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암 경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

        이성원,이광민,오규한,염찬우,정상협,함봉진,Lee, Sungwon,Lee, Kwang-Min,Oh, Gyu-Han,Yeom, Chan-Woo,Jung, Sanghyup,Hahm, Bong-Ji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0 정신신체의학 Vol.28 No.2

        연구목적 암 경험자의 직장복귀는 암 관리의 중요한 영역이 되었지만 암의 예방과 치료 영역에 비해 관련한 지원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와 암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 법 2019년 세 차례 진행된 암 경험자를 위한 음악회에 참석한 암환자 182명을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온도계 및 문제목록과 0~10점 범위의 직장복귀지원 요구도 평가도구를 적용하여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음악회에 참석한 암환자 가족 114명을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온도계 및 문제목록과 직장복귀지원 요구도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가족의 시각에서 암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암환자 군 182명과 암환자 가족 군 114명에 대해 두 군간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를 비교하였고, 각 집단의 요구도 관련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 과 암 경험자를 위한 직장복귀지원이 "매우 필요"하다고 보고한 비율이 암환자 군과 가족 군에서 각각 34.6%, 28.1%이었다.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암환자 군에서 6.60±3.365점, 암환자 가족 군에서 6.17±3.454점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282). 암환자가 스스로 평가한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수술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OR=2.592, p=0.007), 가임능력 문제를 경험하는 경우(OR=6.137, p=0.025), 외모 문제를 경험하는 경우(OR=2.081, p=0.041), 피로를 경험하는 경우(OR=2.330, p=0.02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 가족이 평가한 암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암환자가 유방암 경험자인 경우(호흡기 암종 대비 OR=13.038, p=0.022 ; 혈액암 대비 OR=4.517, p=0.025 ; 기타 암종 대비 OR=13.102, p=0.019), 직장/학교 문제를 호소하는 경우(OR= 4.578, p= 0.005), 우울을 호소하는 경우(OR= 3.213, p=0.02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가 암환자 군과 암환자 가족 군 모두에서 높고, 요구도와 관련된 요인은 두 군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암 경험자를 위한 직장복귀지원 대책이 필요하며, 대책 수립에는 암환자의 임상적 특성, 디스트레스, 암환자와 가족간의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caregivers. Methods : 182 patients and 114 caregivers were recruited. Distress Thermometer and Problem List and scale ranging 0~10 measuring the degree of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were utilized.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between the patient group and caregiver group (patient's needs evaluated by the caregiver) were compared, and related factors were investig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34.6% and 28.1% of patients and caregivers reported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is "very necessary". The degree of needs was 6.60±3.365 points in the patient group and 6.17±3.454 points in the caregiver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p=0.282).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evaluated by patients was high when they underwent surgery (OR=2.592, p=0.007), has fertility problems (OR=6.137, p=0.025), has appearance problems (OR=2.081, p=0.041), or has fatigue (OR=2.330, p=0.020).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of patients evaluated by caregivers was high when patients treated with breast cancer (vs respiratory cancer, OR=13.038, p=0.022 ; vs leukemia/lymphoma, OR=4.517, p=0.025 ; vs other cancer, OR=13.102, p=0.019), has work/school problems (OR=4.578, p=0.005), or has depression (OR=3.213, p=0.022). Conclusions : The degree of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was high, and factors related to the need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uggests that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is required,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distress of patients, and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a support plan.

      • 다극체제와 동아시아 안보: 국제질서 재편에 따른 한반도 안보 위협 논의의 재고찰

        이성원,Lee, Sungwon 사단법인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2022 Analyses & alternatives Vol.6 No.2

        냉전의 종식 이후, 압도적인 국력을 바탕으로 유지되어왔던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는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 약화와 지역 강대국들의 부상이 맞물리면서, 점차 단극체제에서 양극체제 또는 다극체제로 재편되고 있는 양상이다. 지정학적으로, 동아시아는 미국 뿐 아니라 지역 강대국들의 국익이 첨예하게 중첩되고 대치되는 지역이라는 관점에서, 국제질서의 재편이 가져올 안보 불안정 상황에 관한 논의가 끈임없이 제기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안보 논의가 적절한 위기 인식과 평가에 근간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대두되는 안보 위기론이 과대 위협 인식에 기인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하고, 국제질서의 재편이 지역 안보에 가할 수 있는 위협의 본질과 수준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평가와 개념화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양극체제 (1950-1990), 단극체제 (1991-2008), 다극체제 (2009-현재)로 구분되는 기간 동안,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분쟁 양상(빈도와 강도)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무력 분쟁'의 관점에서, 동아시아가 다른 지역에 비해 국제질서 재편에 크게 취약하지 않았으며, 독자적인 평화를 구축하고 유지해 왔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국제질서의 재편으로 인해 가중되는 외교·안보적 부담과 복잡화된 손익 계산이 반드시 중대한 안보 위협으로 해석될 필요가 없음을 강조한다. 불필요한 안보 이슈 확대가 대한민국의 외교적 전략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he U.S.-led international order, sustained by overwhelming national power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is gradually being restructured from a unipolar international system to a bipolar international system or a multipolar international system, coupled with the weakening of U.S. global leadership and the rise of regional powers. Geopolitically, discussions have been constantly raised about the security instability that the reshaping of the international order will bring about, given that East Asia is a region where the national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and regional powers sharply overlap and conflict.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analyze whether security discussions in Korea are based on appropriate crisis assessment and evalua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security crisis theory emerging in Korea tends to arise due to threat exaggeration and emphasizes the need for objective evalu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the nature and the level of threats that the restructured international order can pose to regional security. Based on the analysis of changes in conflict patterns (frequency and intensity), occurring in East Asia during the periods divided into a bipolar system (1950-1990), a unipolar system (1991-2008), and a multipolar system (2009-current), this study shows that East Asia has not been as vulnerable to power politics as other regions. This investigation emphasizes that the complexity of Korea's diplomatic and security burden, which are aggravated by the reorganiza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terpreted as a grave security threat. This is because escalating unnecessary security issues could reduce the diplomatic strategic space of the Republic of Korea.

      • HCNG 엔진의 혼합기 분배 특성에 관한 연구

        이성원(Sungwon Lee),임기훈(Gihun Lim),박철웅(Cheolwoong Park),최영(Young Choi),김창기(Changgi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2 No.5

        Natural gas has an advantage of lower level of exhaust gas than gasoline or diesel.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et reinforced emission regulation with traditional technologies of natural gas engine. Hydrogen natural gas blend(HCNG) fuel can increases thermal efficiency with leaner combustion and reduce NOx and CO₂ emission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fuel mixture is an important factor since it affects combustion stability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mixture distribution was evaluated in natural gas engine. The results showed symmetrical trend centering around cylinder #3 and 4.

      • KCI등재

        영문학 입문과목,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이성원(Sungwon Lee)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03 영미문학교육 Vol.7 No.2

        This is a kind of position-paper on the important pedagogical issue of how and what to teach in an introductory course in English literature in Korea. What must the instructor have in mind in designing a 15-16 week course in English literature for students who have virtually no literary training and mayor may not wish to major in English? How much of the background knowledge of English history and the literary history, English and Continental, should be considered necessary and adequate in the very first course that is supposed to initiate students to the "pleasures of reading" the "alien" text written in English? What role do literary theories play in such a course? Would it be better that "cultural studies" instead of literary training should be the defining role of the English department, as many would-be reformers of education nowadays propose? This paper answers to these questions by emphasizing that the primary task of any introductory course in literature resides in training the students in the basic skills of reading, in making the students "responsible" readers who are able to "respond" properly to the subtlety of literary texts. In this respect, the pedagogical implication of what the New Critics have shown in their analysis and explication of literary works needs to be revaluated, regardless of their assumptions, theoretically unjustifiable though it may finally be, about the presence of 'text itself," Their efforts may be understood as an outcome of their pedagogical strategy to cope with a situation of mass education, which is also the situation we now work in, where we have to cope with students with neither appropriate experience in literature nor competence to deal with the English language. We cannot emphasize too much that the first and foremost objective of the course is in the training of the students in close reading of literary texts and in the intense experience of as many specimens of literary works as possible.

      • KCI등재

        저발열량 천연가스가 엔진 성능 및 배기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성원(Sungwon Lee),임기훈(Gihun Lim),박철웅(Cheolwoong Park),최영(Young Choi),김창기(Changgi Kim) 대한기계학회 2013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7 No.12

        본 연구에서는 저발열량 천연가스가 현재 상용되고 있는 대형 천연가스 엔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3종류의 연료를 적용하였다. 전부하 운전조건과 WHSC 및 WHTC 모드 테스트를 수행하여 엔진성능 및 배기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전부하 실험에서 토크성능이 9,800kcal/Nm3의 발열량을 갖는 저발열량 가스의 경우 현행 천연가스(10,400kcal/Nm3)를 사용한 결과에 비해 4.4% 감소하였다. 저발열량 연료를 사용하였을 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은 감소하였지만, 탄화수소의 배출량은 증가하였다. WHSC 및 WHTC 실험결과 저발열량 연료에서 열효율이 증가하였으며 배기특성은 전부하 실험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저발열량 천연가스를 사용할 경우 제원상의 출력을 만족하기 어렵고, 탄화수소의 배출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In this, three types of natural ga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w-calorific natural gas on the performance of and emissions from a heavy-duty CNG engine. The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 full-load test, WHSC mode test, and WHTC mode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rque of low-calorific natural gas with 9,800 kcal/Nm<SUP>3</SUP> of higher heating value decreased by 4.4 compared to that of the current natural gas with 10,400 kcal/Nm<SUP>3</SUP> of heating value. With low-calorific fuels, CO, CO₂, and NOx emissions decreased. However, THC emissions increased. According to the WHSC and WHTC mode test results, the thermal efficiency increased an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showed a similar trend to the full-load test results. Low-calorific natural gases cause a decrease in torque at full-load operation conditions and an increase in hydrocarbon emissions.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우 관계를 매개로 한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이성원(LEE, Sungwon)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0 핵심역량교육연구 Vol.5 No.2

        의사소통 능력은 학습자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만들고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능력으로 적절한 의사표현은 타인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만들어준다. 또한 바른 의사소통기술은 타인으로 하여금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평가를 높게 가지게 하며, 학습자가 학습상황에서 생기는 문제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참여적 접근을 시도하도록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일련의 관계에 주목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코호트 자료 중 6차 년도 조사(2018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 학생 참여(참여형 학습),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자아개념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첫째,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자아개념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과 자아개념의 관계는 교사/교우 관계에 의해 매개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은 교사/교우관계를 매개로 한 자아개념을 매개로 하여 학생들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력은 교사와의 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우관계가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이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시사해 주었다. 특히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은 학생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과 그로 인한 자기평가에 영향을 미쳤는데, 의사소통 기술이 학습자의 사회적, 심리적, 학업적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학습자들의 사회적 관계가 학습자의 심리에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며, 청소년기 자아형성에 교우관계가 핵심요인이 됨을 시사해주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소통적 태도 신장을 통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이 참여적 학습태도를 결정하는데 주요요인이 될 수 있음을 유추하게 하였다. Communication skills are essential skills to create and maintain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nd others, and proper expression of communication makes relationships with others positive. In addition, since proper communication skills elicit a positive response from others, it ultimately makes learners highly evaluate for themselves, and induces learners to attempt a more active participatory approach to problems arising from learning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data from the 6th year survey (2018) of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Cohort Data,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based instruction, student participation, teachers/friend relationship and self-concept. As a result, first, communication competency-based instruction had an effect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which was found to be mediated by self-concep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y-based instruction and self-concept was mediated by the teacher/friend relationship, and consequently, communication competency-based instruction influenced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elf-concept mediated by the teacher/friend relationship.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formation of the learners self-concept was affected relatively higher the friend relationship than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ommunication skills-based instru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In particular, communication skills-based instruction had an effect on students social relationship formation and self-assessment, which proved that communication skills can affect learners social, psychological, and academic attitud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ocial relations of adolescent learners act as a major influencing factor on learners psychology, and that friendship is a key factor in the formation of adolescent self-concept.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ormation of the learners positive self-concept through the enhancement of the learners communicative attitude can be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learning participation attitude.

      • KCI등재

        지방 중소도시에서 도시공원의 역할 : 단독주택 가격 효과를 중심으로

        이성원 ( Lee Sungwo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2 地方行政硏究 Vol.36 No.2

        도시공원을 포함한 녹지공간은 매력적이고, 건강하며, 생기 넘치는 공간으로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 도시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녹지공간이 시민의 효용을 얼마나 높이는 것일까? 녹지공간의 선호를 일종의 대리변수인 주택가격으로 가정하여 선호 정도를 분석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즉, 도시공원까지의 인접성과 주택가격 간에 긍정적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를 대상으로 녹지가 아파트 가격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고밀 도시는 주거지 인근에 녹지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주변의 녹지공간 및 오픈스페이스가 주택 가치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소도시의 경우 도시 외곽에 녹지공간이 많고 도시의 반경도 넓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주거지 인근 도시공원이 주택(단독주택) 가격에 기존 대도시 연구와 유사한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또 하나의 가설은 주거지 인근 도시공원의 효과가 주택가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을 제외한 36개 중소도시 38,097건의 단독주택 실거래가(2006-2021)를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주택가격 분석에 활용하는 헤도닉 가격 모형을 적용했고, 여러 지역을 종합적으로 비교하면서 발생하는 지역 간 차이를 통제하기 위해 다수준 모형으로 분석했으며, 주택가격에 따라 도시공원의 인접성이 미친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분위회귀분석을 활용했다. 이 세 분석의 결과들을 통해 종합적으로 정책적 함의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공원까지의 근접성은 주택가격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정도는 기존 연구의 고밀도시 결과와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 주택가격의 도시공원까지 거리 탄력성은 약 -0.046이며 (공원과의 거리가 100% 가까워지면 주택가격 4.6% 증가)이며 최저 주택가격 수준에서 탄력성은 약 -0.06까지 높아지나 그 효과는 고가 주택일수록 점점 낮아진다. 다만, 중소 도시들 간의 비교에서 녹지율이 높은 지역은 도시공원까지 인접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저가 주택에서는 상쇄되지만, 고가 주택에서는 더 강화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도시공원의 면적은 주택가격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은 다른 유형의 공원에 비해 주택가격을 높이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has been well documented during several decades. Green space can create an attractive, healthy, and vibrant plac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ir citizens. In Korea, many previous studies also show that urban parks are positively connected to housing values that indicate the utilities for green space. However most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Seoul or large metropolitan areas. In general, high density cities have not sufficient green areas around the residential areas, so the closed green and open spaces can increase housing values. However, there are lots of green spaces all around the small cities, so we hypothesize whether urban parks close to residential areas st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housing value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dditionally, we assume that the impacts of urban parks around the residential area will be different for each high- and low-priced housing. This study applied hedonic price and quantile regression models with 38,097 samples (single-detached housing, 2006-2021) in 36 cities, larger than 50,000 but not Seoul Metropolitan Areas (SMAs), in Korea. The preliminary and ke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loseness to park i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housing value, and the effects are similar to previous results in high density cities. The distance to park elasticities of housing prices are about -0.046 and the elasticity of the lowest housing value is about -0.06, but the elasticities gradually decreased as housing price increases. In a city with a high green ratio, the positive effect of proximity to city parks on housing prices is offset by low-priced housing, but reinforced by high-priced housing. Urban park areas are negatively connected to housing value,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neighborhood park, children park and small park increases housing values rather than other types of p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