 변천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다. 중국의 근대적 도시공원은 19세기말 이후 식민지주의의 진입과 함께 나타났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일본이 관계하고 있던 중국 동북지역의 도시공원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다. 이러한 연구 상황을 감안하여 중국 전체 및 중국 동북지역의 도시공원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첫걸음으로서, 일본 식민지경영의교두보로서의 해항도시 다롄을 고찰했다. 고찰 시에는 러시아 통치시대와 일본 통치시대 다롄에 대한 도시계획의 상이점 외에도, 유럽에서의 근대적 도시공원의 탄생이나 일본 내 근대적 도시공원의 도입과그 문제점, 전통 일본정원과의 길항 및 융합에 유의하면서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다롄의 도시공원은 여명기의 러시아 통치시대와 전개기의 일본 통치시대에 탄생하여 변천해왔다는 점과 함께, 다롄공원의 다양성과 다기능성 및 그 정치성과 민족적 차별성을 명확히 밝혔다.

      •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에 대한 법적 개선방안 연구

        강석점 ( Kang Seog Jeom ) 경성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경성법학 Vol.26 No.-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실효제도에 의하여 2020.6.30.까지 도시공원 예정 부지를 지방자치단체가 재정난으로 매입하지 못하거나 도시공원조성사업을 시행하지 못하면 그 동안 공원구역으로 결정된 도시공원이 조성되지 못할 위기에 놓여 있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도시계획결정으로 무려 20여년 도시공원 구역으로 묶여 있는 토지소유자 입장에서는 조속히 공원조성사업을 시행하여 보상을 해주든지 아니면 속히 해제하여 재산권 행사를 할 수 있도록 구역해제를 해주든지 그 결정을 바라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해소를 위한 법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자면. 첫째, 민간 개발 도시공원 사업을 활성화해야 되며 특혜시비 해소차원에서 개발이 용이하고 수익성이 보장되는 공원구역에 더하여 다소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지역적으로 공원이 반드시 필요한 곳에 동시 사업을 하게하는 즉, 도시공원법에 둘 이상의 공원을 결합하여 조성할 수 있는 근거를 도시공원법 제21조에 부가하여 교차보전을 통한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 둘째, 도시공원 대장의 철저한 작성 및 관리를 통해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공원녹지 조성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공원녹지정보체계의 구축·운영” 규정을 신설하여 도시공원 관리를 정보화해야 한다고 본다. 셋째,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해제기준이 법률이나 시행령에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의 훈령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정. 시행하고 있으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해소기준은 기본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명확성의 원칙에 따라 법규화 해야 한다. 넷째, 미집행 장기도시공원의 25%에 해당하는 국공유지는 사적 이용권이나 재산권의 침해가능성이 낮으므로 부지내의 국공유지는 실효대상에서 제외하고 구역 내 토지 소유자와 협의매수 또는 수용재결방식이 아닌 부지사용계약을 체결하는 방법으로 공원이 조성되도록 도시공원법을 개정하며, 다섯째, 시·도지사는 국토계획법과 공원녹지법상 실효제도가 적용되지 않고 원칙적으로 손실보상 대상이 아닌 도시자연공원구역지정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도시공원을 자연공원구역으로 지정을 전환하고 여섯 째, 공원녹지법 제15조를 개정하여 광역도시공원을 신설하고 이를 광역시장·도지사가 관계 시장 또는 군수와 협의를 거쳐 시장 군수가 설치·관리하는 도시공원을 광역도시공원으로 지정하도록 하여 광역도시공원에 드는 비용의 일부를 시·군에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 일곱 째,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 부지 해소를 하기 위해서는 국가보조금을 도시공원조성사업비의 50%로 부담토록 하고, 특별회계와 기금운영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으로 헌법상에 보장된 재산권행사가 침해된 경우에는 즉 도시계획 결정이후 아무런 보상없이 인공조림 또는 시설을 설치하여 공원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부당이득 반환청구를 할 수 있고 또한, 도시공원시설 해제입안 또는 그 입안에 대한 거부처분이 있는 경우에는 항고소송을 제기할 수 있음은 물론, 토지소유자가 국토계획법 제48조의2에 의하여 도시공원 도시·군관리계획 결정고시일로부터 10년이 경과하면 도시공원 장기미집행의 해제를 명할 의무가 행정청에게 주어지는 것이므로 이를 거부하는 경우 공권력의 불 행사에 해당되며 장기미집행 도시공원부지의 토지소유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을 상대로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청구하여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다고 할 것이다. Under the long-term non-funded urban park system, the planned site for the urban park could not be purchased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by the local administrative body or if the project for creating an urban park was not carried out during such a crisis. However, for land owners who are tied to the urban park zone for more than 20 years due to the urban planning decision, the land owners can either make a payment by making a park formation project as soon as possible, or cancel the land ownership event by quickly. Under such circumstances, I would suggest a legal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uncollected urban parks. First, the private development city park project must be activated and the two parks that can be developed conveniently and are profitable to solve preference conflicts can not be combined simultaneously with the local parks ideally equipped with the two areas that are equipped with a cross-profitability urban park zone. Second, the Act provided that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park green space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and managed reasonably and objectively based on actual data through thorough prepar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rk register. " Third, although the criteria for the cancellation of the long-term uncollected urban management plan in urban parks should not be set out in accordance with the Act or the Enforcement Decree, the principle of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sulted in the guidelines for the resolution of long-term facilities. Fourth, the national and public lands, which account for 25 % of the long-term uncollected urban parks, have a low possibility of infringing on private rights or property rights, The Act was amended to establish a public land in the urban park site by signing contracts for sub-disciplinary projects other than a negotiated or acceptable purchase decision with land owners within the zone, excluding the actual land use cases. Fifth, mayors, governors, or metropolitan mayors did not apply the Land Planning Act and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Park Green Act, and the Act on the designation of an urban park as an urban natural park zone, using the designation of an urban park zone, not necessarily covered by the Act on Land Use of Article 15. The Act should enable metropolitan mayors or governors to designate urban parks that are to be installed and managed by the mayor logistics department as metropolitan urban parks. The cost of installing or managing metropolitan parks should be set up in the metropolitan area. Seventh, it was necessary to make the national subsidy pay 50 % of the expense of urban park formation projects and to actively utilize the special accounts and fund management system to solve the long-term uncollected land of urban parks. Finally, in the event that the guaranteed property rights event is violated due to the non-construction of urban parks, that is, an artificial reforestation or installation of the facility without any reward after the urban planning decision is made, the park is being operated unfairly.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protest against or against the proposed cancellation of an urban park, an appeal can be filed, Landowners could be forced to carry out urban park projects or to de-designation urban parks 10 years after the decision on the urban and military management plan to be announced by Article 48 of the National Territory Planning Act, Since the executive office will be required to release the city park from the long run, If the government refuses to do so, it will be regarded as an act of fire under the government power in which the duty of office is recognized. Thus, land owners on the land of the uncollected urban parks for more than 10 years could file a petition with the Constitutional Court with the head of the local administrative office to obtain a right to file a petition.

      • KCI등재

        스펀지형 도시공원 설계원칙에 대한 연구 - 중국 싼야시 동안습지공원을 대상으로 -

        유흘연,김신원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3

        스펀지 도시는 도시재생 측면에 있어, 우수를 도시 내 흡수, 침투,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 물 순환 시스템의 개념이다. 이 개념은 2012년 중국 저탄소 도시 및 지역 경제 발전과학 기술포럼에서 처음으로 제기되었으며, 이로 인해 스펀지 도시에 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스펀지 도시 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펀지형 도시공원은 일반적인 개념 외 실제 적용되는 설계원칙에 대한 내용이 미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 스펀지 도시의 시범 도시인 싼야(三亚)시가 추진한 솽슈(双修)와 솽청(双城) 프로젝트인 싼야시 동안(东岸) 습지공원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7가지의 스펀지형 도시공원 설계원칙을 대상으로 현장답사를 하였다. 또한, 대상지 이용 시민, 정부 건설 담당 부처의 공무원, 공원 관리인원 등 3개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 조사·분석 방법론을 적용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안습지공원은 연결성 측면에서 상당히 양호한 연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기능 측면에서는 젊은층과 어린이를 고려한 공간 설계가 없으므로 모든 연령층을 고려한 설계방식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인프라 시설 측면에서 공원은 더욱더 많은 휴식과 편의 시설이 필요하다고 분석된다. 스펀지성을 분석한 결과 잔도교(栈道桥)와 계단식 홍수 방지 댐을 조성하여, 양호한 홍수 방지 저류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측면에서 공원의 유지 보호에 적어도 80명에 달하는 유지 인력이 소요되어 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경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중국의 스펀지 도시는 여전히 탐색 단계에 대량 실천성 탐구가 필요하다. 즉,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결성, 기능성, 생태성, 지역성, 안전성, 스펀지 도시성, 경제성 등 7개 유형의 스펀지형 도시공원 기본 설계 원칙을 적용한다면 기존 스펀지형 도시공원뿐만 아니라, 향후 새롭게 조성할 스펀지형 도시공원에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ponge City is the concept of urban water circulation system that allows rainwater to be absorbed, penetrated and purified in the city,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The concept was first raised in China's ῾low-carbon city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science and technology forum᾿ in 2012, which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ponge cities. However, sponge-type urban park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sponge cities, lack content on design principles that are applied in practice other than general concepts. Therefore, this paper was promoted by the city of Sanya, a pilot city of Sponge City in China, and ῾Shuangshu (urban restor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and ῾Shuangcheng (a comprehensive pilot city of sponge city and comprehensive plumbing management construction)᾿. The project Sanya City Wetland Park was selected for research and fieldwork was conducted on seven sponge-type urban park design principles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In addition, interview survey and analysis methodologies were applied in three groups: citizens using the target site,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government construction, and park manag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Dongan Wetland Park is building a fairly good connection in terms of connectivity. In terms of function, there is no spatial design that takes into account young people and children, so a design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all age groups should be applied. It is also analyzed that in terms of infrastructure facilities, parks need more rest and amenities. After analyzing the sponges, the Jando Bridge and the cascaded flood control dam were constructed, creating a good flood control low-flow facility. Finally, it can be seen that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 maintenance and protection of the park requires at least 80 maintenance personnel to be considered to maintain it. At present, the Sponge City in China is still in the exploratory stage and still needs to explore mass practicability. In other words, the basic design principles of seven types of sponge-type urban parks, including connectivity, functionality, ecology, locality, safety, sponge urbanity, and economics derived from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data not only for existing sponge-type urban parks but also for future sponge-type urban parks.

      • KCI등재

        베이징 도시 공원 현황 및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김동찬(Dong Cha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베이징에서 개최한 2008 베이징 올림픽 경기대회는 기회적으로 도시공원 건설 발전을 축진하며 베이징 도시의 그린 속도를 증가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베이징 도시에 있는 도시공원 배치, 관리 등의 측면에서 현황을 분석하며 도시공원 유형, 디자인 개념과 수법, 시설, 생태적 기술, 경관조명 등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도시공원 개발과 건설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 작성에 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도서관과 인터넷에서 관련 자료를 수집해서 일차적으로 문헌조사 결과들을 정리하고 현장답사를 통해 문헌조사 내용들을 확인하고 보완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우선은 답사를 통해 베이징 도시 공원에 관한 공원 자료를 수집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정리했다. 따라서 수집된 자료와 현장 사진을 통하여 분석을 했다.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논문의 목적과 필요성을 서술하고 간단하게 중국 공원녹지체계 분류 표준에 의하여 디자인 분석 부분의 디자인 유형 분류 기초로서 중국 도시공원 유형을 정리했다. 다음으로 베이징 도시공원의 배치와 관리 측면의 현황을 비롯해서 디자인 개념과 수법, 시설물 디자인, 생태적 기술이 적용된 디자인, 경관조명 디자인 특성을 분석했다. 본 논문 결론은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징 도시 공원녹지는 일련의 분류기준과 전담부서 및 인터넷 사이트에 의해 공원을 조성하고 관리, 운영되어 왔기 때문에 도시공원이 비교적 잘 발전해 왔다. 특히 2008 올림픽 개최를 위해 베이징 정부는 도시공원 정비에 많은 노력을 기울어 왔었다. 도시경관과 시민 생활 향상을 위해 향후 도시 공원이 잘 발전할 수 있도록 2004-2020 베이징 도시 공원녹지 계획을 수립한 바 있으며, 디자인 측면에서 두드러진 변화는 공원 유형에서 역사 유적지 도시공원을 개발 조성하였고, 디자인 개념에서는 역사적인 개념이나 전통수법을 현대와 화합해서 사용하였다. 시설물 디자인에서는 친환경적 디자인 원칙에 비중을 두면서 무장애 시설물을 많이 도입했으며, 그리고 경관조명 디자인에서는 실용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고려하고 역사적인 공원에서도 경관조명 디자인을 과학적으로 연구해서 설계를 하였다. The 2008 Olympic Games in Beijing as an opportunity put forward the construction development of urban parks, and speed up the greening pace of Beijing c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nalysis of Beijing urban parks` status and design characteristics. Then hope this article will become the basis information for future research on urban parks of China and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urban parks of our country. The study methods of this article contain literature research, field survey. Firstly gathered and arranged related materials from library, internet. Then through field survey the information about Beijing urban parks was done to identify and compensate. This article firstly talked about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simply introduced the park green system of China, and analyzed the status of urban parks in Beijing. At last the desig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rom quality and quantity distribution design, design type, design concept and skill, facility design, ecological technology in design and nightscape design. In summary the conclusion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Beijing urban parks have been well developed and due to the 2008 Olympics urban parks mostly renovated and facilities improved. And the Beijing government made 2004-2020 to develop well-planned urban parks, wants to improve the urban landscape and the citizens` life. In terms of design, the government paid much more attention on the construction of relics parks and some urban parks combined the traditional element and modern design language together. In the facility design aspect, not only paid attention on the general facilities, but also on the barrier-free facilities for considering the disabled people. Moreover, ecological materials, water circulation system were used. In nightscape design aspect, not only designed for aesthetical view, but also designed for ecological view, and classical gardens were made lighting design concerned with the protec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ancient architectures.

      • KCI등재

        도시공원의 방재기능 도입을 위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를 사례로

        박창열(Park Changyeol),장미홍(Jang Mih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최근 예기치 못한 재난 발생이 잦아짐에 따라 도시공원에 대한 복합적이고 새로운 기능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지역 단위에서 재난대응을 위한 수단으로서 인근 도시공원에 방재기능을 도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원의 방재기능이 활발한 일본의 사례를 검토하여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지역 단위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그 결과, 일본은 방재공원이란 명칭으로 공원 내 방재기능을 대피, 교육ㆍ훈련, 물자보관 등의 다목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방재거점 및 방재축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를 사례로 지자체에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본 바, 주거환경 및 관광지란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도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도시공원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성과는 지역의 재난 환경 및 여건을 고려하여 도시공원에 다양한 방재기능을 도입함으로써 지역의 재난대응 역량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unexpected disasters have increased the demand for utilizing multi-purpose of city parks. As a means of mitigating to disasters damage, cases of introducing disaster prevention functions into city parks are increasing.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case of Japan where the disaster prevention parks was active and apply to regional units in Korea. The results shows that it is used the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such as evacuation, education, training and storage of relief goods and is used as a disaster prevention base in Japan’s parks. Also,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Jeju-do, it is confirmed that the city park widely distributed in the province could be uti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improve local disaster prevention level by introducing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to city parks.

      • KCI등재

        산업유산을 활용한 서울도시공원의 유형 분석

        김일림 ( Kim Il Rim ),정우진 ( Jung Woo Ji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노후화된 산업유산을 활용하여 공원화된 서울도시공원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도시공원에 활용된 과거산업은 공장류의 제조업, 정수장의 산업서비스업, 교량·철도·항공의 물류수송업, 석탄·석유·화약의 전기에너지업의 산업유산을 활용하였다. 둘째, 산업유산의 활용 정도는 원형보존의 공원화는 아직 없고, 증·개축 보전하여 7개 공원을 조성했고, 현지에 상징물로 흔적표식한 공원이 5개 조성되었다. 셋째, 공원유형은 근린공원과 문화공원으로 분류되며. 넷째, 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공원은 작은 규모의 휴식할 수 있는 쉼터 기능부터 문화예술공연과 생태환경 활동 등의 생활문화커뮤니티를 이루는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다섯째, 공원이용은 지역구민부터 넓게는 서울시민 및 그 외 지역민들이 즐겨찾는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향후 서울도시공원의 정체성은 산·학·관·민들의 모티터링을 통해 상호교류할 수 있는 정책설정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parked Seoul city parks by using the aging industrial heri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st industries used in Seoul City Park were industrial heritages of manufacturing of factories, industrial service industries of water purification plants,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of bridges, railroads, aviation, and electric energy industries of coal, oil, and explosives. Second, as for the degree of use of industrial heritage, there has not been a park of original preservation yet, and 7 parks were created through expansion and renovation, and 5 parks marked with traces as symbols were created in the area. Third, park types are classified into neighborhood parks and cultural parks. Fourth, in city parks utilizing industrial heritage, programs that form a living and cultural community such as cultural and artistic performances and eco-environment activities are operated from small-scale resting shelters. Fifth, the use of the park is being used as a favorite place for local residents to a wide range of Seoul citizens and other local residents. In the future, the identity of Seoul City Park is required to establish a policy that enables mutual exchange through monitoring of industry, academia, government, and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